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네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네카어는 이로쿼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세네카족이 사용한다. 18세기 초 예수회 선교사가 제작한 사전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며, 현재는 약 100명의 화자가 사용하고 있다. 뉴욕 서부의 보호구역과 온타리오의 보호구역에서 주로 사용되며, 언어 부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세네카어는 음운, 문법, 통사론 등에서 특징을 가지며, 동사 형태론이 특히 풍부하다. 세네카어 보존을 위해 학교 설립, 언어 학습 도구 개발, 앱 제작, 이중 언어 표지판 설치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로쿼이어족 - 모호크어
모호크어는 카니엔케하카어라고도 불리는 이로쿼이어족 언어로, 과거 모호크족의 언어였으나 현재는 사용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세 가지 주요 방언과 순음이 없고 명사를 포함하는 문법 구조를 가진다. - 이로쿼이어족 - 체로키어
체로키어는 이로쿼이어족에 속하는 유일하게 사용되는 남부 이로쿼이어족 언어로서, 세쿼이아가 발명한 85개의 음절 문자를 사용하며, 오클라호마주와 노스캐롤라이나주 일부에서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캐나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캐나다의 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 미국의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미국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세네카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세네카어 |
고유 이름 | Onödowágaʼ Gawë꞉noʼ |
다른 이름 | Onötowáʼka꞉ Hodinöhsö꞉niʼ Onödowáʼga꞉ |
사용 국가 | 미국 캐나다 |
사용 지역 | 뉴욕주 서부 및 온타리오의 여섯 국가 보호 구역 |
사용자 | 100명 (2007년) |
민족 | 세네카족 |
언어 계통 | 이로쿼이어족 북부 이로쿼이어파 호수 이로쿼이어파 다섯 국가 |
언어 부류 | 심각한 멸종 위기 언어 |
문자 | 로마자 |
ISO 639-3 | see |
Glottolog | sene1264 |
지도 정보 | |
2. 분류 및 역사
세네카어는 이로쿼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세네카족이 사용한다.[1] 카유가어, 오논다가어, 오네이다어, 모호크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카유가어와 가장 가깝다.[2]
18세기 초,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 줄리앙 가르니에가 제작한 두 개의 사전에서 세네카어가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이 사전들과 19세기 초 세네카족의 저술을 통해 18세기에 큰 음운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가르니에가 수집한 세네카어는 현대 세네카어와 서로 이해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3] 이러한 음운 변화는 세네카어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세네카어를 다른 가까운 언어들과 음운론적으로 매우 다르게 만들었고, 언어의 기본적인 형태론적 구조 또한 매우 불투명하게 만들었다.[4]
오늘날 세네카어는 주로 뉴욕 서부의 세 알레가니 인디언 보호구역(:see:ʼohi꞉yoʼ), 카타라우구스 보호구역(:see:kaʼtä꞉kë̓skë꞉öʼ), 토나와다 보호구역(:see:tha꞉nöwöteʼ)과 온타리오의 그랜드 리버 식스 네이션스 보호구역(:see:swe꞉këʼ)에서 사용된다.[2][1]
2. 1. 세네카족의 역사와 문화
세네카어는 이로쿼이 부족의 일원인 세네카족이 사용하는 이로쿼이어족 언어이다.[1] 카유가어, 오논다가어, 오네이다어, 모호크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 중 카유가어와 가장 가깝다.[2]18세기 초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 줄리앙 가르니에가 제작한 두 개의 사전에서 세네카어가 처음으로 증명되었다. 이 문서들과 19세기 초 세네카족의 저술을 통해 18세기에 큰 음운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가르니에가 수집한 세네카어는 현대 세네카어와 서로 이해하기 어려웠을 것이다.[3] 이러한 음운 변화는 세네카어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세네카어를 다른 가까운 언어들과 음운론적으로 매우 다르게 만들었으며, 언어의 기본적인 형태론적 풍부함도 매우 불투명하게 만들었다.[4]
오늘날 세네카어는 주로 뉴욕 서부의 세 곳 (알레가니 인디언 보호구역(:see:ʼohi꞉yoʼ), 카타라우구스 보호구역(:see:kaʼtä꞉kë̓skë꞉öʼ), 토나와다 보호구역(:see:tha꞉nöwöteʼ))과 온타리오의 그랜드 리버 식스 네이션스 보호구역(:see:swe꞉këʼ)에서 사용된다.[2][1] 약 100명의 모국어 사용자가 남아있지만, 언어 부활 노력이 진행 중이다.
