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투고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토고원은 중국 북부, 타이항 산맥, 우초령, 친링 산맥, 만리장성으로 둘러싸인 지역으로, 약 40만 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광대한 지역을 지칭한다. 이 지역은 황토의 퇴적으로 형성되었으며, 북서쪽 사막 지대에서 바람에 실려온 실트가 퇴적되어 두꺼운 층을 이룬다. 황토고원의 지형은 암석 산지에서 충적 평야, 하곡 벨트로 변화하는 특징을 보이며, 주요 지형으로는 황토 언덕, 황토 능선, 탁상지가 있다. 기후 변화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토양 침식, 산사태, 사막화 등의 환경 문제가 심각하며, 중국 정부는 조림 사업, 퇴경환림 정책 등을 통해 환경 복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황사 발생, 역사적 교류 등 한국에도 영향을 미치는 지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시성 (산서성)의 지리 - 중원 (중국)
    중원(中原)은 중국 허난성을 중심으로 황허강 중·하류 유역을 지칭하는 지리적, 문화적 개념이며, 중국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로 고대부터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
  • 간쑤성의 지리 - 하서주랑
    하서주랑은 기련산맥과 고비 사막 사이에 위치한 간쑤성 서부의 좁고 긴 평야 지대로, 둔황, 자위관, 주취안 등의 도시가 위치하며 실크로드의 중요한 통로 역할을 했다.
  • 간쑤성의 지리 - 쿠부치 사막
    쿠부치 사막은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하며 심각한 사막화 문제에 직면해 있지만, 정부와 기업의 지원으로 녹지 복원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어 2017년까지 사막 면적의 약 30%가 녹지로 복원되었고,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잠재력을 가진 곳이다.
  • 닝샤의 지리 - 허타오
    허타오는 황하가 지나는 지역으로,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가 발달했으며 농업과 자원 생산, 공업이 이루어진다.
  • 닝샤의 지리 - 허란산맥
    허란산맥은 중국 닝샤 후이족 자치구에 위치하며, 다양한 문화 교류의 중심지이자 실크로드의 통로였고, 현재는 광물 자원 개발과 관광 산업, 닝샤 와인 생산지로 발전 중이나 환경 문제에 직면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황투고원
지리
훈위안 현(산시 성) 근처의 풍경
훈위안 현(산시 성) 근처의 풍경
면적635,000 제곱킬로미터
해발고도1200 미터
인구 통계
총 인구 (2010년)1억 800만 명
일반 정보
중국어 (간체)黄土高原
중국어 (정체)黃土高原
한어 병음Huángtǔ Gāoyuán
광둥어Wong4-tou2 Gou1-jyun4
어원황토 고원 또는 황색 토양 고원
지질학적 특징
형성 원인사막의 먼지 퇴적과 바람에 의한 침식
주요 구성 물질황토
토양 특성수직 균열 발달
환경 변화
역사적 변화환경 변화로 인한 영향
현재 상태기후 변화에 따른 농업 취약성 증가
토지 피복삼림 벌채로 인한 토지 피복 변화
생태학적 중요성
식생삼림 벌채 및 식생 감소
토양 침식심각한 토양 침식 문제
보전 노력조림을 통한 우선 지역 식별
지리적 위치
위치중국 북부
관련 지역무우스 사막
산시 성
훈위안 현

2. 지리적 범위

황토고원은 동쪽으로는 타이항 산맥, 서쪽으로는 乌鞘岭|우초령중국어, 남쪽으로는 친링 산맥, 북쪽으로는 만리장성을 각각 경계로 한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산시성, 허난성, 산시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간쑤성에 걸쳐 있으며, 면적은 약 40만 제곱킬로미터(km2)이다.[4]

넓은 의미로는 황허 상류 유역을 포함하여 우란부허 사막이나 텅거리 사막 부근까지, 북쪽으로는 인산 산맥 부근까지 넓어진다. 중국과학원의 보고서(1991년)에 따르면 내몽골 자치구칭하이성의 일부도 포함되며, 면적은 635000km2로 중국 국토 면적의 6.6%를 차지한다.[31]

