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회개하는 도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개하는 도둑은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두 명의 강도 중 한 명으로, 누가복음에 따르면 예수를 비방하는 다른 강도와 달리 자신의 죄를 뉘우치고 예수에게 구원을 간청하여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는 약속을 받았다. 디스마스, 라흐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가톨릭과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신학적으로는 회개와 구원의 상징으로 해석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자주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년대 출생 - 오포니우스 티겔리누스
    네로 황제 시대의 로마 제국 정치가이자 친위대장인 오포니우스 티겔리누스는 경주마 사육으로 황제의 총애를 받아 권력을 잡고 남용하며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고, 네로 황제의 폭정을 부추겼으며, 로마 대화재 방화 혐의를 받고 네로 몰락 후 자살한 인물로, 여러 예술 작품에서 악의 화신으로 묘사됩니다.
  • 십자가형된 사람 - 필립보
    필립보는 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며,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나타나엘을 예수에게 인도하였으며, 오병이어 기적, 헬라인들과의 만남 주선, 아버지에 대한 질문 등으로 복음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외경과 유물, 그리고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십자가형된 사람 - 베드로
    베드로는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예수로부터 "케파스"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어부 출신으로 예수의 부름을 받아 제자가 되어 사역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형성에 기여했고, 수난 과정에서 예수를 부인한 후 회개하였으며, 오순절 설교와 이방인 전도를 통해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회개하는 도둑
성인 정보
베를린 국립 박물관 소장, 15세기 아랍 기독교 이콘,
15세기 아랍 기독교 이콘, "예수님,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 저를 기억하소서"라고 적혀 있음.
존칭 접두사성인
이름디스마스
존칭 접미사착한 도둑
사망일기원후 30–33년경
기념일3월 25일 (로마 가톨릭)
성금요일 (동방 정교회)
숭배 대상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출생지갈릴래아, 헤롯 왕국 유대, 로마 제국
사망 장소골고타 언덕 외부 예루살렘, 유대 (로마 속주), 로마 제국
사망 원인십자가형
칭호첫 번째 성인
시성일기원후 30–33년경
시성 장소골고타 언덕 외부 예루살렘
시성자예수 그리스도
상징물허리덮개를 입고 십자가를 들고 있거나 십자가에 못 박혀 있으며, 때로는 낙원에 묘사됨.
수호죄수 (사형 선고자)
장례 지도사
회개한 도둑
메리조, 괌
산디마스 (멕시코), 멕시코
성 디스마 성당, 다네모라 (뉴욕 주), 뉴욕 (주)
주요 성지성 헬레나 예배당, 성묘 교회, 예루살렘
기타 정보
이름 정보디스마스라는 이름은 니고데모 복음서에서 유래함.
추가 정보성 안드레아와 함께 묻힘.

2. 복음서의 기록

러시아 정교회 성상 천국의 착한 도둑, 로스토프 크렘린, 16세기경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힐 때, 그의 양옆으로 두 명의 죄인이 함께 십자가형을 당했다.[10] 마가복음은 이를 이사야서 53장 12절의 예언("그는 범죄자들과 함께 헤아림을 받았다")이 성취된 것으로 해석한다.[11]

각 복음서는 이 두 죄인에 대해 조금씩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에 따르면 두 죄인 모두 예수를 조롱했다.[12] 반면, 누가복음에서는 한 죄인은 예수를 비방했지만, 다른 한 죄인은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예수에게 구원을 청했으며, 예수는 그에게 낙원을 약속했다고 전한다.[13] 요한복음은 이들을 단순히 "다른 두 사람"이라고만 언급하며 자세한 내용은 기록하지 않았다.

그리스도를 하느님의 아들로 알아보고 죄를 뉘우친 이 죄인은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천국을 약속받았다. 그의 이름으로 알려진 '디스마스'는 후대에 성인 명단에 올리기 위해 붙여진 이름으로 여겨지며, 본명은 전해지지 않는다. 정교회에서는 그를 특정 이름 없이 '우측 강도'라고 부른다.

또한, 아기 예수가 부모와 함께 헤로데의 박해를 피해 이집트로 피난할 당시 하룻밤 신세를 진 집의 아들이 바로 이 회개하는 도둑이었다는 전승도 있다.

