맨위로가기

고요제이 천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요제이 천황은 1586년부터 1611년까지 재위한 일본의 107대 천황이다. 그는 오기마치 천황의 양위를 받아 즉위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정권을 장악한 시대를 겪었다. 고요제이 천황은 유학과 와카에 조예가 깊었고, 학문과 예술을 장려했다. 그는 1611년 셋째 아들인 고미즈노오 천황에게 양위한 후 1617년 사망했으며, 화장으로 장례가 치러진 마지막 천황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일본의 군주 - 오기마치 천황
    오기마치 천황은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재위하며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비호 아래 쇠퇴했던 황실의 권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으나, 동시에 그들의 영향력 아래 양위를 요구받기도 했던 일본의 제106대 천황이다.
  • 16세기 일본의 군주 - 고카시와바라 천황
    고카시와바라 천황은 일본의 104대 천황으로, 오닌의 난 이후 재정난 속에서 즉위하여 22년 만에 즉위식을 올렸으며, 재정 부족에도 조선과의 관계 개선과 백성을 위한 마음을 проявлял.
  • 17세기 일본의 군주 - 고미즈노오 천황
    고미즈노오 천황은 1596년에 태어나 1611년 즉위하여 1629년 양위한 일본의 108대 천황으로, 막부의 통제 속에서 권위 실추를 겪었으며 도후쿠몬인과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낳고 저서를 남겼다.
  • 17세기 일본의 군주 - 히가시야마 천황
    히가시야마 천황은 레이겐 천황의 아들로 1687년부터 1709년까지 재위하며 겐로쿠 문화의 전성기와 조정과 막부의 원만한 관계, 황실 재정 안정 등 안정적인 시기를 보낸 후 천연두로 사망했다.
  • 고요제이 천황 - 고노에 사키코
    고노에 사키코는 고노에 사키히사의 딸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녀로, 고요제이 천황의 후궁이 되어 고미즈노오 천황을 낳았으며, 12명의 자녀를 통해 일본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 고요제이 천황 - 히노 테루코
고요제이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요제이 천황
고요제이 천황
이름고요제이 천황
일본어後陽成天皇
로마자 표기Go-Yōzei-tennō
가즈히토 (和仁) → 가타히토 (周仁)
추호고요제이인 (後陽成院) 또는 고요제이 천황 (後陽成天皇)
통치
재위 기간1586년 12월 17일 ~ 1611년 5월 9일
일본식 재위 기간덴쇼 14년 11월 7일 ~ 게이초 16년 3월 27일 (음력)
즉위례1587년 1월 4일 (덴쇼 14년 11월 25일)
선대 천황오기마치 천황
계승 천황고미즈노오 천황
연호덴쇼
분로쿠
게이초
섭정도요토미 히데요시
쇼군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히데타다
생애
출생일1571년 12월 31일
사망일1617년 9월 25일 (향년 46세)
출생지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사망 장소헤이안쿄, 교토, 도쿠가와 막부
가족 관계
아버지사네히토 친왕
어머니간슈지 하루코
배우자고노에 사키코 (1586년 12월 16일 결혼)
자녀고미즈노오 천황
고노에 노부히로
이치조 아키요시
기타 정보
능묘후카쿠사노키타 능 (深草北陵), 교토
서명

2. 약력

고요제이 천황은 1586년 아버지 사네히토 친왕이 사망하면서 황손으로서 할아버지 오기마치 천황의 양위를 받아 즉위했다.[3] 즉위 직후, 가타히토 친왕은 황태자 지위와 후계자로 지정되었다.[3] 1464년 고하나조노 천황의 양위 이후 처음있는 황실의 전환이었다.[8][3][7]

1586년부터 1611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정권을 장악했다. 히데요시는 천황의 권위를 이용하여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려 했으며, 1588년에는 고요제이 천황의 주라쿠다이 행차를 성대하게 연출했다. 1588년 7월, 고요제이 천황과 그의 아버지는 교토에 있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저택을 방문했는데, 이는 1521년 이후 천황이 대중에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낸 첫 번째 사건이었다.[2]

도요토미 히데요시임진왜란을 일으켜 명나라를 정복하고 고요제이 천황을 명의 황제로 옹립하려 했으나, 고요제이 천황은 이를 "억지스러운 짓"이라며 반대했다.

