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흰꼬리수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흰꼬리수리는 몸길이 66~94cm, 날개폭 1.78~2.45m의 대형 수리종으로, 유라시아 대륙과 그린란드,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분류학적으로는 두 아종으로 나뉘며, 성체는 회갈색 깃털과 흰색 꼬리를 특징으로 한다. 해안, 강, 호수, 늪 등 물과 가까운 지역에 서식하며, 어류, 조류, 포유류 등을 먹는다. 과거에는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현재는 여러 국가의 보호 노력으로 개체 수가 회복되고 있다. 그러나 서식지 파괴, 오염, 풍력 발전 시설과의 충돌 등 여전히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의 새 -
    꿩은 닭목 꿩과의 새로서 농경지, 초원, 숲 주변에 서식하며, 수컷은 화려한 깃털을, 암컷은 칙칙한 갈색 깃털을 가지며, 한국에는 한국꿩 등이 서식하고, 사냥과 식용으로 이용된다.
  • 조지아의 새 - 검은목두루미
    검은목두루미는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서 번식하고 유럽 남부 등지에서 월동하는 철새로, 잿빛 회색 몸통에 검은색과 흰색 무늬가 있으며, 습지나 농경지에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두루미과의 대형 조류이다.
  • 흰꼬리수리속 - 참수리
    참수리는 수리과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로, 러시아 동부에서 번식하고 한국, 일본 등지에서 월동하며, 큰 부리와 흰 꼬리, 짙은 갈색 깃털이 특징이고, IUCN Red List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보호가 필요하다.
  • 흰꼬리수리속 - 흰머리수리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대형 맹금류인 흰머리수리는 갈색 몸통과 흰 머리, 꼬리를 가진 성체의 외형적 특징을 가지며, 물고기, 조류, 포유류 등을 먹고, 과거 멸종 위기를 극복하여 미국의 국조가 되었다.
  • 카자흐스탄의 새 - 멧새
    멧새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수컷은 적갈색 바탕에 줄무늬가 있고 암컷은 색이 옅으며, 건조하고 개방된 서식지에서 덤불 속이나 땅에 둥지를 짓고 잡식성으로 생활하며 IUCN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 카자흐스탄의 새 -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는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대형 맹금류로, 다양한 깃털 색깔, 주황색 눈, 곧게 선 귀깃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 먹이 오염 등으로 위협받고 있어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흰꼬리수리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분류
상태LC
상태 기준IUCN3.1
상태 참고BirdLife International. 2020. Haliaeetus albicill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22695137A181768148.
상태2CITES_A1
상태2 기준CITES
상태2 참고CITES 부록
흰꼬리수리속
흰꼬리수리
학명Haliaeetus albicilla
명명자Linnaeus, 1758
아종H. a. albicilla - (Linnaeus, 1758)
H. a. groenlandicus - Brehm, CL, 1831
아종 참고Gill F, D Donsker & P Rasmussen (Eds). 2020. IOC World Bird List (v10.2). doi : 10.14344/IOC.ML.10.2.
이명Falco albicilla Linnaeus, 1758
Falco melanaetos Linnaeus, 1766
Falco ossifragus Linnaeus, 1766
Haliaeetus albicilla albicilla
Haliaeetus albicilla groenlandicus
생태 및 분포
서식지야생동물 신탁
산림
습지
해안가
분포 범위번식지
거주지
통과지
비번식지
현존 및 재도입 (거주)
현존 및 재도입 (통과)
흰꼬리수리 분포도
H. albicilla의 분포 범위
기타
영명White-tailed eagle, erne 등
일본어 명칭오지로와시
한국어 명칭흰꼬리수리
이미지
흰꼬리수리 성조
흰꼬리수리 성조
흰꼬리수리 어린 새
흰꼬리수리 어린 새

2. 분류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는 수리과(Accipitridae) 흰꼬리수리속(Haliaeetus)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이다.[15][17] 흰꼬리수리속에는 흰꼬리수리를 포함하여 약 11종의 현존하는 바다수리가 있으며, 유전적으로 가까운 ''Ichthyophaga'' 속 어류 독수리도 이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19][20]

흰꼬리수리속은 수리과 내에서 솔개아과(Milvinae)의 솔개 종류 및 구세계독수리와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6][22][23] 특히 흰꼬리수리는 북아메리카의 흰머리수리(*Haliaeetus leucocephalus*)와 매우 가까운 관계에 있어, 이 두 종은 하나의 잠재종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들은 약 1,000만 년 전에 공동 조상으로부터 갈라져 각각 유라시아북아메리카로 퍼져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북태평양 지역의 스텔러바다수리(*Haliaeetus pelagicus*) 역시 이들과 가까운 관계에 있는 대형 바다수리이다.[6]

흰꼬리수리는 분포 지역에 따라 몇몇 아종으로 나뉘기도 하지만, 아종 분류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이견이 있다.[25][302][303]

2. 1. 분류 역사

흰꼬리수리는 스웨덴의 자연학자 칼 폰 린네가 1758년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Falco albicilla''라는 학명으로 처음 정식 기재했다.[15][16] 이후 1809년 프랑스의 자연학자 마리 쥘 세자르 사비니가 ''이집트 설명''에서 흰꼬리수리속(Haliaeetus)을 도입하여 현재의 속으로 분류되었다.[17] 속명 ''Haliaeetus''는 "바다 독수리"를 뜻하는 신라틴어로, 고대 그리스어 ''hali-''(바다)와 ''aetos''(독수리)에서 유래했으며, 종명 ''albicilla''는 "흰 꼬리"를 뜻하는 신라틴어 ''albi-''(흰색)와 ''cilla''(꼬리)에서 유래했다.[18]

일본 홋카이도(Hokkaido)에서 겨울을 나는 성체 흰꼬리수리


스웨덴 페르네보피야르덴 국립공원(Färnebofjärden National Park)의 눈 속 두 마리의 성체 흰꼬리수리


흰꼬리수리가 속한 흰꼬리수리속(Haliaeetus)은 약 11종의 현존하는 종을 포함하는 단계통군이다. 가까운 관계인 ''Ichthyophaga'' 속 어류 독수리들도 포함되는데, 유전적으로는 별개의 속으로 나누기 어려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9][20] 흰꼬리수리속수리과(Accipitridae) 내에서 솔개아과(Milvinae)의 솔개 종류 및 구세계독수리와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유전자 서열 분석으로도 일부 뒷받침된다.[6][22][23] 반면, 흔히 '독수리'로 불리는 참수리류(Buteoninae)나 뱀독수리류(Circaetinae)와는 상대적으로 거리가 멀다.[12][23][24]

흰꼬리수리는 흰머리수리(*Haliaeetus leucocephalus*)와 함께 잠재종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 두 종은 약 1,000만 년 전(마이오세 초기)에 다른 바다수리로부터 분기했으며, 속 자체의 기원은 약 2,800만 년 전(올리고세 초기 또는 중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이는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등 유전학 연구로도 뒷받침된다.

아종 분류에 대해서는 논의가 있다. 그린란드 개체군을 별도 아종 ''H. a. groenlandicus''로 보기도 하지만, 유전적 차이가 뚜렷하지 않아 아종 지위에 대한 논란이 있다.[25] 과거 제안되었던 동부 아종 ''H. a. brooksi''는 크기와 색깔의 점진적 차이 외에는 뚜렷한 근거가 부족하여 인정되지 않는다.[25]

하와이 제도에서는 흰꼬리수리와 가까운 관계에 있었으나 플라이스토세 중기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유한 계통의 바다수리가 약 10만 년 이상 서식했었다. 이들은 현재 멸종했으며, 멸종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26][27]

2016년 국제조류학회(IOC) 기준으로는 다음 두 아종을 인정하지만, 다른 분류 체계(예: Clements checklist)에서는 아종을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302][303]

아종학명분포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 albicilla (Linnaeus, 1758)[300][304]유라시아 전역 (그린란드 제외). 한국에서는 겨울철새로 주로 서해안에서 관찰됨.[304]
그린란드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 groenlandicus Brehm, CL, 1831그린란드[300]


2. 2. 아종

흰꼬리수리의 아종 분류에 대해서는 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다. 국제조류학회(IOC)는 2016년 기준으로 두 개의 아종을 인정하고 있으나,[302] Clements checklist에서는 같은 해 기준으로 아종을 인정하지 않는다.[303] IOC에서 인정하는 아종은 다음과 같다.

  • '''''Haliaeetus albicilla albicilla''''' (Linnaeus, 1758) - '''흰꼬리수리'''[300][304]
  • : 그린란드를 제외한 유라시아 대륙 대부분 지역에 분포한다.[300]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며, 주로 서해안에서 관찰된다.[304] 과거 동부 아종(''H. a. brooksi'')이 제안되기도 했으나, 동쪽 개체군이 서쪽 개체군보다 약간 더 어둡고 작다는 임상적 변이 외에는 뚜렷한 증거가 부족하여 인정되지 않는다.[25]

  • '''''Haliaeetus albicilla groenlandicus''''' (Brehm, CL, 1831)
  • : 그린란드에 분포한다.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에 따르면, 그린란드 흰꼬리수리는 진화적으로 비교적 최근에 형성된 개체군으로, 아직 독특한 유전적 특징을 많이 축적하지 못해 엄밀한 의미의 아종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개체군은 인구 통계학적으로 고립되어 있어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다.[25]

3. 형태

흰꼬리수리는 유라시아 대륙 넓은 지역에 서식하는 매우 큰 맹금류 중 하나이다. 커다란 몸집, 넓고 긴 날개, 그리고 성체의 경우 특징적인 흰색 꼬리를 가지고 있다. 성체는 전반적으로 갈색 깃털을 띠며 머리와 목 부분은 더 밝은 황갈색이나 크림색을 띠고, 부리와 발, 홍채는 노란색이다.[6][12]

어린 새는 성체와 외형이 상당히 다르다. 몸 전체가 성체보다 훨씬 어두운 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몸 곳곳에 흰색 반점이나 줄무늬가 고르지 않게 나타난다. 부리는 끝부분이 검고 나머지는 칙칙한 노란색 또는 회색이며, 홍채는 갈색, 꼬리 역시 완전히 흰색이 아니다. 어린 새가 성체와 같은 모습과 깃털 색을 갖추기까지는 보통 5~8년 정도가 걸린다.[6][12][32]

비행할 때는 매우 넓고 끝이 깊게 갈라져 '손가락'처럼 보이는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보통 6개 이상의 깃털 끝이 보인다. 날개를 평평하게 펴거나 끝을 약간 위로 올린 채로 날며, 활공을 즐겨 한다.[6][12][51] 앉아 있을 때는 큰 부리와 상대적으로 높은 정수리가 특징이며, 꼬리는 몸집에 비해 다소 짧고 쐐기 모양으로 보인다.[12][50]

