홋카이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홋카이도 선거구는 홋카이도 전역을 관할하며,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에서 6명의 의원을 선출한다. 1947년 제1회 선거부터 1992년까지는 8명의 의원을 선출했으나, 1994년 정수 조정으로 4명으로 줄었고, 2016년부터 6명으로 증가했다. 사회당이 강세를 보였으나, 1996년 이후 민주당과 자민당이 경쟁하는 구도가 형성되었다. 최근 선거에서는 자민당과 입헌민주당이 주요 정당으로 경쟁하며, 2016년, 2019년, 2022년 선거 결과를 표로 제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의 선거구 - 홋카이도 제9구
홋카이도 제9구는 홋카이도에 위치한 일본 중의원 소선거구로, 무로란시, 도마코마이시, 노보리베쓰시 등을 포함하며 히로시마현과 비슷한 면적을 가지고 있고, 하토야마 유키오, 호리이 마나부를 거쳐 현재는 야마오카 타츠마루가 의원을 맡고 있다. - 홋카이도의 선거구 - 홋카이도 제7구
홋카이도 제7구는 일본 중의원 선거구로, 구시로시, 네무로시 등을 포함하며, 1996년 홋카이도 제13구로 신설되어 2003년 제43회 총선부터 제7구로 변경되었고, 2024년 총선에서는 스즈키 다카코가 당선되었다. - 일본 참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선거구
에히메현 선거구는 에히메현 전체를 지역구로 하며, 참의원 의원 2명을 선출하고, 2022년 제26회 선거에서 야마모토 준코가 당선되었다. - 일본 참의원 선거구 - 와카야마현 선거구
와카야마현 선거구는 일본 참의원 선거구로서 와카야마현 전체를 관할하며 2명의 의원을 선출하고, 자유민주당의 지지 기반이 강한 지역이나 과거 선거 과정의 투명성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홋카이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선거구 | 홋카이도 |
![]() | |
유권자 수 | 4,424,026명 (2022년 9월 기준) |
설립 년도 | 1947년 |
의석수 | 6석 |
의원 | class of 2019: 다카하시 하루미 (자민당) 가쓰베 겐지 (CDP) 이와모토 쓰요히토 (자민당) class of 2022: 하세가와 가쿠 (자민당) 도쿠나가 에리 (CDP) 후나바시 도시미 (자민당) |
선거구 정보 | |
이름 (일본어) | 北海道選挙区 (Hokkaidō senkyoku) |
유형 | 의회 |
의회 이름 | 참의원 |
2. 역사
홋카이도 선거구는 1947년 제1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부터 설치되어, 초기에는 도쿄도 선거구와 함께 가장 큰 규모의 선거구였다.[38] 사회당이 비교적 강세를 보였으며, 55년 체제 하에서는 사회당과 자민당이 의석을 나눠 갖는 구도가 일반적이었다.[38]
1994년 의원 정수 조정으로 홋카이도 선거구의 정수가 감소했고,[26] 1996년 사회당 세력이 분열된 이후에는 민주당과 자민당이 의석을 양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38] 민주당은 자유당과의 합당 이후 적극적으로 의석 확대를 노렸으며, 신당 대지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도 했다.[38]
공명당은 정수 개정 이후 독자 후보를 내지 않고 자민당 후보를 지원하고 있으며,[38] 공산당과 사민당은 지속적으로 후보를 내고 있지만, 당세 쇠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38] 우익 정당인 유신정당·신풍과 행복실현당도 후보를 냈지만, 당선에는 실패했다.[38]
2015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2016년 제24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부터 홋카이도 선거구의 정수가 증가하면서,[33] 자민당과 민진당(이후 입헌민주당)이 복수 공천을 통해 경쟁하는 구도가 형성되었다. 이후 국민민주당, 공산당, NHK당 등 다양한 정당들이 홋카이도 선거구에 후보를 내면서 경쟁이 심화되었다.
