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쿠리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쿠리쿠도는 일본의 옛 행정 구획으로, 현재의 후쿠이현, 이시카와현, 도야마현, 니가타현 사도 지역을 포함한다. 7세기 후반에 에치고국에서 분리되어 에치고국과 엣추국이 설치되었고, 이후 가가국, 노토국 등이 에치젠국에서 분리되었다. 호쿠리쿠도는 기나이에서 북쪽으로 뻗어 일본해 연안을 아우르는 지역으로, 산인도와 교류하며 유적과 유물을 남겼다. 율령 시대에는 기나이와 일본해 연안 중부를 잇는 노선으로, 현재는 국도 8호선, 호쿠리쿠 자동차도, 호쿠리쿠 신칸센 등이 이 지역을 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도 제8호선 (일본) - 나카센도
    나카센도는 에도 시대에 에도와 교토를 잇는 다섯 개의 주요 간선도로 중 하나로, 쇼군과 다이묘의 공식 통행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일부 구간은 옛 모습을 보존하거나 복원되어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국도 제8호선 (일본) - 혼초 교차로
    혼초 교차로는 일본 니가타현에 위치하며, 국도 7, 8, 17, 113, 116, 289, 350, 402호선 등이 교차하는 곳이다.
  • 도야마현의 도로 - 국도 제160호선 (일본)
    국도 제160호선 (일본)은 이시카와현 나나오시에서 도야마현 다카오카시를 잇는 총 연장 45.3km의 일반 국도로, 1953년 2급 국도로 지정된 후 1965년에 일반 국도로 전환되었다.
  • 도야마현의 도로 - 국도 제41호선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에서 도야마현 도야마시를 잇는 총 252.1km의 국도 제41호선은 나고야시와 다카야마시를 연결하는 핵심 교통망으로, 과거 '방어 가도'로 불렸으며 현대에는 '노벨 가도'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이시카와현의 도로 - 국도 제160호선 (일본)
    국도 제160호선 (일본)은 이시카와현 나나오시에서 도야마현 다카오카시를 잇는 총 연장 45.3km의 일반 국도로, 1953년 2급 국도로 지정된 후 1965년에 일반 국도로 전환되었다.
  • 이시카와현의 도로 - 지리하마 나기사 드라이브웨이
    지리하마 나기사 드라이브웨이는 이시카와현에 있는 약 8km의 해변으로, 차량이 해변을 직접 달릴 수 있는 독특한 드라이브 코스이지만, 해안 침식 문제로 복구 노력이 진행 중인 관광 명소이다.
호쿠리쿠도
지도
개요
명칭호쿠리쿠도 (北陸道)
로마자 표기Hokurikudō
의미북쪽 땅의 circuit 또는 북쪽 땅 지역
설명고키시치도 중 하나인 행정 구역고대에서 근세까지의 가도''
한국어 표기호쿠리쿠도
행정 구역
관할 지역에치젠 국, 에치고 국, 엣추 국, 노토 국, 가가 국, 와카사 국
도로 (가도)
주요 경로도산도와 도카이도를 연결하는 경로
중요도고대부터 근세까지 주요 도로망 중 하나
현대적 의미
고속도로호쿠리쿠 자동차도의 약칭으로도 사용됨

2. 명칭

옛 국명으로는 와카사, 에치젠, 가가, 노토, 에치고, 사도를 가리킨다. 「北陸道」(호쿠리쿠도)의 옛 발음은 「クヌカノミチ」(쿠누카노미치)로, 연희식 민부성 관련 부분에 따르면 「육로」라는 뜻이다. 같은 일본해 연안의 산인도와 지역 간 교류를 하였으며, 유적이나 유물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3. 행정 구역

호쿠리쿠도는 기나이에서 북쪽으로 뻗어 혼슈(本州)의 일본해 쪽 북동부를 아우르는 행정 구획이었다. 옛 국명으로는 와카사, 에치젠, 가가, 노토, 엣추, 에치고사도를 가리킨다.[4] 「北陸道」(호쿠리쿠도)의 옛 발음은 「クヌカノミチ」(쿠누카노미치)로 「육로」라는 뜻이다 (『연희식』의 민부성 관련 부분). 같은 일본해 연안의 산인도와 지역 간 교류를 하였으며, 유적이나 유물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각 구니에 속했던 군은 다음과 같다.