흰꼬리수리는 특히 번식기에 다양한 울음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별이나 상황에 따라 다른 소리를 내며, 암수가 함께 울음소리를 주고받기도 한다.[12][32]

평균 수명은 약 21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개체는 야생에서 25년 이상 생존하기도 한다.[314]

3. 1. 성체

흰꼬리수리는 매우 큰 대형 수리이다. 몸길이는 66cm에서 94cm에 달하고, 양 날개를 편 길이는 1.78m에서 2.45m에 이른다. 날개 중점은 평균 2.18m로, 다른 어떤 수리보다도 평균적으로 가장 크다.[308][309] 몸무게와 총 길이 면에서는 참수리가 더 크지만, 평균 날개 길이에서는 흰꼬리수리가 가장 가깝다.[308] 흰머리수리는 크기가 거의 비슷하지만 평균 날개 길이는 더 짧고 꼬리가 길어 전체 길이는 더 긴 편이다.[308]

암컷은 보통 4kg에서 6.9kg으로, 3.1kg에서 5.4kg인 수컷보다 더 무겁다.[308] 기록된 가장 무거운 개체는 스코틀랜드에서 발견된 7.5kg짜리였으며, 그린란드의 거대한 암컷 중에는 날개 길이가 2.53m에 달하는 개체도 보고되었다.[310][311] 그린란드 개체군은 다른 지역 개체군보다 일반적으로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308] 흰꼬리수리는 전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수리이자, 평균적으로 4번째로 무거운 수리로 간주된다.[308][313]

어린 흰꼬리수리의 큰 부리와 날카롭게 굽은 발톱 그림


성체 흰꼬리수리는 전반적으로 회갈색의 중간 갈색을 띤다. 몸통과 날개 대부분의 깃털은 상당히 균일한 색이지만, 위쪽 날개덮깃은 보통 약간 더 밝다. 성체의 머리, 목, 윗가슴은 몸의 다른 부분보다 훨씬 밝은 황갈색 또는 크림색을 띤다. 깃털이 마모되거나 탈색되면 이 부분은 거의 흰색에 가까워져 탈색된 흰머리수리와 비슷해 보일 수도 있다.[6][12] 일부 개체군에서는 나이가 들면서 색이 밝아지는 것으로 여겨지나, 유전적 요인도 있을 수 있다. 반대로 일부 성체는 평균보다 더 진한 갈색(또는 적갈색)을 띠기도 하며, 분포 지역 동쪽으로 갈수록 평균 색조가 약간 어두워지는 경향이 있다.[6][12] 새로 깃갈이를 한 깃털은 약간 자주색 광택을 띨 수 있다.[38] 성체의 특징적인 모습은 몸의 갈색과 대조되는 짧고 쐐기 모양의 흰색 꼬리이다. 종소명 ''albicilla''는 "흰 꼬리의"라는 뜻이다.[12] 성체의 부리, 납막(cere), 발, 홍채는 모두 노란색이다.[6]

흰꼬리수리 성체의 신체 측정치[308][312][37][46][47][6][12][48]
측정 부위성별/지역크기비고
날개 길이수컷 (유럽)552mm ~ 695mm유럽 성체 평균 606mm, 어린 개체 평균 645mm
수컷 (그린란드)평균 646.5mm
암컷 (유럽)605mm ~ 740mm유럽 성체 평균 668mm, 어린 개체 평균 685mm
암컷 (그린란드)평균 691.3mm
암컷이 수컷보다 최대 25% 더 무겁고 선형 치수가 15% 더 클 수 있음[12]
새의 성별 구별은 부척골 너비/깊이, 부리 깊이 측정이 가장 신뢰성 높음[6][45]
꼬리 길이수컷 (성체)250mm ~ 331mm (평균 280mm)
암컷 (성체)276mm ~ 330mm (평균 305mm)
어린 개체최대 약 380mm성체보다 김
부척골-90mm ~ 101mm (평균 95.5mm)
발가락 발톱-37mm ~ 46mm (평균 40.9mm)참수리보다 짧고 날카롭게 굽음. 흰머리수리(약 40.4mm)와 비슷.
부리 (노출부)-45mm ~ 65mm (평균 56.1mm)흰머리수리(평균 54.3mm)보다 약간 김. 알래스카 흰머리수리는 최대 75mm 가능[35][36][47]



스볼베르, 노르웨이의 성체 수리. 길고 넓으며 손가락 모양으로 갈라진 날개, 무거운 부리, 짧은 쐐기 모양의 꼬리가 특징이다.


평균보다 더 어둡고 풍부한 색을 띤 성체의 예


성체는 보통 노출된 나뭇가지나 바위 등에 똑바로 앉아 있지만, 땅에서는 더 수평적인 자세를 취한다. 부리가 크고 정수리가 높아 ''Aquila'' 독수리와 비교할 때 다소 좁고 높이 솟은 얼굴 모양을 가진다.[12][50] 목은 때때로 흰머리수리보다 길어 보일 수 있다. 꼬리는 비교적 짧고 쐐기 모양이며, 거대한 몸에 비해 다소 작아 보일 수 있다. 다리는 깃털로 덮여 있지만 발목 아래(부척골)는 깃털이 없다.

비행 시 날개는 매우 넓고 끝이 깊게 갈라져 보통 6개 이상의 '손가락'(깃털 끝)이 보인다. 날개는 평평하게 펴거나 끝을 약간 위로 올린 채 날며, 얕은 날갯짓을 하거나 활공한다. 때로는 크기에 비해 날갯짓이 상당히 빠를 수 있다. 멀리서 보면 큰 갈색 왜가리의 비행과 비슷해 보일 수도 있다. 흰꼬리수리는 활공을 즐겨하며, 공중 기동성이 뛰어나 공중 묘기를 부리거나 다른 새와 싸울 때 민첩하게 움직인다.[6][12][51]

흰꼬리수리는 평균적으로 21년, 길게는 2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14]

어린 새는 성체와 달리 몸 전체가 더 어두운 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흰색 반점이나 줄무늬가 고르지 않게 나타난다. 꼬리깃은 흐릿한 회색/크림색 바탕에 검은색 얼룩이 있으며, 홍채는 갈색, 부리는 끝부분이 검고 나머지는 칙칙한 노란색 또는 회색이다. 발은 칙칙한 노란색이다. 어린 새는 약 5~6년이 지나야 성적으로 성숙하지만, 완전히 성체와 같은 흰 꼬리와 균일한 밝은 머리/목 색을 갖추려면 보통 8년 정도 걸린다.[6][12][32] 깃갈이는 생후 1년이 조금 넘은 시점부터 시작하여 몇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6][12][49]

3. 2. 어린 새



어린 새는 성체와 달리 온몸이 갈색 또는 흑갈색 깃털로 덮여 있다. 윗면과 아랫면의 작은덮깃에는 흰색 반점이 있으며, 꼬리깃에도 갈색 반점이 있다.[308] 어린 개체의 꼬리 길이는 성체보다 길어서 두 성별 모두 약 380mm에 달할 수 있다. 홍채는 갈색이고, 부리는 검은색이다.[308]

둥지에 있는 어린 새끼는 날카로운 ''piieh-piieh'' 울음소리를 내며, 배가 고프거나 "지루할" 때는 단조로운 ''veee-veee'' 소리를 낸다. 이 소리는 즉시 먹이를 주거나 품어주지 않으면 더욱 심해진다.[6][12][32][52]

성장하면서 온몸의 반점은 점차 사라지고, 홍채부리의 색깔도 성체처럼 황색으로 변해간다.[308]

4. 분포

흰꼬리수리는 북유럽북아시아의 광활한 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대형 수리류이다.[12] 서식 범위는 서쪽으로 그린란드 남서부와 아이슬란드 서부까지 확장되며, 유럽에서는 특히 노르웨이 해안에 많은 수가 서식한다.[61] 아시아에서는 터키와 조지아의 일부 지역부터 카스피해 남부 연안, 카자흐스탄, 러시아 전역(북극권 고위도 포함), 몽골, 중화인민공화국 북부, 북한 북부, 사할린섬, 쿠릴 열도, 일본 홋카이도까지 넓게 분포한다.[1][12][71]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서 번식하는 개체들은 겨울이 되면 남쪽으로 이동하여 중화인민공화국 동부, 페르시아만 주변, 대한민국 서해안 등지에서 월동한다. 하지만 동유럽, 서아시아, 중화인민공화국 북동부, 일본 홋카이도 북부 및 동부 등 일부 지역에서는 텃새로 연중 서식하기도 한다.

4. 1. 번식지

흰꼬리수리는 북유럽북아시아의 넓은 지역에 걸쳐 번식한다.[12] 유럽에서는 특히 노르웨이 해안에 가장 많은 개체가 서식하며, 2008년 조사 기준으로 약 9,000~11,000 쌍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분리된 개체군은 그린란드 남서부와 아이슬란드 서부에서도 발견된다. 그린란드 개체군은 크기가 커서 한때 'groenlandicus'라는 아종으로 제안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베르그만의 법칙에 따른 지역적 변이로 보며 단일 종으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의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흰꼬리수리의 근접 촬영


노르웨이 리틀 아일랜드 등대의 성체 흰꼬리수리


리틀 아일랜드 등대의 둥지 위의 어린 흰꼬리수리


스코틀랜드 스카이 섬에서 노르웨이 개체군에서 재도입된 새들의 비행 모습


과거 서식지였던 일부 지역에서는 재도입 노력이 진행되어 개체수가 회복되고 있다.

