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경법은 환경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법률로, 1273년 영국에서 제정된 런던 석탄 연기 규제법이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 20세기 이후 산업화와 함께 대기 오염, 스모그 등의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했으며,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를 통해 국제 협력의 기반을 마련했다. 주요 국제 환경 협약으로는 기후변화협약, 생물다양성협약, 람사르 협약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은 1977년 환경보전법을 제정하고, 대기환경보전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폐기물관리법, 화학물질관리법 등 개별 법률을 통해 환경 문제를 관리하고 있다. 각국은 자국의 환경 문제에 맞춰 환경법을 제정하고 있으며, 환경법은 기후 변화, 미세먼지, 플라스틱 오염 등 새로운 문제에 대한 대응과 환경 규제와 경제 성장의 조화, 국제 협력 강화, 시민 참여 확대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환경법 - UC 버클리 법학대학원
UC 버클리 법학대학원은 189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과로 설립되어 법과대학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미국 최상위권 로스쿨 중 하나로서 U.S. 뉴스 & 월드 리포트 기준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다양한 법률 간행물 발간 및 연구 센터와 클리닉을 운영하며, 사회 각 분야의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했다. - 환경법 - 환경 영향 평가
환경 영향 평가는 개발 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평가하여 객관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기술적 평가이며, 1960년대에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한국에서는 1997년 환경영향평가법 제정을 통해 국가 차원의 제도를 확립했다. - 환경 보호 - 자연의 권리
자연의 권리는 자연도 인간처럼 권리를 가지며, 인간 윤리와 법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건강한 생태계에 인간 생존이 달려있다는 논리에 기반하여, 자연을 지구 공동체의 파트너로 보는 관점 전환을 제시하며, 일부 국가에서 헌법적으로 인정되고 국제 운동으로 확산되고 있다. - 환경 보호 - 생물다양성 감소
생물다양성 감소는 종의 다양성, 유전적 변이, 생물 형태의 상호 작용을 포함하는 지구 생물 다양성의 급격한 감소 현상으로, 서식지 파괴, 오염,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여 식량, 건강, 생태계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보전 정책, 경제적 해결책, 국제 협약 등의 해결책이 모색되고 있다. - 환경사회과학 - 환경 정책
환경 정책은 대기 및 수질 오염, 폐기물 관리,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호, 천연자원 관리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업, 개인이 채택하는 행동 원칙으로, 사회적, 경제적 차원과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 규제, 경제적, 정보적 수단을 활용하고 정책 분석을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지만, 정책 효과에 대한 논쟁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정책 통합 및 국제적 협력이 과제로 남아있다. - 환경사회과학 - 환경 사회 과학
환경 사회과학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맥락을 분석하고, 사회역학과의 협력을 통해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제 간 연구 분야이다.
환경법 | |
---|---|
환경법 개요 | |
정의 | 자연 환경과 관련된 법률 분야 |
내용 | 환경 영향 평가 대기 질 법 수질 법 폐기물 관리 법 환경 정화 법 종 보호 수자원 법 광업 법 임업 법 어업 법 수렵 법 |
참고 자료 | |
환경 저널 | 환경 저널 |
국제 환경 협약 | 국제 환경 협약 |
국가별 환경법 | 국가별 환경법 |
환경 소송 | 환경 소송 |
환경 관련 정부 부처 | 환경부 |
초국가 환경 기관 | 초국가 환경 기관 |
관련 주제 | |
관련 법률 | 행정법 파산법 기후 변화 소송 지구 법학 지구법 생태 파괴 에너지 법 환경 범죄 밀렵 환경 인격 환경 정의 보험법 국제법 토지법 토지 이용 해양법 물권법 공공 신탁 법리 자연의 권리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 전쟁과 환경법 야생법 |
2. 역사
환경법의 역사는 인류가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환경 자체 보존이나 인간의 즐거움을 위해 고안된 법률의 예는 역사 전반에 걸쳐 발견된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공해가 국경을 넘는 사례가 재판에서 다투어지게 되었는데, 그 선구자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트레일 제련소 사건(Trail Smelter Arbitration)이다. 이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 있는 제련소에서 배출된 아황산가스의 영향이 국경을 넘은 미국 워싱턴주에까지 미쳐 그곳의 농작물과 자연환경에 피해를 준 사건이다. 이 사건은 중재 재판에 회부되어 1941년에 판결이 내려졌는데, 판결은 국가가 다른 국가에 공해로 인한 피해를 줄 수 있는 방법으로 국토를 사용하거나 그 사용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환경법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세계가 경제 발전을 시작함에 따라 환경 문제가 지구적 규모로 심각해지는 시점부터 등장한다.
