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위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위요는 1800년대 초 가뇨다이요가 창시한 이로쿼이 종교이다. 가난과 술에 찌든 가뇨다이요는 계시를 받은 후 술을 끊고 자신의 가르침을 왐품에 새겨 뉴욕주와 펜실베이니아주의 이로쿼이인들에게 전파했다. 가이위요의 가르침은 구전으로 전해지면서 종단 간 내용 차이가 발생했고, 세네카 족장 존 재킷이 통일된 버전을 만들었으며, 이를 윌리엄 블루스카이가 영어로 번역했다. 가이위요 의식은 1년에 두 번, 추수감사절과 육족연맹 부족회의 때 열리며, 설교, 찬송, 감정적 분위기를 특징으로 한다. 일부 이로쿼이 전통주의자들은 가이위요를 거부하며, 모르몬교 창시자 조셉 스미스 주니어가 가뇨다이요의 신비체험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로쿼이 문화 - 모호크 헤어스타일
모호크 헤어스타일은 머리 옆 부분을 삭발하고 머리 중앙 부분을 길게 남기는 스타일로, 펑크 패션에서 유행하며 다양한 문화에서 변형되어 나타난다. - 퀘이커 - 스와스모어 칼리지
스와스모어 칼리지는 1864년 퀘이커교 신자들이 설립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소재 리버럴 아츠 칼리지로, 옥스브리지 튜토리얼 방식의 명예 프로그램과 공학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낮은 학생 대 교수 비율과 높은 박사 배출률을 특징으로 한다. - 퀘이커 -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는 퀘이커 교도들이 양심적 병역 거부자 지원을 목적으로 1917년 설립한 미국의 비정부 기구로, 평화, 사회 정의, 인권 옹호 활동을 펼치며 194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기독교계 신흥 종교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은 이만희를 교주로, 요한계시록을 중심으로 한 종말론적, 메시아적 성격의 종교 단체로, 공격적인 전도 방식과 코로나19 집단 감염 등으로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며 주류 기독교계에서 이단으로 간주된다. - 기독교계 신흥 종교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1954년 문선명이 설립한 국제적인 신흥 종교 단체로, '원리강론'을 경전으로 하며 문선명을 '참부모'로 믿고, 다양한 논란과 분파 속에서 현재는 문선진이 세계회장직을 맡고 있다.
가이위요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장례 의식, 새로운 종교 |
종교 | 롱하우스 종교 |
기원 | 1799년, 뉴욕 |
창시자 | 잘생긴 호수 |
민족 | 이로쿼이 연맹 (주로 세네카족) |
신성한 텍스트 | 가이위요 (좋은 말씀) |
2. 기원
가뇨다이요("멋진 호수"라는 뜻)는 가난과 술독에 빠져 살다가 64세에 무아지경에 빠져 계시를 받고, 술을 끊고 종교를 창시했다. 그는 자신의 가르침을 왐품에 새겨[2] 뉴욕주와 펜실베이니아주의 이로쿼이인 사이에 퍼뜨렸으며, 이것은 "멋진 호수의 율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가뇨다이요는 1815년 사망할 때까지 가르침을 설교했고, 1912년까지 여섯 개의 가이위요 종단이 생겼다. 그러나 구전되는 과정에서 종단 간 내용 차이가 발생했다. 1860년대, 종단들은 뉴욕주 콜드스프링에서 모여 율법을 비교했고, 큰 차이를 확인한 세네카 족장 존 재킷이 통일된 버전을 세네카어로 기록했다. 이 경전은 헨리 스티븐스를 거쳐 에드워드 콘플랜터에게 전해졌으나 분실되었다. 1903년, 콘플랜터는 기억을 더듬어 경전을 다시 작성하고 뉴욕주립기록원에 보관했으며, 윌리엄 블루스카이가 영어로 번역했다.[3]
2. 1. 가뇨다이요의 계시