455x455px

3. 지질 및 지형



황토고원의 지형은 크게 황토 고원, 황토 능선, 황토 언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4] 탁상지(위안, 原)은 평평하고 황토 층이 많으며 주로 황토고원 남부에 있다. 황토 능선(량, 梁)은 침식으로 형성된 둥근 능선으로 황토고원 중앙에 있다. 황토 언덕(마오, 峁)은 원뿔 모양의 사구이며 황토고원 북부에 있다. 이 지형들은 황토의 침식퇴적에 의해 형성된다.[9]

황토고원의 지형은 대개 암석산에서 충적 평야로, 산기슭에서 강 계곡 벨트로 변화하며, 북서부에서 남동부로 반복된다.[4] 암석산은 황토 퇴적물보다 훨씬 높고, 높이와 지형은 위치에 따라 다르다.[4] 황토고원에서 가장 높은 산 중 하나인 마한산은 해발고도 약 3670m로, 황토선보다 1300m 높다. 산 정상은 평평하며 고(古) 준평원의 잔재가 있다.[4]

산기슭의 충적 평야는 선상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암석산 기슭에 위치한다.[4] 강 계곡 벨트에는 범람원, 하안단구, 강바닥이 있다. 높은 단구는 대부분 두꺼운 황토로 덮여 있고, 강한 침식으로 황토 능선이 되거나 약한 침식으로 황토 탁상지가 된다. 평탄한 유역은 건설과 농업에 중요하다.[4]

침식이 심한 곳에서는 1년에 수 m에서 수십 m가 깎여나간다. 강수에 의한 오랜 침식으로 무수한 계곡으로 덮인 대지는 가리 침식으로 평평한 지형을 새기는 특수한 경관을 보인다.

3. 1. 황토의 퇴적

황토는 주로 실트 크기의 입자로 구성된 풍성 퇴적물로, 담황색이나 회황색을 띤다. 황토는 층리가 없고, 다공질이며 투수성이 좋지만, 유수에 의한 침식에 약하고 붕괴되어 지형 변화를 일으키기 쉽다.[32]

황투고원의 황토는 북서쪽 사막 지대에서 바람에 실려 운반된 풍성진인 실트 및 그보다 작은 먼지(더스트) 크기의 입자로 여겨진다. 황토고원의 황토 두께는 평균 50m에서 80m에 달한다. 중앙부인 간쑤성 동부에서 산시성 북부에서는 150m - 200m, 최대 300m에 가깝다.

황토고원의 황토는 실트분이 70 - 80%, 점토분이 10 - 20% 정도이다. 크기는 중앙 입경으로 10 - 40 μm 정도이며, 공급원으로부터 멀리 북서부에서 남동부로 갈수록 점점 더 가늘어진다. 탄산 칼슘이 15% 정도로 비교적 많지만, 공급원인 타클라마칸 사막 주변에 석회암이 많은 것이 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지질 조사를 통해 확인된 가장 오래된 황토는 26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신제3기에 히말라야 산맥이 융기하는 지각 변동이 일어나면서 남쪽에서 습한 몬순이 들어오지 못하게 되어 아시아 내륙이 건조해지고, 타클라마칸 사막이나 고비 사막이 생겨나면서 여기서부터의 풍성진이 두껍게 퇴적되어 황토고원을 만들었다고 생각된다.

황토가 퇴적하는 빙기와 퇴적물의 풍화된 고토양 생성이 일어나는 간빙기가 반복되는 기후 변화에 의해, 두꺼운 황토 속에도 성질이 다른 층서가 생겼다. 황토층은 가장 새로운 L1에서 순서대로 가장 오래된 L33 황토까지 구분되어 있다. 그중, 258 - 120만 년 전은 오청(우첸) 황토, 120 - 10만 년 전은 리스(리시) 황토, 10 - 1.1만 년 전은 마란(마란) 황토로 3개로 나뉜다. 또한, 침식에 의한 부정합이나 사력층의 수성 퇴적물을 포함하고 있다.

황토층에서는 화석, 식물의 포자, 석기, 유물 (진시황릉 및 병마용의 발견) 등, 다채로운 역사를 보여주는 출토물도 있다.