히데요시 사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1603년 세이이타이쇼군에 임명되어 에도 막부를 개창했다. 에도 막부는 교토에 대한 간섭을 강화하며 천황의 권한을 축소시켰다.

1611년, 고요제이 천황은 셋째 아들 고토히토 친왕(고미즈노오 천황)에게 양위하고 상황이 되었다. 1617년, 47세로 사망했으며, 화장으로 장례가 치러진 마지막 천황으로 기록된다.

3. 인물

유학과 와카쿠(和歌)에 조예가 깊어, 후나바시 히데카타에게서 사서를 배우고, 호소카와 유사이에게서 와카를 배웠다.[21] 스스로 궁인에게 『이세 이야기』, 『겐지 이야기』, 『영가대개』 등을 강의할 정도였으며, 『겐지 이야기 문견기』, 『이세 이야기 우안초』, 『고요제이 천황 친기』 등의 저서를 남겼다.[21] 『일본기 신대 권』, 고문 효경', 『직원초』 등을 게이초 칙판으로 간행하고[21], 측근을 동원하여 서적 수집 및 필사 활동에 힘써 금리 본가서군의 기초를 다졌다.[21]

도요토미 히데요시조선침략하려 하자 "그런 억지스러운 짓을 왜 하려 하는가? 하지 마라. 조선 백성들은 죄가 없으며 우리도 전쟁이 끝난 지 얼마 안 되었다. 왜 서로 망하는 짓을 하려 하는가?"라며 반대했다.

히데요시에게 할복을 명받은 도요토미 히데쓰구의 명복을 빌어주는 닛슈니(히데쓰구의 어머니이자 히데요시의 누이)에게 즈이류지의 사호를 부여했다. 그 후 즈이류지는 닛렌종 유일의 몬제키 절이 되었다. 히데요시가 고야산 재흥을 위해 흥산사 (폐사)를 개기했을 때, 모쿠지키 오규에게 "흥산 상인"이라는 호와 함께 칙액을 하사했다.

4. 계보

오기마치 천황의 황자 사네히토 친왕의 첫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카쥬지 하레미기의 딸 신죠토몬인 후지와라노 하루코이다.

뇨고고노에 사키히사의 딸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녀인 고노에 사키코(1575년 ~ 1630년)이다. 뇨고 고노에 사키코쇼코 여왕(1590년 ~ 1595년), 류토인노미야(1592년 ~ 1600년), 세이시 내친왕(1593년 ~ 1674년), 분코 여왕(1595년 ~ 1644년), 고미즈노오 천황(1596년 ~ 1680년), 손에이 여왕(1598년 ~ 1611년), 고노에 노부히로(1599년 ~ 1649년), 다카마쓰노미야 요시히토 친왕(1603년 ~ 1638년), 이치조 아키요시(1605년 ~ 1672년), 테이시 내친왕(1606년 ~ 1675년), 손가쿠 법친왕(1608년 ~ 1661년), 손렌 여왕(1614년 ~ 1627년) 등을 낳았다.

그 외에도 여러 후궁과 시녀를 두어 많은 자녀를 두었다.