가뇨다이요(“멋진 호수”라는 뜻)는 64세 되던 해에 무아지경에 빠져 계시를 받았다. 그는 왐품에 자신의 가르침을 새겼는데,[2] 이 가르침은 뉴욕주와 펜실베이니아주의 이로쿼이인 사이에 퍼졌으며, “멋진 호수의 율법”이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2. 2. 가르침의 전파
가난과 술독에 빠져 살던 가뇨다이요(“멋진 호수”라는 뜻)는 64세에 무아지경에서 계시를 받고 술을 끊고 종교를 창시했다. 가뇨다이요는 왐품에 자신의 가르침을 새겼고[2], 이는 뉴욕주와 펜실베이니아주의 이로쿼이인 사이에 퍼져나가 “멋진 호수의 율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가뇨다이요는 1815년 죽을 때까지 자신의 가르침을 설교하는 데 여생을 보냈고, 1912년까지 여섯 개의 가이위요 종단(holders of the Gaihwi:io)이 생겼다. 그러나 가르침이 구전되면서 종단들 사이에 내용 차이가 발생했다. 1860년대, 가이위요 종단들은 가뇨다이요의 생가가 있는 뉴욕주 콜드스프링에 모여 서로의 율법을 비교했는데, 그 차이가 컸다. 이에 세네카 족장 존 재킷이 통일된 버전을 만들어 세네카어로 기록했다. 재킷의 경전은 헨리 스티븐스를 거쳐 에드워드 콘플랜터에게 전해졌으나, 콘플랜터는 이를 분실했다. 1903년, 콘플랜터는 교리 차이가 다시 생길 것을 우려하여 기억을 더듬어 경전을 재작성하고 영구보존을 위해 뉴욕주립기록원에 넘겼다. 이 경전은 침례교 설교사 윌리엄 블루스카이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3]
2. 3. 가이위요 종단의 형성
가뇨다이요(“멋진 호수”라는 뜻)는 가난과 술독에 빠져 살다가 64세 되던 해에 무아지경에 빠져 계시를 받고 술을 끊고 종교를 창시했다. 가뇨다이요는 왐품에 자신의 가르침을 새겨[2] 뉴욕주와 펜실베이니아주의 이로쿼이인 사이에 퍼뜨렸고, 이것은 “멋진 호수의 율법”이라고 알려지게 되었다.이후 가뇨다이요는 1815년 죽을 때까지 여생을 자신의 가르침을 설교하는 데 보냈고, 1912년까지 여섯 개의 가이위요 종단(holders of the Gaihwi:io)이 생겼다. 그런데 그 내용은 구전되었기 때문에 점차 종단들 사이에 내용의 차이가 생겼다. 1860년대에 가이위요 종단들이 가뇨다이요의 생가가 있는 뉴욕주 콜드스프링에서 모여 서로의 율법을 비교해 보니 차이가 많았다. 그래서 세네카 족장 존 재킷이 통일된 버전을 만들고 이를 세네카어로 종이에 써 기록했다. 재킷이 쓴 경전은 헨리 스티븐스를 거쳐 에드워드 콘플랜터에게 전해졌으나 콘플랜터가 그것을 잃어버렸다. 1903년, 다시 교리에 차이가 생길 것을 우려한 콘플랜터가 기억을 더듬어 경전을 재작성했고, 영구보존을 위해 뉴욕주립기록원에 넘겼다. 이것을 침례교 설교사 윌리엄 블루스카이가 영어로 번역했다.[3]
2. 4. 경전의 통일과 기록
1860년대에 가이위요 종단들이 가뇨다이요의 생가가 있는 뉴욕주 콜드스프링에서 모여 서로의 율법을 비교해 보니 차이가 많았다. 구전으로 전해졌기 때문에 점차 종단들 사이에 내용의 차이가 생긴 것이다. 그래서 세네카 족장 존 재킷이 통일된 버전을 만들고 이를 세네카어로 종이에 써 기록했다.[3]
재킷이 쓴 경전은 헨리 스티븐스를 거쳐 에드워드 콘플랜터에게 전해졌으나 콘플랜터가 그것을 잃어버렸다. 1903년, 다시 교리에 차이가 생길 것을 우려한 콘플랜터가 기억을 더듬어 경전을 재작성했고, 영구보존을 위해 뉴욕주립기록원에 넘겼다. 이것을 침례교 설교사 윌리엄 블루스카이가 영어로 번역했다.[3]
2. 5. 윌리엄 블루스카이의 번역
1903년, 에드워드 콘플랜터가 기억을 더듬어 재작성한 경전을 뉴욕주립기록원에 넘겼고, 이것을 침례교 설교사 윌리엄 블루스카이가 영어로 번역했다.[3]3. 의식
의식 진행 중에 설교사는 불가에 서고, 조수 한 명이 하얀 왐품 타래를 들고 옆에 앉는다. 신도들은 긴집 내부의 벽을 따라 배치된 긴의자에 앉고, 여자들은 숄을 써서 머리를 가린다.[3]
긴집 안의 의식 분위기는 개신교 부흥회와 비슷하다. 참석자들은 감정이 북받쳐 눈물을 흘리고, 감정적 분위기가 전염되어 가이위요 신앙을 믿는다고 새삼 선언한다.[3]
3. 1. 의식의 시기와 장소
1년에 두 번, 한겨울 추수감사절 (1월 15일에서 2월 15일 사이)과 육족연맹 부족 회의가 있는 9월에 의식이 소집된다. 때가 되면 보호구역끼리 서로 설교사를 맞바꾸어 보낸다. 의식은 총 3일이 걸리는데, 아침에만 수행한다. 매일 아침 해가 뜨기 전 설교사가 긴집의 화톳불가에 서서 좋은 날씨를 기원하는 노래를 부른다.[3]3. 2. 의식 절차