2. 1. 누가복음



예수와 동시에 두 사람이 십자가에 못 박혔는데, 한 사람은 그의 오른쪽에, 다른 한 사람은 그의 왼쪽에 있었다.[10] 이는 마가복음이 이사야 53장 12절("그는 범죄자들과 함께 헤아림을 받았다")의 예언이 성취된 것으로 해석하는 부분이다.[11]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에 따르면, 두 도둑 모두 예수를 조롱했지만,[12] 누가복음의 기록은 다르다.

누가복음 23장 39절부터 43절까지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39 그 때 달려 있던 한 행악자가 예수를 비방하여 이르되 네가 만일 그리스도라면 너 자신과 우리를 구원하라 하되40 다른 한 사람은 그를 꾸짖어 이르되 네가 동일한 정죄를 받고도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41 우리는 우리가 행한 일에 상당한 보응을 받는 것이니 이에 당연하거니와 이 사람이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하고42 이르되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기억하소서 하니4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13]


요한복음은 예수의 죽음에 대한 기록에서 이들을 죄명을 언급하지 않고 "....그리고 다른 두 사람"이라고만 언급한다.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두 죄인 중 한 명인 회개하는 도둑은, 그리스도를 하느님의 아들로 인정하고 자신의 죄를 고백하며 뉘우쳤다. 그 결과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천국행을 약속받았다.

'디스마스'라는 이름은 후대에 성인 명단에 올리기 위해 붙여진 가명으로 추정되며, 본명은 알려져 있지 않다. 정교회에서는 특별히 이름으로 부르지 않고, "우측 강도"라고만 칭한다.

전승에 따르면, 그리스도가 아기였을 때 부모와 함께 헤로데의 박해를 피해 이집트로 피난 가던 중, 하룻밤 묵을 곳을 빌려준 집의 아들이 바로 이 회개하는 도둑이었다고 한다.

2. 2. 다른 복음서와의 비교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힐 때, 그의 양옆에도 두 사람이 함께 십자가형을 당했다.[10] 마가복음은 이를 이사야 53장 12절("그는 범죄자들과 함께 헤아림을 받았다")의 예언이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한다.[11]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에 따르면, 십자가에 달린 두 강도 모두 예수를 조롱했다.[12] 그러나 누가복음은 다르게 기록한다. 한 강도는 예수를 비방했지만, 다른 한 강도는 그를 꾸짖으며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예수에게 구원을 요청했다는 것이다. 누가복음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 39 그 때 달려 있던 한 행악자가 예수를 비방하여 이르되 네가 만일 그리스도라면 너 자신과 우리를 구원하라 하되

: 40 다른 한 사람은 그를 꾸짖어 이르되 네가 동일한 정죄를 받고도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

: 41 우리는 우리가 행한 일에 상당한 보응을 받는 것이니 이에 당연하거니와 이 사람이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하고

: 42 이르되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기억하소서 하니

: 4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13]

요한복음은 예수의 죽음을 기록하면서 이 두 사람을 단순히 "....그리고 다른 두 사람"이라고만 언급하고, 그들의 죄명이나 행동에 대해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는다.

이처럼 누가복음의 기록과 마태복음 및 마가복음의 기록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설명하려는 다양한 신학적 시도가 있었다.

  • 타티아누스는 그의 저서 디아테사론에서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의 기록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에프렘 시루스 역시 비슷한 입장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
  •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게네스, 안티오키아의 에우스타티우스,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 등은 이러한 차이가 각 복음서 저자의 서로 다른 저술 목적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 오리게네스와 그를 따르는 이들은 시간 순서에 따른 조화를 시도했는데, 처음에는 두 강도 모두 예수를 모욕했지만, 나중에 한 강도가 마음을 바꿔 회개했다고 설명했다.
  •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를 따른 에피파니우스는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이 간결함을 위해 복수형을 사용했지만 실제로는 한 사람(비방한 강도)만을 지칭하는 수사법인 제유법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14]
  • 프레데릭 패러와 같은 후대의 주석가들은 사용된 그리스어 단어의 차이에 주목했다.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은 두 강도가 예수를 '비난했다'(ὠνείδιζον|오네이디존grc)고 기록한 반면, 누가복음은 한 강도만이 예수에게 해롭고 모욕적인 언어(ἐβλασφήμει|에블라스페메이grc)를 사용했다고 구체적으로 명시했다는 것이다.[15]

