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서주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서주랑은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 서부에 위치한 좁고 긴 평야 지대로, 기련산맥과 고비 사막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둔황, 자위관, 주취안 등 주요 도시들이 위치하며, 란저우를 포함한 간쑤성의 오아시스 도시들을 연결한다. 온대 건조 및 반건조 기후를 보이며, 고대부터 흉노, 한나라, 당나라, 서하, 원나라 등 다양한 왕조의 지배를 받아 실크로드의 중요한 통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쑤성의 지리 - 황투고원
황토고원은 중국 북부에 위치하며, 황토 퇴적으로 형성된 광대한 지역으로, 토양 침식, 사막화 등의 환경 문제와 한국에 대한 영향도 지니고 있다. - 간쑤성의 지리 - 쿠부치 사막
쿠부치 사막은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하며 심각한 사막화 문제에 직면해 있지만, 정부와 기업의 지원으로 녹지 복원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어 2017년까지 사막 면적의 약 30%가 녹지로 복원되었고,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잠재력을 가진 곳이다. - 하서주랑 - 우웨이시
우웨이시는 간쑤성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하서회랑의 요충지이자 실크로드의 중요 거점이었으며, 현재는 농업이 발달한 간쑤성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이다. - 하서주랑 - 자위관시
간쑤성 서북부 하서주랑 중간에 위치한 자위관시는 냉 사막 기후를 띠며 2개의 가도와 3개의 진으로 구성된 교통 요충지인 지급시이다. - 중국의 평야 - 둥베이 평원
둥베이 평원은 중국 동북부에 위치하여 비옥한 흑토와 넓은 경작지를 기반으로 주요 농업 지대를 이루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의 터전이자 풍부한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한반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 중국의 평야 - 관중 (지명)
관중은 중국 산시성 중앙부와 허난성 서북단을 포함하는 시안시 중심의 평원 지대로, 여러 왕조의 수도로서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에는 서부 지역의 경제 중심지이다.
하서주랑 | |
---|---|
위치 정보 | |
개요 | |
다른 이름 | 간쑤 회랑 |
위치 | 중국 간쑤성 |
범위 | 동쪽: 우샤오산 |
길이 | 1000-1200 km |
폭 | 40-100 km |
주요 도시 | 둔황 위먼시 자위관시 주취안 장예 진창 우웨이 란저우 |
![]() | |
![]() | |
지리 | |
특징 | 실크로드의 중요한 통로 |
지형 | 평탄한 지형 비옥한 토양 오아시스 존재 |
역사 | |
중요성 | 중국 본토와 서역을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 실크로드의 주요 통로 |
영향 | 동서양 문화 교류의 중심지 불교 전파의 중요한 경로 |
문화 | |
유적 | 막고굴 병령사 쇄금성 |
로마자 표기 | |
중국어 병음 | Héxī Zǒuláng |
동간어 | Хәщи зулон |
소아경 | حْسِ ظِوْلاْ |
참고 문헌 | |
서적 | 제목: 읽는 사전 실크로드의 세계 편집자: 실크로드 검정 실행위원회 출판사: NHK 출판 날짜: 2019년 2월 ISBN: 9784140817742 페이지: 44 |
2. 지리
하서주랑은 간쑤성 서부에 위치한 좁고 긴 통로로, 남쪽의 치롄산맥과 북쪽의 고비 사막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우사오린 언덕에서 옥문관까지 에 걸쳐 뻗어 있으며, 이 길을 따라 치롄산맥에서 발원하는 스양강, 진촨강, 에진강(헤이허), 슐레강 등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비옥한 오아시스가 많이 있다.[9]
오아시스 주변 환경은 매우 척박하다. 남쪽에는 눈 덮인 치롄산맥이, 북쪽에는 베이산 산악 지대, 알라산 고원, 광활한 고비 사막이 펼쳐져 있다.[10] 지질학적으로 하서주랑은 티베트 고원 북동부 가장자리에 위치한 신생대 전단분지 시스템에 속한다.[10]
고대의 길은 하이둥, 시닝 및 거연해 주변을 지나갔으며, 약 의 유효 면적을 제공했다. 이곳은 산과 사막이 낙타 무역을 좁은 길로 제한하는 지역으로, 비교적 작은 요새로 통과하는 교통을 제어할 수 있었다.[11]
자위관 관문은 하서주랑의 가장 좁은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위관 시에서 남서쪽으로 약 떨어져 있다. 자위관 요새는 서쪽에 있는 만리장성의 첫 번째 요새이다.
동쪽은 오소령에서 시작하여 서쪽은 옥문관, 남북으로는 남산(기련산맥과 알틴산맥)과 북산(마총산, 합려산 및 용수산) 사이의 길이가 약 900km, 폭이 수 km에서 100km에 가까운 불규칙한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좁고 긴 평지이다.
