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류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류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기원전 145년 양나라 분할로 시작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존속했다. 전한 시대에 연주에 속했으며, 17개 현을 관할하며 인구가 150만 명에 달했다. 신나라 시기에는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되었고, 후한 시대에는 진류국으로 승격되기도 했다. 위진 시대에는 조조가 군대를 모으는 등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이후 동진, 유송, 북위, 동위, 북제를 거치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수나라 시대에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시기에 다시 설치되어 변주로 개칭되었고, 758년에 다시 변주로 환원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기원전 122년(원수 원년), 전한이 진류군을 설치했다. 진류군은 연주에 속했으며, 진류, 준의, 소황, 성안, 영릉, 옹구, 산조, 동혼, 상읍, 외황, 봉구, 장라, 위씨, 전, 장원, 평구, 제양의 17개 현을 관할했다.[1] 기원전 41년(영광 3년), 황자 유강이 제양왕에 봉해지면서 진류군은 제양국으로 개칭되었다가,[2] 기원전 34년(건소 5년) 산양왕으로 옮겨가면서 다시 진류군으로 환원되었다.[2]
2. 역사
후한 시대 진류군은 진류, 준의, 위씨, 옹구, 상읍, 외황, 소황, 동혼, 제양, 평구, 봉구, 산조, 장원, 기오, 고성, 우, 부구의 17개 현을 관할했다.[4] 190년(중평 6년) 4월, 발해왕 유협이 진류왕에 봉해지면서 진류군이 진류국으로 개칭되었으나,[5] 9월에 헌제가 즉위하면서 다시 진류군으로 환원되었다.
서진 건국 후, 조위 마지막 황제 조환이 진류왕에 봉해져 진류국이 세워졌다. 진류국은 준의, 소황, 봉구, 산조, 제양, 장원, 옹구, 위씨, 상읍, 외황의 10개 현을 관할했다.[20] 영가의 난 이후 후조에 점령되었고, 석호 때 건창군으로 개칭되어 낙주에 속했다.[20] 338년(함강 4년), 동진이 초군 북쪽에 진류군을 설치했다.[6]
남조 송 시대 진류군은 연주, 예주, 남예주에 속했으며 준의, 소황, 옹구, 백마 4개 현을 관할했다.[7]
494년(북위 태화 18년), 진류군이 폐지되었다가 효창 연간에 다시 설치되었다. 남연주에 속했으며 준의, 소황, 곡양, 동연, 무평 5개 현을 관할했다.
동위 시대에 양주가 설치되면서 진류군은 양주에 속하게 되었고, 준의, 소황, 봉구 3개 현을 관할했다.[8] 북주 시대에 양주는 변주로 개칭되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진류군이 폐지되어 변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변주는 형양군으로 개칭되었다.[9]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왕세충을 평정하고 형양군 준의현에 변주를 설치했다. 742년(천보 원년) 변주가 진류군으로 개칭되었다가, 758년(건원 원년) 다시 변주로 환원되면서 진류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0]
2. 1. 전한 시대
기원전 145년, 양효왕 사후 양나라를 다섯으로 분할하여 제천나라를 설치하고, 유무의 아들 유명을 제천왕으로 봉하면서 진류군의 연혁이 시작되었다.[11][12][13] 유명이 죄를 지어 봉국이 폐지되면서 한나라 조정의 관할로 들어갔다. 기원전 122년, 전한 무제가 원수 원년에 옛 제천나라 영역에 진류군을 설치하고 치소를 진류현으로 옮겼다.[11][12][13] 진류군은 연주에 속했다.[11][12][13]