3. 신학적 해석 및 의미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형을 받은 두 죄수 중 한 명이다.[1] 그는 죽기 직전 자신의 죄를 뉘우치고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인정하여,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천국에 들어갈 것을 약속받았다.[1] 이는 죄의 용서와 구원의 가능성에 대한 중요한 신학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의 이름으로 알려진 디스마스는 후대에 붙여진 것이며, 정교회에서는 '우측 강도'로 불린다.[1] 한편, 그리스도가 어릴 적 헤로데의 박해를 피해 이집트로 피신할 때, 그 가족에게 하룻밤 묵을 곳을 제공한 집의 아들이었다는 전승도 있다.

3. 1.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누가복음 23장 43절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라는 구절(Ἀμήν σοι λέγω σήμερον μετ’ ἐμοῦ ἔσῃ ἐν τῷ παραδείσῳ.|아멘 소이 레고 세메론 메트' 에무 에세 엔 토 파라데이소이grc)[16]은 일부 버전과 주석에서 해석의 여지가 있다. 고대 헬라어 사본에는 구두점이 없기 때문에, "오늘"이라는 부사를 어디에 연결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대부분의 해석은 "오늘"을 "있으리라"라는 동사와 연결하여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로 이해한다. 이는 코이네 그리스어의 일반적인 어순 관습 분석과 대부분의 고대 성경 번역본에 근거한다.

반면, 소수의 해석은 "오늘"을 "이르노니"라는 동사와 연결하여 "내가 오늘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로 본다. 이 해석은 아람어로 된 큐레토니안 복음서에서 유의미한 근거를 찾을 수 있다.[17]

이러한 해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도문에서는 회개하는 도둑을 성경과 예수 자신이 직접 죽음 이후 낙원에 있을 것이라고 확인한 유일한 성인으로 언급하기도 한다.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 구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주님의 말씀("오늘 ... 낙원에서")은 그러므로 지상의 또는 육적인 낙원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신적 영광을 누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영적인 낙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도둑은 그리스도와 함께 하늘로 올라가 그리스도와 함께 있었는데, 이는 그에게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상과 관련하여 그는 낙원에 있었으니, 거기서 다른 성도들과 함께 그리스도의 신성을 맛보고 즐겼기 때문이다.[20][21][22]

3. 2. 회개와 구원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두 명의 죄인 중 한 명이다.[1] 그는 그리스도를 하느님의 아들로 인정하고 자신의 죄를 고백하며 뉘우쳤다.[1] 이에 그리스도는 그에게 직접 천국행을 약속했다.[1] 이는 죄인이더라도 진심으로 회개하면 구원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여겨진다.

그의 이름으로 알려진 디스마스는 후대에 성인 명단에 올리기 위해 붙여진 가명이며, 본명은 전해지지 않는다.[1] 정교회에서는 특별히 이름으로 부르지 않고 "우측 강도"라고 칭한다.[1]

4. 전승 및 성인으로서의 공경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두 명의 죄수 중 한 명으로, 그는 십자가 위에서 그리스도를 하느님의 아들로 알아보고 자신의 죄를 뉘우쳤다. 이에 그리스도는 그에게 직접 천국에 들어갈 것을 약속하였다. 이러한 배경으로 그는 후대에 성인으로 공경받게 되었다.

또한, 아기 예수가 부모와 함께 헤로데의 박해를 피해 이집트로 피신할 당시, 하룻밤 묵을 곳을 제공했던 집의 아들이 바로 이 도둑이었다는 전승이 전해 내려온다.

4. 1. 이름의 유래

누가복음에는 회개하는 죄수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다.[18] 그의 이름 디스마스(Δυσμάς|디스마스grc)는 후대에 붙여진 것으로, 초기 그리스어 판본의 ''빌라도 행전''과 라틴어 ''니고데모 복음서''에서 처음 등장한다. 이 문서들 중 일부는 4세기 후반의 것으로 추정된다. '디스마스'라는 이름은 '죽어가는' 또는 '일몰'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δυσμή|디스메grc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4]

이 이름은 성인 명단에 올리기 위해 붙여진 가명으로 여겨지며, 그의 본명은 알려져 있지 않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그를 특별히 이름으로 부르지 않고 '''우측 강도'''(Разбойник благоразумный|라즈보이니크 블라고라줌니chu)라고 칭한다. 한편,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다른 강도의 이름은 게스타스로 전해진다.