3. 2. 지형 발달 과정

황투고원의 지형 발달 과정
시대설명
초기 백악기기후가 덥고 건조해지면서 붉은 지층이 형성되었다.[4]
후기 백악기옌산 운동이 일어나 암석 지층의 습곡과 단층을 유발했다. 일부 암석은 융기하여 헬란 산과 육반 산과 같은 산을 형성했고, 일부는 침강하여 하타 퇴적 평원과 같은 강 유역을 형성했다.[4]
초기 및 중기 플리오세장기간의 침식과 평탄화로 인해 이 지역은 거대한 준평원이 되었다. 구조 운동으로 인해 많은 산간 분지가 형성되었는데, 산과 분지의 고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4] 건조한 기후로 붉은색 풍화 물질이 형성되어 분지에서 붉은색 퇴적물을 발견할 수 있다. 플리오세의 히파리온 동물군 적색층은 황토고원의 기초이다.[4]
후기 플리오세지속적인 침식과 준평탄화가 다시 시작되었다. 히파리온 동물군 적색층 퇴적물로 구성된 분지의 수위는 점차 감소하여 말라버렸다.[4]
초기 제4기후기 플리오세와 초기 제4기에 활발한 지각 운동이 있었다. 지각 운동과 추운 기후로 인해 황토의 퇴적 환경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황토 퇴적은 240만 년 전에 시작되었다.[4]
제4기티베트 고원의 융기로 동아시아 몬순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제4기에 들어서면서 기후가 더욱 건조해졌고, 대량의 미사 물질이 물리적 풍화에 의해 형성되어 황토고원 황토의 원천이 되었다.[4] 퇴적물은 먼지 폭풍과 몬순 바람을 통해 황토고원으로 운반되었으며, 황토고원의 건조한 기후로 인해 천천히 미사 퇴적물에서 황토로 변했다.[4]
중기 플라이스토세황토고원 전역에서 침식 또한 강력하게 발생하면서, 협곡, 수직 황토 절리, 풍력 절벽을 포함한 많은 침식 지형이 형성되기 시작했다.[4]
현재황토고원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많은 농업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집중적인 농업 활동은 토양 침식, 산사태, 토석류를 유발했고, 지각 융기로 인해 퇴적 환경이었던 황토 플랫폼과 능선이 침식 환경으로 바뀌었다.[4][8]



결론적으로, 황토고원의 지형은 신생대 이후의 구조 운동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 후, 제4기의 동아시아 몬순으로 인해 황토와 다양한 침식 지형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황토고원의 많은 지역이 침식 환경으로 바뀌었다.[4][8]

강수에 의한 오랜 침식으로 무수한 계곡으로 덮인 대지는 가리 침식으로 평평한 지형을 새기는 특수한 경관을 보인다. 침식에 의한 특징적인 지형 중 일부는 "위안", "량", "마오"라고 불린다. 위안은 곡두 침식이 일어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평탄한 탁상 지형이다. 량은 둥근 능선이 곧게 늘어선 지형으로 황토 산릉이라고도 부른다. 마오는 타원형이나 원형의 만두와 같은 언덕으로 황토 원정구라고도 부른다. 이들은 진행하는 침식의 다른 단계를 보여준다는 설과, 원래 지형의 차이에 의해 생겨났다는 설이 있다.

3. 3. 주요 지형



황토고원의 지형은 크게 황토 고원, 황토 능선, 황토 언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4] 탁상지(위안, 原)은 평평하고 많은 황토 층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황토고원 남부에 위치한다. 황토 능선(량, 梁)은 침식에 의해 형성된 둥근 능선으로 황토고원 중앙에 위치한다. 황토 언덕(마오, 峁)은 원뿔 모양의 사구이며 황토고원 북부에 위치한다. 황토고원의 지형은 황토의 침식퇴적에 의해 형성된다.[9]

황토고원에서 지형은 대개 암석산에서 충적 평야로, 산기슭에서 강 계곡 벨트로 변화한다. 이 패턴은 황토고원의 북서부에서 남동부로 반복된다.[4]

암석산의 높이는 황토 퇴적물보다 훨씬 높다. 산의 높이와 지형은 위치에 따라 다르다.[4] 황토고원에서 가장 높은 산 중 하나는 마한산이다. 이 산의 해발고도는 약 3670m이며, 황토선보다 1300m 높다. 평평한 산꼭대기가 있고, 산 정상에는 고(古) 준평원의 잔재가 있다.[4]