2. 1. 선거구 설치 및 초기 역사 (1947년 ~ 1994년)
1947년 제1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부터 1992년 제16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까지 홋카이도 선거구는 의원 정수 8명(개선 정수 4명)으로, 도쿄도 선거구와 함께 가장 큰 규모였다.[38] 초기에는 일본사회당이 비교적 강세를 보였으며, 55년 체제 하에서는 사회당 공인 및 추천(혁신계 무소속) 후보가 2석, 자민당 후보가 1석을 확보하고, 나머지 1석을 자민당, 공명당, 일본공산당 후보가 경쟁하는 구도가 일반적이었다.2. 2. 정수 조정과 민주당의 부상 (1995년 ~ 2015년)
1994년 의원 정수 조정으로 홋카이도 선거구의 정수는 4명 (개선 정수 2명)으로 감소했다.[26] 1996년 사회당 세력이 사회민주당과 구 민주당으로 분열된 이후,[38] 민주당과 자민당이 의석을 양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38]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사민당 | 스기노 히사미쓰 | 563,029 | 27.5 |
신진당 | 오가와 가쓰야 | 511,139 | 25.3 |
자민당 | 기모토 요시타카 | 488,807 | 24.2 |
공산당 | 다카사키 유코 | 392,714 | 19.5 |
새시대 | 요시노 에쓰코 | 40,106 | 2.0 |
무소속 | 마에야 히로시 | 21,716 | 1.1 |
- 1998년 제18회 참의원 의원 선거: 민주당과 자민당이 의석을 획득하였다.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민주당 | 미네자키 나오키 | 804,611 | 31.2 |
자민당 | 나카가와 요시오 | 723,786 | 28.1 |
공산당 | 우치야마 도모코 | 605,119 | 23.5 |
자유당 | 오노 겐타로 | 161,505 | 6.3 |
사민당 | 가야노 시로 | 146,159 | 5.7 |
신사당 | 미즈요시 마사미 | 34,374 | 1.3 |
청자당 | 사와다 겐이치 | 33,390 | 1.3 |
자유연맹 | 마쓰카와 료코 | 32,557 | 1.3 |
무소속 | 무라타 히데오 | 28,480 | 1.1 |
유신 | 센다이 노부히토 | 7,249 | 0.3 |
- 2001년 제19회 참의원 의원 선거: 자민당과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자민당 | 다테 주이치 | 985,274 | 39.3 |
민주당 | 오가와 가쓰야 | 683,704 | 27.2 |
공산당 | 미야우치 사토시 | 284,575 | 11.3 |
자유당 | 니시카와 마사히토 | 196,348 | 7.8 |
사민당 | 스기야마 요시코 | 165,670 | 6.6 |
여당 | 마쓰무라 다미코 | 87,597 | 3.5 |
무소속 | 요코야마 미쓰히로 | 36,119 | 1.4 |
자유연맹 | 구마가이 아키후미 | 33,500 | 1.3 |
신사당 | 사이토 노부유키 | 25,261 | 1.0 |
유신 | 센다이 노부히토 | 11,469 | 0.5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자민당 | 나카가와 요시오 | 741,831 | 26.7 |
민주당 | 미네자키 나오키 | 618,277 | 22.3 |
민주당 | 니시카와 마사히토 | 552,993 | 19.9 |
무소속 | 스즈키 무네오 | 485,382 | 17.5 |
공산당 | 오카 지하루 | 254,338 | 9.2 |
사민당 | 야마우치 게이코 | 106,631 | 3.8 |
유신 | 센다이 노부히토 | 19,020 | 0.7 |
- 2007년 제21회 참의원 의원 선거: 민주당은 신당 대지와 협력 관계를 통해 의석 확보를 노렸고, 민주당과 자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38]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민주당 | 오가와 가쓰야 | 1,018,597 | 36.0 |
자민당 (공명당) | 다테 주이치 | 757,463 | 26.8 |
무소속 (신당 대지, 민주당, 국민신당) | 사하라 가오리 | 621,497 | 22.0 |
공산당 | 하타야마 가즈야 | 206,463 | 7.3 |
무소속 | 하시바 히데요시 | 103,282 | 3.7 |
사민당 | 아사노 다카오 | 79,474 | 2.8 |
무소속 | 아라카와 마사유키 | 22,154 | 0.8 |
유신 | 센다이 노부히토 | 18,234 | 0.6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자민당 | 하세가와 가쿠 | 948,267 | 34.3 |
민주당 | 도쿠나가 에리 | 708,523 | 25.6 |
민주당 | 후지카와 마사시 | 567,167 | 20.5 |
너의 당 | 나카가와 겐이치 | 320,992 | 11.6 |
공산당 | 하타야마 가즈야 | 200,231 | 7.2 |
HRP | 오바야시 마코토 | 22,166 | 0.8 |
