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레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레토스는 에게 해와 소아시아 내륙을 연결하는 고대 그리스의 중요한 도시로, 기원전 35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정착이 시작되었다. 미노아 문명과 미케네 문명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오니아 동맹의 일원으로서 철학과 과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페르시아 지배와 이오니아 반란을 겪었으며, 헬레니즘 시대를 거쳐 로마 제국 시대에는 번영을 누렸으나, 멘데레스 강 퇴적으로 항구가 기능을 상실하며 쇠퇴했다. 밀레토스는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등 밀레토스 학파를 배출했으며, 히포다모스식 도시 계획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현재 유적지에서는 다양한 고고학적 발굴이 이루어졌으며, 밀레토스의 시장 문은 베를린의 페르가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레토스 - 섹스투스 폼페이우스
    섹스투스 폼페이우스는 폼페이우스 대왕의 아들로, 로마 공화정 말기에 활동하며 카이사르 암살 이후 시칠리아에서 세력을 키웠으나 옥타비아누스와의 갈등 끝에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 밀레토스 - 라데 해전
    라데 해전은 기원전 494년 이오니아 반란 중 페르시아 제국과 이오니아 연합 함대 간에 벌어진 해전으로, 페르시아의 승리로 끝나 이오니아 반란 종결을 앞당기고 페르시아가 소아시아 지역 지배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 아이딘주의 지리 - 프리에네
    프리에네는 터키 서부에 위치한 고대 이오니아 도시로, 기원전 4세기에 계획 도시로 재건되었으며, 해상 무역을 통해 번영하고 민주주의 체제를 갖춘 작은 폴리스였다.
  • 아이딘주의 지리 - 미우스
    미우스는 에게해의 메안데르 강 어귀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로, 이오니아 도시 중 하나였으며, 리디아와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고, 이오니아 반란의 배경이 되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쇠퇴했으며, 스트라보 시대에 밀레투스에 통합되었다.
  • 아이딘주의 건축물 - 프리에네
    프리에네는 터키 서부에 위치한 고대 이오니아 도시로, 기원전 4세기에 계획 도시로 재건되었으며, 해상 무역을 통해 번영하고 민주주의 체제를 갖춘 작은 폴리스였다.
  • 아이딘주의 건축물 - 미우스
    미우스는 에게해의 메안데르 강 어귀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로, 이오니아 도시 중 하나였으며, 리디아와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고, 이오니아 반란의 배경이 되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쇠퇴했으며, 스트라보 시대에 밀레투스에 통합되었다.
밀레토스
위치 정보
밀레토스 고대 그리스 극장
밀레토스 고대 그리스 극장
기본 정보
이름밀레토스
원어 이름 (그리스어)Μῑ́λητος (Mī́lētos)
원어 이름 (히타이트어)𒈪𒅋𒆷𒉿𒀭𒁕
원어 이름 (라틴어)Mīlētus
원어 이름 (튀르키예어)Milet
위치발라트, 디딤, 아이딘 주, 튀르키예
지역에게 해 지역
유형정착지
면적90 헥타르
건설미노아인 (이후 미케네인)
이후 이오니아인 (이전 아나톨리아 지역)
버려짐알 수 없음
시대알 수 없음
문화알 수 없음
소속알 수 없음
거주민알 수 없음
사건알 수 없음
고고학 정보
발굴알 수 없음
고고학자알 수 없음
상태알 수 없음
소유알 수 없음
관리알 수 없음
일반 공개
웹사이트밀레토스 고고학 유적지

2. 역사

밀레토스는 에게 해와 소아시아 내륙을 연결하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미노아 문명과 미케네 문명의 영향을 받았다. 히타이트 제국의 기록에도 등장하며, 트로이 전쟁 당시에는 트로이의 동맹으로 참여했다는 기록이 있다.