산기슭의 충적 평야는 이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는 선상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암석산의 기슭에 위치한다.[4]

강 계곡 벨트에는 범람원, 하안단구 및 강바닥이 포함된다. 높이가 높은 단구는 대부분 두꺼운 황토로 덮여 있다. 강한 침식으로 인해 황토 능선이라는 또 다른 형태의 풍경으로 바뀔 것이다. 침식이 약하면 높은 단구는 황토 탁상지로 변한다. 계곡 평탄지 및 낮은 단구를 포함하는 이러한 평평한 유역은 건설 및 농업 활동에 중요하다.[4]

침식이 심한 곳에서는 1년에 수 m에서 수십 m가 깎여나간다. 강수에 의한 오랜 침식으로 무수한 계곡으로 덮인 대지는 가리 침식으로 평평한 지형을 새기는 특수한 경관을 보인다.

침식에 의한 특징적인 지형 중 일부는 "위안(原)", "량(梁)", "마오(峁)"라고 불린다. 위안은 곡두 침식이 일어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평탄한 탁상 지형이다. 량은 둥근 능선이 곧게 늘어선 지형으로 황토 산릉이라고도 부른다. 마오는 타원형이나 원형의 만두와 같은 언덕으로 황토 원정구라고도 부른다.

4. 기후 및 환경

황투고원은 아한대 몬순의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대륙성 기후와 불안정한 몬순 기후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다. 황하를 중심으로 200개 이상의 지류가 발원하며, 주요 강으로는 위하, 펀허 등이 있다. 우기의 황하는 황토로 인해 탁하며, 물 1톤당 40kg의 실트가 포함되어 있다. 강 유량은 연간 185억 세제곱미터(황하 본류 제외)로 풍부하지 않으며, 우기에 집중되고 그 외 시기에는 대부분 말라버린다.

지하수는 대부분 지표면에서 50m 이상 깊은 곳에 있으며, 얕은 곳에는 거의 없다. 지하수 흐름은 미세한 황토를 운반하여 빈 공간을 만들고, 이는 함몰을 유발하기도 한다.[33]

덥고 추운 기후를 견디기 위해 주민들은 굳은 황토에 요동(야오통)이라는 횡혈식 주거를 짓고 생활한다. 1556년 화현 지진에서는 황토 액상화 현상으로 요동이 붕괴되어 80만 명 이상이 사망하기도 했다. 1930년대 옌안에서 마오쩌둥이 건설한 중국 공산당 근거지도 요동을 이용했다.

황토는 탄산 칼슘, , 칼륨 등 영양분이 풍부하여 하류 지역의 농경 문화와 황하 문명 발달에 기여했다.[34] 그러나 황토는 알칼리성이며 굳어서 식물이 자라기 어렵고, 한번 나무를 베면 숲이 재생되기 어렵다. 과거에는 숲으로 덮여 있었으나, 전쟁, 도시 건설, 연료 사용, 과도한 농경 및 방목 등으로 인해 산림이 크게 감소했다.[35]

4. 1. 기후 변화

황투고원은 과거 서늘하고 건조한 기후였으나 현재는 더 습윤한 기후로 변화하고 있다.[8] 북부는 반건조 기후,[8] 남부는 아습윤 기후를 보인다.[8] 이러한 기후 변화는 지난 2000년 동안, 특히 지난 600년 동안 더욱 심각한 기상 이변을 초래하여 홍수와 가뭄이 더 자주 발생하고 있다.[8]

연간 강수량은 감소하고 있으며,[8] 강수량의 40~60%가 6월에서 8월 사이에 집중되는 불균등한 분포를 보인다.[8] 황토고원 일대는 아한대 몬순의 영향을 받는 지역의 변두리에 위치하며, 대륙성 기후와 불안정한 몬순 기후의 영향을 모두 강하게 받는다. 연간 강수량은 200-600mm 정도로 적지만, 그 70%가 여름철에 집중되며, 종종 한 번의 비로 연 강수량의 30%를 차지하는 호우가 내린다. 이러한 불균등한 강수 분포는 황사 현상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키고,[8] 심각한 토양 침식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된다.