4. 2. 다른 이름들

회개하는 도둑의 이름으로 알려진 디스마스는 실제 본명이 아니며, 성인 명단에 올리기 위해 후대에 붙여진 가명이다. 누가복음에는 그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다양한 기독교 전승에서 그는 다른 이름이나 호칭으로 불린다. 콥트 정교회에서는 데마스(Demas)라고 부르는데,[5] 이는 아리마대 요셉의 이야기라는 문헌에서 비롯된 이름이다.[6] 정교회에서는 특정한 이름 없이 단순히 "우측 강도"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다.

4. 3. 성인으로서의 공경

가톨릭 교회는 3월 25일을 착한 도둑의 축일로 기념한다. 로마 순교록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예루살렘에서 그리스도를 고백하고 그 순간 십자가에서 예수에 의해 성인으로 인정받아 그에게서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는 말을 들을 자격을 얻은 거룩한 도둑을 기념합니다."

동방 정교회는 성 금요일에 예수의 십자가형과 함께 그를 기린다. 시낙사리온은 그의 영광을 기리는 다음 연시를 제공한다.





에덴의 닫힌 문을 도둑이 활짝 열었네,

"나를 기억해 주십시오"라는 열쇠를 꽂아.





이름인 '''디스마스'''는 성인 명단에 올리기 위해 붙여진 가명이며, 본명은 알려져 있지 않다. 정교회에서는 특별히 이름으로 기억되지 않고, "우측 강도"라고만 불린다.

1450년경의 그림


여러 도시와 본당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구분명칭위치비고
도시산 디마스미국 캘리포니아주
본당착한 도둑 교회캐나다 온타리오주 킹스턴인근 킹스턴 교도소의 수감자들이 지었다.
본당성 디마스 교회미국 일리노이주 워키건
본당성 디마스 본당코즐리구 가톨릭 교회 소속
본당성 디마스, 착한 도둑 교회미국 뉴욕주 단네모라클린턴 교정 시설 내 위치한 가톨릭 교회



그리스도가 부모와 함께 헤로데의 손에서 벗어나 이집트로 향하는 도중, 하룻밤 묵을 곳을 빌려준 집의 아들이었다는 전승이 있다.

5.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의 묘사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다가 죽기 직전 회개하여 구원을 약속받은 도둑은 기독교 신앙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극적인 이야기는 오랜 세월 동안 수많은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 콘텐츠에 영감을 주며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되어 왔다.

5. 1. 예술 작품

참회하는 강도(익명, 18세기). 키토 산토 도밍고 수도원.


그리스도(중앙)가 디스마스(왼쪽)를 낙원으로 데려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아이콘: 오른쪽에는 세라핌이 지키는 낙원의 문이 있다 (솔로베츠키 수도원, 17세기).


회개하는 도둑, 즉 디스마스는 여러 예술 작품에서 묘사되어 왔다. 가장 초기의 묘사 중 하나로 추정되는 것은 로마의 성 사비나 문에 있는 나무 부조이다. 이 부조에서 착한 도둑은 예수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6세기 후반의 유명한 랍불라 복음서에 나오는 십자가형 묘사와 유사한 배치이다. 정교회에서는 그를 특별히 이름으로 부르지 않고 "우측 강도"라고 칭하는데, 이는 예술 작품에서 그가 예수의 오른편에 자주 묘사되는 것과 일치한다.

중세 미술에서는 성 디스마스가 예수와 함께 지옥 하강에 동참하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이는 베드로전서 3장 19-20절이나 사도신경에서 언급된 예수의 지옥 방문 개념과 연관지어 표현된 것이지만, 해당 문헌들에는 도둑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

예술에서 착한 도둑의 위치와 의미를 탐구하는 주목할 만한 연구로는 미첼 머백(Mitchell Merback)의 단행본 ''The Thief, the Cross, and the Wheel'', 마이칼 파슨스(Mikeal Parsons)와 하이디 호르닉(Heidi Hornik)의 ''Illuminating Luke, vol. 3'', 크리스티안 클라피슈-주버(Christiane Klapisch-Zuber)의 ''Le voleur de paradis'' 등이 있다.

