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농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농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전한 시대에 처음 설치되었다. 현재의 싼먼샤 시, 뤄양 시 서부, 난양 시 서부, 상뤄 시 북부 일대를 관할했으며, 여러 현을 통치했다. 신나라 때는 우수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후한 시대에 다시 홍농군으로 불렸다. 후한 시대에는 낙양에서 서남쪽으로 450리 거리에 위치했으며, 단수현과 석현을 남양군으로, 호현과 화음현을 경조윤으로 편입했다. 위진 시대에는 육혼현이 하남군으로 이관되었으며, 서진 시대에는 6현을 관할했다. 남조 시대에는 동진에서 여강군 심양현 일대에 홍농군을 설치했으며, 유송 시대에는 난양 시 일대에 3개 현을 다스렸다. 수나라 시대에는 4현을 관할했으며, 싼먼샤 시 루스현, 뤄양 시 서남부 일대를 관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시성 (섬서성)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산시성 (섬서성)의 군 - 경조윤
경조윤은 진나라의 내사에서 유래하여 전한 시대 수도권 일대를 관할하는 삼보 중 하나였으나, 후한 시대 낙양 천도 후 위상이 낮아졌으며, 이후 위진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를 거치면서 행정 구역 명칭 및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고 중화민국 시기에도 잠시 존재했다. - 허난성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허난성의 군 - 남양군 (중국)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 소양왕 때 설치되어 한수 북쪽의 옛 초나라 땅을 관할했던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하다 수나라 때 잠시 등주로 바뀌었다가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홍농군 | |
---|---|
지리 정보 | |
일반 정보 | |
설치 | 기원전 113년 |
폐지 | 당대 |
시대별 명칭 | |
서한 | 홍농군 |
신 | 우대군 |
후한 | 홍농군 |
삼국 시대 | 홍농군 |
서진 | 홍농군 |
동진 | 홍농군 |
남북조 시대 | 항농군 |
수나라 | 홍농군 |
당나라 | 정주 괵주 홍농군 괵주 |
2. 전한
전한 무제 원정 4년(기원전 113년)에 처음 설치되었다.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1만 8091호, 47만 5954명을 관할했다고 한다.[14] 현재의 싼먼샤 시, 뤄양 시 서부, 난양 시 서부, 상뤄 시 북부 일대를 관할했다.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면서 군의 이름을 '''우수'''(右隊)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 신 |
---|---|
섬(陝) | 황미(黃眉) |
민지(黽池) | 섬정(陝亭) |
석(析) | 군정(君亭) |
2. 1. 속현 목록 (전한)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홍농현 | 弘農縣 | 싼먼샤 시 링바오 시 북쪽 | 옛 진나라의 함곡관이 있었다. |
노씨현 | 盧氏縣 | 싼먼샤 시 루스 현 | 웅이산과 이수가 있다. |
섬현 | 陝縣 | 싼먼샤 시 남쪽 | 옛 괵나라 지역이다. |
의양현 | 宜陽縣 | 뤄양시 이양 현 서쪽 | 민지에 철관이 있었다. |
민지현 | 黽池縣 | 싼먼샤 시 몐츠 현 서쪽 | |
단수현 | 丹水縣 | 난양시 시촨 현 서쪽 | 단수가 흐른다. |
신안현 | 新安縣 | 싼먼샤 시 몐츠 현 동쪽 | 간수가 흐른다. |
상현 | 商縣 | 상뤄시 단펑 현 | 진나라 상앙의 봉읍이었다. |
석현 | 析縣 | 난양 시 시샤 현 | 황수와 국수가 흐른다. |
육혼현 | 陸渾縣 | 뤄양 시 쑹 현 | 춘추시대 육혼융을 이주시킨 지역이다. |
상락현 | 上雒縣 | 상뤄 시 | 낙수와 갑수가 흐른다. |
[14]
후한 시대 홍농군은 낙양에서 서남쪽으로 450리 거리에 있었으며, 9개 현을 다스렸다. 46,815호 199,113명을 거느렸다. 단수현과 석현을 남양군으로 옮기고 경조윤에서 호현과 화음현을 편입했다.[16]