  • 텐지 : 후지와라노 (나카야마) 치카코 (오스케노츠보네/大典侍局일본어, 1576년 ~ 1608년) - 나카야마 치카츠나의 딸
  • * 1황자 : 카쿠신/카쿠진 입도친왕 (카타히토 친왕/良仁親王일본어), 1588년 ~ 1648년) - 닌나지
  • * 2황자 : 쇼카이 법친왕 (1591년 ~ 1609년) - 닌나지
  • 텐지 : 후지와라노 (히노) 테루코 (곤나이시노스케노츠보네/権内侍局일본어, 1581년 ~ 1607년) - 히노 테루스케의 딸
  • * 5황자 : 손쇼 법친왕 (토시아츠 친왕/毎敦親王일본어), 1602년 ~ 1651년)
  • 텐지 : 후지와라노 (지묘인) 모토코 (사이쇼텐지/宰相典侍일본어, 다이나곤텐지/大納言典侍일본어, ? - 1644년) - 지묘인 모토타카의 딸
  • * 6황자 : 교넨 법친왕 (츠네요시 친왕/常嘉親王일본어), 1602년 ~ 1661년) - 묘호인, 천대좌주
  • 텐지 : 미나모토노 (니와타) 토모코 (곤나이시노스케노츠보네/権内侍局일본어, ? ~ 1626년) - 니와타 시게토모의 딸
  • * 8황자 : 료준 법친왕 (타다스케 친왕/直輔親王일본어), 1604년 ~ 1669년) - 치온인
  • 텐지 : 후지와라노 (하무로) 노부코 (이치노타이노츠보네/一対局일본어, ? ~ 1679년) - 하무로 요리노부의 딸, 카쥬지 미츠토요의 양녀
  • * 11황녀 : 손세이 여왕 (1613년 ~ 1669년) - 코쇼인/光照院일본어
  • 쇼지 : 타이라노 (니시노토우인) 토키코 (신나이시/新内侍일본어, 카데노코지노츠보네/勘解由小路局일본어, ? ~ 1661년) - 니시노토우인 토키요시의 딸
  • * 7황녀 : 에이스 여왕/永崇女王일본어 (1609년 ~ 1690년) - 다이쇼지(대성사/大聖寺일본어)
  • * 8황녀 : 코운인노미야/高雲院宮일본어 (1610년 ~ 1612년)
  • 비: 기요하라(후루이치) 타네코(산이노 쓰보네, 1583년 ~ 1658년) - 후루이치 타네요시의 딸, 전 아시카가 요리히로의 부인
  • * 아홉째 황녀(레이운인노미야, 1611년) - 요절
  • * 열한째 황자: 도아코 법친왕(1612년 - 1679년) - 쇼고인
  • * 열째 황녀(쿠우게인노미야, 1613년)
  • 비: 오나카토미 씨 (도사노 쓰보네, ? - 1680년) - 나카토미 도키히로의 딸
  • * 열두째 황자: 도슈 법친왕(1613년 - 1634년) - 쇼코인
  • * 열셋째 황자: 지인 법친왕(고쇼 친왕, 1617년 - 1699년) - 덴다이 좌주

4. 1. 뇨고 및 비

고요제이 천황의 뇨고는 고노에 사키히사의 딸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녀인 후지와라노 (고노에) 사키코(1575년 ~ 1630년)이다. 뇨고 후지와라노 (고노에) 사키코쇼코 여왕(1590년 ~ 1595년), 류토인노미야(1592년 ~ 1600년), 세이시 내친왕(1593년 ~ 1674년), 분코 여왕(1595년 ~ 1644년), 고미즈노오 천황(1596년 ~ 1680년), 손에이 여왕(1598년 ~ 1611년), 고노에 노부히로(1599년 ~ 1649년), 다카마쓰노미야 요시히토 친왕(1603년 ~ 1638년), 이치조 아키요시(1605년 ~ 1672년), 테이시 내친왕(1606년 ~ 1675년), 손가쿠 법친왕(1608년 ~ 1661년), 손렌 여왕(1614년 ~ 1627년) 등을 낳았다.