1972년 12월에는 인간환경선언을 구체화하기 위해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약칭 UNEP)이 설립되었다.
1982년 나이로비에서 열린 회의(나이로비 회의)에서는 공해 수출과 핵폐기물의 해양 투기 등 새로운 문제를 지적한 (Nairobi Declaration)이 채택되었다. 이 기간 동안 프레온 가스에 의한 오존층 파괴라는 새로운 문제도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유엔환경계획은 오존 문제 조정 위원회를 발족시켜 1985년 오존층 보호를 위한 빈 협약을 채택하게 되었고, 이는 1989년의 몬트리올 의정서라는 형태로 결실을 맺는다.
환경법은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에 대한 인식과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발전해 왔다. 법률들이 다양한 이유로 조각적으로 발전해 왔지만, 환경법 전체에 공통적인 핵심 개념과 지침 원칙을 파악하려는 노력도 있었다.[17] 일부 법률은 정치적 현실이 더 이상적인 규칙의 채택을 막을 때 일시적이거나 과도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5년 회칙 ''Laudato si''''에서 "정치적 현실주의는 점진적인 구속력 있는 약정의 설정과 수용을 동반하는 한, 과도적인 조치와 기술을 요구할 수 있다"고 인정했다.[18]
2. 1. 초기 역사
1273년 영국에서 제정된 런던 석탄 연기 규제법(The King's Ordinance of 1273)은 환경법의 초기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이는 당시 국왕 에드워드 1세가 석탄 연소로 인한 매연과 악취로 수도 런던의 환경이 악화되자 석탄 연소를 금지한 것이다.[4] 하지만, 이 법으로도 런던의 대기오염은 해결되지 않았고, 1661년 존 이블린(John Evelyn)의 저서 “Fumifugium”에도 그 심각성이 기록되어 있다. 이후 산업혁명으로 대기오염 등 공해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지만, 환경 법규제는 제대로 정비되지 않았다.영미법에서는 방해 행위 법이 주요한 환경 보호 수단이었으나, 이는 토지 피해에 대한 사적 소송만 허용하여 공동 자원에 대한 위협 등 주요 환경 문제를 다루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1858년 "대 악취" 사건 당시, 템스강으로의 하수 투기로 인한 악취가 심각해지자 의회는 런던 하수 시스템 건설을 위한 법률을 통과시켰다. 런던은 대기 오염 문제도 심각했는데, 1952년 "대 스모그" 사건을 계기로 1956년 청정 대기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가구와 기업의 배출량에 한계를 설정하고, 감찰관이 준수 여부를 단속하는 규제 구조를 갖추었다.
2. 2. 20세기 이후
1952년 런던 스모그 사건은 대기 오염의 심각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으며, 각국의 대기오염 방지법 제정으로 이어졌다. 런던은 1952년 "대 스모그"로 절정에 달할 때까지 심각한 대기 오염으로 고통받았으며, 이는 1956년 청정 대기법 제정의 계기가 되었다. 이 법은 가구와 기업의 배출량(특히 석탄 연소)에 제한을 두고, 감찰관이 준수 여부를 단속하는 기본적인 규제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4][5][6] 미국에서는 이보다 약간 앞서 1955년에 대기오염방지법이 제정되어 대기오염 해소 기술 개발을 촉진했다.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는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이후 다양한 국제 환경 협약이 체결되었다. “소중한 지구”를 슬로건으로 내건 이 회의는 각국 정부가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목표로 한 최초의 국제 회의였다. 회의에서는 환경 보전을 위해 세계가 공유해야 할 26개의 원칙으로 구성된 인간환경선언이 채택되었으며, 환경 문제 개선이 '''전 인류의 소망'''임을 강조하고, 천연자원 고갈, 재활용, 야생 동물 보호, 유해 물질 배출 규제, 개도국의 환경 대책 지원, 무기에 의한 환경 오염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루었다.