3. 신
4. 후한
4. 1. 속현 목록 (후한)
현명 | 한자 | 비고 |
---|---|---|
홍농현 | 弘農 | 옛 진나라의 함곡관이 여기에 있다. 촉수(烛水)가 나온다. 고종산(枯枞山)이 있다. 도구취(桃丘聚)가 있는데, 옛 복숭아숲이다. 무향(務鄕)과 조양정(曺陽亭)이 있다. |
섬현 | 陝 | 옛 괵나라였다. 초성(焦城)과 섬맥(陝陌)이 있다. |
민지현 | 黽池 | 곡수(穀水)가 나온다. 2개의 효(崤)가 있다. |
신안현 | 新安 | 간수(澗水)가 나온다. |
의양현 | 宜陽 | |
육혼현 | 陸渾 | |
노씨현 | 盧氏 | 웅이문(熊耳門)이 있고 이수(伊水)와 청수(淸水)가 나온다. |
호현 | 湖 | 본래 경조윤에 속해있었다. 문향(閺鄕)이 있다. |
화음현 | 華陰 | 본래 경조윤에 속해있었다. 태화산이 있다. |
5. 위진
조위 때 육혼현이 하남군으로 이관되었고, 서진 때에는 6개 현, 14,000호를 거느렸다.[17]
5. 1. 속현 목록 (서진)
6. 남조
영가의 난 이후 중원 지역이 전쟁으로 황폐화되자 수많은 화북 지방 사람들이 강남으로 이주했다. 이때 홍농군의 주민들 또한 강남으로 이주했는데, 이들이 여강군 심양현(尋陽) 일대에 정착하자 동진에서 이곳에 홍농군을 설치했다. 349년(영화 5년), 환온이 하남 지역을 수복하면서 홍농군이 일시적으로 재건되었다.[18]
명제 말 난양 시 일대에 홍농군을 설치했다. 3현을 거느렸다.[19]
7. 수
607년(대업 3년) 수나라가 홍농군을 설치하고 4개 현, 27,466호를 거느렸다. 당시 군역은 싼먼샤 시 루스현, 뤄양 시 서남부 일대였다.[21]
7. 1. 속현 목록 (수)
현명 | 한자 | 비고 |
---|---|---|
홍농현 | 弘農중국어 | 과거 서긍농군(西恆農郡)을 세웠는데, 북주에서 폐했다가 607년(대업 3년) 홍농군을 세우면서 복구했다. 석성군(石城郡)과 옥성현(玉城縣)이 있었는데, 서위에서 폐했다. 석제산(石堤山)이 있다.[21] |
노씨현 | 盧氏중국어 | 북위에서는 한안군, 서위에서는 의천군이라고 했다. 개황 초기에 의천군을 폐하고 주제를 실시하면서 괵주(虢州)라고 칭했다. 607년(대업 초)에 주를 폐했다. 관관(關官)과 석선산(石扇山)이 있다.[21] |
장천현 | 長泉중국어 | 북위에서는 남섬현(南陝)이라고 했는데, 서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송양산(松陽山)과 단산(檀山)이 있다.[21] |
주양현 | 硃陽중국어 | 본래 주양군이 있던 자리인데 북주에서 군을 폐지했다. 읍양현(邑陽縣)이 있었는데, 개황 말에 읍천으로 이름을 바꾸고 607년(대업 초)에 주양현에 합했다. 폐산(肺山)과 호수(湖水)가 있다.[21] |
8. 역대 태수
이름 | 재임 시기 |
---|---|
범방거 | ? ~ 기원전 97년 |
채계(蔡癸) | 전한 소제 시기? 전한 선제 시기?[22] |
풍양(馮揚) | 전한 선제 시기[23] |
부강(傅剛) | 전한 원제 말기? 전한 성제 초기?[24] |
송평 | ? ~ 기원전 32년 |
봉신 | ? ~ 기원전 24년 |
왕공 | 기원전 5년 ~ 기원후 3년 |
소함 | 전한 성제 시기 |
장광(張匡) | 전한 성제 말기[24] |
적의 | 전한 성제 말기? 전한 애제 시기? 전한 평제 시기? |
김흠(金欽) | 전한 애제 시기[25] |
9. 한국과의 관계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결과물도 없으므로, '홍농군' 문서의 '한국과의 관계' 섹션 내용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Later Han
[3]
서적
Book of Sui
[4]
서적
New Book of Tang
[5]
서적
漢書
筑摩書房、ちくま学芸文庫
1998
[6]
서적
後漢書
[7]
서적
晋書
[8]
서적
宋書
[9]
서적
魏書
[10]
서적
魏書
[11]
서적
隋書
[12]
서적
旧唐書
[13]
서적
한서
[14]
서적
한서
[15]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6]
서적
후한서 권 109, 군국지1
[17]
서적
진서 권 14, 지리지上
[18]
서적
진서 권 14, 지리지上
[19]
서적
송서 권 37, 주군지3
[20]
서적
남제서 권 15, 주군지下
[21]
서적
수서 권 30, 지리지中
[22]
서적
한서
[23]
서적
후한서
[24]
서적
한서
[25]
서적
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