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정태후 (만력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정태후는 명나라 만력제의 후궁으로, 태창제의 어머니이다. 본래 궁녀 출신으로 만력 10년 공비에 봉해졌으며, 아들 주상락을 낳았다. 만력제의 총애를 받지 못했으나, 아들이 황태자가 되고 손자가 태어나 황귀비로 진봉되었다. 사망 후에는 온숙단정순의황귀비로 시호되었고, 태창제 즉위 후 효정온의경양정자참천윤성황태후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력제의 황후 - 효경태황태후
    효경태황태후는 명나라 만력제의 후궁으로 경비로 책봉되었으며, 만력제의 총애를 받았지만 산후독으로 사망하여 훗날 효경공순영장서정경천광성태황태후로 추존되었다.
  • 만력제의 황후 - 효단현황후
    명나라 만력제의 황후인 효단현황후는 왕위의 딸로, 만력제와 혼인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영창공주를 낳았고, 후사가 없어 국본지쟁의 원인이 되었으며,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황후의 자리에 있었다.
  • 명나라의 추존황태후 - 효화태후
    효화태후 왕씨는 명나라 태창제의 후궁이자 천계제의 생모로, 태창제의 장남인 주유교를 낳아 재인으로 봉해졌으며 사망 후 황태후로 추증되어 태창제와 합장되었다.
  • 명나라의 추존황태후 - 효순태후
    평민 출신으로 태창제의 후궁이 되었으나 숭정제를 낳은 후 의문사한 효순태후는 숭정제 즉위 후 황태후로 추존되었고 숭정제는 숭모의 정을 나타냈으나 명나라 멸망 후 제사는 폐지되었다.
  • 1565년 출생 - 김예직
    김예직은 조선 중기 무신으로, 선조의 후궁 공빈 김씨의 동생이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했고 무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며 광해군 시대 탄핵을 받았으나 인조반정 이후 포상을 받았고 김종필의 12대 조상이다.
  • 1565년 출생 - 멍거불루
    멍거불루는 1360년경 건국된 하대의 국주로, 명나라 개입과 건주 여진과의 갈등, 내부 분열을 겪으며 누르하치에게 멸망당했다.
효정태후 (만력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효정현황후 왕씨 (명 신종)
효정현황후 왕씨 (명 신종)
존호효정황태후 (孝靖皇太后)
봉호공비 (恭妃)
성씨왕 (王)
출신 가문왕씨 (王氏)
생애
출생가정(嘉靖) 44년 정월 17일 (1565년 2월 27일)
사망만력(萬曆) 39년 9월 13일 (1611년 10월 18일)
사망 장소자금성 경양궁 (景陽宮)
매장지정릉(定陵)
가족 관계
배우자만력제(萬曆帝)
자녀태창제(泰昌帝)
운몽공주
아버지왕조채 (王朝寀)
어머니갈씨 (葛氏)
시호
시호 (전체)효정온의경양정자참천윤성황태후 (孝靖溫懿敬讓貞慈參天胤聖皇太后)

2. 생애

왕씨는 금의위 백호 왕조채와 갈씨의 장녀로, 만력 6년(1578년)에 궁녀로 입궁하여 자성황태후를 모셨다.[6] 만력제는 어머니를 방문했다가 왕씨와 관계를 맺었고, 임신까지 하게 되었다. 만력 10년(1582년)에 공비(恭妃)로 봉해졌고, 같은 해에 아들 주상락을 낳았다.

왕씨는 황제의 장남을 낳았지만, 만력제가 총애하는 후궁은 정귀비였다. 만력제가 1586년 정씨에게 황귀비 지위를 수여했을 때, 조정은 그녀의 아들 주상순을 황태자로 삼으려는 의도로 받아들였고, 이는 10년이 넘는 조정 내 파벌 싸움을 일으켰다. 1601년 왕씨의 아들 주상락은 관리들과 효정태후의 압력으로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606년, 왕씨는 황귀비로 봉해졌고, 황제는 주상락의 첫 아들(훗날의 천계제) 탄생을 기념하여 자성(慈聖)이라는 존호를 하사했다.

만력 39년(1611년), 황귀비 왕씨는 병으로 사망하였다. 온숙단정순의황귀비(溫肅端靖純懿皇貴妃)로 시호되었으며, 천계제 즉위 후 효정온의경양정자참천윤성황태후(孝靖溫懿敬讓貞慈參天胤聖皇太后)로 추시되었다. 정릉 발굴 조사에서 유해 모발을 통해 혈액형이 B형임이 밝혀졌다.

2. 1. 초기 생애와 입궁

왕씨는 정육품 금의위 백호 왕조채와 갈씨의 장녀로 태어났다. 만력 6년(1578년)에 궁녀로 들어와 자성황태후의 시녀가 되었다.[6] 만력제는 어머니를 방문했다가 그녀를 만나 관계를 맺었다.