평제 시기인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진류군에는 29만 6284호, 150만 9050명이 살고 있었다.[12] 당시 진류군은 17개 현을 관할했다.[12]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진류현 | 陳留縣 | 카이펑시 샹푸구 진류진(陳留鎭) | |
소황현 | 小黃縣 | 카이펑시 샹푸구 야태촌(冶台村) 일대 | |
성안현 | 成安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동 | 후한 초기에 폐지되었다. |
영릉현 | 寧陵縣 | 상추시 닝링현 | 선진시대의 갈백국(葛伯國)이 이 현의 갈향(葛鄕)에 있었다. |
옹구현 | 雍丘縣 | 카이펑시 치현 | 기나라가 처음 받은 봉지다. |
산조현 | 酸棗縣 | 신샹시 위안양현 연북촌(延北村) | |
동혼현 | 東昏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번채촌(樊寨村) 일대 | |
양읍현 | 襄邑縣 | 상추시 쑤이현 | 복관(服官)이 있었다. |
외황현 | 外黃縣 | 상추시 민취안현 내황서촌(內黃西村) 일대 | 도위가 다스린다. |
봉구현 | 封丘縣 | 신샹시 펑추현 | 복거수(濮渠水)가 제수(泲水)의 발원지와 만나 북동으로 도관(都關)에서 양리수(羊里水)에 들어가니, 네 군(진류·동군·제음·산양)을 지나 630리를 간다. |
장라현 | 長羅縣 | 신샹시 창위안현 북 | 장라장후 상혜의 후국으로, 본시 4년(기원전 70년)에 봉해졌고 건무 4년(28년)에 증손 상흡이 죽으면서 후국이 폐지됐다.[14] 이후 후한 초기에 현 자체도 폐지되었다. |
위씨현 | 尉氏縣 | 카이펑시 웨이스현 | |
언현 | 傿縣 | 상추시 저청현 원양진(遠襄鎭) | |
장원현 | 長垣縣 | 신샹시 창위안현 북 | |
평구현 | 平丘縣 | 신샹시 창위안현 남서 | |
제양현 | 濟陽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고양진(固陽鎭) | |
준의현 | 浚儀縣 | 카이펑시 | 전국시대의 대량(大梁)으로, 위나라의 후기 수도다. 수수(睢水)가 낭탕수(狼湯水)에서 갈려나와서 동으로 취려에 이르러 사수(泗水)로 들어가니, 다섯 군(진류·양·산양·패·임회)을 지나 1360리를 간다. |
기원전 41년(영광 3년), 황자 유강이 제양왕에 봉해지면서 진류군은 제양국으로 개칭되었다.[2] 기원전 34년(건소 5년), 제양왕 유강이 산양왕으로 옮겨가면서 제양국은 다시 진류군으로 환원되었다.[2]
2. 2. 신나라 시대
전한은 행정 구역 명칭을 일부 변경하였다.
이후 진류군은 해체되었고, 속현은 신평, 진정, 치정, 기수 등으로 편입되었다.[15]
2. 3. 후한 시대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기준 진류군은 17개 현, 177,529호, 869,433명을 거느렸다.[16] 189년 소제 즉위 후 그의 동생 유협이 진류왕으로 봉해지면서 진류국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동탁에 의해 소제가 폐위되고 유협이 황제로 옹립되면서 진류국은 폐지되었다.[17] 후한말 태수 장막이 통치했으나 조조가 이곳에서 군대를 모으기 시작했다.[18]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진류현 | 陳留縣 | 카이펑시 샹푸구 진류진(陳留鎭) | |
준의현 | 浚儀縣 | 카이펑시 | 본래 대량(大梁)이었다. |
위씨현 | 尉氏縣 | 카이펑시 웨이스현 | 현 경내에 능수향(陵樹鄉)이, 현 북쪽에 천자완유(天子菀囿)가 있는 못(澤), 진악구(秦樂廄)가 있었다. |
옹구현 | 雍丘縣 | 카이펑시 치현 | 현성내에 신정(神井)이 있었다. |