  • 스코틀랜드: 1959년과 1968년의 초기 재도입 시도는 실패했으나, 1970년대 내해브리디스 제도의 룸 섬(Rùm)에서 성공적인 재도입이 이루어졌다.[6] 룸 섬은 면적이 10600ha에 달하고, 마지막 토착 흰꼬리수리 번식 기록(1916년)이 있는 스카이 섬과 가까우며, 본토에서 24km 떨어져 있다. 또한, 풍부한 먹이 자원(대규모 바닷새 군락, 1500마리의 붉은사슴, 200마리의 야생 염소 등)을 갖추고 있다.[6][14] 재도입에는 노르웨이 서부에서 가져온 어린 개체들이 사용되었으며, 각인을 최소화하며 방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75년부터 1987년까지 총 82마리가 성공적으로 방사되었다.[6][14] 현재 흰꼬리수리는 웨스턴 제도와 웨스터 로스 본토 해안까지 번식 범위가 확대되었다. 1996년에는 번식 성공률이 낮아 추가 방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고,[264] 2008년에는 파이프 지역에 15마리의 새끼를 추가로 방사하여 동부 해안으로의 정착을 시도했다.[265] 스코틀랜드 재도입 개체군의 번식 성공률은 점차 개선되어, 2000년대 후반에는 안정적인 수준을 보였다.[266] 2008년 영국 전체의 번식 쌍은 40쌍으로 추산되었다.[267] 체코 공화국의 보헤미아 지역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재도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38][268][269]

  • 아일랜드: 아일랜드에서도 '바다 독수리'라는 뜻의 아일랜드어 이름 'Iolar Mara'를 가진 흰꼬리수리 재도입이 2007년부터 시작되었다. 매년 노르웨이에서 온 어린 개체들이 킬라니 국립공원에 방사되고 있다. 아일랜드에서는 1900년대 초 토지 소유주들의 박해로 멸종되었으며,[270] 마지막 번식 기록은 1912년 메이오 해안이었다.[271] 재도입 초기에는 일부 양 목축업자들의 반대가 있었고,[272] 실제로 방사된 개체 중 일부가 독살되거나 총에 맞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273] 하지만 2012년, 100년 만에 로크 더그(Loch Derg)에서 첫 번식 쌍이 확인되었고,[274] 2013년에는 재도입 프로그램 시작 이후 처음으로 아일랜드 땅에서 새끼가 태어나는 성공을 거두었다.[275] 2015년에는 4개 카운티에서 5개의 둥지에서 새끼가 부화했다.[276]


upright

  • 잉글랜드: 2019년, 영국 정부는 와이트 섬에서의 재도입 프로젝트를 승인했다. 이를 통해 남부 해안으로의 재정착을 기대하고 있다.[278] 2019년 6마리의 어린 새를 방사한 이후,[60] 영국 남부 전역에서 목격담이 이어졌으며, 런던 상공에서 관찰되기도 했다.[279] 2021년에는 노퍽 지역에서도 재도입 프로젝트가 승인되어 이스트앵글리아 지역으로의 복원이 시작되었다.[280]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남쪽으로 이동하여 중화인민공화국 동부나 페르시아만 등지에서 월동한다. 동유럽, 서아시아, 중화인민공화국 북동부 등 일부 지역에서는 텃새로 연중 서식한다. 러시아에서는 서쪽의 유럽 러시아부터 동쪽의 베링 해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주로 겨울철에 북일본 지역으로 날아오는 겨울새이지만, 홋카이도 북부와 동부에서는 연중 서식하는 텃새 개체군도 존재한다. 2010년 1월 환경성 발표에 따르면, 홋카이도 내 월동 개체 수는 약 1,700마리(번식 쌍 약 140쌍 포함)로 추정된다. 과거에는 쓰시마 섬에도 정기적으로 도래했던 기록이 있다.

4. 2. 월동지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서 번식하는 흰꼬리수리는 겨울이 되면 번식지보다 남쪽으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주요 월동지로는 '''대한민국 서해안''', 중화인민공화국 동부, 페르시아만 주변 지역 등이 있다.

하지만 모든 개체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동유럽, 서아시아, 중화인민공화국 북동부 등 일부 지역에서는 일 년 내내 서식하는 텃새 개체군도 존재한다.

일본의 경우, 주로 겨울철새로서 북일본 지역으로 날아와 겨울을 보내지만, 홋카이도 북부와 동부에서는 연중 서식하는 텃새 개체도 확인된다. 2010년 1월 환경성의 발표에 따르면, 홋카이도 내에서 월동하는 흰꼬리수리는 약 1,700마리(이 중 번식 쌍은 약 140쌍)로 추정된다. 과거에는 쓰시마에도 정기적으로 날아오는 개체가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5. 생태

그린란드 흰꼬리수리


흰꼬리수리는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나무나 바위 위에 앉아 보내며, 몇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날씨가 좋지 않을 때는 하루의 최대 90%까지 앉아서 보낼 수 있다.[6][32] 물 위나 물이 많은 지역을 비행할 때는 활공하는 시간과 앉아있는 시간을 번갈아 가며 보내지만, 검독수리에 비해 평균적으로 활공하는 시간은 상당히 적다. 암수 한 쌍은 정기적으로 함께 잠자리에 들며, 종종 둥지 근처 바위나 나무 또는 갈라진 틈, 튀어나온 바위턱이나 바위 위의 작고 고립된 나무에서 쉰다.[32]

흰꼬리수리는 일정 부분 철새의 특성을 보인다.[6][91] 서식 범위의 서쪽, 예를 들어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해안 등 북쪽에서 번식하는 개체들은 겨울에도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어린 새들은 분산 후 남쪽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성체보다 이동성과 분산성이 더 크다. 북서유럽의 어린 새들은 8~9월에 태어난 곳을 떠나 3~4월에 돌아온다.[12][32] 핀란드스웨덴의 어린 새들은 주로 남서쪽 발트해 연안으로 이동하며,[93][62] 독일의 어린 새들은 대부분 둥지에서 50km 미만으로 이동하지만, 일부는 이탈리아프랑스까지 1000km 이상 이동하기도 한다.[94] 러시아의 흰꼬리수리는 대부분 이동성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12]

주요 월동 지역으로는 프랑스 로렌 지방, 네덜란드, 독일 서부 및 북부, 덴마크(특히 바덴 해), 이탈리아 중서부, 오스트리아 북부, 슬로바키아 남부, 헝가리 북부, 동남유럽 일부 보호 지역 등이 알려져 있다.[1][38][73][74][75][76][77] 러시아에서 번식한 개체들은 터키, 레반트, 이란, 페르시아만, 드물게는 중앙아시아와 인도 북서부, 중국 중남부 및 동북부 등지로 이동하며, 상당수가 한국일본 혼슈에서 월동한다.[1][38][78][79][80][81] 러시아 극동 지역의 개체들은 베링해를 건너 알래스카까지 분산되기도 한다.[56][82] 극동 지역에서는 가을에는 캄차카 반도에서 쿠릴 열도를 거쳐 홋카이도로, 봄에는 사할린오호츠크해 연안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95] 겨울철에는 특히 어린 새들이 무리를 짓는 경향이 있으며, 때로는 30~50마리 이상 모이기도 한다.[6][31][76][77]

흰꼬리수리는 주로 어류, 조류, 포유류, 동물 사체 등을 먹는 육식성 조류이다. 때로는 양의 새끼나 두루미 새끼를 공격하기도 한다. 수면 가까이에 있는 먹이는 급강하하여 발톱으로 낚아챈다.

해안, , 호수, 등 물과 가까운 다양한 서식지에 살며, 주로 저지대를 선호한다. (자세한 내용은 서식지 문단 참고)

단독 또는 쌍으로 생활하지만 겨울에는 무리를 지어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 성체는 세력권을 형성하고 방어하며, 침입자와 격렬하게 싸우기도 한다. 일부일처제로 짝을 이루며, 번식기에는 공중 곡예와 같은 구애 행동을 보인다. 높은 나무 위나 절벽에 나뭇가지로 큰 둥지를 짓고, 3~4월경(지역에 따라 다름)에 보통 2개의 알을 낳는다. 주로 암컷이 약 38일간 알을 품으며(포란), 부화한 새끼는 70~75일 정도 지나면 날 수 있게 되고(이소), 이후 35~40일 정도 더 부모에게 의존하다 독립한다. 생후 5~6년이면 성적으로 성숙하고, 6~7년이면 성조의 깃털로 완전히 바뀐다. 유럽에서의 평균 수명은 20년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304] (자세한 내용은 사회 행동 문단 참고)

5. 1. 서식지

흰꼬리수리는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주로 저지대 지역에서 서식한다.[12]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 일부 지역에서는 물이 있는 한 1500m에서 2300m 고도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해안 지역에서는 높은 바다 절벽에서부터 저지대 군도까지 다양한 환경에 분포한다. 특히 겨울철에는 해안 저지대, 하구, 염습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12][5][84] 내륙에서는 주로 외딴 , 삼림 지대 또는 키 큰 고목림과 함께 호수, , 습지 또는 넓은 농경지와 같은 담수 습지에 접근할 수 있는 곳을 필요로 한다.[12] 크로아티아의 충적 평야 습지에서는 둥지의 95%가 담수 심수역으로부터 4km 이내에 위치했다.[87]

흰꼬리수리는 나무가 우거진 지역과 상당히 관련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물 근처에 있는 지역이다.


일반적으로 흰꼬리수리는 인간의 간섭, 특히 건설, 수상 스포츠, 심한 보트 활동 및 사냥과 같이 소음이 발생하는 활동이 잦은 지역은 피하는 경향이 있다.[6][12][5] 그러나 일본과 같이 집중적인 어업 활동이 있는 지역에서는 인간의 존재에 비교적 익숙해져 서식하기도 하며,[12][86] 상업적 어업 시설이나 잉어 양식장 등 먹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곳을 찾아가기도 한다.[6][12][5] 보호 조치가 잘 이루어진다면, 덴마크의 사례처럼 도시 외곽과 같이 사람이 많은 환경에서도 먹이를 찾고 성공적으로 번식할 수 있다.[291][89][90] 반면, 네덜란드 일부 지역의 교란된 습지에서는 장기간 서식하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노르웨이에 있는 사용되지 않는 흰꼬리수리 둥지. 좋은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아마도 다른 둥지일 가능성이 높다.


