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트라페테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스트라페테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된 석궁의 일종으로, 기원전 3세기의 기술자 크테시비우스의 기록을 바탕으로 헤론이 저술한 '벨로포이에카'에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이 무기는 합성궁으로 작동되었으며, 병사가 몸으로 개머리판을 눌러 장전하여 일반 활보다 더 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었다. 가스트라페테스는 공성전에 사용된 옥시벨레스의 초기 형태였으며, 발리스타로 대체되었다. 가스트라페테스의 발명 시기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비톤의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421년 이전에 이미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가스트라페테스 외에도 고대에는 다양한 기계식 휴대용 무기가 존재했으며, 이는 현대 석궁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쇠뇌 - 석궁
석궁은 기원전 5세기 중국에서 처음 등장한 휴대용 무기로, 쇠뇌촉을 사용하거나 탄환을 발사하는 형태로 발전했지만, 소총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 쇠뇌 - 발리스타
발리스타는 고대 그리스에서 개발되어 로마 제국에서 널리 사용된 꼬인 밧줄의 탄성력을 이용해 돌이나 화살을 발사하는 공성 무기이자 야전 포병으로, 로마 군대의 중요한 장비로서 제국 확장과 방어에 기여했으나 화포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 고대 그리스의 무기 - 사리사
사리사는 고대 마케도니아 팔랑크스 보병이 사용한 4m에서 6m에 이르는 긴 자루 창으로, 적 접근을 막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기병용으로 변형되어 헬레니즘 시대 군대의 주력 무기가 되었다. - 고대 그리스의 무기 - 크시스톤
크시스톤은 고대 아테네의 공공 집회 장소로, 페르시아 전쟁과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중요한 결정이 이루어졌으며, 클레이스테네스 개혁 이후 아테네 민주주의 발전 과정에서 시민 참여를 위한 중요한 공간이었다.
가스트라페테스 | |
---|---|
개요 | |
명칭 | 가스트라페테스 |
종류 | 손으로 드는 쇠뇌 |
용도 | 공성 무기 |
역사 | |
사용 시기 | 고대 그리스 시대 |
관련 인물 | 헤론 |
특징 | |
작동 방식 | 배를 이용하여 활시위를 당김 |
장점 | 강력한 파괴력, 긴 사거리 |
단점 | 재장전 속도 느림 |
2. 구조 및 작동 원리
가스트라페테스는 합성궁으로 작동되는 무기였다. 일반적인 활보다 더 강한 힘을 낼 수 있었는데, 이는 병사가 몸을 사용하여 장전했기 때문이다. 즉, 팔 힘뿐만 아니라 몸 전체의 힘을 사용하여 활시위를 당길 수 있었다.
가스트라페테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크테시비우스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 헤론의 ''벨로포이에이카''(고대 그리스어: Βελοποιικά, 영어 번역: ''화살 제작에 관하여'')에 등장한다. 헤론의 설명은 매우 상세하여 현대에 가스트라페테스를 재현할 수 있을 정도이지만, 이를 뒷받침할 그림이나 고고학적 증거는 없다.
가스트라페테스는 옥시벨레스라는 더 큰 버전이 있었고, 옥시벨레스는 공성전에 사용되었다. 이후 옥시벨레스는 초기 발리스타로 대체되었고, 발리스타는 다시 더 작은 버전으로 발전하여 가스트라페테스를 대체했다.
2. 1. 장전 방식
가스트라페테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그림은 크테시비우스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 헤론의 저서 ''벨로포이에이카''(고대 그리스어: Βελοποιικά, 영어 번역: ''화살 제작에 관하여'')에 등장한다.[1] 이 무기는 합성궁으로 작동되었다.[1] 병사는 몸을 개머리판 뒤쪽의 오목한 곳에 대고 눌러서 장전했는데,[1] 이러한 방식으로 일반적인 손으로 쏘는 활에서처럼 궁수의 한 팔만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었다.[1]헤론의 설명은 현대의 재현이 가능할 정도로 상세하지만, 그림이나 고고학적 발견을 통한 증거는 없다.[1]
2. 2. 구성 요소
가스트라페테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그림은 헤론의 저서 ''벨로포이에이카''(Βελοποιικά|화살 제작에 관하여grc)에 등장하며, 이는 기원전 3세기의 기술자 크테시비우스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이 무기는 합성궁으로 작동되었다. 병사는 몸을 개머리판 뒤쪽의 오목한 곳에 대고 눌러서 장전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반적인 손으로 쏘는 활에서처럼 궁수의 한 팔만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었다.[1]