황토고원은 일조량이 좋고, 연평균 기온은 8도에서 14도로, 서리가 내리지 않는 기간은 연 120일에서 200일로 따뜻하다.

4. 2. 환경 문제

황토고원은 급격한 인구 증가와 기후 변화로 인해 여러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1600년대부터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0년에는 1억 400만 명에 달했다.[23] 이러한 인구 증가는 식량 수요 증가로 이어져, 사람들은 농경지를 확보하기 위해 숲을 개간하고, 연료 및 건축 자재로 나무를 사용하게 되었다.[8] 이는 산림 벌채를 가속화시켜 식생 피복을 약 45% 감소시켰다.[8]

식생 피복 감소는 침투를 감소시켜 토양 수분을 감소시키고, 이는 다시 토양 침식을 가속화한다. 황허 퇴적물의 90% 이상이 황토고원에서 발생한다.[8] 황토고원을 형성하는 황토는 탄산 칼슘, , 칼륨 등 영양분이 풍부하지만,[34] 인간의 활동으로 숲과 초원이 사라지면서 비로 인해 부엽토 등 영양분이 풍부한 표토는 거의 다 유실되어 식생 재생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황토고원에서 토양 유실이 심한 부분은 27만 km2에 달하며, 특히 그 중 11만 km2는 심각한 상태이다. 심각한 지역에서는 1 km2당 3.57만 톤의 흙이 유실된다. 토양 유실은 표토 상실, 보수 능력 상실, 농경 쇠퇴, 지역 경제 쇠퇴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댐이나 운하를 매몰시키고 강의 흐름을 방해하는 등 치수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바람이나 폭풍으로 인해 토사가 날리는 경우도 많아 황사의 발생원 중 하나로 꼽힌다.

황토고원은 황사, 홍수 및 가뭄, 메뚜기 떼, 산사태 등 다양한 자연재해에 취약하다.[8] 특히 황사 발생 횟수가 증가하고 강도도 강해지고 있으며,[8] 황사 물질은 대한민국, 일본, 심지어 유럽 알프스까지 이동하여[8] 농지를 덮고, 인간의 호흡기에 영향을 미치며, 가축과 사람의 사망을 초래하기도 한다.[8]

1994년부터 중국 정부는 사막화와 토양 유실 방지를 위해 황토고원 재생 계획(수토 보전 프로젝트)을 시작했고,[36] 1999년부터는 "퇴경환림 정책"을 실시하여 경사지 농지를 산림으로 되돌리고 농가에 보조금을 지급하여 과수 재배 등으로 전환을 유도했다.[37] 일본 등과의 정부 개발 원조(ODA) 및 민간 단체의 활동도 황토고원 녹화 사업에 기여했다.[38] 이러한 노력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나무와 풀이 다시 자라고 농업이 부활하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

4. 3. 자연재해

황토고원에서는 황사, 홍수, 가뭄, 메뚜기 떼, 산사태 등 다양한 자연재해가 발생한다.[8]

황사는 발생 횟수가 증가하고 강도도 더욱 강해지고 있다.[8] 황사 물질은 매우 먼 거리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심지어 유럽 알프스에도 영향을 미친다.[8] 황사는 거대한 농지를 덮어버리고, 인간의 호흡기에 영향을 미치며, 가축과 사람의 사망을 초래하기도 한다.[8]

홍수가뭄의 빈도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24] 가뭄이 증가하면 날씨가 더욱 극심해져 홍수 발생 횟수도 증가하기 때문이다.[8] 황토고원에서는 홍수와 가뭄의 빈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있다.[8]

황토고원은 기후가 더 서늘하고 습해짐에 따라 메뚜기 떼에 더욱 취약해진다.[8] 메뚜기 떼는 농지를 파괴하고 작물 수확량을 감소시킨다.