양읍현 | 襄邑縣 | 상추시 쑤이현 | 현내에 활정(滑亭), 승광성(承匡城)이 있었다. 193년(후한 헌제 초평 4년) 조조가 유상과 원술을 격파했다. 원술이 봉구현으로 물러났는데, 조조는 그곳을 포위했다. 이에 원술이 양읍으로 도주했다.[19] |
외황현 | 外黃縣 | 상추시 민취안현 내황서촌(內黃西村) 일대 | 현내에 규구취(葵丘聚), 번양성(繁陽城)이 있었다. |
소황현 | 小黃縣 | 카이펑시 샹푸구 야태촌(冶台村) 일대 | |
동혼현 | 東昏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번채촌(樊寨村) 일대 | |
제양현 | 濟陽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고양진(固陽鎭) | 현내에 무부향(武父鄕)이 있었다. 두예에 따르면 현 동북쪽에 무부성(武父城)이, 현 동남쪽에 융성(戎城)이, 현도향(縣都鄉)에 광무제가 태어난 행궁이 있었다고 한다. |
평구현 | 平丘縣 | 신샹시 창위안현 남서 | 현 경내에 임제정(臨濟亭), 황지정(黃池亭)이 있었다. |
봉구현 | 封丘縣 | 신샹시 펑추현 | 현 경내에 동뢰정(桐牢亭)이 있었다. 193년 형주목 유표가 원술의 군량 수송로를 끊자 원술은 군대를 이끌고 본현에 주둔했다. 흑산적의 잔당과 어부라가 그를 도왔다. |
산조현 | 酸棗縣 | 신샹시 위안양현 연북촌(延北村) | |
장원후국 | 長垣候國 | 신샹시 창위안현 북 | 현경내에 광성(匡城), 포성(蒲城), 제성(祭城)이 있었다. |
기오현 | 己吾縣 | 상추시 닝링현 이오성(已吾城) | 현내에 대극향(大棘鄕), 수향(首鄕)이 있었다. 189년(후한 영제 중평 6년) 조조가 본현에서 군대를 일으켰다. |
고성현 | 考城縣 | 상추시 민취안현 서남 맹장(孟庄) 일대 | 85년(후한 장제 원화 2년) 치현(菑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이름이 바뀌면서 양군에서 본군으로 소속이 바뀌었다. |
어현 | 圉縣 | 카이펑시 치현 어진진(圉鎭鎭) | 본래 회양의 속현이었으나 후에 본군의 속현으로 편제되었다. 현경내에 고양정(高陽亭), 만인취(萬人聚)가 있었다. |
부구현 | 扶溝縣 | 저우커우시 푸거우현 고성촌(古城村) | 본래 회양의 속현이었으나 후에 본군의 속현으로 편제되었다. |
2. 4. 위진 시대
서진이 건국되자, 조위 마지막 황제인 조환이 진류왕에 봉해져 진류국이 세워졌다. 진류국은 준의, 소황, 봉구, 산조, 제양, 장원, 옹구, 위씨, 상읍, 외황의 10개 현을 관할했다.[20] 영가의 난 이후 진류국은 후조에 점령되었고, 석호 때 건창군으로 개칭되어 낙주에 속했다.[20]후조 시기 진류군의 현들은 다음과 같았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소황현 | 小黃縣 | 카이펑시 샹푸구 야태촌(冶台村) 일대 | |
준의현 | 浚儀縣 | 카이펑시 | |
봉구현 | 封丘縣 | 신샹시 펑추현 | |
산조현 | 酸棗縣 | 신샹시 위안양현 연북촌(延北村) | 현 동남쪽에 오소땅(烏巢地)이 있었다. |
제양현 | 濟陽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고양진(固陽鎭) | |
장원현 | 長垣縣 | 신샹시 창위안현 북 | |
옹구현 | 雍丘縣 | 카이펑시 치현 | 본래 기나라(杞)가 있었다. |
위씨현 | 尉氏縣 | 카이펑시 웨이스현 | |
양읍현 | 襄邑縣 | 상추시 쑤이현 | |
외황현 | 外黃縣 | 상추시 민취안현 내황서촌(內黃西村) 일대 |
2. 5. 남북조 시대
338년(함강 4년), 동진이 초군 북쪽에 진류군을 설치했다.[6] 남조 송 시대에 진류군은 처음에는 연주에 속했고, 이후 예주와 남예주에 속했으며 준의, 소황, 옹구, 백마 4개 현을 관할했다.[7]494년(북위 태화 18년), 진류군이 폐지되었다가 효창 연간에 다시 설치되었다. 남연주에 속했으며 준의, 소황, 곡양, 동연, 무평 5개 현을 관할했다.