번식기에는 주로 큰 나무나 절벽둥지를 튼다.[32] 나무 둥지는 주로 침엽수를 선호하며, 높은 주 가지나 나무 꼭대기 부분, 또는 큰 곁가지에 만든다.[32] 먹이 접근성이 둥지 위치 선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225] 대부분 숲 가장자리, 즉 개활지, 습지 또는 경작지와 가까운 곳을 선호한다.[225] 나무 둥지의 높이는 지역과 나무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독일에서는 평균 20m (8m 에서 30m 범위)[225], 홋카이도에서는 16.5m 에서 25m 정도로[130], 보통 주변에서 가장 키가 큰 나무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225][226]

나무가 없는 지역에서는 절벽에 둥지를 짓는데, 노르웨이(86%), 스코틀랜드(79%), 아이슬란드(77%), 그린란드(100%) 등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6][31][142][227] 절벽 둥지는 가장 가까운 평지로부터 75m 이상 높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12] 드물게는 땅 위나 낮은 언덕, 작은 나무, 관목, 모래톱, 갈대밭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32]

둥지는 일반적으로 크고 튼튼하며, 나뭇가지로 만들어지고 이끼, 녹색 식물, 해초, 양털 등으로 안감을 댄다.[12] 나무 둥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름 2m, 깊이 3m 이상으로 커질 수 있으며, 무게가 600kg을 넘기도 한다.[32][31][94][228] 절벽 둥지는 상대적으로 재료가 적게 사용될 수 있다.[31] 한 쌍의 흰꼬리수리는 자신의 영역 안에 여러 개의 둥지(평균 2.5개, 최대 11개)를 두고 번갈아 사용하는 습성이 있다.[38][38]

5. 2. 사회 행동

네덜란드에서 겨울을 나는 여러 흰꼬리수리


흰꼬리수리는 일반적으로 단독 또는 쌍으로 생활하지만, 겨울철이나 어린 새, 미성숙한 새들 사이에서는 비교적 무리를 지어 생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덴마크의 바덴 해 지역은 겨울 동안 덴마크와 인접 국가의 많은 흰꼬리수리(대부분 미성숙 개체)를 유인한다.[75][76][77]

성체 흰꼬리수리는 번식기에 세력권을 형성하고 방어한다. 세력권의 크기는 52km2에서 415km2까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130km2 미만으로 추정된다.[32] 그러나 독일 북동부에서는 2.25km2에서 19.16km2 정도로 훨씬 작은 세력권이 보고되기도 했다.[96] 그린란드에서는 100km²당 0.3~0.6개의 번식지가 기록되었고,[224] 동독에서는 100km²당 1.6~2쌍의 밀도가 보고되었다. 노르웨이에서는 둥지가 서로 1km에서 2km 이상 떨어져 있으며, 노르웨이 해안의 세력권 크기는 약 6km2에서 9km2로 보고되었다.[31] 러시아 예니세이 강의 80km 구간에는 5개의 번식지가 확인되었다.[138] 성체 수컷은 자신의 세력권에 침입한 다른 수컷에 대해 매우 공격적이며, 때로는 격렬한 싸움으로 이어져 한쪽 또는 양쪽 모두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싸우는 과정에서 둥지가 손상되기도 한다.[6][32]

둥지 주변의 흰꼬리수리 한 쌍


흰꼬리수리의 번식기는 서식지 남부에서는 1월부터 7월까지, 북부에서는 4월부터 9월까지이다.[12] 흰꼬리수리는 기본적으로 일생 동안 한 쌍을 이루지만, 한쪽이 죽으면 곧 다른 짝을 찾는다. 짝은 영역을 정하고 나서 형성된다.[12] 이른 봄이 되면 짝은 활공, 하늘 춤과 같은 공중 곡예 비행을 자주 선보이며 큰 소리로 울음소리를 낸다. 때로는 서로 발톱을 맞대거나 얽힌 채 눈부신 회전 비행을 하기도 한다.[12][221] 이러한 구애 행동은 서식지의 일부 지역에서는 거의 일년 내내 나타날 수 있지만, 가을에 어린 새들이 흩어진 후에는 드물어지고 봄에 그 빈도가 절정에 이른다.[32] 구애 행동은 종종 수컷이 머리를 뒤로 젖히며 하늘을 향해 울음소리를 내는 것으로 시작하며, 이후 짝이 함께 활공한다. 한쪽이 다른 쪽으로 급강하하면, 상대방은 몸을 기울이거나 뒤집어 잠시 발톱을 맞댄 후 분리된다. 이 행동이 반복되거나 강도가 높아지면 발톱을 잡고 "상호 회전 비행"을 하는데, 이는 짝이 공중에서 발톱을 걸고 회전하며 땅으로 떨어지는 행동으로, 지면 바로 위에서 멈추기도 한다.[6][94][221] 발톱을 잡는 행위는 다른 수리과 조류에서는 주로 세력 다툼과 관련되지만, 흰꼬리수리속에서는 구애 행동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짝 사이뿐만 아니라 수컷이 침입자를 공격할 때도 나타난다.[6][222][223]

짝짓기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 사이에 주로 이루어진다. 짝짓기에 앞서 수컷은 구애 행동의 마지막 단계로 평소보다 더 능숙하고 우아한 비행을 선보일 수 있다.[32] 암컷은 짝짓기 준비가 되면 머리와 목을 뻗고 날개를 반쯤 펴며 꼬리를 몸통과 같은 높이로 유지하고 낮게 웅크린다. 짝짓기는 낮은 나뭇가지, 둥지, 땅, 심지어 얼어붙은 호수 표면 등 거의 모든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부분 둥지 근처에서 하지만 노르웨이에서는 둥지에서 3km 떨어진 곳에서도 관찰되었다. 수컷이 암컷의 등에 올라타면 큰 소리로 울며 날개를 퍼덕여 균형을 잡고 약 12초 후에 내려온다. 짝은 1.5시간 동안 5~6번 정도 짝짓기를 할 수 있으며, 하루 중 거의 언제든지 짝짓기를 할 수 있다.[6][31][94]

6. 인간과의 관계

흰꼬리수리와 인간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때로는 갈등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숭배와 보호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특히 인간의 활동 영역이 확장되면서 흰꼬리수리의 서식지와 먹이자원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했고, 이는 과거 대규모 박해로 이어지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6][246]

흰꼬리수리는 때때로 (''Ovis aries'')이나 염소(''Capra aegagrus hircus'')와 같은 가축, 특히 어린 개체를 공격하는 것으로 알려져 목축업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존재로 인식되기도 했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실제 가축 피해 규모는 과장된 측면이 있으며, 죽은 사체를 먹는 경우가 더 많다.[31][178][179] 또한, 어선을 따라다니거나 상업적 어업 활동 지역, 방류된 호수, 잉어 연못 등에서 먹이를 구하며 죽거나 버려진 물고기를 청소하기도 한다.[12]

이러한 상호작용은 종종 인간과의 갈등으로 이어져 과거 영국 등지에서는 정부 차원의 조직적인 박해가 이루어지기도 했다.[6][246] 인간에 의한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DDT, 중금속, 납 중독 등) 역시 흰꼬리수리의 생존을 크게 위협했다.[6][304][248][253]

이러한 위협으로 인해 많은 지역에서 절멸 위기에 처했으나, 20세기 후반부터 법적 보호, 서식지 보전, 먹이 공급, 재도입 사업 등 다양한 보전 노력이 이루어지면서 개체 수가 점차 회복되고 있다.[6][13][237][64][270] 일본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도 법적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305][306]

하지만 여전히 풍력 발전 시설과의 충돌, 전선 감전사, 불법 사냥 등 새로운 위협 요인이 존재하며,[283][304][267] 인간과의 지속적인 공존 방안 모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6. 1. 역사 속 흰꼬리수리

크로아티아 크라피나에서는 흰꼬리수리 발톱에 새겨진 자국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네안데르탈인장신구로 사용했음을 시사한다.[297]

스코틀랜드오크니 제도에서는 6,000년 된 고인돌, 특히 이글스 툼(독수리의 무덤)이라 불리는 곳에서 흰꼬리수리의 뼈가 발견되었다. 이는 선사시대 사람들이 이 새를 숭배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믿음은 오크니에서 출토된 피크트족 석조물에 새겨진 수리 그림을 통해 더욱 뒷받침된다.

흰꼬리수리는 고대 삭슨족의 전승과 예술 작품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이 종의 이름을 딴 많은 랜드마크가 존재한다.

폴란드 국장에 묘사된 흰꼬리수리


올란드 쿰링게의 국장에 그려진 흰꼬리수리


흰꼬리수리는 폴란드 국장에 그려진 흰 독수리로 여겨진다.[281] 국장에서 흰꼬리수리는 종종 발톱으로 물고기(주로 파이크)를 잡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다른 독수리와 구분된다. 또한 핀란드 올란드의 쿰링게 지역 국장에도 흰꼬리수리가 그려져 있다.

6. 2. 위협 요인

과거 흰꼬리수리는 유럽 대부분과 아시아 일부 지역에 걸쳐 넓게 번식했으나, 19세기 이후 인간 활동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많은 지역에서 절멸했다.[6] 특히 서유럽에서는 거의 멸종 상태에 이르렀으며, 페노스칸디아(주로 노르웨이)와 동유럽 일부 지역에서만 명맥을 유지했다. 영국 제도에서는 1900년대 초에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다.[6] 과거에는 이집트의 만잘라 호수 주변에서도 번식했으며, 드물게 알제리튀니지까지 이동하기도 했으나 서식지 파괴와 건조화로 인해 현재는 길잃은새 외에는 발견되지 않는다.[245] 요르단 계곡에서도 1950년대 초까지 두 쌍이 번식했으나 농약 사용으로 인해 번식을 중단한 것으로 추정된다.[6] 시리아 북부에서도 과거 번식 기록이 있으나 현재는 겨울철에도 보기 어렵다.

주요 위협 요인은 다음과 같다.

'''직접적인 박해'''

역사적으로 흰꼬리수리는 인간에 의해 심각한 박해를 받았다. 특히 영국에서는 농지와 상업 어업의 확장과 함께 흰꼬리수리가 가축이나 사냥감을 해친다는 잘못된 인식 때문에 제거 대상이 되었다.[6][246] 18세기 영국 정부는 독수리 사냥에 현상금을 걸었으며, 화기가 보급되면서 박해는 더욱 심해졌다.[6] 해안가의 접근하기 쉬운 둥지가 많아 알을 꺼내거나 파괴하는 일이 빈번했다. 그린란드에서는 둥지의 62%가 쉽게 접근 가능했으며, 이는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코틀랜드에서도 비슷했다.[6][31][227] 이는 주로 험준한 산악 지대에 둥지를 트는 검독수리와 비교했을 때 흰꼬리수리가 직접적인 박해에 더 취약했던 이유 중 하나이다.[6][142][227] 화기 보급 이전에는 미끼를 이용한 함정 사냥도 이루어졌으나 성공률은 낮았다.[6][31][219] 스코틀랜드에서는 사냥터 관리인과 목동들이 독수리를 독살하거나 총으로 쏘아 죽였고, 둥지를 파괴했다. 일부 지주들이 보호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박해는 계속되어 1916년 스카이섬에서 마지막 번식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영국 본토에서 멸종했다.[6][219][247] 다른 유럽 지역에서도 박해는 심각했다. 루마니아에서는 한 사냥꾼이 20년간 400마리 이상을 죽였고,[67] 노르웨이에서는 1959년부터 1968년까지 매년 평균 169마리가 죽임을 당했다.[31] 독일에서는 19세기 중반 매년 약 400마리가 죽임을 당한 것으로 추정되며,[67] 정부 보호 조치 이후인 1946년부터 1972년 사이 동독에서 발견된 죽은 흰꼬리수리 194마리 중 약 절반이 불법 사살된 것이었다.[225]

'''서식지 파괴 및 개발'''

서식지 변화 역시 흰꼬리수리 감소의 주요 원인이었다.[6] 특히 영국에서는 농지 확장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크게 줄어들었다.[219] 현대에 들어서도 일본에서는 산림 벌채, 토지 조성, 도로 건설 등으로 번식지가 파괴되고 있으며, 호수, 하천, 해안 개발로 인해 먹이터와 먹이 자체가 감소하고 있다.[304]