1965년부터 1979년까지 황토고원에서 발생한 1,000건 이상의 산사태는 지진 충격과 몬순 여름 강우로 인해 발생했다.[8]

5. 인간과 환경

황토고원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토양 침식 지역 중 하나이다.[25] 이 지역의 토양 침식은 식생, 강수량, 바람, 기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최근에는 인간의 활동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황토고원의 산림 피복은 지난 3천 년 동안 8배나 감소하여 1949년에 최저 수준에 도달했으며, 이로 인해 연간 1km2당 3700톤의 토양 침식이 발생했다.[26]

1949년부터 2000년까지 황토고원의 인구는 3배 증가하여 2000년에는 1억 400만 명에 달했다.[8] 경사지의 70% 이상이 농업 활동에 사용되고 있으며,[27] 가파른 경사지에서의 농업은 폭우와 폭풍 발생 시 황토가 쉽게 씻겨 내려가 심각한 토양 침식을 유발한다. 1999년에는 대부분의 초지가 과도한 방목으로 인해 토지 황폐화 문제를 겪고 있었다.[27] 채광과 건설도 토양 침식의 원인이다.

황토고원을 형성하는 황토는 탄산 칼슘, , 칼륨, 붕소, 망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이 영양분 많은 토양이 매년 황하로 흘러내려 하류에서 홍수를 일으키고 퇴적되어 농경 문화와 황하 문명이 발달했다.[34] 반면 황토고원의 토양은 알칼리성이며, 게다가 황토가 굳어 식물이 자라기 어렵다. 한번 나무를 베면 숲이 재생되기 어려운 곳이다. 그러나 인간의 활동으로 숲과 초원이 사라져, 비로 인해 부엽토 등 영양분이 풍부한 표토는 거의 다 흘러가 버렸고, 더욱더 식생의 재생이 어려워지고 있다.

황토고원에서 토양 유실이 심한 부분은 27만 km2에 달하며, 특히 그 중 11만 km2는 심각한 상태에 있다. 심각한 지역에서는 1 km2당 3.57ton의 흙이 유실되는 것으로 계산된다. 토양 유실은 표토 상실, 보수 능력 상실, 농경 쇠퇴, 지역 경제 쇠퇴뿐만 아니라, 댐이나 운하 매몰, 강의 흐름 방해 등 치수 문제도 야기한다. 또한 물에 의한 유출뿐만 아니라 바람이나 폭풍으로 인해 토사가 날리는 경우도 많아, 황사의 발생원 중 하나로 꼽힌다.

5. 1. 역사적 배경

왕조 시대에 황토고원 대부분은 산림 지대였으며, 아시아 코끼리 같은 대형 동물도 서식했다. 그러나 숲은 기후 변화뿐만 아니라 전쟁으로 인한 혼란, 도시, 요새, 장성 건설에 필요한 목재 벌채, 벽돌 제조, 금속정련, 생활용 연료로 사용되는 나무의 무분별한 벌채, 인구 증가에 따른 과도한 농경과 방목[35] 등으로 점차 감소했다. 1950년대 이후에는 극단적인 농지 개발로 황폐화가 가속화되었다. 인구 증가로 식량 수요가 늘면서 산림 벌채와 과도한 경작이 반복되는 악순환이 일어났다.

5. 2. 주거 형태

덥고 추운 여름과 겨울을 견디기 위해, 사람들은 굳은 황토에 구멍을 파고 요동(야오통)이라고 불리는 튼튼하고 기온차가 작은 횡혈식 주거를 짓고 있다. 이러한 주거는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33] 1556년 화현 지진에서는 황토가 무너져 액상화 현상을 일으켜 요동이 붕괴되어 80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 1930년대 옌안에서 마오쩌둥이 건설한 중국 공산당의 근거지는 요동을 이용한 것이었다. 미국인 기자 에드거 스노우가 옌안을 방문했을 때, 마오쩌둥 등의 주거는 산의 구멍 속에 있었다고 한다.[33]

5. 3. 환경 복원 노력

중국 정부는 황토고원의 심각한 토양 침식 문제 해결을 위해 1960년대부터 녹지 조성 사업 등 산림 복원 노력을 시작했다.[26]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산림 피복이 15,000 km² 증가했다.[28]

1994년에는 황토고원 재생 계획(수토 보전 프로젝트)을 시작하여, 조림 사업과 농민들에게 지속 가능한 목축 및 농경을 교육하는 사업 등을 진행했다.[36] 1999년부터는 경사지의 농지를 산림으로 복원하고 농가에 묘목 대금, 생활비, 식량 등을 지원하는 "퇴경환림 정책"을 실시했다.[37]

토양 및 수자원 보전 연구소는 보전 생태 농업 건설을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전략을 장려했다:[27]

  • 풀과 관목을 포함한 식생 복원
  • 계단식 농법과 같은 필수 곡물 경작지 건설
  • 더 많은 현금 작물과 나무 심기
  • 축산업


보전 및 지속 가능한 건설은 세 단계로 나뉜다.