2. 2. 세네카어의 현황과 보존 노력
세네카어 화자 공동체는 약 100명의 모국어 사용자로 줄었지만, 언어 부활 노력이 진행 중이다.[7]
1998년, 세네카 신앙 수호 학교가 세네카어와 전통을 아이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주 5일제 학교로 설립되었다.[8] 이 학교는 Memrise라는 언어 학습 플랫폼에서 주제별로 세분화된 언어 학습 도구와 강좌를 출판했다.[9]
2010년, K-5 세네카어 교사인 앤 타하몬트는 실버 크릭 학교 학생들과의 협력 및 언어 기록 작업으로 인정받아 국제 언어 기록 및 보존 회의(ICLDC)에서 "재귀적 이중 언어 교육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세네카어 기록"을 발표했다.[10]
2012년 여름, 세네카 네이션 오브 인디언스의 언어를 사용하는 원어민은 50명 미만으로, 이 언어가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는 데 동의했다. 다행히 세네카 언어 부활 프로그램에 200000USD의 연방 보조금이 지원되어 로체스터 공과대학교와의 파트너십이 강화되었고, 미래 세대가 언어를 공부하고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컴퓨터 카탈로그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11] 이 프로젝트는 "사용자 친화적인 웹 기반 사전 또는 세네카어 가이드"를 개발할 것이다.[12] "로비 짐머슨은 버팔로 근처 캐터러거스 인디언 보호구역 거주자이자 RIT 컴퓨터 과학 프로그램의 대학원생"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 할아버지는 농담은 영어보다 세네카어로 하는 것이 더 재미있다고 늘 말씀하셨어요."라고 언급했다.[13] 2013년 1월 기준으로 세네카어 앱이 개발 중이었다.[14]
2012년 가을, 세네카어 학습자들은 유창한 멘토와 협력하고 있으며, Gae꞉wanöhgeʼ!|가에와노게|세네카어see 뉴스레터가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다.[15]
세네카 소유의 전 라디오 방송국인 WGWE (호출 부호는 대략 "무슨 일이야?"를 의미하는 세네카어 단어 "gwe"에서 유래)는 주로 영어로 방송했지만, 정오 뉴스 방송 전에 매일 "오늘의 세네카 단어"를 방송하고, 제한된 양의 세네카어 음악을 방송했으며, 세네카어를 일반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방송에서 세네카어를 가끔 사용했다.
2013년에는 중학생들이 라크로스 경기의 아나운서로 참여하여 첫 번째 공개 스포츠 행사가 세네카어로 개최되었다.[16]
정지 표지판 및 속도 제한 표지판과 같은 이중 언어 도로 표지판이 짐머슨타운의 세네카 수도에 나타나며, 이러한 표지판은 2016년에 세워졌다. 이전에 86번 주간 고속도로의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앨러게니 인디언 보호구역 내의 타운십 이름이 Comic Sans로 고속도로를 따라 세네카어로 표시되었다.
3. 음운
세네카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된다. 모음은 입으로만 소리 내는 구강 모음과 코와 입을 함께 사용하는 비음 모음으로 나뉜다. 세네카어에는 13개의 문자가 쓰이며, 이 중 3개는 움라우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콜론(꞉)과 [acute accent|급성 악센트] 기호가 추가로 사용된다. 세네카어는 일반적으로 모두 소문자로 표기하며, 대문자는 매우 드물게 사용되며, 단어의 첫 글자에만 사용된다.[1]
3. 1. 모음
세네카어의 모음은 크게 구강 모음과 비음 모음으로 나뉜다. 구강 모음은 입으로만 소리 내는 모음이고, 비음 모음은 코와 입을 함께 사용하여 소리 내는 모음이다.세네카어에는 다음과 같은 이중모음도 존재한다.
- 구강 이중모음: ae, ai, ao, ea, ei, eo, oa, oe, oi
- 비음 이중모음: aö, eö, oë
3. 1. 1. 구강 모음 상세
A a - 우리말의 '아'로 발음한다.A: a: - '아' 발음을 좀 더 길게 끌어준다.
