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추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추목은 APG IV 체계에서 목련류에 속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쥐방울덩굴과, 후추과, 삼백초과를 포함한다. APG IV 체계는 APG III, II, I 체계와 동일하게 분류하지만, 이전 체계에서 쥐방울덩굴과에 포함되었던 락토리스과, 족도리풀과, 히드노라과를 포함한다. 과거 분류 체계인 크론퀴스트, 엥글러, 베트슈타인 시스템에서는 후추목의 구성 과와 분류 위치가 다르게 정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의 목 - 은행나무목
    은행나무목은 겉씨식물문의 강으로, 고생대부터 존재했으며 현재는 은행나무속 식물만 생존해 있고 자웅이주 식물이며 독특한 잎과 생식 방식을 가진다.
  • 식물의 목 - 수련목
    수련목은 지하경을 가진 수생 초본 식물로, 잎과 꽃의 형태가 다양하며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고, 백악기 화석 기록을 통해 오래된 역사를 가지며, 현생 속씨식물 중 초기 분화 그룹으로 APG IV 분류 체계에서 수련과, 어항마름과, 히다텔라과를 포함하는 목으로 분류된다.
  • 1820년 기재된 식물 - 종려과
    종려과는 단일 줄기에 손바닥 모양 또는 깃털 모양의 잎이 나선형으로 배열된 열대 및 아열대 식물로, 건축 자재, 식용, 관상용 등으로 이용되며 야자목을 구성한다.
  • 1820년 기재된 식물 - 고추나무과
    고추나무과는 고추나무속, 달림플레아속, 투르피니아속 등을 포함하며 고추나무, 미역줄나무, 누리장나무 등이 속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과거에는 후에르테아속과 타피스키아속도 속했으나 현재는 타피스키아과로 분류된다.
후추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학명피페랄레스
명명자Bercht. & J.Presl
화석 범위압트기 - 현재
하위 분류
쥐방울덩굴과
후추과
겨자무과
이명
이명 목록쥐방울덩굴목 (Aristolochiales de Jussieu ex von Berchtold & Presl 1820)
사랄레스 (Asarales Horan. 1847)
히드노랄레스 (Hydnorales Takhtajan ex Reveal 1992)
락토랄레스 (Lactoridales Takhtajan ex Reveal 1993)
사우루랄레스 (Saururales von Martius 1835)
설명

2. 분류

후추목은 4개 과, 대략 20개 속, 4100여 종의 식물을 포함한다.[5] 각 과별 속과 종의 수는 아래 표와 같다.

종 수
쥐방울덩굴과7~9속500종
히드노라과2속7종
후추과5속약 3600종
삼백초과5속6종


2. 1. 하위 분류

2016년 APG IV 체계에서 이 목은 목련류에 속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5]

{| class="wikitable"

|-

! 목

! 과

|-

| 목련류

|



|}

1998년 APG 체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사용했다.



4과에 대략 20속 4100종이 속한다.[5]

쥐방울덩굴과7-9속500종
히드노라과2속7종
후추과5속약 3600종
삼백초과5속6종


2. 2. 계통 분류

다음은 목련군의 계통 분류이다.[7]

{| class="wikitable"

|-

|

후추목의 현재 구성과 계통발생학.



|}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쥐방울덩굴과, 후추과, 삼백초과를 포함하는 후추목을 속씨식물군 목련군 아래에 분류하며,[8]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2003년 APG II 분류 체계 및 1998년 APG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9][10][11] 다만 APG III 및 그 이전 분류 체계에서 후추목 아래에 분류되었던 락토리스과, 족도리풀과, 히드노라과가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쥐방울덩굴과에 병합되었다.[8][9][10][11]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후추목을 목련문([=속씨식물]) 목련강([=쌍떡잎식물]) 목련아강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삼백초과, 홀아비꽃대과, 후추과를 두었다.[12]

1964년 엥글러 분류 체계는 후추목을 관상식물문([=종자식물]) 속씨식물아문 쌍떡잎식물강 이판화아강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락토리스과, 삼백초과, 홀아비꽃대과, 후추과를 두었다.[13]

1935년 베트슈타인 분류 체계는 후추목을 속씨식물아문 쌍떡잎식물강 이판화아강 무판화군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후추과를 두었다.[14]

3. 과거 분류 체계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쥐방울덩굴과, 후추과, 삼백초과를 포함하는 후추목을 속씨식물목련군 아래에 분류하며,[8]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2003년 APG II 분류 체계1998년 APG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9][10][11] 다만 APG III 및 그 이전 분류 체계에서 후추목 아래에 분류되었던 락토리스과, 족도리풀과, 히드노라과가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쥐방울덩굴과에 병합되었다.[8][9][10][11]

1935년 베트슈타인 분류 체계는 후추목을 속씨식물아문 쌍떡잎식물강 이판화아강 무판화군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후추과를 두었다.[14] 베트슈타인 분류 체계의 최신판은 후추목을 쌍떡잎식물강의 아강 분리화변아강의 단피개화목에 포함시키고 후추과를 하위에 두었다.

3. 1.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후추목을 목련문(속씨식물) 목련강(쌍떡잎식물) 목련아강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삼백초과, 홀아비꽃대과, 후추과를 두었다.[12]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후추목은 목련아강에 포함되었으며, 꽃의 구조에 따라 다음 3개의 과가 속한다.

3. 2. 엥글러 분류 체계

1964년 엥글러 체계는 후추목을 관상식물문(종자식물) 속씨식물아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이판화아강(Archychlamyde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락토리과(Lactoridaceae), 삼백초과(Saururaceae), 천량금과(Chloranthaceae), 후추과(Piperaceae)를 두었다.[13] 신에글러 체계에서는 고생꽃덮이식물아강에 포함되었으며, 다음 4개의 과를 포함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iperales http://www.mobot.org[...] 2023-06-18
[2]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Piperales https://ucmp.berkele[...] UC Berkeley 2021-07-10
[3] 논문 Molecular evolution of the petal and stamen identity genes, APETALA3 and PISTILLATA, after petal loss in the Piperales https://www.scienced[...] 2007
[4] 간행물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Perianthless Piperales: Reconstructing the Evolution of Floral Development https://www.journals[...]
[5] 웹사이트 Piperales in Stevens, P. F. (2001 onwards).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Version 7, May 2006 [and more or less continuously updated since]. http://www.mobot.org[...] 2014-12-21
[6] 문서 O Prirozenosti Rostlin 261. 1820.
[7]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onlinelibrary[...] 2016-04-01
[8]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s://academic.oup[...]
[9]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s://academic.oup[...]
[10]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https://academic.oup[...]
[11] 저널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http://www.bergiansk[...]
[12] 서적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https://archive.org/[...]
[13] 서적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14] 서적 Handbuch der systematischen Botani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