'''환경 오염'''

DDT와 같은 살충제는 최상위 포식자인 흰꼬리수리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1950년대부터 널리 사용된 DDT는 흰꼬리수리의 몸에 축적되어 알껍데기를 얇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알을 품는 과정에서 알이 쉽게 깨져 번식 성공률이 급격히 감소했다.[248] 흰꼬리수리는 유럽 맹금류 중 DDT 농도가 가장 높은 종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249] 알껍데기 두께는 1935년 이전 평균 0.62mm에서 1969-1975년 사이 평균 0.52mm로 약 16% 감소했다.[250] 특히 스웨덴의 발트해 연안 개체군은 내륙 개체군보다 DDT의 영향을 훨씬 심하게 받았다.[237] DDT 사용이 심했던 동독에서는 1976년 28번의 번식 시도 중 단 한 번만 성공했을 정도였다.[6] 서독, 핀란드, 스웨덴 발트해 지역에서도 번식 시도의 약 75%가 실패했다.[6]

중금속 오염 또한 심각한 문제이다. 독일에서는 수은 중독으로 인한 사망률이 1946-1957년 6.4%에서 1958-1965년 24.6%로 증가했다.[251][252] 헝가리에서는 살충제와 중금속 오염으로 인해 1957년부터 1967년까지 개체수가 약 50-6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67]

사냥에 사용된 탄환에 의한 납 중독도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겨울철 먹이가 되는 사체에 남아있는 납 탄환을 섭취하여 중독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폴란드에서 홋카이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지역에서 21세기에도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다.[253][254][255] 독일에서는 1993년부터 2000년까지 발견된 죽은 흰꼬리수리 61마리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가 납과 수은 중독이었다.[256] 일본에서도 사냥용 탄환에 의한 납 중독이 우려되고 있다.[304]

'''기타 및 현대적 위협'''

최근에는 풍력 발전 시설과의 충돌, 전선 감전사 등이 새로운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풍력 발전기와의 충돌이 가장 큰 위협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으며, 전선 감전사도 문제이다.[304] 독일에서도 송전선 충돌 등 사고사가 1946-1972년 사이 기록된 사망 원인의 6%를 차지했다.[225] 또한, 공사나 사진작가 등에 의한 번식 방해,[304] 밀렵 등도 여전히 흰꼬리수리를 위협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인공 번식지에 대한 의존과 과밀화 문제도 우려되고 있다.[304]

이러한 복합적인 위협 요인으로 인해 흰꼬리수리는 여전히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일본에서는 1970년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305] 1993년에는 국내希少野生動植物種 (국가지정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306] 스코틀랜드에서는 멸종 후 재도입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홋카이도에서는 1954년 처음 번식이 확인된 이후 개체수가 증가하여 2008년에는 약 150쌍의 번식이 확인되었으나, 최근 번식률 감소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304]

6. 3. 보전 노력

흰꼬리수리는 과거 서유럽 대부분 지역과 지중해 연안까지 훨씬 넓은 지역에서 번식했으나, 19세기 이후 인간의 직접적인 박해와 서식지 파괴,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6] 특히 영국에서는 농업 및 어업 확장과 함께 자원 경쟁자로 인식되어 법적으로 제거 대상이 되었고,[6][246] 18세기 말에는 번식지가 극히 일부 지역으로 축소되었다.[219] 화기 보급 이후 박해는 더욱 심해져, 1916년 스카이섬의 마지막 번식 시도를 끝으로 영국 본토에서는 멸종했다.[6][219] 사냥꾼과 목동에 의한 총살, 독살, 둥지 파괴가 만연했으며,[6][247] 유럽 다른 지역에서도 상황은 비슷하여 루마니아에서는 한 사냥꾼이 20년간 400마리 이상을 죽였고, 노르웨이와 독일에서도 매년 수백 마리가 희생되었다.[67][31]

1950년대 이후에는 살충제 DDT의 광범위한 사용이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DDT는 먹이사슬을 통해 흰꼬리수리 몸에 축적되어 알껍데기를 얇게 만들었고, 이로 인해 알을 품는 과정에서 알이 쉽게 깨져 번식 성공률이 급격히 감소했다.[248] 흰꼬리수리는 유럽 맹금류 중 DDT 농도가 가장 높은 종으로 기록되기도 했다.[249] 알껍데기 두께는 DDT 사용 이전 0.62mm에서 1970년대 초 0.52mm로 약 16% 감소했다.[250] 특히 스웨덴 발트해 연안과 동독 등 살충제 사용이 심했던 지역에서는 번식 시도의 75% 이상이 실패하거나 성공률이 극히 낮았다.[6][237] 이 외에도 수은, 등 중금속 오염 역시 심각한 문제였다. 사냥에 사용된 납탄에 중독되거나[253][254][255], 산업 폐기물에서 나온 수은이 먹이를 통해 축적되어 폐사하는 경우가 많았다.[251][252][256][67]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보전 노력이 시작되었다. 스웨덴에서는 오염되지 않은 도축장 사체를 겨울철 먹이로 공급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번식 성공률을 29%에서 44%로 높이는 성과를 거두었다.[237][257] 핀란드에서도 유사한 먹이 공급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258] 서식지 보호를 위해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서는 1970년대에 잠재적 서식지의 75%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했고,[67] 폴란드에서는 국유림 내 둥지 주변 나무를 보호하고 있다.[64] 스웨덴에서는 둥지 주변 벌목을 제한하고 번식기에는 접근 제한 구역을 설정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237] 핀란드 북부에서는 인공 둥지를 설치하여 번식 성공을 돕기도 했다.[62] DDT와 같은 유해 살충제 사용은 규제되었으나, 납탄 사용 규제는 지역별로 일관성이 부족하며[262], 수은 오염 문제도 여전히 남아있다.[248][260][263]

멸종된 지역에서는 재도입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몇 차례 실패 끝에 1975년부터 내해브리디스 제도의 럼 섬에서 노르웨이에서 들여온 어린 개체들을 이용한 재도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6][14] 1975년부터 1987년까지 총 82마리가 방사되었고,[6][14] 현재는 아우터 헤브리디스 제도와 본토 해안까지 번식지가 확대되었다. 이후에도 번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추가 방사가 이루어졌다.[264][265] 아일랜드에서는 2007년부터 킬라니 국립공원에 노르웨이 개체를 방사하는 재도입 프로그램을 시작했다.[270] 이 과정에서 일부 농민들의 반발과 독살, 총격 사건 등 어려움이 있었지만,[272][273] 2012년 100년 만에 첫 번식에 성공했고[274], 이후 여러 지역에서 새끼가 태어나고 있다.[275][276] 영국에서는 2019년 와이트 섬에서 재도입 프로젝트가 시작되었고,[278][60] 2021년에는 노퍽에서도 재도입이 허가되었다.[280] 체코 공화국 보헤미아 지역에서도 재도입 노력이 성공했다.[38][268][269]

이러한 국제적인 보호 노력과 재도입 사업 덕분에 유럽 여러 지역에서 흰꼬리수리 개체 수가 회복되고 있다.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서는 1975년 이후 연평균 6.7%의 개체 수 증가율을 보였고,[13] 덴마크에서는 1995년 번식 개체군이 없었으나 2021년에는 150쌍 이상으로 증가했다.[63][290][291] 헝가리에서는 1970년대에는 없었던 종이 성공적으로 재정착하여 2007년에는 166쌍이 확인되었고,[292] 리투아니아에서도 1985년 0쌍에서 2011년 120쌍으로 증가했다.[293] 네덜란드에서도 2006년 재도입 없이 자연적으로 번식 쌍이 형성된 이후 개체 수가 늘어 2023년 현재 20쌍 이상이 번식하고 있다.[294][295]

일본에서는 1970년에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305] 1993년에는 야생 동·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가지정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306] 홋카이도에서는 번식 쌍이 1998년 56쌍에서 2008년 약 150쌍으로 증가했으나,[304] 최근 번식률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서식지 파괴, 먹이 감소, 납 중독, 풍력 발전 시설과의 충돌 등이 주요 위협 요인으로 지적된다.[304] 중국에서는 중국 국가 1급 중점 보호 야생 동물로 지정되어 있다.

헝가리에서 풍력 터빈에 충돌하여 죽은 흰꼬리수리


전 세계적으로 흰꼬리수리 개체 수는 회복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새로운 위협에 직면해 있다. 2013년 IUCN은 성숙한 개체 수를 20,000~49,999마리로 추정했다.[1] 유럽에서 가장 큰 개체군은 노르웨이 해안에 서식하며, 2008년 추정치는 9,000~11,000쌍에 달한다.[1][281][6][12] 그러나 풍력 터빈과의 충돌이 새로운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 노르웨이 스뫼라 풍력발전소에서는 2005년부터 2010년까지 36마리가 충돌로 죽었으며, 이는 지역 개체군 생산성을 크게 초과하는 수치이다.[283][284][285] 흰꼬리수리는 다른 맹금류와 달리 풍력 터빈 날개를 잘 피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285][286][287] 또한, 스코틀랜드 등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불법 사냥과 알 도둑질이 근절되지 않고 있으며,[267] 개체 수가 증가함에 따라 번식지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288]

북중부 유럽 개체군에 대한 유전학 연구 결과, 회복된 개체군이 상당한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어 근교 약세의 위험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흰꼬리수리 보전 노력이 종의 진화적 잠재력을 보존하는 데 성공적이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10]

6. 4. 문화 속 흰꼬리수리

스코틀랜드의 셰틀랜드 제도 어부들은 흰꼬리수리가 나타나면 물고기가 배를 드러내고 수면으로 떠오른다고 믿었다. 이 때문에 일부 어부들은 어획량을 늘리기 위해 미끼에 독수리 기름을 바르기도 했다.