비(妃)는 후루이치 타네히데의 딸 기요하라노 (후루이치) 타네코(1583년 ~ 1658년)와 나카토미 토키히로의 딸 오나카토미씨(? ~ 1680년)이다. 비 키요하라노 (후루이치) 타네코는 레이운인노미야(1611년), 도코 법친왕(1612년 ~ 1678년), 코우카인노미야(1613년)를 낳았다. 비 오나카토미씨는 도슈 법친왕(1613년 ~ 1634년)과 지인 법친왕(1617년 ~ 1700년)을 낳았다.

4. 2. 텐지 및 쇼지

고요제이 천황의 텐지와 쇼지는 다음과 같다.

5. 연표


  • 1571년 12월 31일: 고요제이 천황이 태어났다.[7]
  • 1586년 11월 5일: 가타히토 친왕이 황태자 지위와 후계자로 지정되었다.[3]
  • 1586년 11월 7일: 오기마치 천황이 고요제이 천황이 될 손자에게 정권을 넘겼다. 1464년 고하나조노 천황이 양위한 이후 처음 있는 황실의 전환이었다.[8][3][7]
  • 1586년 12월: 아사히 부인(도요토미 히데요시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막내 여동생)과의 결혼이 준비되었고, 간파쿠인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다이죠다이진(태정 대신)으로 임명되었다.[3]
  • 1588년 7월: 고요제이 천황과 그의 아버지는 교토에 있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저택을 방문했다. 이는 1521년 이후 천황이 대중에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낸 첫 번째 사건이었다.[2]
  • 1588년: 히데요시는 오다와라성을 포위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간토로 향했다. 호조 우지마사가 사망하고 그의 형제인 호조 우지나오가 히데요시에게 항복하면서 오닌의 난 이후 계속되던 일련의 내전이 종식되었다.[3]
  • 1592년: 조선 침략(임진왜란)이 명나라를 침략하기 위해 조선으로 향했다.[2]
  • 1598년 9월 18일: 도요토미 히데요시후시미성에서 사망했다.[3]
  • 1600년 10월 21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씨와 그 동맹군은 모든 반대 세력을 격파했다.[3]
  • 1602년: 교토 대불이 화재로 파괴되었다.[3]
  • 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이이타이쇼군으로 임명되어 에도 막부가 개창되었다. 도요토미 히데요리는 황실에서 내대신으로 승격되었다.[3][17] 조정의 권위를 억제하려는 막부는 무가덴소를 설치하여 더욱 감시 체제를 갖추었다.[17]
  • 1605년 12월 15일: 이즈 반도에서 남쪽과 동쪽으로 뻗어 있는 이즈 제도의 하치조지마 옆에 새로운 화산섬인 하치조코지마가 바다에서 솟아올랐다.[3]
  • 1606년: 에도성 건설이 시작되었다.[3]
  • 1607년: 슨푸성 건설이 시작되었다.[3]
  • 1609년: 사쓰마의 시마즈 다이묘에 의한 류큐 침공이 있었다.[2][3] 같은 해, 이노쿠마 사건이 발생하여 고요제이 천황이 분노하였으나, 막부의 의향에 따라 처벌을 미온적으로 처리하여 불만을 품었다.
  • 1610년: 교토의 대불전 재건이 시작되었고 도요토미 히데요리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방문하기 위해 교토로 왔다.[3]
  • 1610년 5월 20일: 천황은 아들 마사히토를 위해 사임할 의사를 발표했다.[3][9]
  • 1611년: 고요제이 천황이 고미즈노에게 양위했고, 많은 자녀를 둔 고요제이에게는 적은 액수인 2000석의 선토 어료가 진헌되었다.[3][7]
  • 1611년 4월 7일: 태상천황의 존호가 내려졌다.

6. 연호

덴쇼 (1586년 11월 7일 ~ 1592년 12월 8일)

분로쿠 (1592년 12월 8일 ~ 1596년 10월 27일)

게이초 (1596년 10월 27일 ~ 1611년 3월 27일) 고요제이 천황의 치세는 여러 개의 연호(''nengō'')로 구체적으로 식별된다.