대한민국은 1977년 환경보전법을 제정하여 환경 정책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 법은 1971년에 제정된 공해 방지법을 폐기하고 새로 제정된 것으로,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소음, 진동, 악취 등으로 인한 보건위생상의 위해를 방지하고 환경을 적정하게 보전하여 국민보건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무총리 소속하에 환경보전에 관한 기본계획과 종합정책을 심의할 환경보전위원회를 설치하고, 환경보전에 필요한 자문에 응할 중앙환경보전위원회를 두도록 하였다. 또한, 지방환경보전위원회를 시·도지사 소속하에 두어 환경보전에 관한 시책의 일률 시행을 규정하고, 배출시설, 대기 오염, 수질 및 토양 보전, 산업폐기물 처리 및 환경보전에 관한 조사연구 등을 위한 환경보전협회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1992년 리우 회의는 환경과 개발의 조화를 강조하는 '지속 가능한 발전' 개념을 제시하였다. 유엔환경계획(UNEP)이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면서 미래 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훼손하지 않는 발전"으로 정의한 지속 가능한 발전은 "통합"(발전은 지속 가능성과 분리하여 고려할 수 없음)과 "상호 의존성"(사회·경제 발전과 환경 보호는 상호 의존적임)의 개념과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첫 번째 유엔 지구정상회의는 리우 선언을 낳았는데, 그 3항은 "발전에 대한 권리는 현재와 미래 세대의 발전 및 환경적 필요를 공평하게 충족시키도록 충족되어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1997년 교토 의정서는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의 일환으로, 온실 효과 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가 비준하지 않아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의 목소리가 많다.
3. 대한민국 환경법
대한민국의 환경법은 환경 정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환경정책기본법과 개별 환경 매체(대기, 수질, 폐기물 등)를 규제하는 법률로 구성된다. 환경법은 규제 대상에 따라 오염방지법과 자연환경보전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각 환경법은 조화를 이루기 위해 규제 기준 등이 동일성이 높다. 또한,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노력을 목표로 하는 조약 등을 다루는 것은 국제환경법이라고 불린다. 더 나아가, 환경 문제(환경 범죄)에 대해 형벌권을 발동하는 경우를 다루는 환경형법이라는 분야와, 기업이 주된 환경 오염의 주체라는 사실에서 환경 문제를 기업법 관점에서 검토하는 기업환경법이라는 분야도 생겨나고 있다. 참고로, 실제 분쟁 사건은 기존의 형법이나 민법의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국가배상법 등의 법률로 다투어지는 경우가 있다.
3. 1. 환경정책기본법
대한민국의 경우 '''환경보전법'''(環境保全法)이라는 이름으로 1977년 12월 31일 법률 제3078호로 공포되었다. 이 법은 1971년에 제정·공포된 공해 방지법을 폐기하고 새로이 제정·공포한 것으로, 대기오염·수질오염·토양오염·소음·진동 또는 악취 등으로 인한 보건위생상의 위해(危害)를 방지하고 환경을 적정하게 보전함으로써 국민보건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은 이 목적을 위하여 환경보전에 관한 기본계획과 종합정책을 심의할 환경보전위원회를 국무총리 소속하에 두고, 환경보전에 필요한 자문에 응할 중앙환경보전위원회를 두며, 지방환경보전위원회를 시·도지사 소속하에 두도록 하여 환경보전에 관한 시책의 일률 시행을 규정하고 있다. 그 밖에 배출시설·대기(大氣)오염·수질과 토양의 보전, 산업폐기물 처리 및 환경보전에 관한 조사연구 등을 위한 환경보전협회를 설치하도록 했다.
3. 2. 대기환경보전법
대기질 지수(AQI)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을 식별하여 공중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7] 대기질 지수는 이산화질소, 오존, 일산화탄소, 이산화황을 포함한 주요 6가지 오염 물질의 높은 농도를 검사한다.[8] 대기질에 대한 영향은 어떤 오염 물질이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오염 물질의 높은 농도는 계절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대기질이 나쁠 때 건강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더 크다.[7] 위험한 오염 물질에 노출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인구가 줄어들 수도 있다.[9]3. 3.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환경법은 다루는 법령 또는 조약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규제 대상에 따라 오염방지법과 자연환경보전법으로 크게 나뉜다.