  • 와카사국(와카사): 온지군(온지), 오이군(오이), 산포군(산포)
  • 에치젠국(에치젠): 쓰루가군(쓰루가), 니우군(니우), 이마다테군(이마다테), 아스와군(아스와), 오노군(오노), 사카이군(사카이)
  • 가가국(가가): 에누마군(에누마), 노미군(노미), 이시카와군(이시카와), 가가군(가가)
  • 노토국(노토): 하쿠이군(하쿠이), 노토군(노토), 호지군(호지), 수주군(수주)
  • 에치고(에치고): 토이나미군(토이나미), 샤스이군(샤스이), 후부군(후부), 신카와군(신카와)
  • 에치고국(에치고): 쿠비키군(쿠비키), 미시마군(미시마), 우오누마군(우오누마), 고시군(고시), 가마하라군(가마하라), 이와후네군(이와후네), 누마타리군(누마타리), 데와군(데와)
  • 사도국(사도): 하시모군(하시모), 잡타군(잡타), 가모군(가모)

3. 1. 구니 목록

호쿠리쿠도 지역

3. 2. 행정 구역 변천

(7세기-)와카사국(若狭国)후쿠이현 (서부)후쿠이현 (서부)에치젠국(越前国)
(7세기말-)에치젠국(越前国)후쿠이현 (동부), 기후현 (일부)후쿠이현 (동부), 기후현 (일부)가가국(加賀国)
(823년-)가가국(加賀国)이시카와현 (남부)이시카와현 (남부)노토국(能登国)
(718년-741년)
노토국(能登国)
(757년-)노토국(能登国)이시카와현 (북부)이시카와현 (북부)에쓰국(越国)
(고시국(高志国)·고시국(古志国))[4]에치고국(越中国)
(7세기말-)에치고국(越中国)도야마현(富山県)도야마현(富山県)에치고국(越後国)
(7세기말-)에치고국(越後国)니가타현 (혼슈(本州) 부분)니가타현 (혼슈(本州) 부분)사도국(佐渡国)사도국(佐渡国)
(-743년)
사도국(佐渡国)
(752년-)사도국(佐渡国)니가타현 (사도가시마(佐渡島))니가타현 (사도가시마(佐渡島))


4. 도로

고대 호쿠리쿠 지방은 越国이라는 지방 왕국을 형성했고, 畿内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노선이라는 점에서 "에치젠미치(越路)", "호쿠코쿠카이도(北国街道)", "호쿠코쿠지(北国路)", "호쿠리쿠카이도(北陸街道)"라고도 불렸다.

10세기 초, 조선(造船)과 조선(操船) 기술이 발달하면서 물자 수송의 난관이었던 산악 구간을 피해 비와호와 둔가에서 일본해 연안으로 가는 항로를 함께 이용하게 되었다.

4. 1. 율령 시대

율령 시대의 도로로서 호쿠리쿠도는 기내와 일본해 연안 중부를 잇는 노선이었다. 령제국(令制国)의 국부(国府)를 잇는 관도(官道)이며, 소로(小路)로 여겨졌다. 나라교토에서 비와호 서안을 지나 에치젠으로 이어지는 경로(사이오미로(西近江路) 참조)였다. 7세기 중반, 니가타시 시가지 한구석인 누타리 부근에 누타리사쿠(渟足柵)이 축조되면서 호쿠리쿠도의 북쪽 끝이 되었다. 이후 연장되어 네즈미가세키(鼠ヶ関)이 북쪽 끝이 되었다.