이 지역은 간쑤성의 란저우와, 6,500m급의 기련산맥을 수원으로 하는 사막 하천에 의해 윤택해지는 오아시스 도시군인 "하서사군": 우웨이(과거의 량저우), 장예(간저우), 주취안(쑤저우), 안시(과저우), 둔황(과저우)을 포함한다. 민족으로는 한족, 회족, 몽골족, 유구르족, 티베트족 등 많은 민족이 거주한다.
2. 1. 위치
동쪽은 우사오산에서 시작하여 서쪽은 옥문관까지 이어지며, 길이는 약 이다.[1][2] 면적은 약 이다.[1][2] 주요 도시로는 둔황, 위먼, 자위관, 주취안, 장예, 진창, 우웨이, 란저우 등이 있다.[3][4] 간쑤성 경계 바로 남쪽에 위치한 시닝은 칭하이성의 성도로, 북실크로드 상의 주요 상업 중심지 역할을 했다.[5]2. 2. 기후
하서주랑은 온대 건조 및 온대 반건조 기후로, 연 강수량은 100mm 전후이며,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가 심하고 건조한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에 속한다.[14]이 지역의 기후 특징은 연 강수량이 적고 증발량이 많다는 점이며, 특히 증발량은 강수량의 약 4.7~68배에 달한다.[14]
3. 역사
하서주랑은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해 온 유서 깊은 지역이다. 약 4800년 전, 황토 고원에서 온 조 농부들이 이곳에 정착하여 마가요 문화, 반산 문화, 마창 문화 등 신석기 문화를 꽃피웠다.[1][2][3]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 유물은 하서주랑의 마가요 유적에서 발견되었으며,[4] 약 4200년 전에는 청동 제련 기술과 함께 가축이 도입되어 기자 문화, 서진의 문화, 사바 문화 등 청동기 시대 사회가 발전했다.[5][6][7][8]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온 밀과 보리는 약 4000년 전 중앙아시아를 거쳐 하서주랑에 전해졌고,[9][10] 이후 기후 변화로 인해 가뭄에 강한 밀과 보리가 주요 작물이 되면서 농업 중심의 정착 생활에서 유목 생활로 변화가 나타나기도 했다.[11][12][13][14]
진나라 이전에는 월지, 오손, 강족 등 유목 민족들이 하서주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6] 흉노의 침입으로 월지가 쫓겨나면서 흉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6] 한나라는 한-흉노 전쟁을 통해 흉노를 몰아내고 하서주랑을 장악하여 서역으로 가는 길을 열었다.[15] 기원전 111년에는 무위, 장액, 주천, 둔황의 하서 4군(河西四郡중국어)을 설치하여 통치를 강화하고, 기원전 60년에는 서역도호부를 설치하여 타림 분지 지역을 관리했다.
신나라 시기 흉노의 재침략으로 잠시 혼란을 겪었으나, 후한 시기 두구가 흉노를 격파하고 서역도호부를 재건하면서 안정을 되찾았다. 당나라 시기에는 토번 제국과 타림 분지를 두고 분쟁을 벌였으며,[15] 안사의 난으로 인해 토번에 점령당하기도 했으나, 821년 평화 조약을 통해 국경을 확정했다.
11세기에는 탕구트족이 서하를 건국하여 하서주랑을 통치했으나,[12] 칭기즈 칸과 오고타이 칸의 몽골 제국에 의해 정복되어 원나라에 흡수되었다.[12]
3. 1. 선사 시대
약 4800년 전 (BP), 서부 황토 고원의 양사오 문화에서 온 조 농부들이 하서주랑에 처음 정착했다.[1] 이들은 중앙 아시아를 거쳐 유라시아와 아프리카로 조를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2] 이 시기에 마가요 문화, 반산 문화, 마창 문화 등 신석기 시대 문화가 발달했다.[3]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 물체는 하서주랑의 마가요 유적에서 발견되었으며,[4] 그 연대는 5000-4500 BP이다. 청동기 시대는 청동 제련 기술과 함께 약 4200 BP에 시작되었다.[5] 가축 또한 이 시기에 도입되었으며,[6] 사람들은 조와 밀을 경작하고 양, 돼지, 소, 말을 길렀다.[7] 이 시기의 청동기 시대 사회에는 기자 문화, 서진의 문화, 사바 문화, 사정 문화, 산마 문화가 있었다.[8]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온 밀과 보리는 약 4000 BP에 중앙 아시아를 통해 하서주랑에 들어왔고,[9] 이후 중국 본토로 퍼져나갔다.[10] 약 3700-3500 BP 경, 동아시아 몬순이 약해지면서,[11] 가뭄에 강한 밀과 보리가 하서주랑의 주요 작물이 되었다.[12] 이 시기(사정 문화 등)에는 정착지 수가 감소했고,[13] 농업보다 유목 생산이 중요해졌다.[14]
3. 2. 고대
진나라 (기원전 221–206년) 이전에는 월지, 오손, 강족 등 세 주요 유목 부족이 하서주랑에 있었다.[6] 이들은 사정 문화와 관련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오손은 산마 문화와 관련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7][8] 진나라 말기, 월지가 다른 두 부족을 제압하고 이 지역을 점령했다. 이후 묵돌 선우 휘하의 흉노 군대가 월지를 격파하여 쫓아내고, 초한 쟁패기와 전한 초기에 지배적인 연맹 제국을 세웠다.[6]
한나라 한 문제 재위 기간 중, 묵돌 선우의 아들 노상 선우는 기원전 162년에 다시 월지를 격파하여 다수의 월지 생존자(후에 대월지로 알려짐)가 서쪽으로 이주하도록 강요했으며, 이주하지 않은 소수의 월지 인구(소월지로 알려짐)는 강족과 섞여 흉노의 도기왕의 신하가 되었다. 이때 하서 회랑은 흉노의 완전한 통제하에 있었으며, 주로 혼야와 휴도 두 부족이 점령하고 있었다.