3. 4. 폐기물관리법
Waste management law영어은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재활용을 촉진하며,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을 규정하여 자원 순환 사회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0] 폐기물 소비량을 줄이면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에너지량을 크게 줄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품 소비량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폐기물 분리는 잠재적으로 추가 자원을 확보하고 그 과정에서 폐기물을 걸러낼 수 있다. 폐기물량을 줄이는 방법에는 친환경 구매와 기후 변화에 기여하는 일회용품 감소가 포함된다.[10]
3. 5. 화학물질관리법
화학물질관리법은 유해 화학 물질 등록 및 관리, 화학 사고 예방 및 대응 등을 규정하여 국민 건강과 환경을 보호한다.[1]4. 국제 환경법
지구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커짐에 따라, 국제 환경 협약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제 환경 문제는 국제법의 핵심 원칙을 함축하며 수많은 국제 협정과 선언의 주제가 되어 왔다.
관습 국제법은 국제 환경법의 중요한 원천이다. 이는 국가들이 관습적으로 따르는 규범과 규칙이며, 전 세계 모든 국가를 구속한다. 환경 관련 관습 국제법으로는 환경 피해에 대해 다른 국가에 즉시 경고할 의무와 스톡홀름 선언의 원칙 21('이웃 국가에 대한 책임')이 있다.[32]
기후 변화는 강행규범(절대적 규범) 및 모든 국가를 위한 원칙(erga omnes principles)과 같은 국제법의 기본적인 관습 원칙이 국제 환경법 집행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32]
수많은 법적 구속력을 가진 국제 협정은 육지, 해양 및 대기 오염에서 야생 동물 및 생물 다양성 보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문제 영역을 포함한다. 국제 환경 협정은 일반적으로 다자 또는 양자 조약(협약, 협정, 의정서 등)이다. 의정서는 주요 조약에서 만들어진 보조 협정이며, 특히 환경 분야에서 유용하다. 가장 널리 알려진 의정서는 유엔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교토 의정서이다.
국제 협정을 제안, 논의, 합의하고 채택한 기구는 각 협정에 따라 다르지만, 1972년 유엔 인간환경회의, 1983년 세계환경개발위원회, 1992년 유엔 환경 개발 회의, 2002년 세계 지속 가능 발전 정상 회의 등 특정 회의가 특히 중요했다. 다자간 환경 협정은 때때로 협정 이행을 담당하는 국제기구, 기관 또는 기구를 만든다. 주요 사례로는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있다.
국제 환경법에는 국제 법원 및 재판소의 의견도 포함된다. 국제 법원 및 재판소는 수가 적고 권한이 제한적이지만, 그 결정은 법률 해설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며 국제 환경법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국제적 결정에서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환경 피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결정하는 것이다.[33] 법원에는 국제 사법 재판소(ICJ), 국제 해양법 재판소(ITLOS), 유럽 사법 재판소, 유럽 인권 재판소[34] 및 기타 지역 조약 재판소가 있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경제 개발 수준과 국가의 도덕적 가치가 환경 규제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은 환경법과 도덕적 가치 사이의 관계가 더 밀접하다. 국가의 법 체계가 도덕적 가치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면 사람들은 법을 준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법의 중요성과 효과는 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인도 갠지스강은 환경 규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오염되어 있다.[35]
4. 1. 주요 국제 환경 협약
-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워싱턴 조약, CITES(사이테스))
- 특히 물새 서식지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람사르 협약)
- 이동성 야생동물종 보전에 관한 협약(본 협약)
- 생물다양성협약(생물다양성협약) - 나고야 의정서
- 세계의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세계유산 협약)
- 오존층 보호를 위한 비엔나 협약 - 몬트리올 의정서
-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협약 - 교토의정서 - 파리협정
- 일미철새보호협정 등
- 국제포경규제협약
- 북태평양 바다표범 보존에 관한 잠정 협약
- * 세계자연헌장
- *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선언
- * 의제21
- * 산림원칙선언
4. 2. 국제 환경 협약 이행을 위한 국내법
대한민국은 국제 환경 협약의 당사국으로서, 협약의 내용을 국내법에 반영하여 이행하고 있다.5. 나라별 환경법 현황
각 나라는 자국의 환경 문제와 여건에 맞춰 환경법을 제정하고 시행하고 있다.