참조

[1] IUCN Haliaeetus albicilla 2021-11-19
[2]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논문 IOC World Bird List (v10.2) 2020-00-00
[4] 웹사이트 White-tailed eagle | The Wildlife Trusts https://www.wildlife[...]
[5] 논문 Action plan for the conservation of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European Wildlife and Natural Habitats, Strasbourg, France 2003-00-00
[6] 서적 The return of the Sea Ea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00-00
[7] 논문 Comparison of fossil and recent species: some difficulties 1963-00-00
[8] 서적 The birds of North and Middle America: a descriptive catalogue of the higher groups, genera, species, and subspecies of birds known to occur in North America, from the Arctic lands to the Isthmus of Panama, the West Indies and other islands of the Caribbean sea, and the Galapagos Archipelago Govt. Print. Off. 1919-00-00
[9] 서적 Endangered birds of the world, The ICBP Bird red data book Smithsonian Inst Press 1978-00-00
[10] 논문 Development and multiplex PCR amplification of novel microsatellite markers in the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Aves: Falconiformes, Accipitridae) 2005-00-00
[11] 논문 Mortality factors, helminth burden, and contaminant residues in white-tailed sea eagles (Haliaeetus albicilla) from Finland 2006-00-00
[12] 서적 Raptor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2011-05-29
[13] 논문 The return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to northern Germany: modelling the past to predict the future 2010-00-00
[14] 간행물 The reintroduction of the white-tailed sea eagle to Scotland: 1975–1987 Nature Conservancy Council 1988-00-00
[15]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Volume 1 https://www.biodiver[...] Holmiae:Laurentii Salvii 1758-00-00
[16]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olume 1 https://www.biodiver[...]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1979-00-00
[17] 서적 Description de l'Égypte: Histoire naturelle. Volume 1 Imprimerie impériale 1809-00-00
[18]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2010-00-00
[19]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sea eagles (genus Haliaeetus): reconstructions based on morphology, allozymes and mitochondrial DNA sequences 1996-00-00
[20] 논문 Phylogeny, diversity, and classification of the Accipitridae based on DNA sequences of the RAG‐1 exon 2007-00-00
[21] 논문 Notes on Sanford's Sea-Eagle Haliaeetus sanfordi and Other Raptors in the Solomon Islands 2016-00-00
[22] 논문 Evolutionary history of New and Old World vultures inferred from nucleotide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1995-00-00
[23]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diurnal raptors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of mitochondrial and nuclear marker genes 2004-00-00
[24] 서적 The Goshawk https://books.google[...] T & A D Poyser 2006-00-00
[25] 간행물 Journal of the Washington Academy of Sciences; Abstract: Ornithology Washington Academy of Sciences 1921-00-00
[26] 논문 Distinct and Extinct: Genetic Differentiation of the Hawaiian Eagle http://orca.cf.ac.uk[...] 2015-00-00
[27]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Extinct Hawaiian Eagle (Haliaeetus) by mtDNA Sequence Analysis 2000-00-00
[28]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1994-00-00
[29] 서적 National Geographic Field Guide to the Birds of North America National Geographic 2002-00-00
[30]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https://archive.org/[...] Guinness Superlatives 1983-00-00
[31] 간행물 The white-tailed eagle Haliaëtus albicilla albicilla (Linné) in Norway Norwegian Universities Press 1961-00-00
[32] 서적 Eagles, hawks and falcons of the world. Volume 1 Hamlyn Publishing Group 1968-00-00
[33] 웹사이트 World's Largest White-tailed Eagle http://www.ravingrav[...] 2011-10-11
[34] 논문 Lead poisoning in white-tailed sea eagles: causes and approaches to solutions in Germany Ingestion of Lead from Spent Ammunition: Implications for Wildlife and Humans. The Peregrine Fund, Boise, Idaho, USA 2009-00-00
[35] 간행물 Birds of North and Middle America, Pt. 2 U.S. Nat. Mus. Bull. no. 50 1950-00-00
[36] 서적 The Bald Eagle and its economic statu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37] 서적 Birds of China, Vol.1 (Non-Sparrow-shaped) Jili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38]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Ox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2nd Edition CRC Press
[40] 서적 Orel mořský Czech Atlas of Oceanic Life
[41] 논문 Spatial, seasonal and individual variation in the diet of White-tailed Eagles Haliaeetus albicilla assessed using stable isotope ratios
[42] 논문 Leadership and management influences the outcome of wildlife reintroduction programs: findings from the Sea Eagle Recovery Project
[43] 서적 The Golden Eagle https://books.google[...] A&C Black
[44] 논문 Size Variation of Migrant Bald Eagles at Glacier National Park, Montana https://sora.unm.edu[...]
[45] 논문 Nestling measurements and weights from two White-tailed Eagle populations in Sweden
[46] 논문 Age and Sex Size Variation in Golden Eagles https://sora.unm.edu[...]
[47] 논문 Bald eagles (Haliaeetus leucocephalus) wintering in northern Arizona select perches based on food availability, visibility and cover Northern Arizona University
[48] 웹사이트 Haliaeetus albicilla http://avis.indianbi[...]
[49] 서적 RSPB Handbook of British Birds
[50] 서적 The raptors of Europe and the Middle East: a handbook of field identification T & AD Poyser
[51] 서적 Flight identification of European raptors A&C Black
[52] 논문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at Kursiu Lagoon
[53] 서적 Threatened birds of Asia: the BirdLife International Red Data Book BirdLife International
[54] 논문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Pallas’s Fish Eagle Haliaeetus leucoryphus in Mongolia: a cause for conservation concern?
[55] 서적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Rare Birds of North America Princeton University Press
[57] 서적 A field guide to the raptor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58] 서적 Birds of prey of the Indian subcontinent Om Books International
[59] 웹사이트 Havørnen har kurs mod Nordgrønland https://www.dof.dk/o[...] Dansk Ornitologisk Forening 2008-09-11
[60] 웹사이트 White-tailed eagles return to southern Britain after 240 year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9-08-22
[61] 웹사이트 Norwegian Sea Eagles https://magazine.sci[...] 2021-08-04
[62] 논문 Projekt havsörn i Finland.–I Stjernberg, T.(red.): Projekt havsörn i Finland och Sverige
[63] 논문 The occurrence and reestablishment of White-tailed Eagle and Golden Eagle as breeding birds in Denmark
[64] 논문 Status of the White-tailed Eagle in Poland
[65] 논문 The status of birds of prey in Greece International Council for Bird Preservation
[66] 논문 The situation of Birds of Prey in Rumania in 1970–1974 Vienna
[67] 서적 Birds of prey in Europe Macmillan
[68] 웹사이트 Toename Zeearenden in Nederland | Sovon.nl https://www.sovon.nl[...]
[69] 웹사이트 Liste over Færøernes fugle https://www.dof.dk/i[...] Dansk Ornitologisk Forening
[70] 서적 The complete fauna of Iran IB Tauris
[71] 서적 Birds of Russia HarperCollins
[72] 간행물 The ecology of the White-tailed Eagle of the Kandalaksha Bay Proceeding of the Kandalaksha State Nature Reserve
[73] 서적 Life histories of North American birds of prey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74] 논문 Wintering white-tailed eagles Haliaeetus albicilla in The Netherlands: aspects of habitat scale and quality
[75] 웹사이트 Havørn https://dofbasen.dk/[...] Dansk Ornitologisk Forening 2023-07-30
[76] 웹사이트 Ny viden om havørne: Kollektive om vinteren, solister om sommeren https://www.dof.dk/o[...] Dansk Ornitologisk Forening 2021-08-17
[77] 뉴스 Havørnen er flyvende: Aldrig før har der været så mange i Vadehavs-området som nu: Læs her, hvor du kan se dem https://jv.dk/toende[...] JydskeVestkysten 2023-01-01
[78]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Smithsonian Institution and Lynx Edicions
[79] 논문 Sighting of a Juvenile White-Tailed Eagle at Jor Beed Carcass Dump, Bikaner, Rajasthan, India http://www.bnhsjourn[...] 2015-08-01
[80] 서적 Birds of China Bloomsbury Publishing
[81] 서적 Birds of East Asia: China, Taiwan, Korea, Japan, and Russia A&C Black
[82] 간행물 Fauna of the Aleutian Islands and Alaska peninsula North American Fauna
[83] 논문 First North American nesting and occurrence of Haliaeetus albicilla on Attu Island, Alaska
[84] 논문 Settlement, habitat preference, reproduction, and genetic diversity in recovering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population
[85] 논문 Comparative nest habitat characteristics of sympatric White‐tailed Haliaeetus albicilla and Golden Eagles Aquila chrysaetos in western Scotland
[86] 서적 The eagle watchers: Observing and conserving raptors around the world Cornell University Press
[87] 논문 Population size, distribution and habitat selection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the alluvial wetlands of Croatia
[89] 뉴스 Havørne-par har igen i år fået unger https://voresbrabran[...] VoresBrabrand 2018-06-06
[90] 웹사이트 Havørne har ynglet med udsigt til København https://www.dof.dk/o[...] Dansk Ornitologisk Forening 2018-10-19
[91] 논문 Evidence for flexibility and constraint in migration systems
[92] 간행물 Havørn og kongeørn i Norge Viltrapport
[93] 간행물 Colour-ringing of white-tailed sea eagles in northern Europe Conservation studies on raptors.–ICBP Technical Publication
[94] 서적 Handbuch der Vögel Mitteleuropas Akademische Verlagsgesellschaft
[95] 논문 Migration route of White-tailed Sea Eagles Haliaeetus albicilla in northeastern Asia
[96] 논문 White-tailed Sea Eagles (Haliaeetus albicilla) defend small home ranges in north-east Germany throughout the year
[97] 논문 Territorial behaviour and population regulation in birds: a review and re-evaluation
[98] 간행물 White-tailed Eagle hunting behaviour and food choice in Kvismaren Sveriges Ornitologiska Förening
[99] 논문 Sit-and-wait for large prey: foraging strategy and prey choice of White-tailed Eagles
[100] 논문 The choice of prey and modes of hunting of predatory bird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selective effect
[101] 웹사이트 White-tailed eagle: Feeding http://www.rspb.org.[...] RSPB 2012-02-03
[102] 서적 Die Ernahrung der deutschen Raubvogel und Eulen Neudamm. Verlag Neumann
[103] 논문 The food of the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at Lake Baikal, East Siberia
[104] 보고서 Prehranska niša orla belorepca (Haliaeetus albicilla) z idejnim predlogom za izvedbo dodatnega krmljenja vrste v širši okolici Reškega jezera pri Kočevski reki Poročilo v okviru projekta LIFE Kočevsko (LIFE13 NAT/SI/000314)
[105] 논문 Food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Greenland
[106] 논문 Fodevaner hos den Gronlandske Havorn Haliaeetus albicilla groenlandicus Brehm. (Food habits of the Greenland White-tailed Eagle)
[107] 논문 Assessing bias in studies of bald eagle food habits