ä - 우리말의 '애'로 발음한다.(:가 붙어있으면 좀 더 끌어서 읽는다.)
E e - 우리말의 '에'로 발음하나 영어의 "Spanish"처럼 발음하며 영어의 "gate"의 "a"(-에이)처럼 발음한다.(:가 붙어있으면 좀 더 끌어서 읽는다.)
I i - 우리말의 '이'로 발음한다.(:가 붙으면 좀 더 끌어서 읽는다.)
O o - 우리말의 '오'로 발음하거나 '우'처럼 발음한다.(:가 붙으면 좀 더 끌어서 읽는다.)
모음은 구강 모음 /i/, /e/, /æ/, /a/, /o/, 그리고 비음화 모음 /ɛ/와 /ɔ/로 세분할 수 있다.[3] 이러한 음성에 대한 표기 표현은 IPA 표기와 다른 경우 꺾쇠 괄호 안에 제시되어 있다.
여기 설명된 표기법은 세네카 이중 언어 교육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비음 모음 ë|ëoj와 ö|öoj는 위쪽에 트레마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음성 환경에 따라, 비음 모음 ë|ëoj는 [ɛ̃]와 [œ̃] 사이에서, ö|öoj는 [ɔ̃]에서 [ɑ̃]로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3] 장모음은 뒤에 :|:oj를 사용하여 표시하며, 강세는 위쪽에 급성 악센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는 ä로 표기한다.[4]
3. 1. 2. 비음 모음 상세
비음 모음은 영어에는 없지만, 프랑스어와 유사하거나 영어 사용자가 프랑스어 억양을 쓰는 것과 비슷하다. 비음 모음은 코와 입을 사용하여 발음하며, 영어 사용자에게는 콧소리가 글자 끝의 'n(ㄴ)'과 약간 비슷하게 들릴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랑스어의 'bon'이나 'Jean'과 비슷하게 발음한다.[3]
비음 모음 와 는 위에 트레마를 붙여 로 표기한다. 음성 환경에 따라 는 와 사이에서, 는 에서 로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3]
3. 1. 3. 이중 모음
세네카어의 모음은 구강 모음 /i/, /e/, /æ/, /a/, /o/와 비음화 모음 /ɛ̃/, /ɔ̃/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æ/는 비교적 드물게 나타나며, 다른 오대호 이로쿼이 언어와 공유되지 않는 특징이다. /u/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며, 아주 작은 물체를 묘사할 때에만 사용된다.[3]
위 표는 세네카 이중 언어 교육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표기법을 따른다. 비음 모음 와 는 위에 트레마를 붙여 ⟨ë⟩, ⟨ö⟩로 나타낸다. 소리가 나는 환경에 따라 비음 모음 ⟨ë⟩는 와 사이에서, ⟨ö⟩는 에서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3] 긴 모음은 뒤에 ⟨:⟩를 붙여 나타내고, 강세는 위에 급성 악센트를 붙여 나타낸다. 는 ⟨ä⟩로 나타낸다.[4]
3. 2. 자음
세네카어에는 13개의 문자가 쓰이며, 그 중 3개는 움라우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콜론(꞉)과 [acute accent|급성 악센트] 기호가 추가로 사용된다. 세네카어는 일반적으로 모두 소문자로 표기하며, 대문자는 매우 드물게 사용되며, 단어의 첫 글자에만 사용된다.[1]세네카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
- d: 우리말의 "ㄷ"처럼 발음한다.
- g: 우리말의 "ㄱ"처럼 발음한다.
- h: 우리말의 "ㅎ"처럼 발음한다.
- j: 우리말의 "ㅈ"처럼 발음하거나 "ㅊ"처럼 발음한다.
- k: 우리말의 "ㅋ"처럼 발음한다.
- n: 우리말의 "ㄴ"처럼 발음한다.
- s: 우리말의 "ㅅ"처럼 발음한다.
- s̈: 영어의 "show"에서 'sh'처럼 발음한다.
- t: 우리말의 "ㅌ"처럼 발음한다.
- ts: 영어의 'Edsel'에서 'ds'처럼 발음하거나 'Patsy'의 'ts'처럼 발음한다.
- w: 영어 'way'의 'w'처럼 발음한다.
- y: 영어 'yes'의 'y'처럼 발음한다.