- '''미국''': 대기 청정법, 수질 청정법, 포괄적 환경 대응, 보상 및 책임법(슈퍼펀드법) 등 다양한 환경 법률을 통해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 '''유럽 연합''': EU 전체에 적용되는 규정(Regulation)과 회원국이 국내법으로 이행해야 하는 지침(Directive)을 발표하여 환경 정책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 '''일본''': 일본의 환경기본법을 중심으로 환경 정책의 기본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환경오염 방지, 자연환경 보전, 지구 환경 문제 해결 등을 목표로 한다.
- '''러시아''': 천연자원환경부가 천연 자원 보호, 환경 모니터링 및 오염 통제, 공공 환경 정책 수립 및 이행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오세아니아''': 태평양 지역 환경 프로그램 사무국(SPREP)을 중심으로 환경 개선 및 보호,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환경 문제로는 불법적인 오염물질 배출, 벌목, 폐기물 운송 등이 있다.
5. 1. 미국
미국은 대기 청정법, 수질 청정법, 포괄적 환경 대응, 보상 및 책임법(슈퍼펀드법) 등 다양한 환경 법률을 통해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5. 2. 유럽 연합 (EU)
유럽 연합은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EU 전체에 적용되는 규정(Regulation)과 27개 회원국이 국내법으로 이행해야 하는 지침(Directive)을 발표하여 환경 정책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19] 예를 들어, CITES 이행에 관한 규정 (EC) No. 338/97, 조류 지침 (79/409/EEC/ 2009/147/EC로 변경) 및 서식지 지침 (92/43/EEC)을 포함하는 Natura 2000 네트워크가 있다. Natura 2000 네트워크는 유럽 전역의 특별 보호 구역(SAC) 및 특별 보호 지역(SPA)으로 구성된다.EU 입법은 유럽연합 기능조약(TFEU) 제249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공통 EU 입법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2024년 2월, 유럽 의회는 고의로 발생시킨 큰 환경 피해를 "생태 파괴"와 비교할 수 있는 범죄로 규정하고 최대 10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는 법을 통과시켰다.[39] 연합 회원국들은 2년 안에 이를 자국 법에 포함시켜야 한다. 의회는 또한 회원국들이 2030년까지 훼손된 생태계의 20%(배수된 이탄지의 30% 포함)와 2050년까지 100%를 복원하도록 의무화하는 자연 복원법을 승인했다.[40]
5. 3. 일본
일본은 일본의 환경기본법을 중심으로 환경 정책의 기본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법은 환경오염방지기본법과 자연보전법을 대체하며, 지구 환경 문제, 도시 오염, 자연환경 상실, 산림 및 농지 환경 보호 능력 저하 등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71]일본 정부는 환경기본법의 세 가지 기본 원칙, 즉 "환경 혜택의 현세대 향유 및 미래 세대 계승, 인간 활동에 의한 환경 부하 최소화, 국제 협력을 통한 지구 환경 보전에 대한 적극적 기여"에 따라 정책을 수립한다.[71]
이러한 원칙에 따라 일본 정부는 정책 입안 시 환경 고려, 장기 환경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환경기본계획 수립, 개발 프로젝트 환경 영향 평가, 환경 부하 감소 활동 장려를 위한 경제적 조치, 하수 시스템 및 교통 시설 등 사회 기반 시설 개선, 기업, 시민, 비정부 기구(NGO)의 환경 활동 촉진, 환경 교육 및 정보 제공, 과학 기술 촉진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71]
5. 4. 러시아