동위 시대에 양주가 설치되면서 진류군은 양주에 속하게 되었고 준의, 소황, 봉구 3개 현을 관할했다.[8]
북주 시대에 양주가 변주로 개칭되면서 진류군은 변주에 속했다.
2. 6. 수당 시대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진류군은 폐지되어 변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변주는 형양군으로 개칭되었다.[9]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왕세충을 평정하자 형양군 준의현에 변주가 설치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변주는 진류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진류군은 변주로 개칭되었고, 진류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0]
3. 행정 구역
기원전 145년 양효왕 사후 양나라가 다섯으로 분할되면서 제천나라가 설치되었고, 유명의 죄로 봉국이 폐지된 후 한나라 조정의 관할이 되었다. 전한 무제 원수 원년(기원전 122년)에 옛 제천나라 영역에 진류군이 처음 설치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다.
'''신'''나라 때는 일부 현의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후 진류군은 해체되었고, 속현들은 신평, 진정, 치정, 기수 등으로 편입되었다.[15]
189년 소제의 동생 유협이 진류왕으로 봉해지면서 진류국으로 승격되었으나, 동탁에 의해 소제가 폐위되고 유협이 황제로 옹립되면서 진류국은 폐지되었다.[17] 후한말에는 태수 장막이 통치했으나 조조가 이곳에서 군대를 모으기 시작했다.[18]
서진 초기에는 진류, 평구, 부구, 어현, 기오, 고성 6현이 폐지되었다. 영가의 난 이후 후조의 석호가 점령하여 건창군(建昌郡)으로 개명하고 낙주에 편제했다.[20]
420년 유송 무제 영초 원년, 송나라는 초군 땅에 진류군을 설치하고 예주에 편제했다.[21] 466년 유송 명제 태시 2년 북위에 넘어가 유지되었고, 정광 연간에 남연주의 속군이 되었다.[22]
유유가 후진을 격파하고 중원을 수복하면서 일시적으로 동진의 땅이 되었다. 그러나 유유가 철수하면서 북조의 땅이 되었고, 북위가 북조를 통일하면서 북조에 편입되었다. 493년 북위 효문제 태화 17년, 북위가 낙양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낙주가 사주로 개명되자 사주의 속군이 되었다. 528년 북위 효명제 효창 4년, 일부 지역이 동군의 일부 지역과 양하군으로 분리되었다. 534년 북위 효무제 영희 3년, 동위 건국 후 일부 지역이 개봉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축소되었고, 카이펑시 일대가 양주로 분리되자 양주의 속군이 되었다. 576년 북제 고위 융화 원년, 개봉군이 통폐합되면서 군역이 넓어졌다.[24]
578년 북주 무제 선정 원년, 양주가 '''변주(汴州)'''로 개명되었다. 수나라 건국 후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진류군은 폐지되었고, 군의 속현은 변주가 통치했다. 605년 수 양제 대업 원년, 변주가 정주에 통폐합되자 군의 모든 속현이 정주의 속현이 되었다.[24]
621년 당 고조 무덕 4년, 이연이 왕세충을 격파하면서 당나라에 편입되었고, 변주에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624년 변주총관부가 변주도독부로 바뀌었고, 기주가 폐지되면서 옹구, 진류 2현과 관주의 중모현, 유주의 위씨현이 본주로 편입되었다. 742년 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변주가 진류군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758년 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가 다시 실시되면서 진류군이 폐지되고 변주가 설치되었다.[25][26]
3. 1. 전한
