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ㅋㅋ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ㅋㅋ는 웃음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초성체로, 2001년 연구에서 통신상의 재미를 더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석되었다. 'ㅋ'의 개수에 따라 웃음의 강도와 뉘앙스가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ㅋ', 'ㅋㅋ', 'ㅋㅋㅋ', 'ㅋㅋㅋㅋ' 등으로 사용된다. 2007년 조사에서 10대 청소년의 통신언어 사용 빈도 1위를 차지했으며, 넷마블의 캐릭터 이름으로 사용되거나, 장기하와 얼굴들의 노래 제목, 네슬레 킷캣의 광고 문구로 활용되는 등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웃음 - 미소
    미소는 기쁨, 호감, 사회적 교감 등의 감정 표현이자 사회적 영향력, 성적 관심 표현, 심리적 조종 등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얼굴 표정으로, 문화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며 뇌의 긍정적 반응을 유도하기도 한다.
  • 웃음 -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얼굴 이모지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얼굴" 이모지(😂)는 2011년 애플 iOS 업데이트로 처음 도입되어 기쁨과 감동을 표현하는 이모티콘으로, 2015년 옥스퍼드 사전에서 '올해의 단어'로 선정될 만큼 사회문화적 영향력을 가졌으나 2020년대 초반에는 사용 빈도가 감소하기도 했으며 유니코드 U+1F602로 지정되어 다양한 플랫폼에서 지원된다.
  • 1990년대 인터넷 문화 - 리트 (인터넷)
    리트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알파벳 문자를 숫자나 기호로 변환하여 은어나 속어처럼 사용하는 방식이며, 내용 이해를 어렵게 하거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 1990년대 인터넷 문화 - 구글링
    구글링은 구글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웹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를 뜻하며, 효율적인 검색을 위해 검색 연산자와 고급 검색 기능 활용이 중요하다.
  • 대한민국의 신조어 - 명박산성
    명박산성은 2008년 이명박 정부 당시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를 막기 위해 서울 도심에 설치된 컨테이너 박스 바리케이드로, 청와대 진입로 봉쇄와 '불통' 정부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국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고, 이후 시위 현장에서 사용되다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을 받았으며, 과도한 경찰력 행사와 집회 시위 자유 침해 논란을 야기했다.
  • 대한민국의 신조어 - 이대남
    이대남은 201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20대 남성의 정치·사회적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로, 문재인 정부의 페미니즘 정책에 대한 반감과 공정성 요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보수적인 성향을 띠며, 2022년 대통령 선거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우파 및 사회 보수주의 세력의 지지 기반으로 활용된다.
ㅋㅋ
기본 정보
"기억, 감정, 의도 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
유형이모티콘
사용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의미웃음, 긍정적 감정
발음크크크
로마자 표기keu keu keu
상세 정보
설명한국어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서 웃음을 표현하는 의성어. '^^'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변형ㅋ, 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 등
기원웃음소리 '크크'에서 유래
사용 예시'오늘 너무 웃겼어 ㅋㅋㅋ'와 같이 문장 끝에 첨가하여 웃음을 표현
참고
유사 표현'^^', 'ㅎㅎ', 'ㅍㅎㅎ', 'lol', 'lmao'
관련 문서이모티콘, 아스키 아트

2. 용법

'ㅋㅋ'은 일반적으로 웃음소리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 통신체에서는 웃는 모습을 직접적으로 보여줄 수 없기 때문에 의성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킥킥', '큭큭', '크크', '키키' 등을 초성체로 바꾸어 사용한 것이 'ㅋㅋ'에 해당한다. 2001년 연구에서는 "자음만 가지고 표시하여 통신상의 재미를 더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해석했다.[3]

'ㅋ'자는 웃음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할 때, 한 개부터 여러 개까지 다양하게 쓰인다.[2] 'ㅋ'의 개수에 따라 그 느낌과 의미는 달라진다.

2. 1. ㅋ의 개수에 따른 의미

'ㅋ'자의 개수는 웃음의 강도나 뉘앙스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2] 다음은 'ㅋ' 개수에 따른 의미와 용법을 정리한 것이다.

  • : 일반적으로 무심하게 동의하거나 비웃으려는 상황에서 쓰인다. '그래ㅋ', '좋네ㅋ', '올ㅋ'처럼 다른 말끝에 붙였을 때는 웃음 자체라기보다는 꼬리가 아주 살짝 올라간 상황이라는 느낌을 준다. 의성어로는 "큭" 혹은 "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뭐해?ㅋ', '미안ㅋ'와 같이 'ㅋ'는 상투적인 군말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2]
  • ㅋㅋ: ㅋ자가 하나 더 많지만, 오히려 형식적인 느낌을 준다. 좋게는 '그렇군'을 뜻하고, 나쁘게는 대화에서 의례적으로 추임새를 넣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ㅋㅋ'은 미혼 남녀들이 가장 싫어하는 성의 없는 메신저 말투로 선정되기도 했다. 회사 상사에게 '네ㅋㅋ'와 같이 대답하는 것은 가벼워 보인다는 조사도 있었다.[4]
  • ㅋㅋㅋ: 비교적 중립적이면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법이다. 웃는 감정을 그대로 표현한다는 뉘앙스를 갖는다.[2]
  • ㅋㅋㅋㅋ...: "정말 웃긴다"라는 반응을 정성 들여 표현하는 느낌을 준다. 4개 이상은 의미와 정서의 강도가 거의 같으며, 'ㅋㅋㅋㅋ'는 실질적으로 웃긴다는 것을 표현하는 최소 조건에 해당한다.[2]

3. 문화적 영향

'ㅋㅋ'는 단순한 통신 언어를 넘어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화 현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07년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2007년 정보문화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10대 청소년 896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통신언어 사용 빈도 순위 중 'ㅋㅋ'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5]

3. 1. 대중문화

넷마블의 공식 캐릭터 이름은 'ㅋㅋ'이다.[6] 2016년 인디 록밴드 장기하와 얼굴들은 정규 4집 앨범 《내 사랑에 노련한 사람이 어딨나요》에서 타이틀 곡의 제목을 'ㅋ'로 정했다.[7] 같은 해 네슬레킷캣대한민국 공식 출시를 앞두고 '넌 나의 ㅋㅋ, 넌 나의 킷캣'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선보였다.[8]

참조

[1] 웹사이트 "[이재현의 유행어사전] ㅋㅋㅋ" http://www.hankookil[...] 韓国日報 2015-07-21
[2] 웹인용 "[이재현의 유행어사전] ㅋㅋㅋ"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0-12-24
[3] 서적 청소년의 언어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 통신언어 및 일상언어를 중심으로 http://dlps.nanet.go[...] 가톨릭대학교 2017-05-21
[4] 웹인용 "'퇴준생, 넵병…' 올해 직장인이 공감한 신조어는?" https://www.nocutnew[...] 노컷뉴스 2020-12-24
[5] 뉴스 "<통신언어, 우리말이야? 외국어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8-04-25
[6] 웹인용 캐릭터 - ㅋㅋ https://mcompany.net[...] netmarble 2023-07-31
[7] 웹인용 "[어바웃 장기하①] 'ㅋ', 이토록 사랑스럽다니" https://tenasia.hank[...] 텐아시아 2021-01-01
[8] 웹인용 넌 나의 ㅋㅋ, 넌 나의 킷캣 https://www.nestle.c[...] 2018-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