러시아 연방 천연자원환경부는 지정된 보존 지역에 위치한 하층토, 수역, 삼림, 그리고 사냥지의 동물상과 서식지의 천연 자원을 보호하는 것과 관련하여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81] 국제법의 맥락에서 자국의 환경을 보호하고 이웃 국가의 환경에 대한 피해를 방지할 의무로 정의되는데, UNEP는 국제적 차원에서의 국경을 넘는 책임을 주권 국가의 권리에 대한 잠재적 제한으로 간주한다.[21]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부과되는 외부 효과를 제한하는 법률은 이 원칙에 비추어 평가될 수 있다.러시아 연방 자연자원환경부는 지정된 보호구역에 있는 지하자원, 수역, 산림을 포함한 천연자원 보존, 사냥 분야의 동물상과 서식지, 수문기상학 및 관련 분야, 환경 모니터링 및 오염 통제(방사능 모니터링 및 통제 포함), 그리고 공공 환경 정책 수립 및 이행과 법규에 관한 기능을 규정한다.[73]
5. 5. 오세아니아
태평양 지역 환경 프로그램 사무국(SPREP)[43]은 오스트레일리아, 쿡 제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피지, 프랑스, 키리바시, 마셜 제도, 나우루, 뉴질랜드, 니우에, 팔라우, 파푸아뉴기니, 사모아, 솔로몬 제도, 통가, 투발루, 미국 및 바누아투 간의 국제 기구이다. SPREP은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보장하고 환경 개선 및 보호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44][45]오세아니아의 주요 환경 문제는 "대기 및 수질 오염물질의 불법 배출, 불법 벌목/목재 거래, 전자폐기물을 포함한 위험 폐기물의 불법 운송 및 폐선 처리 예정 선박, 그리고 부적절한 제도적 구조/집행력 부족"이다.[42]
6. 환경법의 과제와 전망
환경법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기후 변화, 미세먼지, 플라스틱 오염 등 새로운 환경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환경 규제와 경제 성장의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 강화 및 환경 정책 결정 과정에 시민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환경법은 여러 논쟁을 야기한다. 환경 규제의 필요성, 공정성, 비용, 그리고 합의된 목표 달성을 위한 규제와 시장 해결책의 적절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과학적 불확실성은 온실가스 규제 관련 지구 온난화 논쟁과 특정 살충제 금지 여부 논쟁의 주요 요인이다.[24] 명확한 과학적 사실이 밝혀진 경우에도 기업들이 의도적으로 사실을 은폐, 왜곡하거나 혼란을 조장하는 경우가 있다.[25]
규제 대상 산업은 주로 비용을 이유로 환경 규제에 반대한다.[26] 건강한 생태계, 깨끗한 공기, 종 다양성 등 환경적 가치는 정량화하기 어려워 환경 문제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 수행에 어려움이 따른다. 많은 환경 운동가들은 지구의 날 창립자 게일로드 넬슨의 "경제는 환경의 전적으로 소유된 자회사일 뿐, 그 반대가 아니다"라는 말을 인용한다.[27] 많은 사람들은 환경 문제를 재정적 비용을 넘어선 윤리적, 도덕적 차원으로 인식한다. 그럼에도 환경 비용과 자산을 체계적으로 인식하고 경제적 용어로 설명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일부 산업계는 규제에 반대하지만, 환경 운동가와 공익 단체는 규제가 불충분하며 더 강력한 보호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28][29][30] 공익 환경법 컨퍼런스 등은 환경법을 계급, 인종 등 다른 문제와 연결 짓기도 한다.
환경법의 공정성에 대한 논쟁도 존재한다. 소규모 조직은 환경 규제로 인해 불균형적으로 큰 비용을 부담하여 경쟁과 혁신을 저해하는 추가적인 진입 장벽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1]
참조
[1]
서적
Principl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http://182.160.97.19[...]
2020-02-19
[2]
웹사이트
What is Environmental Law? Becoming an Environmental Lawyer
https://legalcareerp[...]
2023-06-28
[3]
웹사이트
NOUN National Open University of Nigeria
https://nou.edu.ng/
2023-06-29
[4]
판례
Aldred's Case
1610
[5]
판례
R v Stephens
1866
[6]
판례
Rylands v Fletcher
1868
[7]
논문
The effect of the revision and implementa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on ambient air quality in China
https://linkinghub.e[...]