무제 원수 원년(기원전 122년)에 옛 제천나라 영역에 처음으로 진류군을 설치하면서 치소를 진류현으로 옮겼다. 평제 시기에 시행된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7개 현에 29만 6284호, 150만 9050명이 살고 있었다.[12]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진류현 | 陳留縣 | 카이펑시 샹푸구 진류진(陳留鎭) | |
소황현 | 小黃縣 | 카이펑시 샹푸구 야태촌(冶台村) 일대 | |
성안현 | 成安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동 | 후한 초기에 폐지되었다. |
영릉현 | 寧陵縣 | 상추시 닝링현 | 선진시대의 갈백국(葛伯國)이 이 현의 갈향(葛鄕)에 있었다. |
옹구현 | 雍丘縣 | 카이펑시 치현 | 기나라가 처음 받은 봉지다. |
산조현 | 酸棗縣 | 신샹시 위안양현 연북촌(延北村) | |
동혼현 | 東昏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번채촌(樊寨村) 일대 | |
양읍현 | 襄邑縣 | 상추시 쑤이현 | 복관(服官)이 있었다. |
외황현 | 外黃縣 | 상추시 민취안현 내황서촌(內黃西村) 일대 | 도위가 다스린다. |
봉구현 | 封丘縣 | 신샹시 펑추현 | 복거수(濮渠水)가 제수(泲水)의 발원지와 만나 북동으로 도관(都關)에서 양리수(羊里水)에 들어가니, 네 군(진류·동군·제음·산양)을 지나 630리를 간다. |
장라현 | 長羅縣 | 신샹시 창위안현 북 | 장라장후 상혜의 후국으로, 본시 4년(기원전 70년)에 봉해졌고 건무 4년(28년)에 증손 상흡이 죽으면서 후국이 폐지됐다.[14] 이후 후한 초기에 현 자체도 폐지되었다. |
위씨현 | 尉氏縣 | 카이펑시 웨이스현 | |
언현 | 傿縣 | 상추시 저청현 원양진(遠襄鎭) | |
장원현 | 長垣縣 | 신샹시 창위안현 북 | |
평구현 | 平丘縣 | 신샹시 창위안현 남서 | |
제양현 | 濟陽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고양진(固陽鎭) | |
준의현 | 浚儀縣 | 카이펑시 | 전국시대의 대량(大梁)으로, 위나라의 후기 수도다. 수수(睢水)가 낭탕수(狼湯水)에서 갈려나와서 동으로 취려에 이르러 사수(泗水)로 들어가니, 다섯 군(진류·양·산양·패·임회)을 지나 1360리를 간다. |
3. 2. 신
전한 | 신 |
---|---|
영릉 | 강선(康善) |
동혼(東昏) | 동명(東明) |
양읍 | 양평(襄平) |
장라(長羅) | 혜택(惠澤) |
언(傿) | 순통(順通) |
장원 | 장고(長固) |
제양 | 제전(濟前) |
3. 3. 후한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당시 진류군은 17현 177,529호 869,433명을 거느렸다.[16] 189년 소제가 즉위했을 무렵 그의 동생 유협이 진류왕으로 봉해지면서 진류국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동탁에 의해 소제가 폐위되고 유협이 황제로 옹립되면서 진류국은 폐지되었다.[17] 후한말에는 태수 장막이 통치했으나 조조가 본군에서 군대를 일으켰다.[18]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진류현 | 陳留縣 | 카이펑시 샹푸구 진류진(陳留鎭) | |
준의현 | 浚儀縣 | 카이펑시 | 본래 대량(大梁)이었다. |
위씨현 | 尉氏縣 | 카이펑시 웨이스현 | 현 경내에 능수향(陵樹鄉)이, 현 북쪽에 천자완유(天子菀囿)가 있는 못(澤), 진악구(秦樂廄)가 있었다. |
옹구현 | 雍丘縣 | 카이펑시 치현 | 현성내에 신정(神井)이 있었다. |
양읍현 | 襄邑縣 | 상추시 쑤이현 | 현내에 활정(滑亭), 승광성(承匡城)이 있었다. 193년(후한 헌제 초평 4년) 조조가 유상과 원술을 격파했다. 원술이 봉구현으로 물러났는데, 조조는 그곳을 포위했다. 이에 원술이 양읍으로 도주했다.[19] |
외황현 | 外黃縣 | 상추시 민취안현 내황서촌(內黃西村) 일대 | 현내에 규구취(葵丘聚), 번양성(繁陽城)이 있었다. |
소황현 | 小黃縣 | 카이펑시 샹푸구 야태촌(冶台村) 일대 | |
동혼현 | 東昏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번채촌(樊寨村) 일대 | |
