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반발박쥐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흡반발박쥐속(Myzopoda)은 흡반발박쥐과에 속하는 박쥐 속이다. 마다가스카르흡반발박쥐와 서부흡반발박쥐 두 종이 있다. 2002년 박쥐목 계통 분류에 따르면, 흡반발박쥐속은 원반날개박쥐류, 민발톱박쥐과, 깔때기귀박쥐과와 함께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흡반발박쥐과 - 마다가스카르흡반발박쥐
- 흡반발박쥐과 - 서부흡반발박쥐
분류학적 특징, 서식지, 분포 정보가 부족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한 박쥐 종이 서부흡반발박쥐이다. - 앙리 밀네두아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판다속
판다속은 곰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자이언트판다와 멸종된 근연종을 포함하며, 크고 넓은 어금니와 발달된 턱 근육을 가진 것이 특징이고, 곰과 내에서 판다아과 또는 곰아과 내의 자이언트판다족으로 분류된다. - 앙리 밀네두아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아시아두더지류
아시아두더지류는 땃쥐와 비슷한 외형의 두더지과 포유류 분류군으로, 일부 종은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되며, 과거 분류 체계와 현재 명칭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흡반발박쥐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과 정보 | |
과 학명 | Myzopodidae |
과 명명자 | Gunnell, 2014 Simmons Seiffert |
속 정보 | |
속 학명 | Myzopoda |
속 명명자 | Milne-Edwards A. Grandidier, 1878 |
속 모식종 | Myzopoda aurita |
속 모식종 명명자 | Milne-Edwards and Grandidier, 1878 |
속 동의어 | 해당사항 없음 |
속 상위 분류군 권한 | Thomas, 1904 |
화석 범위 | 에오세 ~ 현재 |
상태 | 해당사항 없음 |
종 | |
현존 종 | 흡반발박쥐 (Myzopoda aurita) 꼬리흡반발박쥐 (Myzopoda schliemanni) |
2. 하위 종
- 마다가스카르흡반발박쥐 (''Myzopoda aurita'')
- 서부흡반발박쥐 (''Myzopoda schliemanni'')
2. 1. 마다가스카르흡반발박쥐 (''Myzopoda aurita'')
마다가스카르흡반발박쥐는 밀른에드워즈와 그랑디디에가 1878년에 처음 기술했다.2. 2. 서부흡반발박쥐 (''Myzopoda schliemanni'')
굿먼, 라코톤드라파라니, 코포키가 2006년에 처음 기술했다.[1]Myzopoda schliemanni|미조포다 슬리마니la
3. 계통 분류
다음은 2002년 박쥐목의 계통 분류이다.[5]
민발톱박쥐과는 흡반발박쥐과, 원반날개박쥐과, 깔때기귀박쥐과와 근연 관계에 있다.
3. 1. 2002년 계통 분류
다음은 2002년 박쥐목의 계통 분류이다.[5]{| class="wikitable"
|-
! 박쥐목
|-
|
{| class="wikitable"
|-
! 큰박쥐과
|-
|
{| class="wikitable"
|-
! 대꼬리박쥐과
|-
|
|-
|
{| class="wikitable"
|-
! 위흡혈박쥐과
|-
|
{| class="wikitable"
|-
! 틈새얼굴박쥐과
|-
|
|}
|}
|}
|}
|-
|
{| class="wikitable"
|-
! 흡반발박쥐과
|-
|
{| class="wikitable"
|-
! 원반날개박쥐과
|-
|
|}
|}
|-
|
{| class="wikitable"
|-
! 짧은꼬리박쥐과
|-
|
{| class="wikitable"
|-
! 불독박쥐과
|-
|
|}
|}
|-
|
{| class="wikitable"
|-
! 큰귀박쥐과
|-
|
|-
! 넓은 의미의 애기박쥐과
|-
|
|}
|}
|}
|}
3. 2. 분자 계통학적 분류
2002년 박쥐목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흡반발박쥐속은 다음과 같은 위치를 가진다.[5]{| class="wikitable"
|-
! 박쥐목
|-
|
{| class="wikitable"
|-
! 큰박쥐과
|-
|
{| class="wikitable"
|-
! Rhinopomatidae|생쥐꼬리박쥐과영어
|-
|
{| class="wikitable"
|-
! Megadermatidae|위흡혈박쥐과영어
|-
|
Rhinolophidae|관박쥐과영어 |
---|
잎코박쥐과 |
|}
|}
|}
|}
|-
|
{| class="wikitable"
|-
! 흡반발박쥐과
|-
|
{| class="wikitable"
|-
! Thyropteridae|원반날개박쥐과영어
|-
|
Myzopodidae|민발톱박쥐과영어 |
---|
Natalidae|깔때기귀박쥐과영어 |
|}
|}
|-
|
{| class="wikitable"
|-
! Mystacinidae|짧은꼬리박쥐과영어
|-
|
{| class="wikitable"
|-
! Noctilionidae|불독박쥐과영어
|-
|
Mormoopidae|유령얼굴박쥐과영어 |
---|
Phyllostomidae|주걱박쥐과영어 |
|}
|}
|-
|
{| class="wikitable"
|-
! Phyllostomidae|큰귀박쥐과영어
|-
|
{| class="wikitable"
|-
! 넓은 의미의 Vespertilionidae|애기박쥐과영어
|-
|
Miniopteridae|긴가락박쥐과영어 |
---|
좁은 의미의 애기박쥐과 |
|}
|}
|}
|}
|}
참조
[1]
논문
New Myzopodidae (Chiroptera) from the Late Paleogene of Egypt: Emended Family Diagnosis and Biogeographic Origins of Noctilionoidea
2014-02-04
[2]
웹사이트
Madagascar's tiny 'sucker-foots' give old bat new meaning
http://in.reuters.co[...]
Reuters
2014-02-05
[3]
논문
A Molecular Phylogeny for Bats Illuminates Biogeography and the Fossil Record
2005-01-28
[4]
간행물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Myzopoda (Myzopodidae: Chiroptera) from western Madagascar
http://dx.doi.org/10[...]
2007-03-26
[5]
저널
http://www.molekular[...]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