기원전 12세기 이후 이오니아인의 이동 시기에 건설된 밀레토스는 무역과 흑해 중심의 식민 활동을 통해 고졸기 이오니아계 식민 도시 중 가장 번영했다.[46] 메소포타미아와 나일 삼각주의 과학과 문화가 밀레토스를 통해 그리스로 유입되었고, 그리스 사상과 과학의 선구자들을 많이 배출했다. 고졸기 밀레토스는 참주 트라슈불루스가 지배하는 독재제로 운영되었으며, 종종 내분이 발생했다.[46]

기원전 6세기부터 리디아 왕국,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에 공납을 조건으로 자립을 유지하며 번영했으나, 기원전 494년 이오니아 반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 페르시아에 무력 진압당했다.[47] 이후 신전과 시가는 파괴되고 시민들은 강제 이주되었지만, 기원전 5세기 전반에 재건이 허용되어 인구가 약 2만 명까지 부흥했다.[47]

페르시아 전쟁델로스 동맹에 참가하여 아테네의 지도 아래 과두제가 되었으나, 페르시아 제국과의 관계도 구축하여 아테네 지배의 배출구로 기능했다.[47] 기원전 415년 시켈리아 원정 실패 이후 스파르타의 에게 해 진출 거점이 되었고,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페르시아 총독 티사페르네스의 지배를 받았다.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으로 함락되었다.[47]

헬레니즘 시대에는 전략적 중요 도시의 지위를 유지했지만, 로마 제국 시대에는 소아시아 정치 중심이 에페소스로 옮겨가면서 문화 도시로서 존재감을 나타냈다.[48] 파우스티나 욕장 등이 건설되었으나, 마에안데르 강이 운반한 충적토로 인해 해안선이 후퇴하여 항만 기능이 상실되었다. 비잔틴 제국 시대에 완전히 항만 기능을 상실했고, 해상 교통로는 끊겼지만, 근세에 이르기까지 아나톨리아 방면 카라반사라이의 중계지로서 명맥을 유지했다. 20세기 중반 지진 피해로 도시는 버려졌지만,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 유적이 관광 명소가 되고 있다.[48]

2. 1. 초기 정착과 발전

밀레토스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가장 초기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기원전 35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신석기 시대 인구가 밀레토스가 원래 위치했던 섬들에 거주했다.[8]

청동기 시대에는 미노아 문명의 영향을 받아 성장했는데, 초기 청동기 시대와 중기 청동기 시대의 선사 고고학은 내륙보다는 에게 해의 다른 지역 사회와 사건의 영향을 많이 받은 도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밀레토스의 가장 초기의 미노아 정착지는 기원전 2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 기원전 1900년경부터 무역을 통해 얻은 미노아 문명의 유물이 이곳에 도착했다.[8] 스트라보는 밀레토스가 크레타인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0]

미케네 문명 시대에는 소아시아 연안의 중요한 미케네 요새 중 하나였다. 기원전 1450년경부터 기원전 1100년경까지 미케네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며,[12] 히타이트 기록에도 등장한다. 기원전 1320년경, 이 도시는 인근 아르자와의 우하-지티가 일으킨 반-히타이트 반란을 지원했다. 무르실리는 그의 장군 말라-지티와 굴라에게 밀라완다를 습격하라고 명령했고, 그들은 밀라완다의 일부를 불태웠다. 현장에서 발견된 LHIIIA 시대의 피해는 이 습격과 관련이 있다.[13] 또한, 이 도시는 히타이트의 계획에 따라 요새화되었다.[14]

2. 2. 암흑기와 고졸기

그리스 암흑기이오니아인들이 밀레토스에 정착하면서 도시가 재건되었다. 헤로도토스는 이 시기 밀레토스 여성들에게 전해지는 독특한 풍습을 기록했는데, 이는 이주민과 원주민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되기도 한다.[45] 기원전 8세기 렐란토스 전쟁에 참여했으며, 메가라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7]

기원전 7세기 말, 참주 트라시불루스는 리디아 제국과의 전쟁에서 밀레토스의 독립을 지켜냈다.[19] 밀레토스는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밀레토스 학파 철학자들을 배출한 철학과 과학의 중심지였다.[20] 이들은 자연 현상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려 노력했으며, 서양 철학과 과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3. 페르시아 지배와 이오니아 반란