제양현 | 濟陽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고양진(固陽鎭) | 현내에 무부향(武父鄕)이 있었다. 두예에 따르면 현 동북쪽에 무부성(武父城)이, 현 동남쪽에 융성(戎城)이, 현도향(縣都鄉)에 광무제가 태어난 행궁이 있었다고 한다. |
평구현 | 平丘縣 | 신샹시 창위안현 남서 | 현 경내에 임제정(臨濟亭), 황지정(黃池亭)이 있었다. |
봉구현 | 封丘縣 | 신샹시 펑추현 | 현 경내에 동뢰정(桐牢亭)이 있었다. 193년 형주목 유표가 원술의 군량 수송로를 끊자 원술은 군대를 이끌고 본현에 주둔했다. 흑산적의 잔당과 어부라가 그를 도왔다. |
산조현 | 酸棗縣 | 신샹시 위안양현 연북촌(延北村) | |
장원후국 | 長垣候國 | 신샹시 창위안현 북 | 현경내에 광성(匡城), 포성(蒲城), 제성(祭城)이 있었다. |
기오현 | 己吾縣 | 상추시 닝링현 이오성(已吾城) | 현내에 대극향(大棘鄕), 수향(首鄕)이 있었다. 189년(후한 영제 중평 6년) 조조가 본현에서 군대를 일으켰다.[18] |
고성현 | 考城縣 | 상추시 민취안현 서남 맹장(孟庄) 일대 | 85년(후한 장제 원화 2년) 치현(菑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이름이 바뀌면서 양군에서 본군으로 소속이 바뀌었다. |
어현 | 圉縣 | 카이펑시 치현 어진진(圉鎭鎭) | 본래 회양의 속현이었으나 후에 본군의 속현으로 편제되었다. 현경내에 고양정(高陽亭), 만인취(萬人聚)가 있었다. |
부구현 | 扶溝縣 | 저우커우시 푸거우현 고성촌(古城村) | 본래 회양의 속현이었으나 후에 본군의 속현으로 편제되었다. |
3. 4. 서진
영가의 난 이후 후조의 석호가 점령했다. 후조 치하에서 진류군은 '''건창군(建昌郡)'''으로 개명되어 낙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20] 서진 초기 진류, 평구, 부구, 어현, 기오, 고성 6현이 폐지되었다. 10현 30,000호를 거느렸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소황현 | 小黃縣 | 카이펑시 샹푸구 야태촌(冶台村) 일대 | |
준의현 | 浚儀縣 | 카이펑시 | |
봉구현 | 封丘縣 | 신샹시 펑추현 | |
산조현 | 酸棗縣 | 신샹시 위안양현 연북촌(延北村) | 현 동남쪽에 오소땅(烏巢地)이 있었다. |
제양현 | 濟陽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고양진(固陽鎭) | |
장원현 | 長垣縣 | 신샹시 창위안현 북 | |
옹구현 | 雍丘縣 | 카이펑시 치현 | 본래 기나라(杞)가 있었다. |
위씨현 | 尉氏縣 | 카이펑시 웨이스현 | |
양읍현 | 襄邑縣 | 상추시 쑤이현 | |
외황현 | 外黃縣 | 상추시 민취안현 내황서촌(內黃西村) 일대 |
3. 5. 유송
420년(유송 무제 영초 원년), 송나라에 의해 초군 땅에서 진류군이 설치되었다. 이 진류군은 예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21] 466년(유송 명제 태시 2년) 북위로 넘어간 이후에도 유지되었고, 정광 연간에 남연주가 설치되자 남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22] 유송대 진류군은 4현 196호 2,413명을 거느렸다.[2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준의현 | 浚儀縣 | 보저우시 차오청구 성부진(城父鎭) 북동 | 현 경내에 성부성(城父城)이 있었다. 유송대 설치된 진류군의 치소 역할을 했다. |
소황현 | 小黃縣 | 보저우시 | 현 경내에 조등의 묘, 조숭의 묘, 등애의 사당이 있었다. |
백마현 | 白馬縣 | 미상 | 《위서》 지형지 진류군조에서 언급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북위 때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
옹구현 | 雍丘縣 | 미상 | 《위서》 지형지 진류군조에서 언급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북위 때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
3. 6. 북위, 동위, 북제