[108] 논문 Der Seeadler Haliaeetus albicilla (L. 1758) in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109] 논문 Diet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Finland
[110] 논문 Feeding habits of the black kite Milvus migrans, red kite Milvus milvus,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and lesser spotted eagle Aquila pomarina in Wigry National Park (NE Poland)
[111] 논문 White-Tailed Eagle on the Rybinsk reservoir: abundance, ecology, migration and wintering sites
[112] 논문 The use of camcorder in nesting biology research of Haliaeetus albicilla (L)
[113] 웹사이트 The food of birds of prey and owls in Fenno-Scandia https://britishbirds[...]
[114] 서적 Wild life in Wales F. Palmer
[115] 서적 Bielik Wydawnictwo Lubuskiego Klubu Przyrodników
[116] 서적 A vertebrate fauna of the Orkney Islands D. Douglas
[117] 논문 Choice of Food of the Greenland White-tailed Eagle- method and preliminary results
[118] 서적 Die Seeadler A. Ziemsen Verlag
[119] 논문 Havsörnens häckningstida näringsval i olika skärgårdszoner på Åland Institutionen för Ekologi och Systematik. Avdelningen för populationsbiologi February
[120] 논문 Species diversity, population and ecology of raptors on the northeastern shore of the Rybinsk reservoir November
[121] 서적 Northern Pike and Muskie: Tackle and Techniques for Catching Trophy Pike and Muskie's Creative Publishing International
[122] 논문 Population of diurnal raptors (Falconiformes) in the Lapland Nature Reserve and adjacent areas: Dynamics in 1930–2005 November
[123] 논문 Diet of the White-Tailed Eagle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the Polesski State Radiation-Ecological Reserve, Belarus
[124] 논문 White-tailed eagle - Haliaeetus albicilla L.
[125] 논문 Rozwój populacji, wymagania środowiskowe I ekologia bielika Haliaeetus albicilla w Puszczy Augustowskiej
[126] 간행물 Information to support the assessment of Arctic Char, Salvelinus alpinus, from the Isuituq River system, Nunavut Fisheries and Oceans Canada, Science
[127] 웹사이트 Anarhichas lupus e.T18155993A44739312
[128] 간행물 A pre-COSEWIC assessment of the Common Lumpfish (Cyclopterus lumpus, Linnaeus 1758) in Canadian Atlantic and Arctic waters Canadian Science Adversary
[129] 논문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the Byelorussian Poozerie: materials on the biology of the species within the range
[130] 논문 Breeding biology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Hokkaido, Japan
[131] 논문 Population ecology and structural dynamics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132] 논문 Nest-site selection, breeding success, and diet of white-tailed eagles (Haliaeetus albicilla) in the Danube Delta, Romania
[133] 논문 The impact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and the Osprey Pandion haliaetus on Estonia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production: How large is the economic loss?
[134] 논문 The White-Tailed Eagle, the Apex Predator, Adjusts Diet towards Larger Prey in Suboptimal Territories
[135] 논문 Date privind situaţia actuală a codalbului Haliaeetus albicilla (L.) în Delta Dunării - România şi contribuţii la cunoaşterea regimului său trofic în perioada reproducerii
[136] 논문 Food habits of bald eagles in Maine
[137] 논문 Bald Eagle (Haliaeetus leucocephalus) Cornell Lab of Ornithology
[138] 서적 Die Seeadler A. Ziemsen Verlag
[139] 서적 Pirates and Predators: The piratical and predatory habits of birds Oliver and Boyd
[140] 서적 Ootheca Wolleyana: an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collection of birds' eggs Repressed Publishing LLC
[141] 논문 The effect of White-tailed Sea Eagle predation on breeding Eider females off Tvärminne, Western Gulf of Finland
[142] 논문 The distribution and breeding ecology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L.) in Iceland University of Aberdeen
[143] 논문 Diurnal and nocturnal feeding strategies in common eiders
[144] 논문 Unintended consequences: how the recovery of sea eagle Haliaeetus spp. populations in the northern hemisphere is affecting seabirds
[145] 논문 The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Baikal Lake
[146] 논문 Nesting of the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the Black Irtysh
[147] 학술지 Contamination of birds with Fulmar oil https://britishbirds[...]
[148] 논문 Population status and food of the White-tailed Fish Eagle Haliaeetus albicilla (Aves: Accipitridae) in the Svjatoj Nos wetlands, Lake Baikal Ninox Press, Praha
[149] 논문 Der Seeadler (Haliaeetus albicilla) in Österreich: Das WWF Österreich Seeadlerprojekt
[150] 논문 The feasibility of reintroducing White-tailed Eagles Haliaeetus albicilla to the Isle of Wight and the Solent
[151] 웹사이트 On the Menu https://www.isle-of-[...] MullWeb.site 2024-02-04
[152] 서적 The barnacle goose Bloomsbury Publishing
[153] 논문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and the Local Concentration of Water Birds On Lakes of North Kazakhstan
[154] 논문 Escape distances of staging Arctic geese along the flyway
[155] 논문 Paalzittende Zeearenden Haliaeetus albicilla op de Hellegatsplaten
[156] 서적 The whooper swan Bloomsbury Publishing
[157] 뉴스 Turun Sanomat: Merikotkat oppineet syömään aikuisiakin merimetsoja http://www.hs.fi/kot[...] 2012-02-03
[158] 웹사이트 Kormoraniküttidel läheb hästi http://eestielu.delf[...] 2012-04-13
[159] 논문 Breeding season diets of sympatric White-tailed Eagles and Golden Eagles in Scotland: no evidence for competitive effects
[160] 논문 First modern record of the White-tailed Eagle in Hawaii
[161] 논문 Brutbiologische Beobachtungen an einem Seeadler Haliaeetus albicilla-Brutplatz in Bayern
[162] 학술지 Golden and White-tailed Eagles in Scotland and Norway. Coexistence, competition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https://britishbirds[...]
[163] 학술지 The diet of the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and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in western Scotland
[164] 서적 The vertebrate fauna of North Wales Witherby
[165] 서적 Descriptions of the Rapacious Birds of Great Britain Maclachlan & Stewart
[166] 서적 Rabbits, hares and pika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
[167] 논문 Lepus timidus
[168] 논문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the Czech Republic
[169] 서적 Wild mammals of North America: biology, management, and conservation JHU Press
[170] 서적 De sista örnarna Norstedt
[171] 논문 Avian and mammalian predators of shrews in Europe: regional differences, between-year, and seasonal variation, and mortality due to predation Finnish Zoological Publishing Board
[172] 논문 The first breeding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the Istria County
[173] 논문 Ecological impact of beavers Castor fiber and Castor canadensis and their ability to modify ecosystems
[174] 논문 Scavenging on European bison carcasses in Bialowieza primeval forest (eastern Poland)
[175] 서적 Descriptions of the Rapacious Birds of Great Britain Maclachlan & Stewart
[176] 서적 Management and diseases of deer: a handbook for the veterinary surgeon Veterinary Deer Society
[177] 서적 The Handbook of British Mammals, Third Edition Blackwell Science Publications
[178] 간행물 The impact of White-tailed Eagles on sheep farming on Mull Scottish Executive
[179] 문서 White-tailed Eagles (Haliaeetus Albicilla) and Lambs (Ovis Aries)
[180] 논문 Diets of North American Falconiformes https://sora.unm.edu[...]
[181] 서적 Neue Ergebnisse überdie Ernährung der Greifvögel und Eulen Eugen Ulmer
[182] 논문 Risk induced by a native top predator reduces alien mink movements
[183] 논문 Interrelationships within a raptor guild in the central Canadian Arctic
[184] 문서 Interspecific Interactions Among Grassland and Shrubsteppe Raptors: The Smaller Species Wins. Behavioral interactions and habitat relations among grassland and shrubsteppe raptors
[185] 서적 Owls of the Northern Hemisphere The MIT Press
[186] 논문 Owls killing and killed by other owls and raptors in Europe https://britishbirds[...]
[187] 논문 Inter-and intra-specific dominance relationships and feeding behaviour of Golden Eagles Aquila chrysaetos and Sea Eagles Haliatetus albicilla at carcasses
[188] 문서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robbing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of its prey
[189] 뉴스 Golden Eagle surrenders meal to White Tailed Eagle https://www.telegrap[...] 2010-12-16
[190] 간행물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ecology and conservation issues SNH REVIEW
[191] 논문 Kleptoparasitism by Bald Eagles wintering in South-Central Nebraska https://sora.unm.edu[...]
[192] 논문 The reintroduction of bald eagles on Santa Catalina Island, California Humboldt State University
[193] 논문 Encounters between Bald Eagles and Other Birds in Winter
[194] 논문 Coexistence in a multispecies assemblage of eagles in central Asia
[195] 논문 Coexistence of protected avian predators: does a recovering population of White-tailed Eagle threaten to exclude other avian predators?
[196] 문서 Morpho-ecological adaptations in Stellers sea and White-tailed sea eagles, a comparative analysis Current Ornithology
[197] 문서 Ecological energetic and interspecific relations between White-tailed and Steller's Sea eagles (Haliaeetus albicilla L., Haliaeetus pelagicus Pall.) in Lower Amur and Sakhalin
[198] 웹사이트 Steller's sea eagle photo (Haliaeetus pelagicus) – G113853 http://www.arkive.or[...] Wildscreen
[199] 웹사이트 The Secret Lives of Sea Eagles http://www.nwf.org/N[...] The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2008-01-12
[200] 웹사이트 Steller's sea eagle photos http://www.goldenfir[...] 2012-06-21
[201] 서적 The Bald Eagle Universe Books
[202] 논문 Food habits of bald eagles breeding in the Arizona desert The Wilson Bulletin
[203] 논문 Territorial behaviour of Golden Eagles in Western Norway https://britishbirds[...]
[204] 논문 Some Notes On Birds in Eastern Hokkaido
[205] 서적 Handbook of North American Birds Volume VI: Diurnal Raptors (Part 1) Yale University Press
[206] 문서 Does mesopredator Lesser Spotted Eagle suffers breeding costs in a high-density area of the White-tailed Eagle? The Collection of Abstracts and Short Notes of the Sea Eagle Conference 2017
[207] 논문 Distribution, numbers and ecology of White-tailed Eagle in the north of West Siberia
[208] 논문 Morphometric features characterizing flight properties of palearctic eagles
[209] 문서 On lethal and nonlethal impacts of native, alien and intraguild predators-evidence of top-down control Section of Ecology, Department of Biology, University of Turku, Finland
[210] 논문 Nesting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and the Long-legged Buzzard (Buteo rufinus) in the Rostovsky Reserve
[211] 서적 Analysis of vertebrate predator-prey community: Studies within the European Forest zone in terrains with transitional mixed forest in Belarus Tesey
[212] 서적 Carnivorous mammals of the fauna of the U.S.S.R. The Israel Program for Scientific Translations
[213] 논문 Home range and habitat use by the sable Martes zibellina brachyura in a Japanese cool-temperate mixed forest