오미에서 에치젠에 이르는 구간은 경로에 변천이 있었는데, 처음에는 스가야토게(菅谷峠)를 넘는 길(현재의 국도 305호)이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환상의 호쿠리쿠도”라고 불린다. 기록에 남는 것은 야마나카토게(山中峠)를 넘는 경로부터이지만 덴초(天長) 7년(830년)에 키노메토게(木ノ芽峠)를 넘는 경로로 바뀌었다. 중세에는 토치노키토게(栃ノ木峠)(현재의 국도 365호)를 넘는 길로 바뀌었고, 이후 이 길이 본도(本道)로 여겨졌다.

4. 1. 1. 고대 호쿠리쿠도

율령 시대에 호쿠리쿠도(北陸道)는 기나이(畿内)와 일본해 연안 중부를 잇는 도로였다. 령제국(令制国)의 국부(国府)를 연결하는 관도(官道)였으며, 소로(小路)로 분류되었다. 나라(奈良)와 교토(京都)에서 비와호 서안을 지나 에치젠(越前)으로 이어지는 경로(사이오미로(西近江路) 참조)였다. 7세기 중반, 니가타시(新潟市) 시가지 한구석인 누타리(沼垂) 부근에 누타리사쿠(渟足柵)가 설치되면서 호쿠리쿠도(北陸道)의 북쪽 끝이 되었다. 이후 노선이 연장되어 네즈미가세키(鼠ヶ関)가 북쪽 끝이 되었다.

오미(近江)에서 에치젠(越前)으로 가는 구간은 경로가 여러 번 바뀌었다. 처음에는 스가야토게(菅谷峠)를 넘는 길(현재의 국도 305호)이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이 길은 “환상의 호쿠리쿠도(北陸道)”라고 불린다. 기록에 남아있는 것은 야마나카토게(山中峠)를 넘는 길부터이지만, 덴쵸(天長) 7년(830년)에 더 짧은 키노메토게(木ノ芽峠)를 넘는 길로 바뀌었다. 중세 시대에 들어서면서 더욱 짧은 토치노키토게(栃ノ木峠)(현재의 국도 365호)를 넘는 길로 바뀌었고, 이후 이 길이 본도(本道)로 여겨졌다.

10세기 초, 조선(造船)과 조선(操船) 기술이 발달하면서 물자 수송의 어려움이 있던 산악 구간을 피해 비와호와 둔가에서 일본해 연안으로 가는 항로를 함께 이용하게 되었다.

호쿠리쿠도에 설치되었던 역참은 다음과 같다.

국명군명역명비고
산성국우지군산카역804년에 폐지
오미국시가군아나타역말 5필
시가군와니역말 7필
고시마군미오역말 7필, 와카사·에치젠 방면 분기
고시마군도무케츠역말 9필
와카사국오우시키군노우메시역말 5필
미카타군야미역말 5필
에치젠국쓰루가군마쓰바라역말 8필, 와카사로와 합류
쓰루가군시카니역말 5필
이마다테군슈쿠라역말 5필
니우군니우역말 5필
이마다테군아미역말 5필
니우군아사쓰역말 5필
아시와군아시와역말 5필
사카이군미오역말 5필
가가국에누마군아사쿠라역말 5필
에누마군시오쓰역말 5필
노미군아타케역말 5필
노미군히라쿠역말 5필
가가군다가미역말 5필
가가군후카미역말 5필, 노토·에치고 방면 분기
가가군요코야마역말 5필, 노토로
노토국하쿠이군센사이역말 5필
노토군에쓰소역말 5필
노토군아나즈역808년에 폐지
오토시군미쓰이역808년에 폐지
오토시군오이치역808년에 폐지
오토시군마치노역808년에 폐지
오토시군슈슈역808년에 폐지
에치고국토이나미군사카모토역말 5필
토이나미군가와아이역말 5필
샤스이군이치리역말 5필
샤스이군하쿠죠역말 5필
신카와군이와세역말 5필
신카와군미즈하시역말 5필
신카와군누세역말 5필
신카와군사미역말 8필
에치고국구비키군소우카이역말 8필
구비키군우즈라이시역말 5필
구비키군나다테역말 5필
구비키군미즈몬역말 5필
구비키군사미역말 5필
미시마군미시마역말 5필
미시마군타타역말 5필
고시군타이카역말 5필
가마하라군이가미역말 2필
가마하라군와토역말 2필, 사도로
사도국하시모군마쓰자키역말 5필
하시모군미카와역말 5필
잣타군잣타역말 5필