기원전 6세기 키루스 2세리디아를 정복하면서 밀레토스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21] 기원전 499년, 밀레토스의 참주 아리스타고라스다리우스 대왕 치하의 페르시아에 대항하는 이오니아 반란을 주도했다.[21] 그러나 페르시아는 이 반란을 진압하고 밀레토스를 응징하였다. 이때 밀레토스 여자들과 아이들은 노예로 팔려갔고, 남자들은 살해되었으며, 젊은 남자들은 거세당한 뒤 추방되어 다시는 밀레토스 시민이 태어나지 못하게 되었다.[21] 1년 후, 프리니쿠스는 아테네에서 "밀레토스의 함락"이라는 비극을 제작했는데, 아테네인들은 그가 자신들에게 그들의 손실을 상기시켰다는 이유로 벌금을 부과했다.[21]

이 반란의 결과로 밀레토스의 신전과 시가는 파괴되었고, 모든 시민은 박트리아 등 제국 내부로 강제 이주되었다.[47]

2. 4. 고전기와 헬레니즘 시대

페르시아 전쟁 이후, 밀레토스는 재건되어 델로스 동맹에 참여하여 아테네의 지도 아래 과두제 정치가 이루어졌다. 한편으로는 페르시아 제국과의 관계도 유지했는데, 이는 아테네의 지배로 인한 억압을 해소하는 역할도 했다.[47] 기원전 415년 시켈리아 원정 실패 이후 아테네의 동맹 지배가 흔들리자, 밀레토스는 스파르타의 에게 해 진출 거점이 되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소아시아의 이오니아계 식민 도시의 종주권이 페르시아 제국으로 반환되어, 밀레토스는 페르시아인 총독 티사페르네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이 시작되자, 밀레토스는 포위 공격을 받아 함락되었다.[22][47]

헬레니즘 시대에 밀레토스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도시의 지위를 유지했다.[48]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기원전 323년에 사망하자 밀레토스는 카리아 총독이자 자율권을 얻은 아산더가 통치하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배하에 들어갔다.[23] 기원전 312년에 마케도니아 장군 안티고노스 1세는 도키무스와 메데이우스를 보내 도시를 해방하고 자율권을 부여하여 민주적 세습 정권을 회복했다. 기원전 301년, 입소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 1세가 사망한 후,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설립한 셀레우코스 제국은 디디마 신전에 상당한 기부를 하고 기원전 494년에 페르시아인들에게 빼앗겼던 아폴론 조각상을 반환하는 등 밀레토스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2. 5. 로마 제국 시대

기원전 133년 로마와 동맹을 맺은 후, 밀레토스는 아시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24] 로마의 지배 아래에서 밀레토스는 1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극장, 파우스티나 욕장 등 대규모 공공시설이 건설되면서 문화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24]

신약성경사도행전(20:15–38)에는 바울이 서기 57년, 세 번째 선교 여행을 마치면서 에페소스의 모 교회 장로들을 만나기 위해 밀레토스에 들렀다는 기록이 있다. 바울은 대 항만 기념비 계단에 앉아 에페소스 장로들을 만나고 근처 해변에서 작별 인사를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디모데후서(4:20)에는 바울이 병든 동료 드로비모를 밀레토스에 남겨두고 떠났다는 기록도 있어, 바울은 적어도 한 번 이상 밀레토스를 방문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정황으로 미루어 볼 때, 늦어도 바울의 두 번째 밀레토스 방문 즈음에는 이미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4]

262년에는 새로운 도시 성벽이 건설되었으나, 항구가 토사로 막히면서 경제가 쇠퇴했다. 538년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가 성벽을 재건했지만, 밀레토스는 작은 마을로 전락했다.[24] 비잔틴 제국 시대에 밀레토스 교구는 대주교구로 승격되었고, 이후 수도 대교구가 되었다. 도시 옆 언덕에는 팔라티온(Palation)이라고 불리는 작은 비잔틴 성이 건설되었다. 밀레토스는 재산 관리인(curator)이 관리했다.[25][26]

2. 6. 쇠퇴와 몰락

멘데레스 강의 토사 퇴적으로 인해 항구가 기능을 상실하면서 밀레토스는 점차 쇠퇴했다.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작은 마을로 전락했으며, 셀주크 투르크와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베네치아와의 무역항으로 잠시 이용되기도 했지만, 결국 버려졌다.[27]