2022-03-15
[8]
논문
Rethinking Clean Air: Air Quality Law and COVID-19
https://academic.oup[...]
2020-12-24
[9]
논문
Concentrations and health effects of short- and long-term exposure to PM2.5, NO2, and O3 in ambient air of Ahvaz city, Iran (2014–2017)
https://linkinghub.e[...]
2019-09-30
[10]
논문
It starts from home? Explaining environmentally responsible resource and waste management
https://www.frontier[...]
2023-06-27
[11]
논문
Government-industry dynamics in the development of offshore waste management in Norway: from prescriptive to risk-based regulation
https://www.tandfonl[...]
2021-03-21
[12]
논문
Profiling of emerging contaminants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sewage treatment plants: An Indian perspective
https://linkinghub.e[...]
2021-04-15
[13]
논문
A review on phytoremediation of contaminants in air, water and soil
https://linkinghub.e[...]
2021-02-05
[14]
웹사이트
Environmental Law - an overview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2023-06-29
[15]
논문
The Politics of preemption: American federalism and risk regulation
https://onlinelibrar[...]
2022
[16]
논문
Development of an inherent system safety index (ISSI) for ranking of chemical processes at the concept development stage
https://linkinghub.e[...]
2022-01-05
[17]
간행물
Training Manual o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http://www.unep.org/[...]
UNEP
[18]
서적
Laudato si'
https://www.vatican.[...]
2015-05-24
[19]
간행물
UNEP Manual
http://www.unep.org/[...]
[20]
간행물
UNEP Manual
http://www.unep.org/[...]
[21]
간행물
UNEP Manual
http://www.unep.org/[...]
[22]
간행물
UNEP Manual
http://www.unep.org/[...]
[23]
간행물
UNEP Manual
http://www.unep.org/[...]
UNEP
[24]
백과사전
DDT
[25]
웹사이트
Merchants of Doubt
http://www.csmonitor[...]
2010-06-22
[26]
보고서
Calculating the Costs of Environmental Regulation
http://www.rff.org/D[...]
Resources for the Future
2003
[27]
서적
Beyond Earth Day: Fulfilling the Promise
https://archive.org/[...]
Wisconsin Press
2002-11
[28]
잡지
Can the World Really Set Aside Half of the Planet for Wildlife?
http://www.smithsoni[...]
[29]
웹사이트
Climate Coalition Vows 'Peaceful, Escalated' Actions Until 'We Break Free from Fossil Fuels'
http://www.commondre[...]
[30]
웹사이트
A Guide to Environmental Non-Profits
https://www.motherjo[...]
[31]
논문
Constraining or Enabling Green Capability Development? How Policy Uncertainty Affects Organizational Responses to Flexible Environmental Regulations
http://wrap.warwick.[...]
2016
[32]
서적
Enforcing International Maritime Legislation on Air Pollution through UNCLOS
Hart Publishing
2019
[33]
서적
Compensation for Environmental Damages Under International Law
Kluwer Law International
2011
[34]
웹사이트
ECtHR case-law factsheet on environment
http://www.echr.coe.[...]
[35]
논문
The Impact of Sustainability Awareness and Moral Values on Environmental Laws
https://doi.org/10.3[...]
2021
[36]
웹사이트
INECE Regions- Africa
http://www.inece.org[...]
2012-10-18
[37]
웹사이트
Africa International Programs
http://www.epa.gov/i[...]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2-10-18
[38]
웹사이트
AECEN
http://www.aecen.org[...]
2015-08-27
[39]
뉴스
'Revolutionary': EU Parliament votes to criminalise most serious cases of ecosystem destruction
https://www.euronews[...]
2024-02-27
[40]
뉴스
European parliament votes for watered-down law to restore nature
https://www.theguard[...]
2024-02-27
[41]
웹사이트
EPA Middle East
http://www.epa.gov/o[...]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2-10-23
[42]
웹사이트
INECE Regions - Asia and the Pacific
http://www.inece.org[...]
2012-10-18
[43]
웹사이트
Secretariat of the Pacific Regional Environmental Programme (SPREP)
http://www.sprep.org[...]
[44]
웹사이트
Agreement Establishing SPREP
http://www.sprep.org[...]