- 2013년 제23회 참의원 의원 선거: 자민당과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자민당 (공) | 다테 주이치 | 903,693 | 37.7 |
민주당 | 오가와 가쓰야 | 583,995 | 24.4 |
신당 대지 | 아사노 다카히로 | 352,434 | 14.7 |
공산당 | 모리 쓰네토 | 272,102 | 11.4 |
너의 당 | 아즈미 다카노부 | 261,802 | 10.9 |
HRP | 모리야마 요시노리 | 23,194 | 1.0 |
공명당은 정수 개정 이후 공인 후보를 옹립하지 않고, 신진당 해체 후에는 연립 정권 파트너인 자민당 후보를 지원하고 있다.[38] 공산당과 사민당은 매번 공인 후보를 옹립하고 있지만, 당세 쇠퇴로 득표는 감소하는 추세이며, 당선권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38] 우익 정당인 유신정당·신풍도 1998년 참의원 선거 진출 이후 2007년까지 매번 공인 후보를 냈지만, 모두 최하위로 공탁금을 몰수당했다.[38] 2010년부터 행복의 과학을 모체로 하는 행복실현당이 매번 후보를 내고 있지만, 모두 낙선했다.[38]
2. 3. 선거구 확대와 다당 경쟁 (2016년 ~ 현재)
2015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2016년 제24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부터 홋카이도 선거구의 정수는 6명(개선 정수 3명)으로 증가했다.[33] 선거구 확대 이후, 자민당과 민진당(이후 입헌민주당)이 복수 공천을 통해 경쟁하는 구도가 형성되었다.2016년 선거에서는 자민당과 민진당이 각각 2명씩 후보를 공천하여, 자민당 1석, 민진당 2석을 획득했다.[33] 2019년 제25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자민당이 2명, 입헌민주당이 1명, 국민민주당과 공산당이 각각 1명씩 후보를 냈으며, 자민당 2석, 입헌민주당 1석을 차지했다.[34]
국민민주당, 공산당, NHK당 등 다양한 정당들이 홋카이도 선거구에 후보를 내면서 경쟁이 심화되었다. 2022년 제26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자민당과 입헌민주당이 각각 2명, 국민민주당, 공산당, NHK당 등에서 후보를 내어 총 12명이 경쟁했고 그 결과, 자민당 2석, 입헌민주당 1석을 획득하였다.
선거명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2016년[33] | 자민당 (공) | 하세가와 가쿠 | 648,269 | 25.5 | |
민진당 (사민당 홋카이도) | 도쿠나가 에리 | 559,996 | 22.0 | ||
민진당 (사민당 홋카이도) | 하치로 요시오 | 491,129 | 19.3 | ||
자민당 (공, 신당 대지) | 가키키 가쓰히로 | 482,688 | 19.0 | ||
공산당 | 모리 쓰네토 | 239,564 | 9.4 | ||
마음 | 사토 가즈오 (*) | 34,092 | 1.3 | ||
무소속 지원 | 나카무라 오사무 (*) | 29,072 | 1.1 | ||
무소속 | 이이다 요시히로 (*) | 26,686 | 1.0 | ||
HRP | 모리야마 요시노리 (*) | 21,006 | 0.8 | ||
2019년[34] | 자민당 | 다카하시 하루미 | 828,220 | 34.4 | |
입헌민주당 | 가쓰베 겐지 | 523,737 | 21.7 | ||
자민당 | 이와모토 쓰요히토 | 454,285 | 18.8 | ||
공산당 | 하타야마 가즈야 | 265,862 | 11.0 | ||
국민민주당 | 하라야 나미 | 227,174 | 9.4 | ||
N국 | 야마모토 다카히라 | 63,308 | 2.6 | ||
안락사 결정을 위한 모임 | 나카무라 오사무 | 23,785 | 1.0 | ||
HRP | 모리야마 요시노리 | 13,724 | 0.6 | ||
노동 해방을 목표로 하는 노동자당 | 이와세 세이지 | 10,108 | 0.4 |
3. 선거구 정보
지역 | 홋카이도 전역 |
---|---|
의원 정수 | 6명 (개선 3명) |
유권자 수 | 4,462,996명 (2022년 9월) |
3. 1. 지역
홋카이도 전역3. 2. 의원 정수
6명 (개선 3명)3. 3. 유권자 수
北海道일본어의 유권자 수는 2022년 9월 기준 4,462,996명이다.4. 역대 의원
홀수회 | 짝수회 | ||||||||
---|---|---|---|---|---|---|---|---|---|
의원 1 | 의원 2 | 의원 3 | 의원 4 | 선거 | 의원 1 | 의원 2 | 의원 3 | 의원 4 | |
이타야 준스케 (일본자유당) | 호리 스에지 (무소속) | 지바 마코토 (일본사회당) | 가가 미사오 (무소속) | 1947년 제1회 | 와카키 가쓰조 (무소속)[40] | 기노시타 겐고 (일본사회당)[40] | 마치무라 게이키 (무소속)[40] | 고바야시 요네사부로 (무소속)[40] | |
아리마 에이지 (국민민주당) | 1950년 보궐 | 1950년 제2회 | 기노시타 겐고 (일본사회당) | 아즈마 다카시 (농민협동당) | 와카키 가쓰조 (일본사회당) | 마쓰무라 사다요시 (농민협동당) | |||