헬레니즘 시대에는 전략적 요충지로서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로마 제국 시대에 소아시아 지역 정치의 중심이 에페소스로 옮겨가면서, 밀레토스는 1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극장과 파우스티나 욕장이 건설되는 등 문화 도시로서의 면모를 보였다.[48] 그러나 토사 퇴적으로 해안선이 후퇴하면서 운하로 간신히 유지되던 항만 기능도 비잔틴 제국 시대에 이르러 완전히 상실되었다. 해상 교통로가 끊겼지만, 근세까지 아나톨리아 방면 카라반사라이의 중계지 역할을 하며 명맥을 유지했다.

셀주크 튀르크는 14세기에 이 도시를 정복하고 베네치아와의 무역항으로 사용했다. 15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아나톨리아 통치 기간 동안 이 도시를 항구로 이용했다. 그러나 항구가 토사로 막히면서 도시는 버려졌다.

고대 및 이후의 산림 벌채,[27] 과도한 방목(주로 염소 떼에 의한), 침식 및 토양 황폐화로 인해 도시 유적은 해안에서 1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평야는 퇴적물로 채워지고 토양과 나무가 없는 헐벗은 언덕 능선에는 마키 관목지가 남아 있다.

3. 식민 활동

밀레토스는 많은 식민 도시를 건설한 것으로 유명해졌으며, 대 플리니우스는 ''박물지''에서 밀레토스가 흑해와 마르마라 해 연안에 90개 이상의 식민 도시를 건설했다고 기록했다.[38] 그는 밀레토스를 "가장 위대한 그리스의 메트로폴리스"라고 칭송했다.[37]

대표적인 식민 도시로는 아비도스, 시노페, 올비아, 트라페준트 등이 있다.

식민 도시
아비도스
아미소스
아폴로니아 폰티카
보리스테니테스(베레잔)
카르디아
키우스
콜로네
코티오라
키지코스
디오스쿠리아스
헤르모나사
히스트리아
케포이
케라수스
람사쿠스
레로스
림나이
밀레토폴리스
미르메키온 (?)
님파이온
오데소스
올비아
파에수스
판티카파이움
파리움
파트라에우스
파나고리아
파시스
피티우스
프리아푸스
프로코네소스
프루시아스 (?)
시노페
스켑시스
타나이스
테오도시아
티에이온
토미스
티라스
티리타케
트라페준트



흑해 지도, 밀레투스 주요 식민 도시들의 연대기적 단계를 보여줌


밀레토스는 이집트 방면에도 진출하여 합동 식민 도시 나우크라티스 건설에 참여했다. 스트라본프삼티크 1세 시대에 나일 삼각주에 "밀레토스인의 성벽"이라고 불리는 요새가 존재했다고 언급했다.

4. 문화와 유산

밀레토스는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 등을 배출한 밀레토스 학파의 발생지로 유명하다. 이들은 만물의 근원을 탐구하고 자연 현상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려 했으며, 서양 철학 및 과학 사상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20] 종교학 교수 F. E. Peters는 이 시기의 밀레토스에 대해 ''범신론''을 "밀레토스인들의 유산"이라고 묘사했다.

고전 시대의 밀레토스 계획


밀레토스는 히포다모스식 도시 계획의 발상지로도 알려져 있다. 격자형 도로망과 효율적인 공간 배치를 특징으로 하는 이 도시 계획은 이후 고대 로마 도시의 기본 설계로 사용되었다.

베를린페르가몬 박물관에는 밀레토스에서 가져온 밀레토스의 시장 문이 전시되어 있다. 밀레토스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들은 튀르키예독일 등지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피켈라(Fikellura)라는 이름은 이 도기가 귀속된 로도스 섬의 한 유적지에서 유래되었다. 현재는 생산 중심지가 밀레토스(Miletus)로 밝혀졌다.