- ’: 끊어 줄 때 내는 소리(pause sound)이다. "uh-oh."의 가운데처럼 발음한다.
단, 'th'는 영어의 'think'처럼 발음하지 않고, t와 h 발음을 동시에 발음하며 'sh'도 영어의 'mishap'처럼 발음하도록 한다.
일부 음역에서는 ''t''가 ''d''로, ''k''가 ''g''로 대체된다. 세네카어는 유성 자음과 무성 자음 간의 음운학적 구분이 없다. 문자 ''j''는 세 글자 조합 ''tsy''로 대체될 수도 있다.[1]
2015년 월리스 채프의 문법에 따르면, 세네카어의 자음 및 비모음 음소 목록은 다음과 같다.[2]
- 는 구개 반모음이다. 뒤에서는 무성음이며, 마찰음화된 이다. 뒤에서는 무성음 이며, 마찰음 변이음 과 자유 변이 관계를 가진다. 또는 뒤에서는 유성음이며, 선택적으로 마찰음화된 이며, 마찰음 변이음 과 자유 변이 관계를 가진다. 그 외에는 유성음이며, 마찰음화되지 않은 이다.
- 는 연구개 반모음이다. 약하게 원순성을 띤 이다.
- 는 설단-치조 파열음 이다. 무성음이며, 장애음이나 열린 경계 앞에서 유기음화된 이다(하지만 비음화된 모음과 열린 경계 사이에서는 거의 들리지 않는다). 모음과 공명음 앞에서 유성음화되고 해제된다 .
- 는 배면-연구개 파열음 이다. 무성음이며 장애음이나 열린 경계 앞에서 유기음화 된다. 모음이나 공명음 앞에서 유성음화되고 해제된다 .
- 는 유성 후치경 파찰음 이고, 는 유성 치경 파찰음 이다. 앞에서 자유 변이형으로 선택적으로 구개음화되어 가 된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젊은 화자들 사이에서는 와 가 로 합쳐지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2]
3. 3. 음절 구조
세네카어는 열린 음절과 닫힌 음절을 모두 허용하며, 세네카어 음절은 핵 뒤에 여러 자음이 결합된 자음군이 오는 경우 닫힌 것으로 간주된다. 게다가, [h]는 모음 사이에서 양음절성을 띠는 것으로 보이며, 초성에 여러 비자음 분절음이 결합된 군에 포함될 수 있다.[1]3. 4. 운율
모음 길이는 콜론(꞉)으로 표시하며, 개방 연접은 단어 간 간격으로 표시한다.[1] 장모음은 일반적으로 다음 두 가지 환경 중 하나에서 나타난다. 1. 성문 파열음으로 끝나지 않는 단어의 짝수 번째(즉, 단어의 시작부터 음절 수가 짝수인) 어말 직전 음절. 2. A. 뒤에 다음 모음 앞에 비모음 분절음이 하나만 오고, B. 성문 파열음으로 끝나지 않으며, C. 모음 [a]를 포함하지 않는 홀수 번째 어말 직전 음절(단어 첫머리에 있는 음절은 예외). 또한, 모음은 짧은 모음과 (생략된) 성문 분절음의 반사 작용으로 보상적으로 길어지는 경우가 많다(예: 소리자음 앞에 생략된 성문 마찰음 앞의 모음 *V̆hR > V̄R).[2]강세는 강세 부호(예: ⟨é⟩)로 표시되는 강세와 표시되지 않은 약세(예: ⟨e⟩)로 나뉜다.[1] 세네카어에서 강세를 받은 단모음은 일반적으로 강세를 받지 않은 모음보다 음높이가 높고, 강세를 받은 장모음은 음높이가 떨어지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단모음은 일반적으로 A. 성문 폐쇄음, B. 비모음 분절음의 묶음, 또는 C. A 또는 B를 포함하는 홀수 번째 음절이 앞에 오는 짝수 번째 음절에서 트로케이 패턴으로 강세를 받는다. 강세를 받을 수 있는 음절 수에는 상한 또는 하한이 없는 것으로 보이며, 단어의 모든 짝수 번째 음절에 강세를 줄 수 있지만 반드시 강세를 줄 필요는 없다. 또한 강세를 받지 않은 모음 바로 뒤에 강세를 받은 모음이 오는 경우(즉, VV́ > V́V́) 강세 확산을 통해 음절에 강세를 줄 수 있다. 단어의 첫머리와 마지막 음절은 기본적으로 강세를 받지 않지만 문장 수준의 강세를 부여할 수 있다.[2]
4. 문법
세네카어는 교착어의 일종인 합성어이며, 매우 풍부한 동사 형태론적 체계를 가지고 있다. 명사 형태론적 체계 역시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 동사는 세네카어 단어의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며, 동사 어근에 추가될 수 있는 수많은 형태소 종류, 일반적으로 그에 속하는 여러 형태소, 그리고 그 변이형으로 인해 매우 다양한 세네카어 동사가 문법적으로 가능하다.[1] 대부분의 동사 형태는 여러 개의 이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형태소의 변이형은 음운론적 환경을 기준으로 신뢰성 있게 예측할 수 없다.
