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흠성황후 (북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흠성황후는 북송 신종의 후궁으로, 철종과 초왕 조사를 낳았으며, 1102년 사망 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개봉 출신으로, 최씨 성을 가졌으나 계부의 성을 따라 주씨가 되었고, 임씨 집안의 양녀로 자랐다. 신종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덕비까지 진봉되었으며, 철종 즉위 후 황태비가 되었다. 철종 사후, 휘종 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51세에 사망하여 흠성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녀의 삶은 권력 투쟁 속에서 아들을 황제로 만들었지만, 권력 다툼으로 인해 휘종이 즉위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02년 사망 -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은 형 볼레스와프 2세의 추방으로 폴란드의 공작이 되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과의 관계를 중시하고 보헤미아와 슈바벤의 유디트와 결혼했으며, 실권은 귀족에게 있었고 아들들과의 권력 다툼, 유대인에 대한 관대함, 여러 교회 건축 등의 통치를 하다가 다리 질환과 천연두로 사망했다.
  • 1102년 사망 - 용절덕비
    용절덕비는 고려 정종의 왕비로, 김원충의 딸이며, 연흥궁주로 불리다가 숙종에 의해 덕비로 추봉되고 용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052년 출생 - 필리프 1세 (프랑스)
    1052년 샹파뉴에퐁텐에서 태어나 7세에 프랑스 왕위에 오른 필리프 1세는 봉신들의 반란, 불륜과 재혼으로 인한 교회와의 갈등, 왕실 영토 확장 노력 등 권력 다툼과 스캔들로 점철된 통치 기간을 보냈다.
  • 1052년 출생 - 올레크 스뱌토슬라비치
    올레크 스뱌토슬라비치는 키예프 대공국의 공작이자 스뱌토슬라프 2세의 아들로, 볼로디미르볼린스키와 티무타라칸 공작을 역임하고 킵차크인의 지원을 받아 체르니히우를 점령했으며, 류베치 회의 후 노브호로드-세베르스키 공국을 다스리며 그의 후손들이 여러 공국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 북송의 황태후 - 장혜황후
    장혜황후 양씨는 송나라 진종의 후궁이자 인종의 양모로, 장헌명숙황후 유씨의 신임을 받아 인종 즉위 후 황태후로 존숭되었으며, 유태후 사후에는 인종을 보좌하며 국사를 논의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송나라에서 황후나 황제의 생모가 아님에도 황후로 추존된 첫 번째 사례가 되었다.
  • 북송의 황태후 - 장헌명숙황후
    북송 진종의 황후이자 인종의 섭정 태후인 장헌명숙황후는 미천한 신분에서 황후가 되어 뛰어난 정치적 수완으로 국정을 운영하고 인종 즉위 후 섭정을 통해 국가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권력에 대한 욕심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며 청나라 서태후에게 영향을 주었다.
흠성황후 (북송)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송나라의 황후(추존)
작위2황태비(皇太妃)
재위21085년 4월 3일 ~ 1102년 3월 6일
즉위식2원풍(元豊) 8년 3월 7일
(1085년 4월 3일)
전임자2황태비 양씨(장혜황후)
별호현비(賢妃)
덕비(德妃)
성서황태비(聖瑞皇太妃)
시호흠성(欽成)
출생일황우(皇祐) 4년(1052년)
출생지개봉부(開封府)
사망일숭녕(崇寧) 원년 2월 16일
(1102년 3월 6일) (50 - 51세)
사망지개봉부(開封府) 성서궁(聖瑞宮)
능묘영유릉(永裕陵)
가족 관계
아버지숭국공(崇國公) 최걸(崔傑)
〈계부〉
주사안(朱士安)
어머니초국태부인(楚國太夫人) 이씨(李氏)
배우자신종(神宗) 조욱(趙頊)
자녀철종(哲宗) 조후(趙煦)
초왕(楚王) 조사(趙似)
노국장공주(潞國長公主)
서국장공주(徐國長公主)

2. 생애

흠성황후 주씨는 개봉 출신으로, 친아버지 최걸(崔傑)이 일찍 사망하고 어머니 이씨(李氏)가 주사안(朱士安)과 재혼하면서 주씨(朱氏) 성을 따랐다. 그러나 가난으로 인해 임씨(任氏) 집안의 양녀로 들어갔다.[1]

16세에 입궁하여 신종의 후궁이 되었고, 철종 등 2남 1녀를 낳았다. 철종 즉위 후 황태비가 되었으나, 시어머니 선인성렬황후와 황후 흠성헌숙황후의 견제로 황태후가 되지는 못했다. 1088년(원우 3년) 선인태황태후의 조칙으로 황후에 준하는 예우를 받게 되었고, 선인성렬황후 사후에는 철종에 의해 생부, 계부, 양부 모두에게 높은 관직이 추서되었다.[1]

1100년(원부 3년) 철종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재상 장돈은 흠성황후의 차남 조사를 황제로 추대하려 했으나, 황태후 상씨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결국 상태후는 휘종을 즉위시켰다.[3] 흠성황후는 1102년(숭녕 원년) 51세로 사망한 뒤 황후로 추존되었고, '''''흠성'''''(欽成)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

2. 1. 가계와 입궁

흠성황후 주씨는 개봉 출신으로, 본래 성은 최씨였다.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어머니 이씨(李氏)가 주사안(朱士安)에게 재가하면서 계부의 성을 따랐다. 이후 가세가 기울어 임씨(任氏) 집안의 양녀가 되었다.[1]