[214] 논문 Some Key Factors in Breeding, Conservation, and Sociology of Otters
[215] 논문 Status evaluation of corsac fox (Canidae, Vulpes corsac) population in Dagestan https://doi.org/10.1[...]
[216] 논문 Diet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Finland
[217] 논문 Population and ecology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and its conservation status in Slovenia
[218] 논문 Reproduction and mortality of invasive raccoon dogs (Nyctereutes procyonoides) in the Białowieża Primeval Forest (eastern Poland) Finnish Zoological and Botanical Publishing Board
[219] 서적 The birds of the British Isles (Vol. 8) Oliver and Boyd
[220] IUCN Halichoerus grypus 2021-11-19
[221] 논문 Reproduction of the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Sweden
[222] 논문 A critical review of cartwheeling flights of raptors
[223] 논문 Biology and diet of the White-bellied Sea-Eagle Haliaeetus leucogaster breeding in northern inland New South Wales
[224] 논문 Status over bestanden av Havorn Haliaeetus albicilla groenlandicus Brehm i Grönland i ärene 1972–74
[225] 논문 Die Bestandsentwicklung des Seeadlers, Haliaeetus albicilla (L.). Deutschland mit Untersuchungen zur Wahl der Brutbiotope Jena
[226] 논문 Characteristics of white-tailed sea eagle nest sites in Hokkaido, Japan
[227] 논문 Den Grönlandske havörns Haliaeetus albicilla groenlandicus Brehm ynglebiotop, redeplacering og rede.(with English Summary: The breeding habitat, nest-site and nest of the Greenland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groenlandicus Brehm.)
[228] 서적 Birds of Ireland
[229] 논문 Einige Verhaltensbeobachtungen an einem Doppelhorst von Seeadler (Haliaeetus albicilla) und Wanderfalke (Falco peregrinus) in Mecklenburg
[230] 서적 Handbook of British birds
[231] 논문 Successful breeding and adoption of sea eagles (Haliaeetus albicilla)
[232] 논문 Offspring quality and the evolution of cainism
[233] 논문 Sibling aggression and mortality among nestling eagles
[234] 논문 Diet and activity pattern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under the midnight sun Norwegian University of Life Sciences
[235] 논문 Notes On the Habits and Distribution of the White-Tailed Eagle in N.W. Iceland https://britishbirds[...]
[236] 논문 Protective management of eagles by reduction of nestling mortality Vienna
[237] 논문 Havsörnen i Sverige
[238] 논문 Population status for the Greenland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groenlandicus Brehm covering the years 1972–74
[239] 서적 Raptors at Risk Hancock House Publishers
[240] 서적 Sea Eagle 2000
[241] 서적 Longevity Records: Life Spans of Mammals, Birds, Amphibians, Reptiles, and Fish
[242] 웹사이트 'Oldest white-tailed sea eagle on record' found living on Mull by BBC team https://www.thenatio[...] 2022-01-26
[243] 웹사이트 A tale of two white-tails: Skye & Frisa https://www.bbc.co.u[...] BBC 2022-01-18
[244] 웹사이트 Vild dansk havørn sætter aldersrekord https://www.dof.dk/o[...] Dansk Ornitologisk Forening 2022-08-23
[245] 논문 The eggs of the extinct Egyptian population of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246] 서적 Man and birds (Vol. 51) HarperCollins UK 1971
[247] 서적 British Birds Harper Collins 1906
[248] 서적 Population ecology of raptors A&C Black 2010
[249] 간행물 The avifauna of Sweden as indicator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with mercury and chlorinated hydrocarbons Proc . XV Int. Ornithol . Congr., Leiden 1972
[250] 간행물 White-tailed Eagle in Finland 1970–1976 Proceedings from the World Wildlife Fund Sea Eagle Symposium, Norway 1976
[251] 간행물 Population trends in the white-tailed sea eagle in North Germany Peregrine Falcon Populations: Their Biology and Decline 1969
[252] 간행물 Persistent pollutants in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Biological Conservation 1972
[253] 간행물 Six Trace Metals in White-Tailed Eagle from Northwestern Poland Polish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2006
[254] 간행물 Preliminary survey of lead poisoning of Steller's sea eagle (Haliaeetus pelagicus) and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Hokkaido, Japan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1999
[255] 간행물 Contamination by chlorinated hydrocarbons and lead in Steller’s Sea Eagle and White-tailed Sea Eagle from Hokkaido, Japan First Symposium on Steller’s and White-tailed Sea Eagles in East Asia. Wild Bird Society of Japan, Tokyo 2000
[256] 간행물 Heavy metals in soft tissue of white‐tailed eagles found dead or moribund in Germany and Austria from 1993 to 2000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2001
[257] 간행물 Winter feeding as a management tool for white-tailed sea eagles in Sweden Conservation studies on raptors. ICBP Technical Publication 1985
[258] 간행물 Vinterufodring av Havsorn I Finland. In Projekt Hasvorn I Finland och Sverige T. Stjernberg (ed.) 1981
[259] 간행물 Using raptors as environmental sentinels: monitoring the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Sweden AMBIO: A Journal of the Human Environment 2008
[260] 간행물 Bringing together raptor collections in Europe for contaminant research and monitoring in relation to chemicals regulations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017
[261] 간행물 An overview of existing raptor contaminant monitoring activities in Europe Environment international 2014
[262] 간행물 Limitations of European Union policy and law for regulating use of lead shot and sinkers: Comparisons with North American regulation Environmental Policy and Governance 2010
[263] 서적 Mercury: Sources in the environment, health effects, and politics Blue Oceans Institute 2012
[264] 간행물 Long-term viability of the re-introduced population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Scotland Journal of Applied Ecology 1996
[265] 뉴스 Birds released in secret loca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8-13
[266] 논문 Growth and demography of a re-introduced population of White-tailed Eagles Haliaeetus albicilla Ibis 2009
[267] 웹사이트 Birds of prey: Which birds are threatened? http://www.rspb.org.[...] 2008-01-23
[268] 간행물 Hnízdění orla mořského (Haliaeetus albicilla) na Třeboňsku.[Nesting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the Třeboň region (south Bohemia)] Buteo 1987
[269] 논문 Nest Sites and Reproductive Success of a Restored Population of White-tailed Eagles in the Czech Republic Journal of Raptor Research 2010
[270] 뉴스 Rare eagle reintroduced to Ireland https://www.rte.ie/n[...] RTÉ News 2007-08-16
[271] 웹사이트 White-tailed Eagle http://www.birdwatch[...] 2012-04-30
[272] 웹사이트 Farmers protest at the arrival of the Eagles in 2007 http://drimnaghbirdw[...] 2010-03-04
[273] 뉴스 Sea eagle death in Kerry park brings total to 13 https://www.irishtim[...] The Irish Times 2010-05-04
[274] 뉴스 Sea eagles return to Irish nest https://www.irishtim[...] The Irish Times 2012-04-30
[275] 뉴스 First white-tailed eagles born in Ireland in over 100 years https://www.rte.ie/n[...] RTÉ News 2013-05-09
[276] 뉴스 White-tailed eagle chicks hatch in five nests https://www.irishtim[...] The Irish Times 2015-06-02
[277] 간행물 The Museum: Additions Since the Publications of the Last Volume https://archive.org/[...] The Somerset Archaeological and Natural History Society: Proceedings During the Year 1880 1881
[278] 뉴스 Sea eagles' return to Isle of Wight given go-ahead https://www.bbc.co.u[...] BBC News 2019-04-02
[279] 웹사이트 Reintroduced White-tailed Eagle tours south-east England https://www.birdguid[...] 2019-09-03
[280] 웹사이트 From Island to Norfolk as Roy Dennis Wildlife Foundation eagle project expands https://www.countypr[...] 2021-05-11
[281] 웹사이트 Polish Birds Directory http://birds.poland.[...] 2011-05-30
[282] 논문 Origin and genetic structure of white-tailed sea eagles (Haliaeetus albicilla) in the Czech Republic: an analysis of breeding distribution, ringing data and DNA microsatellites
[283] 웹사이트 Wind farm causes eagle deaths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06-02-03
[284] 웹사이트 Arrivals & Alarms: White-tailed Eagle Imports Endangered by Windfarms http://www.fatbirder[...] 2014-07-04
[285] 논문 A study of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movements and mortality at a wind farm in Norway British Ornithologists’ Union
[286] 논문 Reduced breeding success in white-tailed eagles at Smøla windfarm, western Norway, is caused by mortality and displacement
[287] 논문 White‐tailed eagles (Haliaeetus albicilla) at the Smøla wind‐power plant, Central Norway, lack behavioural flight responses to wind turbines
[288] 논문 Density-dependent effect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a recovering population of White-tailed Eagles Haliaeetus albicilla
[289] 웹사이트 Havørn http://www.natur.gl/[...] Grønlands Naturinstitut 2019-07-06
[290] 뉴스 Havørnene fortsætter med at slå rekord: For 30 år siden var der ingen ynglende par, nu er der over 150 https://www.dr.dk/ny[...] DR 2022-02-17
[291] 웹사이트 Havørnebestand på himmelflugt https://www.dof.dk/o[...] Dansk Ornitologisk Forening 2022-02-16
[292] 논문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populations in Hungary between 1987–2007
[293] 논문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Lithuania: population numbers and trends 1900–2007
[294] 웹사이트 zeearend in beeld [sea eagle in the picture] http://www.staatsbos[...]
[295] 웹사이트 Zeearend nestelt zich in Nederland http://www.volkskran[...] De Volkskrant 2010-03-24
[296] 뉴스 'Huge' birds of prey spotted in Poole Harbour https://www.bournemo[...] 2024-07-23
[297] 논문 Evidence for Neandertal Jewelry: Modified White-Tailed Eagle Claws at Krapina
[298]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cites.org/en[...] 2016-07-18
[299] 웹사이트 Haliaeetus albicilla https://doi.org/10.2[...] IUCN Red List 2016-07-18
[300] 간행물 日本鳥類目録 改訂第7版 日本鳥学会
[301] 서적 日本動物大百科 第3巻 鳥類I 平凡社
[302] 웹사이트 New World vultures, Secretarybird, kites, hawks & eagles http://www.worldbird[...] 2016-07-18
[303] 웹사이트 Clements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2015 http://www.birds.cor[...] 2016-07-18
[304] 서적 レッドデータブック2014 -日本の絶滅のおそれのある野生動物-2 鳥類 ぎょうせい
[305] 웹사이트 オジロワシ https://kunishitei.b[...] 2016-07-18
[306] 웹사이트 特定動物リスト (動物の愛護と適切な管理) 国内希少野生動植物種一覧 https://kunishitei.b[...] 2016-07-18
[307]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308] 서적 Raptor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309] 서적 National Geographic Field Guide To The Birds Of North America, 4th Edition https://archive.org/[...] National Geographic
[310]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311] 웹사이트 World's Largest White-tailed Eagle http://www.ravingrav[...] 2011
[3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vis.indianbi[...] 2013-06-05
[313]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314] 웹인용 Merikotkien määrä lisääntyy http://www.mtv3.fi/u[...] MTV3.fi
[315] 웹인용 White-tailed eagle: Feeding http://www.rspb.org.[...] RSPB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