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홍성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홍성읍은 충청남도 홍성군의 읍으로, 동쪽으로는 금마면, 남동쪽으로는 홍동면, 남서쪽으로는 구항면, 북쪽으로는 홍북읍에 접해 있다. 일월산과 남산 등의 산악 지형을 이루며, 홍성천과 월계천이 흐른다. 1914년 주북면과 주남면이 통합되어 홍양면이 되었고, 1917년 홍주면으로 개칭된 후 1941년 읍으로 승격하면서 홍성읍이 되었다. 12개의 법정리와 48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홍성군청, 교육 기관, 관공서, 금융기관, 방송국, 신문사, 교통 시설, 문화재 등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2015년 11월 기준 인구는 42,415명으로, 전국 군 지역 읍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성군의 행정 구역 - 광천읍
    광천읍은 충청남도 홍성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조선시대 옹암포를 중심으로 해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충남선, 장항선 개통으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토굴 새우젓과 조선김이 유명한 곳이다.
  • 충청남도의 읍·면 - 광천읍
    광천읍은 충청남도 홍성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조선시대 옹암포를 중심으로 해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충남선, 장항선 개통으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토굴 새우젓과 조선김이 유명한 곳이다.
  • 충청남도의 읍·면 - 송악읍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송악읍은 조선시대 여러 면과 홍주목 일부 지역이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진군 송악면으로 통합된 후 201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지시줄다리기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교통망과 연결된다.
홍성읍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홍성읍
한자 표기洪城邑
영문 표기Hongseong-eup
광역시도충청남도
시군구홍성군
면적30.49
세대17,210
세대 조사2016년 1월
인구37486
인구 조사2022년 3월
법정리12
행정리48
278
읍사무소홍성읍 아문길 31
홈페이지홍성읍 행정복지센터

2. 지리

홍성읍은 동쪽으로 금마면, 남동쪽으로 홍동면, 남서쪽으로 구항면, 북쪽으로 홍북읍에 접한다. 북동부에 있는 홍성역 부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이 일월산, 남산 등에 의해서 산악 지형을 이룬다. 하천은 일월산에서 발원하는 월계천과 남산을 근원으로 하여 옥암리로 흐르는 홍성천이 금마천에 합류하여 그 유역에 비옥한 평야를 이루고 북쪽으로 흐른다.

3. 지명 유래

홍성읍한국어은 홍주군한국어 주남면(州南面)과 주북면(州北面)이 통합되어 형성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및 『해동지도』 등에 의하면 주남면과 주북면은 홍주목의 관문에서 각각 남북방향으로 10리가량 떨어진 지역이었으며, 『홍주목읍지』에서는 주북면이 10리 거리이고 주남면은 5리 거리라고 기록하였다. 즉 주남면은 읍내의 남쪽이고 주북면은 읍내의 북쪽이라는 의미이고, 『해동지도』, 『1872년지방지도』에서는 두 지역이 홍주목 관아의 서쪽에서 남북방향으로 접해 있다. 그러나 『광여도』에서는 두 지역이 접해 있지 않다.

1914년 주북면이 주남면을 통합함으로써 군의 홍양면(洪陽面)이 되었다. 1917년에 홍양면이 홍주면(洪州面)으로 개칭되었으며, 1941년에 읍으로 승격하면서 홍성읍한국어으로 되었다. 따라서 『조선지형도』에서는 홍주로, 『한국지명총람』에서는 홍성으로 표기되었다. 1983년에 홍북면(洪北面) 내법리(內法里)와 홍동면(洪東面) 구룡리(龜龍里)가 읍에 편입되었다. 장항선 철도의 홍성역, 읍내의 홍성교 등에서 관련 지명을 확인할 수 있다.

4. 행정 구역

홍성읍에는 12개의 법정리와 48개의 행정리가 있다.

법정리행정리비고
오관리오관1리~오관12리홍성군청, 홍성군의회, 홍성읍 행정복지센터, 홍성군보건소, 홍성경찰서오관지구대, 홍주초등학교, 홍성초등학교, 홍성 홍주읍성, 홍주성역사관,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홍성 오관리 느티나무, 홍주중학교, 홍주고등학교, 홍성온천, 홍성상설시장
옥암리옥암1리~옥암3리홍성경찰서, 홍성소방서 옥암119안전센터, 홍성교도소, 홍성우체국, 홍주문화회관, 홍성군농업기술센터
남장리남장1리~남장4리홍성 충령사, 청운대학교, 혜전대학교, 한국폴리텍4대학 홍성캠퍼스, 홍남초등학교
대교리대교1리~대교4리홍주의사총, 홍주향교, 홍성전통시장, 대교리 석불입상(광경사지 미륵불), 홍성고등학교
소향리소향1리~소향3리홍성세무서, 홍주종합경기장, 홍성여자중학교, 홍성여자고등학교, 광경사지 삼층석탑
신성리신성리신성역
내법리법수, 내기용주사, 광경사지 석불좌상
고암리고암1리~고암5리충청남도홍성교육지원청, 충청남도홍성의료원, 홍성역, 홍성종합버스터미널, 홍성성당, 홍성중학교, 홍성문화원
구룡리동구, 서구홍성소방서, 충청남도종합건설사업소 홍성지소
송월리송월리
월산리월산1리~월산3리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 대전지방검찰청 홍성지청, 대한법률구조공단 홍성출장소, 한국농어촌공사 충남지역본부 홍성지사
학계리학계1리~학계2리학계야영장


4. 1. 하위 행정 구역 (법정리/행정리)

홍성읍에는 12개의 법정리와 48개의 행정리가 있다.