493년(북위 효문제 태화 17년) 북위가 수도를 낙양으로 옮기면서 낙주가 사주로 개명되자 낙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528년(북위 효명제 효창 4년) 일부 지역이 동군의 일부 지역과 함께 양하군으로 분리되었다. 그러나 534년(북위 효무제 영희 3년) 동위가 건국되자 동위의 땅으로 편입되었고, 일부 지역이 개봉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축소되었다. 그리고 지금의 카이펑시 일대가 양주로 분리되자 양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동위 때 진류군은 3현 19,613호 82,742명을 거느렸다.[23] 576년(북제 고위 융화 원년) 개봉군이 통폐합되면서 군역이 넓어졌다.[24]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준의현 | 浚儀縣 | 카이펑시 | 진류군의 치소이자 양주의 치소였던 대량성(大梁城)이다. 북위 중기 폐지되었다가 526년(북위 효명제 효창 2년) 재설치되었다. 현 경내에 신릉군묘(信陵君冢), 장이의 묘(張耳冢), 동중서의 묘(董仲舒冢), 번어기의 묘(樊於期冢), 변양의 묘(邊讓冢), 창원성(倉垣城)이 있었다. 거수(渠水)가 대량성 동쪽에서 나뉘는데 이를 채거(蔡渠)라고 한다. |
봉구현 | 封丘縣 | 신샹시 펑추현 | 448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9년) 산조현(酸棗縣)에 통폐합되었다가 501년(북위 선무제 경명 2년) 재설치되었다. 봉구성(封丘城)에 치소를 두었다. 현 경내에 봉구대(封丘臺), 백구(白溝)가 있었다. |
소황현 | 小黃縣 | 카이펑시 샹푸구 야태촌(冶台村) 일대 | 447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7년) 외황현에 통폐합되었다가 487년(북위 효문제 태화 11년) 재설치되었다. 현 경내에 소영후총(昭靈后冢), 진총(陳冢), 채옹의 묘(蔡邕冢), 소황성(小黃城)이 있었다. |
3. 7. 북주, 수
578년(북주 무제 선정 원년) 양주가 '''변주(汴州)'''로 개명되었다. 수나라 건국 이후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진류군은 폐지되었고, 군의 속현은 변주가 통치하게 되었다. 605년(수 양제 대업 원년), 변주가 정주에 통폐합되자 군의 모든 속현이 정주의 속현으로 편제되었다.[24]3. 8. 당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이연이 왕세충을 격파하면서 당나라에 편입되었고 변주에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변주총관은 변주, 유주(洧州), 기주(杞州), 진주(陳州)의 4개 주를 통치했고, 변주는 준의, 신리, 소황, 개봉, 봉구 5현을 통치했다. 624년(당 고조 무덕 7년) 변주총관부가 변주도독부로 바뀌었고 개봉, 소황, 신리 3현이 준의현에 통폐합되었다. 그리고 기주가 폐지되며 옹구, 진류 2현과 관주의 중모현, 유주의 위씨현이 본주로 편입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변주가 진류군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가 다시 실시되면서 진류군이 폐지되고 그 자리에 변주가 설치되었다.[25][26]4. 역대 태수
4. 1. 전한
4. 2. 후한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당시 진류군은 17현 177,529호 869,433명을 거느렸다.[16] 189년 소제가 즉위했을 무렵 그의 동생 유협이 진류왕으로 봉해지면서 진류국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동탁에 의해 소제가 폐위되고 유협이 황제로 옹립되면서 진류국은 폐지되었다.[17] 후한말에는 태수 장막이 통치했으나 조조가 본군에서 군대를 모으기 시작했다.[18]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진류현 | 陳留縣 | 카이펑시 샹푸구 진류진(陳留鎭) | |
준의현 | 浚儀縣 | 카이펑시 | 본래 대량(大梁)이었다. |