1년에 두 번, 한겨울 추수감사절(1월 15일에서 2월 15일 사이)과 육족연맹 부족회의가 있는 9월에 의식이 소집된다. 때가 되면 보호구역끼리 서로 설교사를 맞바꾸어 보낸다. 의식은 총 3일이 걸리는데, 아침에만 수행한다. 매일 아침 해가 뜨기 전 설교사가 긴집의 화톳불가에 서서 좋은 날씨를 기원하는 노래를 부른다.의식 진행 중에 설교사는 불가에 서고, 조수 한 명이 하얀 왐품 타래를 들고 옆에 앉는다. 신도들은 긴집 내부의 벽을 따라 배치된 긴의자에 앉고, 여자들은 숄을 써서 머리를 가린다.[3]
의식이 진행되는 긴집 안의 분위기는 마치 개신교 부흥회와 비슷하다. 참석자들은 감정이 북받쳐 눈물을 흘리고, 감정적 분위기가 전염되어 가이위요 신앙을 믿는다고 새삼 선언한다.[3]
3. 3. 의식의 분위기
의식 진행 중에 설교사는 불가에 서고, 조수 한 명이 하얀 왐품 타래를 들고 옆에 앉는다. 신도들은 긴집 내부의 벽을 따라 배치된 긴의자에 앉고, 여자들은 숄을 써서 머리를 가린다.[3]긴집 안의 의식 분위기는 개신교 부흥회와 비슷하다. 참석자들은 감정이 북받쳐 눈물을 흘리고, 감정적 분위기가 전염되어 가이위요 신앙을 믿는다고 새삼 선언한다.[3]
4. 반응
가이위요는 이로쿼이 부족민들 사이에서 다양한 반응을 얻고 있다. 일부는 가이위요를 전통 종교로 받아들이지 않고, 기독교 대각성 운동의 영향을 받은 사이비 종교로 간주한다. 이들은 테카나위타의 가르침인 카이아네레코와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4] 한편, 모르몬교 창시자 조셉 스미스 주니어는 가뇨다이요의 신비체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그가 본 환시는 가뇨다이요의 그것과 유사하다는 평가가 있다.[5][6][7]
4. 1. 이로쿼이 전통주의자들의 비판
모든 이로쿼이 부족민이 가이위요를 고유의 전통 종교로 믿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가이위요의 율법이 기독교 대각성 운동의 영향을 받은 사이비 종교라고 보고 거부하는 이들도 있다. 이들 전통주의자들은 이로쿼이 연맹을 건국한 위대한 조정자 테카나위타의 가르침 카이아네레코와를 그대로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4]4. 2. 모르몬교와의 관계
모르몬교의 창시자 조셉 스미스 주니어는 가뇨다이요의 신비체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스미스가 보았다는 환시는 가뇨다이요의 그것과 유사하다.[5][6][7]참조
[1]
서적
The Death and Rebirth of the Seneca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2]
서적
Encyclopedia of the Haudenosaunee (Iroquois Confederacy).
Greenwood Publishing Group
[3]
저널
The Code of Handsome Lake, the Seneca Prophet
https://archive.org/[...]
1912-11-01
[4]
웹인용
The Confusion between the Great Law and the Handsome Lake Code
https://mohawknation[...]
2024-04-18
[5]
서적
One Nation, Under Gods: A New Ame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 Co.
[6]
웹인용
New theory connects a Native American prophet with Joseph Smith and the Book of Mormon
http://janariess.rel[...]
2015-06-02
[7]
웹인용
Joseph Smith in Iroquois Country: The Handsome Lake Story
http://www.juvenilei[...]
2015-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