밀레토스 꽃병


밀레토스 꽃병


밀레토스 꽃병


밀레토스 꽃병


밀레토스 꽃병


고대 그리스 극장

4. 1. 밀레토스 출신 주요 인물

이름활동 시기분야
밀레토스의 아르크티누스(Arctinus of Miletus)기원전 775년 ~ 기원전 741년서사 시인
탈레스(Thales)기원전 624년경 ~ 기원전 546년경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철학자, 밀레토스 학파의 창시자[45]
아낙시만드로스(Anaximander)기원전 610년경 ~ 기원전 546년경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철학자, 지리학자, 밀레토스 학파 철학자[45]
밀레토스의 카드무스(Cadmus of Miletus)기원전 550년경 활동작가
아낙시메네스(Anaximenes of Miletus)기원전 585년경 ~ 기원전 525년경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철학자, 밀레토스 학파 철학자[45]
아리스토고라스(Aristagoras)기원전 6~5세기 활동밀레토스의 참주, 이오니아 반란의 지도자[47]
포킬리데스(Phocylides)기원전 560년경 출생그리스 격언 시인
밀레토스의 헤카타이오스(Hecataeus of Miletus)기원전 550년경 ~ 기원전 476년경그리스 역사가[45]
히스티아이오스(Histiaeus)기원전 493년 사망밀레토스의 통치자
레우키포스(Leucippus)기원전 5세기 전반 활동철학자, 원자론 창시자 (밀레토스와의 연관성은 전통적이지만 논쟁의 여지가 있음)[45]
밀레토스의 히포다무스(Hippodamus of Miletus)기원전 498년 ~ 408년경도시 계획가[45]
아스파시아(Aspasia)기원전 470년 ~ 400년경페리클레스의 정부, 여성 철학자[45]
밀레토스의 아리스티데스(Aristides of Miletus)기원전 2세기 활동작가
모니메(Monime)기원전 72/71년 사망그리스 귀족 여성, 미트리다테스 6세 에우파토르의 아내
알렉산더 폴리히스토르(Alexander Polyhistor)서기 1세기 활동그리스 학자, 로마로 노예로 끌려가기 전 밀레토스 출생
밀레토스의 아이스키네스(Aeschines of Miletus)서기 1세기 활동아시아 양식의 저명한 웅변가
밀레토스의 이시도르(Isidore of Miletus)서기 6세기 활동그리스 건축가, 성 소피아 대성당 건축가[45]
밀레토스의 헤시키우스(Hesychius of Miletus)서기 6세기 활동그리스 연대기 작가, 전기 작가
티마게네스 또는 티모게네스역사가, 수사학자
밀레토스의 필리스쿠스수사학자, 키지쿠스의 네안테스(Neanthes of Cyzicus)의 스승
헬라니쿠스역사가
밀레토스의 디오니시클레스 (Διονυσικλῆς)조각가, 테네도스의 데모크라테스(Democrates of Tenedos)의 조각상 제작
밀레토스의 바케이우스 또는 바키우스 (Βακχεῖος)작가, 농업 관련 작품 저술



탈레스

5. 고고학 발굴

밀레토스에서의 첫 발굴은 1873년 프랑스 고고학자 올리비에 라예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1899년부터 1931년까지 독일 고고학자 율리우스 휠젠과 테오도어 비간트가 그 뒤를 이었다.[28][29][30] 전쟁과 여러 사건으로 인해 발굴은 여러 번 중단되었다. 카를 바이카르트는 1938년에 짧은 기간 동안, 그리고 1955년과 1957년 사이에 다시 발굴을 진행했다.[31][32][33] 그의 뒤를 이어 게르하르트 클라이너, 그리고 볼프강 뮐러-비너가 발굴을 이어갔다. 오늘날 발굴은 독일 보훔의 루르 대학교에서 조직하고 있다.