법정리행정리비고
오관리오관1리~오관12리홍성군청, 홍성군의회, 홍성읍 행정복지센터, 홍성군보건소, 홍성경찰서오관지구대, 홍주초등학교, 홍성초등학교, 홍성 홍주읍성, 홍주성역사관,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홍성 오관리 느티나무, 홍주중학교, 홍주고등학교, 홍성온천, 홍성상설시장
옥암리옥암1리~옥암3리홍성경찰서, 홍성소방서 옥암119안전센터, 홍성교도소, 홍성우체국, 홍주문화회관, 홍성군농업기술센터
남장리남장1리~남장4리홍성 충령사, 청운대학교, 혜전대학교, 한국폴리텍4대학 홍성캠퍼스, 홍남초등학교
대교리대교1리~대교4리홍주의사총, 홍주향교, 홍성전통시장, 대교리 석불입상(광경사지 미륵불), 홍성고등학교
소향리소향1리~소향3리홍성세무서, 홍주종합경기장, 홍성여자중학교, 홍성여자고등학교, 광경사지 삼층석탑
신성리신성리신성역
내법리법수, 내기용주사, 광경사지 석불좌상
고암리고암1리~고암5리충청남도홍성교육지원청, 충청남도홍성의료원, 홍성역, 홍성종합버스터미널, 홍성성당, 홍성중학교, 홍성문화원
구룡리동구, 서구홍성소방서, 충청남도종합건설사업소 홍성지소
송월리송월리
월산리월산1리~월산3리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 대전지방검찰청 홍성지청, 대한법률구조공단 홍성출장소, 한국농어촌공사 충남지역본부 홍성지사
학계리학계1리~학계2리학계야영장


5. 인구

홍성읍의 인구는 2015년 11월말 현재 42,415명이다. 이는 홍성군 전체 인구의 45.0%, 충청남도 전체 인구의 2.0%에 해당한다. 전국 군지역 읍 중에서는 인구가 가장 많다.

6. 주요 시설

6. 1. 교육 기관

홍성읍에는 초등학교로 홍성초등학교, 홍주초등학교, 홍남초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로는 홍성중학교, 사립 홍주중학교, 홍성여자중학교가 있으며, 고등학교로는 홍성고등학교(2016년 내포신도시 이전), 사립 홍주고등학교, 홍성여자고등학교가 있다. 대학교로는 청운대학교 홍성캠퍼스, 혜전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충남캠퍼스가 있다.

6. 2. 관공서

홍성군청과 홍성군의회가 홍성읍에 위치하고 있다. 홍성읍 행정복지센터, 홍성군보건소, 홍성경찰서, 홍성소방서가 있다. 홍성세무서, 충청남도홍성교육지원청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대전지방교정청 홍성교도소가 있다. 충청지방통계청 홍성사무소, 충청지방우정청 홍성우체국, 충청남도선거관리위원회 홍성군선거관리위원회도 홍성읍에 위치한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홍성·청양사무소, 국가보훈처 홍성보훈지청, 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 대전지방검찰청 홍성지청이 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홍성출장소, 충청남도 종합건설사업소, 한국농어촌공사 홍성지사, 한국국토정보공사 홍성지사, 한국전력공사 홍성지사가 있다. 홍주성역사관이 있다.

6. 3. 금융기관 · 협동조합

농협중앙회홍성군지부, KEB하나은행 홍성지점, 국민은행 홍성지점, 우리은행 홍성지점, 신한은행 홍성지점, SC제일은행 홍성지점, 홍주새마을금고가 있다. 홍성농업협동조합, 홍성축산업협동조합, 홍성낙농업협동조합이 운영되고 있다.

6. 4. 방송국

한국방송공사 대전방송총국 홍성중계소와 대전문화방송 홍성방송본부가 있다.

6. 5. 신문사


  • 홍성신문
  • 홍주일보

6. 6. 교통

국도 제21호선국도 제29호선, 지방도 제609호선이 홍성읍을 지난다.[1] 장항선 홍성역신성역이 있다.[1]

6. 7. 문화재

홍주성은 사적 제231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세조 때 쌓은 읍성으로 1905년 을사조약 이후 홍주의병이 일본군과 전투를 벌인 곳이기도 하다.

홍주의사총은 홍주의병과 일본군 간 전투에서 희생된 사람들의 유골을 모신 곳이다. 1949년에 발견되었으며, 사적 제431호로 지정되었다.

홍성 충령사는 대한제국 시기 오페르트의 남연군 묘 도굴 미수 사건과 을미사변에 항거하여 의병을 일으켰던 이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6. 8. 주거

홍성읍에는 여러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어 주거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코오롱건설이 시공한 홍성 코오롱하늘채는 2006년 5월에 입주했으며, ㈜해동이 시행을 맡았다. ㈜세광종합건설이 건설하고 시행한 홍성 세광엔리치타워는 2006년 11월에 입주했다. ㈜부영은 2003년 5월에 1차, 2004년 8월에 2차 아파트를 공급했다. 금호산업이 시공한 홍성 남장주공 1단지는 2001년 9월, ㈜동성건설이 시공한 홍성 남장주공 2단지는 2008년 8월에 입주했으며, 2단지는 국민임대 아파트이다.

단지명건설사시행사주소입주
홍성 코오롱하늘채코오롱건설㈜해동문화로33번길 11 (옥암리)2006년 5월
홍성 세광엔리치타워㈜세광종합건설충서로 1506 (오관리)2006년 11월
부영 1차㈜부영2003년 5월
부영 2차월산로30번길 38 (월산리)2004년 8월
홍성 남장주공 1단지금호산업대한주택공사문화로72번길 92 (남장리)2001년 9월
홍성 남장주공 2단지㈜동성건설문화로72번길 72 (남장리)2008년 8월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