지바 마코토 (사회당 좌파) | 기타 가쓰타로 (무소속) | 호리 스에지 (자유당) | 아리마 에이지 (개진당) | 1953년 제3회 | |||||
1956년 제4회 | 도마베치 히데토시 (자유민주당) | 오야 다다시 (일본사회당) | 아즈마 다카시 (일본사회당) | 니시다 신이치 (자유민주당) | |||||
요네타 이사오 (일본사회당) | 호리 스에지 (자유민주당) | 이카와 이헤이 (자유민주당) | 지바 마코토 (일본사회당) | 1959년 제5회 | |||||
1962년 제6회 | 오야 다다시 (일본사회당) | 고바야시 도쿠이치 (무소속) | 요시다 주자부로 (일본사회당) | 니시다 신이치 (자유민주당) | |||||
가와무라 세이이치 (일본사회당) | 이카와 이헤이 (자유민주당) | 다카하시 유노스케 (자유민주당) | 다케다 겐쇼 (일본사회당) | 1965년 제7회 | |||||
1968년 제8회 | 오야 다다시 (일본사회당) | 가와구치 요이치 (자유민주당) | 니시다 신이치 (자유민주당) | 요시다 주자부로 (일본사회당) | |||||
다카하시 유노스케 (자유민주당) | 가와무라 세이이치 (일본사회당) | 다케다 겐쇼 (일본사회당) | 이와모토 마사이치 (자유민주당) | 1971년 제9회 | |||||
1974년 제10회 | 오가사와라 사다코 (일본공산당) | 요시다 주자부로 (일본사회당) | 쓰시마 다카카쓰 (일본사회당) | 아이자와 다케히코 (공명당) | |||||
기타 슈지 (자유민주당) | 나카무라 게이이치 (자유민주당) | 마루타니 가네야스 (일본사회당) | 가와무라 세이이치 (일본사회당) | 1977년 제11회 | |||||
1980년 제12회 | 다카기 마사아키 (자유민주당) | 이와모토 마사미쓰 (자유민주당) | 쓰시마 다카카쓰 (일본사회당) | 오가사와라 사다코 (일본공산당) | |||||
기타 슈지 (자유민주당) | 스가노 히사미쓰 (일본사회당) | 마루타니 가네야스 (일본사회당) | 구도 마사미 (자유민주당) | 1983년 제13회 | |||||
1986년 제14회 | 쓰시마 다카미쓰 (일본사회당) | 이와모토 마사미쓰 (자유민주당) | 다카기 마사아키 (자유민주당) | 오가사와라 사다코 (일본공산당) | |||||
다케무라 야스코 (무소속) | 스가노 히사미쓰 (일본사회당) | 기타 슈지 (자유민주당) | 다카사키 유코 (일본공산당) | 1989년 제15회 | |||||
1992년 제16회 | 가자마 히사시 (공명당) | 나카오 노리유키 (무소속) | 미네자키 나오키 (일본사회당) | 다카기 마사아키 (자유민주당) | |||||
스가노 히사미쓰 (일본사회당) | 오가와 가쓰야 (신진당) | rowspan=8| | rowspan=10| | 1995년 제17회 | |||||
1998년 제18회 | 미네자키 나오키 (민주당) | 나카가와 요시오 (자유민주당) | rowspan=6| | rowspan=9| | |||||
다테 주이치 (자유민주당) | 오가와 가쓰야 (민주당) | 2001년 제19회 | |||||||
2004년 제20회 | 나카가와 요시오 (자유민주당) | 미네자키 나오키 (민주당) | |||||||
오가와 가쓰야 (민주당) | 다테 주이치 (자유민주당) | 2007년 제21회 | |||||||
2010년 제22회 | 하세가와 가쿠 (자유민주당) | 도쿠나가 에리 (민주당) | |||||||
다테 주이치 (자유민주당) | 오가와 가쓰야 (민주당) | 2013년 제23회 | |||||||
2016년 제24회 | 하세가와 가쿠 (자유민주당) | 도쿠나가 에리 (민진당) | 하치로 요시오 (민진당) | ||||||
다카하시 하루미 (자유민주당) | 가쓰베 겐지 (입헌민주당) | 이와모토 쓰요히토 (자유민주당) | 2019년 제25회 | ||||||
2022년 제26회 | 하세가와 가쿠 (자유민주당) | 도쿠나가 에리 (입헌민주당) | 후나하시 도시미쓰 (자유민주당) |
5. 최근 선거 결과
선거명 | 당선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제26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22년 7월 10일) | 하세가와 가쿠 | 자유민주당 | 595,033 | 25.45 | 공명당 추천 |
도쿠나가 에리 | 입헌민주당 | 455,057 | 19.47 | 사회민주당 추천 | |
후나하시 도시미쓰 | 자유민주당 | 447,232 | 19.13 | 공명당, 신당대지 추천 | |
제25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9년 7월 21일) | 다카하시 하루미 | 자유민주당 | 828,220 | 34.36 | 공명당 추천 |
가쓰베 겐지 | 입헌민주당 | 523,737 | 21.73 | 사회민주당 홋카이도 연합 추천 | |
이와모토 쓰요히토 | 자유민주당 | 454,285 | 18.85 | 공명당 추천 | |
제24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6년) | 하세가와 가쿠 | 자유민주당 | 648,269 | 공명당 추천 | |
도쿠나가 에리 | 민진당 | 559,996 | |||