헤론의 설명은 현대의 재현이 가능할 정도로 상세하지만, 그림이나 고고학적 발견을 통한 증거는 없다.[1] 일부 저자에 따르면, 가스트라페테스의 크기는 일종의 지지대를 필요로 했을 수도 있다.[1]
가스트라페테스의 더 큰 버전은 옥시벨레스였으며, 이는 공성전에 사용되었다.[1] 이들은 나중에 초기 발리스타에 의해 대체되었고, 발리스타는 나중에 더 작은 버전으로 발전하여 가스트라페테스를 대체했다.[1]
3. 역사
E. W. 마스덴은 가스트라페테스가 기원전 399년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우스 1세의 명으로 소집된 그리스 장인들에 의해 발명되었다고 주장했다.[3]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기원전 1세기 활동)는 가스트라페테스를 직접 언급하지 않고 기계식 화살 발사 투석기인 "카타펠티콘"을 언급했다.[4][5] 헤론은 ''벨로포에이카''에서 ''카타펠티콘''이 가스트라페테스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언급하여, 가스트라페테스의 발명은 기원전 399년 이전으로 추정된다.[4]
비톤(기원전 2세기 활동)은 가스트라페테스의 두 가지 진보된 형태가 타렌토의 조피로스의 것이라고 언급했는데, 최근 비톤의 신뢰성이 재평가되었다.[6] 피타고라스 학파 출신 엔지니어로 추정되는 조피로스는[7][8] 기원전 421년에서 401년 사이 쿠마에와 밀레토스 포위 공격을 계기로 스탠드 장착형 활 기계를 설계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원형 가스트라페테스는 그 이전에 이미 알려졌을 것으로 보인다.[9]
3. 1. 발명 시기 논쟁
E. W. 마스덴은 가스트라페테스가 기원전 399년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우스 1세의 폭군에 의해 소집된 그리스 장인 팀에 의해 발명되었다는 견해를 오랫동안 주장했다.[3]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역사가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기원전 1세기 활동)는 가스트라페테스를 직접 언급하지 않고 기계식 화살 발사 투석기인 "카타펠티콘"의 발명을 언급했다.[4][5] 헤론은 그의 ''벨로포에이카''에서 ''카타펠티콘''과 같은 스탠드 장착형 기계식 포병이 초기 손으로 들고 쏘는 가스트라페테스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언급했으므로, 그리스 전쟁에서 손으로 들고 쏘는 석궁의 발명은 기원전 399년보다 앞선 알 수 없는 시점에 발생했음이 분명하다.[4]최대 기한은 기원전 421년 이전으로 더 정확하게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그리스 작가인 비톤(기원전 2세기 활동)은 가스트라페테스의 두 가지 진보된 형태를 타렌토의 조피로스라는 사람에게 귀속시켰는데, 최근 학문에서 비톤의 신뢰성이 긍정적으로 재평가되었다.[6][7][8] 조피로스는 아마도 피타고라스 학파 출신의 엔지니어였을 것이다.[7][8] 그는 기원전 421년에서 기원전 401년 사이에 쿠마에와 밀레토스 포위 공격을 계기로 스탠드 장착형 활 기계를 설계했을 수 있으며, 이는 원형 가스트라페테스가 이미 알려졌어야 할 시기를 나타낸다.[9]
4. 고대 다른 석궁
가스트라페테스 외에도, 고대 세계에서는 중세 시대의 석궁과 유사한 다양한 기계식 휴대용 무기를 알고 있었다. 정확한 용어는 지속적인 학문적 논쟁의 대상이다.
- 베게티우스(4세기)와 같은 그리스 및 로마 작가들은 화살 발사 무기인 ''arcuballista''와 ''마누발리스타''를 각각 ''케이로발리스트라''처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고 언급한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러한 용어 중 하나 이상이 휴대용 기계식 무기를 지칭한다는 데 동의하지만, 최근 크산텐에서 발견된 것처럼 굴곡 궁이었는지 아니면 비틀림 동력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10]
- 고대 로마의 지휘관 아리아누스(서기 86년경 ~ 서기 146년 이후)는 그의 저서 ''Tactica''에서 로마 기병대가 말 위에서 기계식 휴대용 무기를 쏘는 훈련을 기록하고 있다.[11]
- 로마 갈리아의 조각 부조는 사냥 장면에서 석궁의 사용을 묘사한다. 서기 2세기에 제작된 이 표본은 전형적인 너트 잠금 장치를 포함하여 후기 중세 석궁과 매우 유사하다. 반사되는 모양으로 보아 복합궁이었다.[12][13]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문서
Diodorus Siculus
[6]
서적
[7]
웹사이트
Ancient Philosophy, Mystery and Magic
http://plato.stanfor[...]
Clarendon Press, Oxford
1995
[8]
서적
[9]
서적
[10]
웹사이트
Manuballista found near Xanten
http://www.romanhide[...]
Romanhideout.com
[11]
서적
[12]
웹사이트
Arcuballista, Manuballista
http://dagr.univ-tls[...]
Dictionnaire des antiquites grecques et romaines
2008-10-05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무기사전
[16]
서적
[17]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