단계설명
초기 복원주로 토지 이용을 관리하고 가파른 경사지의 경작지를 산림과 목초지로 복원. 경제적 이익보다는 생태학적 발전에 중점.[27]
안정적인 개선목초지와 현금 작물의 이익을 증가시키고 농업 활동에 대한 투입을 늘리는 것을 목표. 전통적인 관습을 바꾸어 농부들이 보전 관행을 적용하도록 장려.[27]
최종 개발대부분의 전략이 잘 개발됨. 농부들은 작물을 재배하는 전통적인 방법을 바꾸었고,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전을 배우려 함. 그 결과 토양 침식이 70% 감소하고 농부들의 수입도 8배 증가.[27]



일본 등과의 정부 개발 원조(ODA) 및 민간 단체의 활동도 황토고원 녹화 사업에 기여했다.[38] 이러한 노력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나무와 풀이 다시 자라고 농업이 부활하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

5. 4.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

중국 정부는 황토고원의 심각한 토양 침식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 가능한 농업 및 토양 보전 전략을 추진해왔다. 1960년대부터 녹지 조성 사업을 통한 산림 복원 노력이 시작되었으며,[26]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산림 피복이 15,000 km² 증가했다.[28]

토양 및 수자원 보전 연구소는 보전 생태 농업 건설을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전략을 제시했다:[27]

  • 풀과 관목을 포함한 식생 복원
  • 계단식 농법과 같은 필수 곡물 경작지 건설
  • 더 많은 현금 작물과 나무 심기
  • 축산업 개선


보전 및 지속 가능한 건설은 세 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

황토고원 보전 및 지속 가능한 건설 단계
단계설명
초기 복원토지 이용 관리 및 가파른 경사지 경작지를 산림과 목초지로 복원. 경제적 이익보다는 생태학적 발전에 중점.[27]
안정적인 개선목초지와 현금 작물의 이익 증대, 농업 활동 투입 증가, 농부들의 보전 관행 적용 장려. 보전 관행 장려 후 황토고원의 농부들은 토양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27]
최종 개발대부분의 전략이 잘 개발됨. 농부들은 작물 재배 전통적 방법 변경. 환경 보호 중요성 인식 확산 및 보전 학습 증가. 결과적으로 토양 침식 70% 감소, 농부 수입 8배 증가.[27]



1994년에는 사막화와 토양 유실 방지를 위해 중국 정부 주도의 황토고원 재생 계획(수토 보전 프로젝트)이 시작되었으며,[36] 조림 사업, 농민 교육을 통한 지속 가능한 목축 및 농경 장려 등이 진행되었다. 1999년부터는 간쑤성, 산시성 등에서, 2003년부터는 전국적으로 "퇴경환림 정책"이 실시되어,[37] 경사지 농지를 산림으로 복원하고 농가에 보조금을 지급하여 과수 재배 등으로 전환을 촉구했다. 일본 등과의 정부 개발 원조 (ODA) 및 민간 단체의 활동도 황토고원 녹화 사업에 기여했다.[38] 이러한 노력의 결과, 일부 지역에서는 녹음이 회복되고 농업이 부활하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다.

6. 한국에 미치는 영향 (별도)

황투고원에서 발생한 황사편서풍을 타고 대한민국에 영향을 미친다. 황사는 농지를 덮고, 인간과 가축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황사 발생 횟수와 강도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8]

6. 1. 황사 문제

황토고원에서 발생한 황사편서풍을 타고 대한민국, 일본, 심지어 유럽 알프스에도 영향을 미친다.[8] 황사는 거대한 농지를 덮어버리고, 인간의 호흡기에 영향을 미치며, 가축과 사람의 사망을 초래하기도 한다.[8] 황사 발생 횟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더욱 강해지고 있다.[8]