하치로 요시오 | 민진당 | 491,129 | 사회민주당 추천 |
참조
[1]
웹사이트
総務省|令和4年9月1日現在選挙人名簿及び在外選挙人名簿登録者数
https://www.soumu.go[...]
2023-01-04
[2]
문서
joined Ryokufūkai
[3]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4]
문서
joined JSP
[5]
문서
joined Ryokufūkai
[6]
문서
joined JLP
[7]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8]
문서
joined Ryokufūkai
[9]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10]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11]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12]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13]
문서
joined LDP
[14]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15]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16]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17]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JANJAN
2010-05-09
[18]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19]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20]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21]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22]
문서
JSP support
[23]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24]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25]
문서
JSP support
[26]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27]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28]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29]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30]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31]
웹사이트
http://go2senkyo.com[...]
Heartbeats
2013-04-03
[32]
웹사이트
http://www.yomiuri.c[...]
2013-07-22
[33]
뉴스
Results in Hokkaidō
http://www.yomiuri.c[...]
Yomiuri Shimbun
2016
[34]
뉴스
Results in Hokkaidō
https://www.nhk.or.j[...]
NHK
2019
[35]
문서
past election results
http://www.pref.hokk[...]
Hokkai-dō/prefectural government
[36]
간행물
past election results
http://www.pref.hokk[...]
Hokkaidō government, electoral commission
[36]
간행물
22rd regular election of the House of Councillors
http://www.pref.hokk[...]
Hokkaidō government, electoral commission
[36]
간행물
turnout
http://www.pref.hokk[...]
Hokkaidō government, electoral commission
[37]
간행물
past election results
http://www.pref.hokk[...]
Hokkaidō government, electoral commission
[37]
간행물
21st regular election of the House of Councillors
http://www.pref.hokk[...]
Hokkaidō government, electoral commission
[37]
간행물
turnout
http://www.pref.hokk[...]
Hokkaidō government, electoral commission
[38]
문서
현행의 보궐선거제도(년2회)하에서는[[가나가와현선거구]]가 해당한다.
[39]
웹사이트
武部勤が語る-あの時ー 世代交代のきっかけとなった“辰ちゃん”の参院選
https://web.archive.[...]
[40]
문서
임기는 3년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