만력 9년(1581년) 겨울, 만력제와 관계하여 임신하였고[6], 이 사실이 황태후에게 발각되었다. 만력제는 황태후에게 왕씨를 회임시킨 것을 자수하고, 왕씨를 후궁으로 삼았다. 이듬해(1582년) 4월, 왕씨는 '''공비'''(恭妃)로 봉해졌고, 8월에 주상락을 낳았다. 같은 해에 황제의 정실 부인인 효단현황후는 딸 영창공주를 낳았으며, 1584년에는 왕씨가 딸 주헌원(朱軒嫄)을 낳았다.

2. 2. 후궁 시절과 태창제 출산

만력 6년(1578년) 3월 10일, 왕씨는 자성황태후의 궁녀로 들어왔다. 만력 9년(1581년) 겨울, 만력제와 관계하여 임신하였다.[6] 만력제는 왕씨에게 몰래 합방을 하였고, 왕씨는 혼전 회임을 하게 되었다. 궁녀 왕씨가 회임한 것을 황태후에게 발각되었고, 만력제는 황태후에게 왕씨를 회임시킨 것을 자수하고 왕씨를 후궁으로 만들었다. 만력 10년(1582년), 왕씨는 '''공비'''(恭妃)로 봉해졌고,[6] 같은 해에 태창제가 될 주상락(朱常洛)을 낳았다.

만력제의 총애를 받지 못하고 경양궁에서 쓸쓸한 생활을 하였다. 만력 29년(1601년), 주상락이 황태자가 되었으나 왕공비는 진봉되지 않았다. 만력 34년(1606년)에 황장손 주유교(후의 천계제)가 태어나자 왕공비는 황귀비로 진봉되었다. 만력 39년(1611년), 황귀비 왕씨는 병에 걸렸고, 그 해 9월 13일(10월 18일)에 서거하였다.

2. 3. 황태자 책봉과 황귀비 진봉

만력 6년(1578년) 왕씨는 궁녀로 들어와 자성황태후의 궁녀로 일했다.[6] 만력제는 왕씨와 관계하여 임신하게 하였고,[6] 만력 10년(1582년) 후궁이 된 왕씨는 '''공비'''(恭妃)로 봉해졌다. 같은 해에 왕씨는 훗날 태창제가 될 주상락(朱常洛)을 낳았다.[6]

만력 29년(1601년), 주상락은 황태자가 되었고, 만력 34년(1606년)에 황장손 주유교(후의 천계제)가 태어나자 왕공비는 황귀비(皇貴妃)로 진봉되었고,[5] 경양궁(景陽宮)으로 거처를 옮겼다. 같은 해, 황제는 주상락의 첫 아들 탄생을 기념하여 왕씨에게 자성(慈聖)이라는 존호를 하사했다.

2. 4. 사망

만력 39년(1611년) 황귀비 왕씨는 병에 걸려 그 해 9월 13일(10월 18일)에 사망하였다.[6] 시호는 온숙단정순의황귀비(溫肅端靖純懿皇貴妃)이다. 훗날 천계제가 즉위하자 효정온의경양정자참천윤성황태후(孝靖溫懿敬讓貞慈參天胤聖皇太后)로 추시되었다.

3. 사후

황귀비 왕씨는 사후 온숙단정순의황귀비(溫肅端靖純懿皇貴妃)라는 시호를 받았다. 태창제 즉위 후 효정온의경양정자참천윤성황태후(孝靖溫懿敬讓貞慈參天胤聖皇太后)로 추존되었으며, 능묘는 정릉, 신주는 봉자전(奉慈殿)에 모셔졌다. 정릉 발굴 조사에서 유해 모발을 통해 B형 혈액형이 밝혀졌다.

3. 1. 추존

황귀비 왕씨는 사후에 온숙단정순의황귀비(溫肅端靖純懿皇貴妃)라는 시호를 받았다. 태창제 즉위 후에는 효정온의경양정자참천윤성황태후(孝靖溫懿敬讓貞慈參天胤聖皇太后)로 추존되었다. 능묘는 정릉이며, 신주는 봉자전(奉慈殿)에 모셔졌다.[1]

3. 2. 정릉 발굴

정릉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유해 모발에서 B형 혈액형이 밝혀졌다.

4. 가족 관계

효정태후는 공공황후로서 만력제의 장남 태창제와 넷째 딸 운몽공주를 낳았다.

4. 1. 자녀

관계이름생몰년
만력제의 장남주상락1582년 ~ 1620년
만력제의 넷째 딸주헌원1584년 ~ 1587년


5. 기타

효정태후는 여러 작품에 등장하였다.

5. 1. 등장 작품


  • 万历首辅张居正|만력수보 장거정중국어 (중국 드라마, 2010년, 일본 미공개) 배우: 링롱
  • 大明嫔妃|대명빈비중국어 (중국 드라마, 2010년, 일본 미공개) 배우: 왕춘메이

참조

[1] 서적 History Office 1620
[2] 서적 Qian 1700
[3] 서적 History Office 1620
[4] 서적 History Office 1620
[5] 서적 History Office 1620
[6] 문서 皇后の孝端顕皇后|王喜姐は出産が近い時期で、楊宜妃はすでに死去してい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