베를린페르가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밀레투스의 시장 문


19세기 첫 발굴에서 발견된 밀레투스의 시장 문은 조각조각 독일로 옮겨져 재조립되었다. 현재 베를린페르가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주요 유물 컬렉션은 1973년부터 튀르키예 아이든 디딤에 위치한 ''밀레투스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6. 현대의 밀레토스

현재 밀레토스는 튀르키예 아이든 주에 속한 작은 마을로, 고대 그리스 및 로마 시대 유적을 중심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해 있다.[48]

참조

[1] 서적 Luwian Identities: Culture, Language and Religion Between Anatolia and the Aegean https://books.google[...] BRILL 2013-06-07
[2] 서적 Miletos: A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2-04-25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ncient Anatolia: (10,000-323 B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9-15
[4] 서적 Urban World History: An Economic and Geograph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5]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 2007-01-01
[6] 서적 A Short History of Greek Philosophy
[7] 서적 Ancient Greek civilization
[8] 서적 2004
[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ncient Anatolia: (10,000-323 BCE) https://books.google[...] OUP USA 2011-09-15
[10] 문서 Book 14 Section 1.6
[11] 문서 The late fantasy fiction of Antoninus Liberalis, Metamorphoses XXX 1–2 after Nicander
[12] 웹사이트 Graeco-Anatolian Contacts in the Mycenaean Period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Innsbruck 2013-09-22
[13] 서적 Anatolia and the Aegean in the Late Bronze Age
[14] 서적 Anatolia and the Aegean
[15] 웹사이트 Iliad, book II https://www.poetryin[...]
[16] 웹사이트 Palaeolexicon http://www.palaeolex[...]
[17] 웹사이트 Megara and Miletos: Colonising with Apollo. A Structural Comparison of Religious and Political Institutions in Two Archaic Greek Polis States https://www.academia[...] 2015
[18] 문서 Paus. i. 39. § 5, i. 40. § 6
[19] 서적 Miletos, the ornament of Ionia: history of the city to 400 B.C.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1
[20] 서적 Greek Philosophical Terms: A Historical Lexicon https://archive.org/[...] NYU Press
[21] 서적 Histories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1998-03-05
[22] 서적 Pre-industrial Cities and Technology Routledge
[23] 서적 The Life of Alexander the Great https://books.google[...]
[24] 웹사이트 Hellenistic Period http://www.fhw.gr/ch[...] 2019-05
[25] 서적 The Byzantine aristocracy and its military function Ashgate Pub. 2006
[26] 서적 Studies in Byzantine Sigillography Walter de Gruyter 2010
[27] 웹사이트 Miletus (Site) https://www.perseus.[...] 2024-01-20
[28] 서적 Milet Et Le Golfe Latmique, Fouilles Et Explorations Archeologiques Publ 1877
[29] 서적 Das Nymphaeum von Milet, Die Milesische Landschaft, Milet II Museen zu Berlin, Schoetz 1919, 1929
[30] 서적 Der Latmos, Milet III G. Reimer 1913
[31] 서적 Grabungen in Milet 1938 Bericht über den VI internationalen Kongress für Archäologie 1940
[32] 서적 Die Ausgrabung beim Athena-Tempel in Milet 1955 Istanbuler Mitteilungen, Deutsche Archaeologische Institut 1957
[33] 서적 Neue Ausgrabungen in Milet Neue deutsche Ausgrabungen im Mittelmeergebiet und im Vorderen Orient 1959
[34] 뉴스 'Sacred Cave' in ancient Miletos awaits visitors https://www.hurriyet[...]
[35] 뉴스 The Ancient City of Miletos’s “Sacred Cave” Opened to Visitors https://arkeonews.ne[...]
[36] 서적 (페이지 180)
[37] 서적 Colony and Mother City in Ancient Greece
[38] 서적 Greek Colonisation. An account of Greek Colonies and Other Settlements Overseas. Vol. 1 Brill 2006
[39] 웹사이트 Suda, tau, 590 https://topostext.or[...]
[40] 웹사이트 Suda, nu, 114 https://www.cs.uky.e[...]
[41] 웹사이트 Suda, epsilon, 738 http://www.stoa.org/[...]
[42]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6.17.1 https://www.perseus.[...]
[43]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Baccheius https://www.perseus.[...]
[44]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1
[45] 간행물 ミレトス神話とディデュマ 日本西洋古典学会
[46] 서적 古代ギリシア 地中海への展開 京都大学学術出版会
[47] 서적 すごい物理学講義 河出文庫
[48] 웹사이트 イズミールとエーゲ海地方 http://www.tourismtu[...] トルコ大使館 文化広報参事官室 2021-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