1068년(희녕 원년), 16세의 나이로 입궁하여 재인(才人)이 되었고, 이후 첩여, 소용을 거쳐 덕비(德妃)로 진봉되었다.[1]

2. 2. 신종의 후궁

1068년(희녕 원년), 입궁하여 재인과 첩여를 거쳐 덕비(德妃)로 진봉되었다. 신종과의 사이에서 철종을 비롯하여 2남 1녀(서국공주)를 낳았다. 1085년 철종이 즉위하자 어머니 주씨는 성서황태비(聖瑞皇太妃)로 존숭되었다. 당시에 신종의 황후인 흠성헌숙황후가 있었기 때문에 시어머니인 선인성렬황후에 의해 황태후가 아닌 황태비로 진봉된 것이다.[1] 신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당시 황후였던 흠성헌숙황후 향씨의 견제를 받았다.

2. 3. 철종 즉위와 황태비

1085년 철종이 즉위하자 어머니 주씨는 성서황태비(聖瑞皇太妃)로 존숭되었다. 당시 신종의 황후인 흠성헌숙황후가 있었기 때문에 시어머니인 선인성렬황후에 의해 황태후가 아닌 황태비로 진봉된 것이다.[1]

1088년(원우 3년), 선인태황태후는 조칙을 내려 《춘추》의 '모이자귀(母以子貴, 어머니는 아들로 인해 귀해진다)' 구절을 인용하여 황태비 주씨가 궁중 출입시에 사용하는 수레의 덮개나 그 외에 의복, 전위 등을 황후의 의례에 맞게 격상시켰다.[1]

2. 4. 휘종 즉위와 죽음

1100년(원부 3년), 철종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재상 장돈은 철종의 동복동생이자 주태후의 차남인 초왕(楚王) 조사를 후계자로 추천하였다. 그러나 흠성헌숙황후 상(向)씨는 주태후의 세력이 커질 것을 염려하여 신종의 11남인 단왕(端王) 조길(훗날의 휘종)을 지지했다.[3] 결국 상태후는 대신들을 규합하여 장돈의 뜻을 물리치고, 이미 생모가 죽고 없는 진미인 소생의 단왕 조길(휘종)을 후계자로 정하여 즉위시켰다.[3]

1102년(숭녕 원년), 주씨는 5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사후 황후로 추존되어 '''''흠성'''''(欽成)이라는 시호를 받고 영유릉에 안장되었다.[1]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친부최걸(崔傑)숭국공(崇國公)
계부주사안(朱士安)
양부임정화(任廷和)강국공(康國公)
이씨(李氏)초국태부인(楚國太夫人)
남편신종
자녀
아들조서북송 제7대 황제
아들조사초영헌왕(楚榮憲王)
현정제희



흠성황후는 카이펑(오늘날의 허난성 카이펑)에서 태어났다. 친아버지 최걸은 일찍 사망했고, 어머니 이씨는 주사안과 재혼하여 흠성황후는 주씨 성을 따랐다. 이후 임정화의 양녀가 되었다. 16세에 궁녀로 입궁하여 8년간 궁녀 생활을 한 후 신종의 눈에 띄어 재인, 첩여, 소용으로 진급하였다.

3. 1. 부모

관계이름비고
친부최걸(崔傑)숭국공(崇國公)
계부주사안(朱士安)
양부임정화(任廷和)강국공(康國公)
이씨(李氏)초국태부인(楚國太夫人)



흠성황후는 카이펑(오늘날의 허난성 카이펑)에서 태어났다. 친아버지 최걸은 일찍 사망했고, 어머니 이씨는 주사안과 재혼하여 흠성황후는 주씨 성을 따랐다. 이후 임정화의 양녀가 되었다.

3. 2. 남편

신종(1048년 ~ 1085년)은 북송의 제6대 황제였다. 흠성황후는 16세에 궁녀로 입궁하여 8년간 궁녀 생활을 한 후 신종의 눈에 띄어 재인, 첩여, 소용으로 진급하였다.

3. 3. 자녀


  • 조서 - 송 신종의 여섯 번째 아들이자, 북송의 제7대 황제이다. (1077년 ~ 1100년)
  • 조사 - 신종의 열세 번째 아들로, 초영헌왕(楚榮憲王)이다. (1083년 ~ 1106년)
  • 현정제희 - 신종의 열 번째 딸이다. (1085년 ~ 1115년)

4. 기타

흠종의 인회황후 주씨와 운왕 조해(흠종의 동생)의 비인 주봉영은 흠성황후의 조카(주사안의 아들 주계납의 딸)이다. 흠종의 측비인 주신덕비는 인회황후의 사촌이다.

5. 평가

흠성황후는 험난한 궁중 생활에서 살아남아 아들을 황제로 만들고, 자신의 지위를 확고히 한 강인한 여성이었다. 그러나 그녀의 권력 추구는 황태후 향씨와의 갈등을 야기했고, 이는 결국 휘종 즉위라는 정치적 격변으로 이어졌다. 그녀의 생애는 권력 암투의 희생양이 될 수 있는 후궁의 삶을 보여주는 동시에, 권력을 향한 인간의 욕망을 드러낸다.[1]

참조

[1] 서적 송사 권243 〈열전〉 제2 후비 하 - 흠성주황후
[2] 서적 송사 권19 〈본기〉 제19 휘종 1 - 숭녕 원년 2월 신축 기사
[3] 서적 송사 권243 〈열전〉 제2 후비 하 - 흠성헌숙상황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