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정순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정순황후는 명나라 성화제의 황후이다. 응천부 상원현 출신으로, 영종에게 간택되어 태자 주견심의 곁으로 들어갔다. 성화제 즉위 후 주태후의 주장에 의해 황후로 책봉되었으나, 성화제의 총애는 만귀비에게 쏠려 실질적인 권한을 가지지 못했다. 홍치제 즉위 후 황태후가 되었으며, 정덕제 때 자성강수태황태후의 존호를 받았다. 정덕 13년 사망하여 효정장의공정인자흠천보성순황후의 시호를 받았으며, 성화제와 합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태황태후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명나라의 태황태후 - 성효소황후
    성효소황후는 홍희제의 황후이자 선덕제의 어머니로, 영락제의 며느리로서 시부모를 극진히 섬겼고, 태황태후로서 영종을 섭정하며 명나라 초기의 안정에 기여한 인물이다.
  • 성화제의 황후 - 효목황후 (명나라)
    효목황후 기씨는 명나라 성화제의 후궁이자 홍치제의 생모로, 만귀비의 견제 속에서 홍치제를 낳았으나 홍치제가 황제로 즉위하기 전에 급사, 사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 성화제의 황후 - 폐후 오씨
    명나라 성화제의 황후였던 폐후 오씨는 만귀비의 모함으로 폐위되었지만 홍치제를 양육하여 홍치제 즉위 후 황태후의 예우를 받았으며 사망 후 비빈의 예로 장례가 치러졌다.
  • 1442년 출생 - 고쓰치미카도 천황
    고쓰치미카도 천황은 일본의 제103대 천황으로, 오닌의 난 시기에 즉위하여 재정 고갈과 권위 실추를 겪었으나 쇠퇴한 조정의 의례를 부활시키려 노력했으며, 사후 장례조차 어려움을 겪었다.
  • 1442년 출생 - 신정 (1442년)
    신정은 조선 성종 시대의 문신으로, 신숙주의 아들이자 세조의 후궁, 폐비 윤씨와 인척 관계에 있었으며, 왕의 인신 위조 혐의로 사사되었으나 사면 및 복권되어 불천지위의 은전을 받았다.
효정순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효정순황후 (孝貞純皇后)
왕 (王)
출생일1440년/1450년
사망일1518년 3월 20일
출생지응천부 상원현
사망지순천부, 자금성
아버지왕진 (王鎮)
능묘무릉
배우자
배우자성화제
칭호
칭호 종류황후
황태후
태황태후
시호효정장懿공정인자흠천보성순황후 (孝貞莊懿恭靖仁慈欽天輔聖純皇后)
경력
황후 기간1464년 – 1487년
황태후 기간1487년 – 1505년
태황태후 기간1505년 – 1518년
전임 황후오황후
후임 황후효성경황후
전임 황태후효숙황후
후임 황태후효성경황후
전임 태황태후효숙황후
후임 태황태후효혜황후
이미지
효정순황후의 초상화
효정순황후

2. 생애

응천부 상원현 출신의 평민 왕진(王鎮)의 딸로 태어났다. 천순 8년(1464년), 영종에게 간택되어 훗날 성화제가 되는 태자 주견심(朱見深)의 후궁이 되었다. 전태후주태후의 의견 일치로 오씨가 황후로 책봉되었으나, 만귀비의 계략으로 한 달 만에 폐위되었다. 성화제는 만귀비에게 황후 자리를 주려 했으나 주태후의 반대로 왕씨가 황후가 되었다. 왕씨는 만귀비가 두려워 황후의 전권을 만귀비에게 넘기고 꼭두각시 생활을 하였다.

홍치제 즉위 후 왕씨는 황태후가 되었고, 정덕제 즉위 후 태황태후가 되었다. 정덕 13년 2월(1518년) 붕어하였다.

2. 1. 황후 책봉과 유명무실한 권력

성화제는 태자 시절 오씨, 백씨(柏氏)와 함께 성화제의 후궁으로 들어왔다. 성화제 즉위 후 황후 간택에서 전태후주태후의 의견 일치로 오씨가 황후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오씨는 만귀비의 계략으로 한 달 만에 폐위되었고, 성화제는 만귀비에게 황후 자리를 주려 했으나 주태후의 반대로 왕씨가 황후가 되었다. 왕씨는 만귀비가 두려워 황후의 전권을 만귀비에게 넘기고 꼭두각시 생활을 하였다.

응천부 상원현 출신의 평민 왕진(王鎮)의 딸로, 천순 8년(1464년) 영종에게 간택되어 태자 주견심(朱見深, 훗날 성화제)의 곁에 들어갔다.

성화제 즉위 후 첫 황후 오씨는 측실 만씨(후에 황귀비가 됨)를 질투하여 곤장으로 때렸고, 성화제는 격노하여 오씨를 폐위시켰다. 이후 생모 주태후의 강력한 주장으로 왕씨가 황후가 되었고, 아버지 왕진은 정1품 금의위 도독에 봉해졌다.

성화제는 만황귀비를 총애하여 왕황후를 돌보지 않았다. 왕황후는 초라한 생활 속에서도 황귀비를 정중하게 대했고, 원망하는 일은 없었다고 한다.

2. 2. 홍치제와 정덕제 시대

홍치제가 즉위하자 황후 왕씨는 황태후가 되었고, 정덕제가 즉위하자 태황태후가 되었다. 정덕 13년 2월(1518년) 붕어하였다.

홍치제가 붕어할 때, 그의 효도를 기리는 유지를 내렸다. 정덕제가 즉위하자, '''자성강수태황태후'''라는 존호를 받았다. 붕어 후, 효정장의공정인자흠천보성순황후(孝貞莊懿恭靖仁慈欽天輔聖純皇后)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성화제와 합장되었다.

2. 3. 사망과 시호

1510년 정덕제는 태황태후 왕씨에게 '''자성강수태황태후'''(慈聖康壽太皇太后)라는 존호를 올렸다.

사후 '''효정장의공정인자흠천보성순황후'''(孝貞莊懿恭靖仁慈欽天輔聖純皇后)라는 시호를 받았으나, 가정제 때 적서구분 계기로 정후에게만 제호가 올려졌다. 효정황후는 성화제의 계후였기 때문에 황제의 제호를 쓰면 안 되었으나, 폐후는 황후로 인정하지 않아 왕씨가 실질적으로 정후가 되어 제호를 쓸 수 있게 되었다.

능호는 무릉(茂陵)이다.

3. 시호 및 존호

정덕 5년(1510년)에 정덕제는 태황태후 왕씨에게 '''자성강수태황태후'''(慈聖康壽太皇太后)라는 존호를 올렸다.

사후 '''효정장의공정인자흠천보성순황후'''(孝貞莊懿恭靖仁慈欽天輔聖純皇后)의 시호를 받았으나, 가정제 때 적서구분 계기로 정후에게만 제호가 올려졌다. 효정황후는 성화제의 계후였기 때문에 황제의 제호를 쓰면 안 되었으나, 폐후는 황후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왕씨가 실질적으로 정후가 되어 제호를 쓸 수 있게 되었다.

능호는 무릉(茂陵)이다.

4. 기타


  • 참고 문헌
  • * 명 헌종실록


4. 1. 가족 관계

관계이름
시아버지영종 예황제
시어머니효숙황후
남편성화제


4. 2. 관련 인물

관계인물재위 기간
시아버지영종1435년 ~ 1449년
남편성화제1464년 ~ 1487년
아들홍치제1487년 ~ 1505년
손자정덕제1505년 ~ 1521년
아버지왕진(王鎮)정1품 금의위 도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