2012-10-18
[45]
서적
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 Negotiator's Handbook: Pacific Region 2013
http://www.sprep.org[...]
Secretariat of the Pacific Regional Environment Programme / New Zealand Centre for Environmental Law, University of Auckland
2013
[46]
판례
Commonwealth v Tasmania
http://www.austlii.e[...]
1983-07-01
[47]
웹사이트
EPBC Act
http://www.environme[...]
2012-10-18
[48]
웹사이트
About the review
https://epbcactrevie[...]
2020-06-23
[49]
웹사이트
Australia's environment in unsustainable state of decline, major review finds
http://www.theguardi[...]
2020-07-20
[50]
웹사이트
Apresentação
http://www.mma.gov.b[...]
2012-10-23
[51]
웹사이트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ct
http://laws-lois.jus[...]
2002-12-31
[52]
웹사이트
Environment Canada
http://www.ec.gc.ca/[...]
2007-01-09
[53]
웹사이트
Canada's Legal System Overview
https://slmc.uottawa[...]
[54]
웹사이트
China Environmental Law Initiative
http://www.epa.gov/o[...]
EPA
[55]
웹사이트
China Partnership for Environmental Law
http://www.vermontla[...]
Vermont Law School
[56]
웹사이트
Environmental Law in China
http://www.nrdc.org/[...]
NRDC
[57]
논문
The Search for Sustainable Legitimacy: Environmental Law and Bureaucracy in China
2013
[58]
서적
Environmental Litigation in China: A Study in Political Ambival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59]
서적
Greening East Asia: The Rise of the Eco-Developmental Stat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0
[60]
논문
L'ambivalence du droit de l'environnement en République du Congo.
https://ssrn.com/abs[...]
2021-01-15
[61]
논문
La constitutionnalisation du droit de l'environnement au Congo-Brazzaville.
https://ssrn.com/abs[...]
2021-01-15
[62]
웹사이트
CELDF {{!}} Community Rights Pioneers {{!}} Protecting Nature and Communities
https://celdf.org/
2019-10-23
[63]
간행물
Buen Vivir: Today's Tomorrow
2011
[64]
간행물
Correa, Indigenous Movements, and the Writing of a New Constitution in Ecuador
2011
[65]
웹사이트
Law 4
http://www.eeaa.gov.[...]
2012-10-23
[66]
웹사이트
THE ENVIRONMENT (PROTECTION) ACT, 1986
http://envfor.nic.in[...]
2015-08-27
[67]
웹사이트
The Gazette of India
http://moef.nic.in/d[...]
2014-05-27
[68]
웹사이트
THE INDIAN WILDLIFE (PROTECTION) ACT, 1972
http://envfor.nic.in[...]
2015-08-27
[69]
논문
THE JUDICIAL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THE RIGHT TO ENVIRONMENT:DIFFERING PERSPECTIVES FROM NIGERIA AND INDIA
https://www.research[...]
2020-03-11
[70]
서적
Supreme Court on Environment Law
EBC
2015
[71]
웹사이트
The Basic Environment Law
http://www.env.go.jp[...]
2012-10-23
[72]
웹사이트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http://www.mfe.govt.[...]
2012-10-23
[73]
웹사이트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mnr.gov.r[...]
2015-06-27
[74]
웹사이트
Singapore
https://www.cbd.int/[...]
2006-06-20
[75]
웹사이트
National Parks Board (CITES)
https://customs.gov.[...]
2020-10-27
[76]
웹사이트
Parks and Trees Act - Singapore Statutes Online
https://sso.agc.gov.[...]
2020-10-27
[77]
웹사이트
Endangered Species (Import and Export) Act - Singapore Statutes Online
https://sso.agc.gov.[...]
2020-10-27
[78]
웹사이트
Wildlife Act - Singapore Statutes Online
https://sso.agc.gov.[...]
2020-10-27
[79]
웹사이트
Wildlife (Protected Wildlife Species) Rules 2020 - Singapore Statutes Online
https://sso.agc.gov.[...]
2020-10-27
[80]
웹사이트
Vietnam International Programs
http://www.epa.gov/i[...]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2-10-18
[81]
웹인용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mnr.gov.r[...]
2015-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