참조

[1] encyclopedia Loess Plateau https://www.britanni[...]
[2] 논문 From dust to dust: Quaternary wind erosion of the Mu Us Desert and Loess Plateau, China https://doi.org/10.1[...] 2015
[3] 논문 Provenance of loess material and formation of loess deposits on the Chinese Loess Plateau https://www.scienced[...] 2002
[4] 논문 On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Loess Plateau in China https://www.research[...] 1992
[5] 논문 Identification of priority areas for afforestation in the Loess Plateau region of China 2022-07-01
[6] 논문 Agricultural vulnerability over the Chinese Loess Plateau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2016-04
[7] 논문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Loess vertical joints on the Chinese Loess Plateau at different spatiotemporal scales https://www.scienced[...] 2020
[8] 논문 Historical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Chinese Loess Plateau https://www.scienced[...] 2006
[9] 논문 A new model of topographic effects on the distribution of loess https://www.scienced[...] 1999
[10] 논문 Genetic linkage between the Yellow River, the Mu Us desert and the Chinese Loess Plateau https://www.scienced[...] 2013
[11] 논문 Turbulent wind flow over a low hill https://onlinelibrar[...] 1975
[12] 논문 Lvliang typical Loess landslide mechanism and characteristics 2011
[13] 논문 Three-dimensional geological structures and sliding factors and modes of loess landslides. 2018
[14] 논문 Method to predict cropland ephemeral gully erosion https://www.scienced[...] 1999
[15] 논문 A gully erosion assessment model for the Chinese Loess Plateau based on changes in gully length and area https://www.scienced[...] 2017
[16] 논문 Global Multi-Resolution Topography synthesis 2009
[17] 논문 Loess geology and surface processes: An introductory note https://www.scienced[...] 2020-09-15
[18] 논문 Loessification and hydroconsolidation: There is a connection https://www.scienced[...] 2014
[19] 논문 Coeval changes in grain size and sedimentation rate of eolian loess, the Chinese Loess Plateau 2001
[20] 논문 Desert distributions during the glacial maximum and climatic optimum: Example of China 1998-03-01
[21] 논문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dust storms in China and its surrounding regions, 1960–1999: Relations to source area and climate http://doi.wiley.com[...] 2001
[22] 논문 Provenance, transport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aeolian dust in western Gansu Province, China, and interpretation of the Quaternary loess record https://www.scienced[...] 1998
[23] 논문 Seven million years of wind and precipitation variability on the Chinese Loess Plateau https://www.scienced[...] 2010
[24] 논문 Historical bank-breachings of the lower Yellow River as influenced by drainage basin factors https://www.scienced[...] 2001
[25] 논문 Soil moisture decline due to afforestation across the Loess Plateau, China https://www.scienced[...] 2017-03-01
[26] 웹사이트 Central China Loess Plateau Mixed Forests https://www.oneearth[...] 2024-08-19
[27] 논문 Soil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Agriculture on the Loess Plateau: Challenges and Prospects https://www.jstor.or[...] 1999
[28] 논문 Tracking Reforestation in the Loess Plateau, China after the "Grain for Green" Project through Integrating PALSAR and Landsat Imagery 2019-01
[29] 간행물 2024-10-12
[30] 간행물 2024-10-12
[31] 논문 1980—2016年黄土高原地区人口和可达性异速标度分析
[32] 문서 loess, ブリタニカ百科事典
[33] 문서 黄土高原に見られる陥没を特に「黄土陥没」と呼ぶ。地質学的には「ドリーネ」という。
[34] 문서 河川により運搬された黄土より成る土壌が、柔らかく肥沃であったため、原始的な農具でも耕作が容易であったことによると考えられている。
[35] 문서 春秋戦国時代における人口増加に伴う開拓と、農具の発展による効率的な森林伐採が進んだ。
[36] 뉴스 中国、黄土高原で行った水土保持プロジェクトが成果を上げる http://www.china.org[...] チャイナネット 2005
[37] 보고서 中国黄土高原に見る退耕還林政策 http://www.nochuri.c[...] 農林中金総合研究所
[38] 웹사이트 山西省黄土高原植林事業 - ODAが見える。わかる。 https://www.jica.go.[...] 국제협력기구(J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