위씨현 | 尉氏縣 | 카이펑시 웨이스현 | 현 경내에 능수향(陵樹鄉)이, 현 북쪽에 천자완유(天子菀囿)가 있는 못(澤), 진악구(秦樂廄)가 있었다. |
옹구현 | 雍丘縣 | 카이펑시 치현 | 현성내에 신정(神井)이 있었다. |
양읍현 | 襄邑縣 | 상추시 쑤이현 | 현내에 활정(滑亭), 승광성(承匡城)이 있었다. 193년(후한 헌제 초평 4년) 조조가 유상과 원술을 격파했다. 원술이 봉구현으로 물러났는데, 조조는 그곳을 포위했다. 이에 원술이 양읍으로 도주했다.[19] |
외황현 | 外黃縣 | 상추시 민취안현 내황서촌(內黃西村) 일대 | 현내에 규구취(葵丘聚), 번양성(繁陽城)이 있었다. |
소황현 | 小黃縣 | 카이펑시 샹푸구 야태촌(冶台村) 일대 | |
동혼현 | 東昏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번채촌(樊寨村) 일대 | |
제양현 | 濟陽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고양진(固陽鎭) | 현내에 무부향(武父鄕)이 있었다. 두예에 따르면 현 동북쪽에 무부성(武父城)이, 현 동남쪽에 융성(戎城)이, 현도향(縣都鄉)에 광무제가 태어난 행궁이 있었다고 한다. |
평구현 | 平丘縣 | 신샹시 창위안현 남서 | 현 경내에 임제정(臨濟亭), 황지정(黃池亭)이 있었다. |
봉구현 | 封丘縣 | 신샹시 펑추현 | 현 경내에 동뢰정(桐牢亭)이 있었다. 193년 형주목 유표가 원술의 군량 수송로를 끊자 원술은 군대를 이끌고 본현에 주둔했다. 흑산적의 잔당과 어부라가 그를 도왔다. |
산조현 | 酸棗縣 | 신샹시 위안양현 연북촌(延北村) | |
장원후국 | 長垣候國 | 신샹시 창위안현 북 | 현경내에 광성(匡城), 포성(蒲城), 제성(祭城)이 있었다. |
기오현 | 己吾縣 | 상추시 닝링현 이오성(已吾城) | 현내에 대극향(大棘鄕), 수향(首鄕)이 있었다. 189년(후한 영제 중평 6년) 조조가 본현에서 군대를 일으켰다. |
고성현 | 考城縣 | 상추시 민취안현 서남 맹장(孟庄) 일대 | 85년(후한 장제 원화 2년) 치현(菑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이름이 바뀌면서 양군에서 본군으로 소속이 바뀌었다. |
어현 | 圉縣 | 카이펑시 치현 어진진(圉鎭鎭) | 본래 회양의 속현이었으나 후에 본군의 속현으로 편제되었다. 현경내에 고양정(高陽亭), 만인취(萬人聚)가 있었다. |
부구현 | 扶溝縣 | 저우커우시 푸거우현 고성촌(古城村) | 본래 회양의 속현이었으나 후에 본군의 속현으로 편제되었다. |
참조
[1]
서적
漢書
筑摩書房
[2]
서적
漢書
[3]
서적
漢書
筑摩書房
[4]
서적
後漢書
[5]
서적
後漢書
[6]
서적
晋書
[7]
서적
宋書
[8]
서적
魏書
[9]
서적
隋書
[10]
서적
旧唐書
[11]
서적
입이사고이
[12]
서적
한서
https://zh.wikisourc[...]
[13]
서적
한서
https://zh.wikisourc[...]
[14]
서적
한서
[15]
서적
한서
[16]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17]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18]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19]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20]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1]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22]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23]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24]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25]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26]
서적
원화군현도지
https://zh.wikisourc[...]
[27]
서적
후한서
[28]
서적
후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