5. 2. 대중문화


  •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 고도를 기다리며에서는 주인공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곤이 회개한 도둑과 회개하지 않은 도둑에 대한 사복음서 기록의 불일치를 잠시 논한다. 블라디미르는 누가의 복음서만이 두 도둑 중 한 명이 구원받았다고 언급하며, "그렇다면 둘 다 지옥에 갔을 것이다 [...] 왜 그를 다른 사람들보다 믿어야 하는가?"라고 결론짓는다.[31]
  • 존 레스크로아트가 쓴 법률 및 범죄 스릴러 소설 시리즈의 주인공 이름은 디스마스 하디이다.
  • 폴 앤더슨의 SF 소설 연작 '테크닉 역사'에서, 등장인물 니콜라스 반 라인은 성 디스마스의 화성 사암 조각상을 가지고 있으며 자주 촛불을 바친다. 그는 촛불이 떨어지자 조각상 밑에 많은 차용증을 밀어 넣으며 "... 호! 성 디스마스는 자신이 기름 화재로 순교했다고 생각할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 기독교 대중음악에서도 회개하는 도둑이 등장한다. 기독교 록 밴드 Third Day의 1995년 곡 "Thief"와 기독교 록 밴드 Dizmas의 이름이 그 예이다. 또한, 시드니 카터의 논란이 많은 곡 "Friday Morning"의 화자이기도 하다.[32] 브라질 랩 그룹 Racionais MC's는 음악 "Vida Loka, Pt. 2"에서 디스마스를 "역사상 최초의 Thug Life"라고 언급한다.[34] 기독교 메탈 밴드 Holyname의 앨범 마지막 곡 제목은 "St. Dismas"이며, 그의 십자가 처형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을 다룬다.

  • 1946년 영화 《후들럼 성인》에서는 윌리엄 파월, 에스더 윌리엄스, 안젤라 랜즈베리가 출연하며 성 디스마스가 비중 있게 언급된다.
  • 1967년 로맨틱 코미디 영화 《피츠윌리》에서는 집사이자 책략가인 클로드 피츠윌리엄(딕 밴 다이크)과 그의 직원들이 필라델피아에 있는 가상의 자선 단체인 '성 디스마스 자선 가게'를 운영하며 훔친 물건을 보관하고 유통시킨다.
  • 달라스 젠킨스 감독의 영화 《Once We Were Slaves》에서는 배우 스텔리오 사반테가 디스마스를 연기했다.[33]
  • 빌 & 테드 미디어 프랜차이즈에는 캘리포니아주의 도시 샌디마스와 샌디마스 고등학교가 등장한다.
  • 2022년 영화 《클럭스 3》에서는 등장인물 엘리아스가 선한 도둑을 여러 번 언급하며, 그가 "예수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았지만, 우리는 그저 도둑일 뿐입니다"라고 말했다고 인용한다. 하지만 주변 인물들은 이를 "엉덩이 도둑"으로 잘못 알아듣는 러닝 개그가 사용된다.

  • 비디오 게임 《언차티드 4: 해적왕과 마지막 보물》의 초반 줄거리에서 성 디스마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인공 네이선 드레이크는 해적의 보물을 찾는 데 도움을 얻기 위해 성 디스마스 십자가를 이용한다.
  • 비디오 게임 《Darkest Dungeon》에서는 시작 캐릭터 두 명 중 한 명의 이름이 디스마스이다. 그는 게임 내 설명에서 불한당, 도둑, 강도로 묘사되며, 그의 배경 이야기를 다룬 만화와 게임 내 아이템 설명은 그가 무고한 사람들을 해친 뒤 구원을 갈망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두 시작 캐릭터가 게임의 최종 도전 과제인 "낡은 길에서, 우리는 구원을 찾았다"에 도달하면 특별한 업적이 주어진다.

6. 한국과의 관계

디스마스가 그리스도를 통해 구원받는 이야기는 죄인의 회개와 용서라는 보편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이야기는 한국의 특정 역사적 상황이나 사회적 맥락 속에서 특별한 의미로 받아들여지거나 재해석될 여지를 가진다.