7. 평가

고요제이 천황의 치세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통치 시기와 에도 막부의 시작과 일치한다. 그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권력 승계 정당성을 확인해 준 군주였다.[2] 이 시기 황실은 감소된 권력의 작은 부분을 회복할 수 있었다. 고요제이 천황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간파쿠'의 아버지 또는 퇴임한 ''간파쿠''에게 주어지는 칭호인 '다이코' 칭호를 수여하여 그의 지위를 높이고 그의 권력을 효과적으로 안정시켰다.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이이 타이쇼군'' 칭호를 받았을 때, 도쿠가와 막부의 미래는 불확실했고, 그와 천황과의 관계도 정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점차 황실의 일에 간섭했고, 조정 귀족의 지위를 부여하고 연호를 변경할 권한은 ''바쿠후''의 관심사가 되었다. 전국 시대 동안 황실의 가난은 ''바쿠후''가 재정적 필요를 충족시키면서 과거의 일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고요제이는 문학과 예술을 사랑하여 ''고분 고쿄''와 니혼쇼키의 일부를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헌정한 활자로 출판했다. 양위 후 고요제이는 센토 어소에서 6년 동안 살았고, 이후 이곳은 양위한 천황들이 은퇴하는 장소가 되었다.[2] 고요제이는 1617년 9월 25일에 사망했다.[7] 고요제이 천황의 ''가미''는 후시미구에 있는 ''후카쿠사노 키타노 미사사기''(深草北陵)라는 황실 능(''미사사기'')에 안치되어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後陽成天皇 (107) https://www.kunaicho[...] Imperial Household Agency 2022-08-03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https://books.google[...]
[3] 서적 Nipon o daï itsi ran; ou,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4] 문서 first Arisugawa-no-miya Takamatsu-no-miya
[5] 문서 Died young
[6] 서적 A Chronicle of Gods and Sovereigns: Jinnō Shōtōki of Kitabatake Chikafusa https://books.google[...]
[7] 서적 Japans Kaiserhof in der Edo-Zeit https://books.google[...]
[8] 서적 Kyoto: the Old Capital of Japan, 794–1869 https://books.google[...]
[9] 학술지 A Short History of the Retired Emperor's Palace in the Edo Era https://www.jstage.j[...] 2022-08-04
[10] 문서 「後陽成天皇」『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
[11] 학술지 15世紀から16世紀の東アジア国際秩序と日中関係 http://www.mofa.go.j[...] 日中歴史共同研究委員会 2017-09-13
[12] 웹사이트 後陽成天皇宸翰御消息 https://emuseum.nich[...] 국립문화재기구 2022-05-20
[13] 웹사이트 第二部 活字の世界 http://www.um.u-toky[...] 도쿄대학 종합연구박물관 2015-05-04
[14] 간행물 山口和夫「統一政権成立と朝廷の近世化」『歴史学研究』716号、1998年。/所収:山口『近世日本政治史と朝廷』吉川弘文館、2017年、46・54-55頁。ISBN 978-4-642-03480-7。
[15] 문서 近衛信輔 消息
[16] 서적 橋本政宣『近世公家社会の研究』吉川弘文館、2002年。
[17] 서적 象徴帝国の誕生 : 天皇昭和紀 下 至誠堂 1961-10
[18] 백과사전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小学館
[19] 백과사전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https://archive.is/w[...] 小学館
[20] 뉴스 宮内庁:天皇、皇后両陛下のご喪儀、葬法は火葬 http://mainichi.jp/f[...] 2013-11-15
[21] 백과사전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Britannica Japan 2014
[22] 웹사이트 後陽成天皇 深草北陵(ごようぜいてんのう ふかくさきたのみささぎ) https://www.kunaicho[...] 宮内庁 2015-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