4. 2. 에도 시대

에도 시대가 되면서 기나이에서 북동쪽으로 비와호(琵琶湖) 동쪽 기슭의 나카센도(율령 시대의 도산도)를 따라 도리이모토(현재의 히코네시(彦根市) 도리이모토) 또는 반바(요네하라)에서 갈라져 북상하여 일본해 쪽을 종관하여 에치고 국(越後国)에 이르렀다. 좁은 의미의 호쿠리쿠 가도(北国街道)는 나카센도·오이와케 숙소(追分宿)에서 나오에쓰(直江津)까지의 도로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으며, 젠코지 참배를 위해 정비되어 '''젠코지 가도(善光寺街道)'''라고도 불렸다.

1859년 막말 니가타가 개항 5항의 하나가 되면서, 호쿠리쿠 지방도호쿠 지방을 잇는 교통망의 접점으로 번영하기 시작했다.

4. 3. 메이지 시대 이후

메이지 시대에 도로와 철도 같은 육로 정비가 진행되면서 호쿠리쿠도는 다시 일본해 연안 교통망의 주요 노선이 되었다.

현재는 국도 8호선과 호쿠리쿠 자동차도가 율령 시대의 호쿠리쿠도를 계승하고 있다. 국도 8호선은 니가타(만다이바시)에서 미하라를 거쳐 교토에 이르는 노선이다. 철도의 호쿠리쿠 본선은 나오에쓰 역을 동쪽 끝으로 하는데, 이는 다카사키에서 나오에쓰에 이르는 중산도·호쿠코쿠 가도를 따라 신에쓰 본선이 우선 건설되었기 때문이다.

제2차 세계 대전1972년에 니가타현 출신의 다나카 각에이가 정권을 잡자 "태평양 벨트 지대와의 격차 시정"을 내걸고 고속도로호쿠리쿠 자동차도를 건설했다. 이는 국도 8호선과 마찬가지로 옛 호쿠리쿠도를 따른다. 따라서 현재 "호쿠리쿠도"는 율령 시대의 호쿠리쿠도를 따라 있는 도로를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좁은 의미로는 호쿠리쿠 자동차도의 약칭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호쿠리쿠 신칸센도쿄역에서 다카사키역을 경유하여 죠에쓰묘코 역 부근까지는 중산도·호쿠코쿠 가도를 따른다. 1997년 나가노 역까지 부분 개통 당시에는 "나가노(행) 신칸센"이라는 통칭이 사용되었고, 2015년 나가노 역 - 가나자와 역 간 개통부터 정식 명칭으로 안내가 시작되었다. 호쿠리쿠 신칸센은 계획상 오사카부 오사카시를 종점으로 하지만, 쓰루가 서쪽의 노선은 논의 중이다(호쿠리쿠 신칸센 쓰루가 이서의 노선 선정 참조). 죠에쓰묘코 역 - 니가타 역 간은 하에쓰 신칸센의 일부로 계획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중 나가오카 역 - 니가타 역 간은 1982년 죠에쓰 신칸센으로 완성되었다.

참조

[1] 서적 Handbook to Life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3] 서적 Hokurikudō https://books.google[...]
[4] 문서 고대 일본의 국조 목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