6. 1. 한국 천주교

(내용 없음)

6. 2. 민주화 운동과의 연관성 (가능성)

예수와 함께 십자가형에 처해진 죄수였으나, 죽기 직전 자신의 죄를 뉘우치고 예수를 하느님의 아들로 믿어 천국을 약속받은 인물이다.[1] 그의 이름 '디스마스'는 후대에 성인 명단에 올리기 위해 붙여진 가명이며, 본명은 알려지지 않았다. 정교회에서는 '우측 강도'라고만 불린다.[1]

예수의 가르침이 사회적으로 억압받고 소외된 이들에게 집중되었다는 점에서, 가장 비천한 죄인으로 여겨졌던 디스마스가 예수를 통해 구원받는 이야기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이는 신분이나 지위와 관계없이 모든 인간의 존엄성을 인정하고 구원의 가능성을 열어둔 예수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디스마스의 이야기는 한국의 민주화 운동 시기 억압받던 이들에게 희망과 위로의 메시지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당시 부당한 권력에 의해 고통받거나 사회적으로 배제되었던 사람들이 디스마스의 처지에 공감하고, 그의 회개와 구원을 통해 자신들의 투쟁 역시 궁극적으로 정의를 실현하고 구원받을 수 있다는 희망을 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다만, 이는 디스마스 이야기의 종교적 함의를 특정 역사적 맥락에 비추어 해석하려는 시도이며, 민주화 운동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신학적, 역사적 연구가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was the Penitent Thief saved without baptism? - Comparative Theology | St-Takla.org https://st-takla.org[...]
[2] 웹사이트 Saint Dismas – Saint Dismas http://www.saintdism[...]
[3] 간행물 Feast of the Annunciation of the Blessed Virgin Mary
[4] 서적 A brief history of saints 2005
[5] 서적 The A to Z of the Coptic Church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6] 서적 The Apocryphal Gospels: Texts and Translation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Its Transmission, Corruption, and Restora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Ante-Nicene Fathers/Volume VIII/Apocrypha of the New Testament/The Arabic Gospel of the Infancy of the Saviour https://en.wikisourc[...] 2021-12-28
[9] 웹사이트 The Repentant Thief Who? http://russianicons.[...] 2014-04-26
[10] Bibleverse Matthew 27:38, Mark 15:27–28,32, Luke 23:33, John 19:18
[11] Bibleverse Isaiah 53:12
[12] Bibleverse Matthew 27:44, Mark 15:32
[13] Bibleverse Luke 23:39–43
[14] 서적 The Works of Aurelius Augustine, Vol. 8 T. & T. Clark 1873
[15]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St. Luke https://archive.org/[...] C. J. Clay and Sons 1891
[16] 웹사이트 SBL Greek New Testament http://sblgnt.com
[17] 서적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Hendrickson Publishers Marketing, LLC
[18] 문서 Stanley E. Porter, Anthony R. Cross Dimensions of baptism: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ies 2002
[19] 서적 Luke 23:32-33
[20] 문서 The Life of The Good Thief, Msgr. Gaume http://www.loretopub[...] Loreto Publications 1868 2003
[21] 뉴스 Catholic Family News 2006-04
[22] 뉴스 Christian Order 2007-04
[23] 웹사이트 Strong's Greek: 3027. λῃστής (léstés) -- a robber https://biblehub.com[...]
[24] 웹사이트 John, CHAPTER 18 | USCCB https://bible.usccb.[...]
[25] 문서 The Life of the Blessed Virgin Mary, from the Visions of Ven. Anne Catherine Emmerich TAN Books 1970
[26] 웹사이트 Canonized from the Cross: How St Dismas Shows it's Never Too Late... https://www.setonmag[...] 2020-03-01
[27] 웹사이트 Common Prayers – Before and after Holy Communion http://oca.org/ortho[...]
[28] 웹사이트 The Great Entrance https://worldcat.org[...]
[29] 인용구 The Wise Thief didst Thou make worthy of Paradise in a single moment, O Lord. By the wood of thy Cross illumine me as well, and save me
[30] Youtube Pavel Chesnokov's Razboinika blagorazumnago (The Wise Thief) https://www.youtube.[...]
[31] 서적 The Complete Dramatic Works Faber & Faber
[32] 뉴스 Sydney Carter, obituary https://www.telegrap[...] Daily Telegraph 2004-03-16
[33] 웹사이트 Stelio Savante Receives Award of Merit for ONCE WE WERE SLAVES https://www.broadway[...]
[34] 웹사이트 Quem foi Dimas? O primeiro "Vida Loka" da história https://iconografiad[...] 2024-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