3. 3. 한나라
한-흉노 전쟁 중 한나라 장군 곽거병은 기원전 121년 흉노를 하서주랑에서 몰아냈다. 혼야왕이 곽거병에게 항복하면서 한나라는 서역으로 가는 무역로를 확보하고, 흉노와 강족의 동맹을 끊을 수 있었다.[15] 한나라는 이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기원전 111년 무위, 장액, 주천, 둔황의 하서 4군(河西四郡중국어)을 설치했다.기원전 60년에는 서역도호부를 설치하여 타림 분지 지역의 방어와 외교를 담당하게 했다.
신나라의 왕망 통치 기간 동안 한나라는 타림 분지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고, 흉노는 63년 이 지역을 재정복하여 하서주랑을 침략하는 기지로 사용했다. 후한 시기인 73년, 두구는 이오로 전투에서 흉노를 격파하고 서역도호부를 재건했다.
3. 4. 당나라
당나라는 내·중앙 아시아 지역의 지배권을 놓고 토번 제국과 싸웠다. 670년에서 692년 사이에 타림 분지 내 영토를 놓고 토번과의 장기간의 분쟁이 있었다.763년에는 안사의 난 기간 동안 토번군이 당나라의 수도인 장안을 15일 동안 점령하기도 했다. 이 반란 기간 동안 당나라는 현재의 간쑤성과 칭하이성에 주둔해 있던 서부 주둔군을 철수시켰고, 토번은 이를 점령하여 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과 함께 지배했다. 당나라와 토번 간의 적대 행위는 821년에 공식적인 평화 조약을 체결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두 나라 간의 국경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 이 조약의 내용은 라싸의 조캉 사원 외부에 있는 석주에 기록된 이중 언어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15]

3. 5. 서하 및 원나라
서하는 11세기에 탕구트족에 의해 건국되었다. 1038년부터 1227년까지 현재 중국 북서부의 간쑤성, 산시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지역을 통치했다.[12]칭기즈 칸은 1207년경 금나라 정복을 시작했고, 1227년 사망 이후에는 오고타이 칸이 이를 이어받았다.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는 1234년 한족이 지배하던 남송의 도움으로 멸망했다.
오고타이 칸은 1227년 서하를 정복하여 원나라에 흡수된 하서주랑 지역을 평정했다. 1028년경 강성해진 서하의 지배하에 들어갔던 하서주랑은 1226년 몽골에 의해 서하가 멸망한 이후 몽골의 지배에 들어갔다.[12]
참조
[1]
서적
"Dust in the Wind: Retracing Dharma Master Xuanzang's Western Pilgrimage"
經典雜誌編著
2006
[2]
웹사이트
Three Famous Corridors
https://english.igsn[...]
2020-11
[3]
웹사이트
Silk Road History of Hexi Corridor-China Silk Road Travel
https://www.china-si[...]
2024-11-13
[4]
웹사이트
Google Maps
https://www.google.c[...]
2024-11-13
[5]
웹사이트
Xining - Xining Travel Guide, Map, History, Attractions, Transportation
https://www.silkroad[...]
2024-11-13
[6]
웹사이트
Dunhuang History
http://www.travelchi[...]
2006-06-12
[7]
서적
The General Theory of Dunhuang Stud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2-03-25
[8]
간행물
Shajing Culture (Gansu, China): Main Sites and Problems of Chronology
http://paeas.ru/Arti[...]
2017
[9]
서적
"Dust in the Wind: Retracing Dharma Master Xuanzang's Western Pilgrimage"
經典雜誌編著
2006
[10]
간행물
Impact of tectonics on alluvial landforms in the Hexi Corridor, Northwest China
1999-07
[11]
웹사이트
The Silk Roads and Eurasian Geography
http://depts.washing[...]
2007-08-06
[12]
문서
河西走廊における地名の変遷 武威(涼州)と永昌(番和)について
1986
[13]
서적
読む事典シルクロードの世界
NHK出版
2019-02
[14]
간행물
中国西北部の水資源配置と砂漠化対策 甘粛省河西回廊の考察と黄土高原論
2005
[15]
간행물
中国西北における中国支配と中国文化 河西地方の場合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