4. 1. 동사 형태론
세네카어는 교착어의 일종인 합성어이며, 매우 풍부한 동사 형태론적 체계를 가지고 있다. 동사는 세네카어 단어의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며, 동사 어근에 추가될 수 있는 수많은 형태소 종류와 일반적으로 그에 속하는 여러 형태소, 그리고 그 변이형으로 인해 매우 다양한 세네카어 동사가 가능하다.[1] 대부분의 동사 형태는 여러 개의 이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형태소의 변이형은 음운론적 환경을 기준으로 신뢰할 수 있게 예측할 수 없다.동사 기저, 양상 접미사, 대명사 접두사, 전치 대명사 접두사는 모두 동사 형태론을 구성하는 요소들이다. 각 요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4. 1. 1. 동사 기저 구성
세네카어는 교착어의 일종인 합성어이며, 매우 풍부한 동사 형태론적 체계를 가지고 있다. 동사는 세네카어 단어의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며, 동사 어근에 추가될 수 있는 수많은 형태소 종류와 일반적으로 그에 속하는 여러 형태소, 그리고 그 변이형으로 인해 매우 다양한 세네카어 동사가 가능하다.동사 기저는 파생 접미사, 중간태 또는 재귀 접두사, 혹은 명사 어근을 추가하여 확장할 수 있다. 일반적인 중간태 접두사는 행위자가 수행하고 동일한 행위자가 받는 동작을 설명한다. 그 형태는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다음과 같다.[1]
형태소 | 환경 |
---|---|
주로 모음 또는 모음 다음에 오는 공명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근 앞에 온다. | |
-ate- | 대부분의 복합 자음 앞에 온다. |
n 또는 n 다음에 오는 후두 폐쇄음 앞에서. | |
위와 같은 환경에서 역사적으로 다른 기저 그룹과 함께 사용된다. | |
i로 시작하는 일부 기저 앞에서. | |
위와 같은 환경에서 역사적으로 다른 기저 그룹과 함께 사용된다. | |
ah로 시작하는 일부 기저 앞에서. | |
-ëni-, -a- | 각각 동사 어근 하나씩과 함께 나타나며, -sʼoht- ("손") 및 -tsëh- ("불")에 해당한다. |
유사한 재귀 접두사는 의미적으로 거의 동일하며, 유일한 차이점은 재귀 접두사가 행위자와 수신자의 두 가지 (단일) 역할을 더 명확하게 구별한다는 것이다. 그 형태는 음성 환경에 의해 규칙적으로 예측될 수 없으며, 기본 형태 -at-에서 파생된다.[1]
명사는 중간태 또는 재귀 접두사 앞에 배치함으로써 (즉, 기저 명사의 앞에) 동사 기저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해당 명사는 동사의 객체 (또는 종종 도구 또는 방식)가 된다. 명사 종결 자음과 접두사/동사 어근 시작 자음 사이에는 "줄기 연결" 모음 -a-가 삽입된다. 동사의 의미를 변경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유형의 파생 접미사를 기저 명사 끝에 추가할 수 있다. 다음은 접미사의 기본 형태 또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1]
이름 | 형태 | 번역 또는 의미 | 비고 |
---|---|---|---|
보행 | -hne- | "걸으면서" | |
진행 | -h- | 행위자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위치로 이동함을 나타낸다. | |
진행 + 목적 | -e- | 사건이 임박했음을 나타낸다. | |
고대 사역 | -hw- | "야기하다", "만들다" | 새로운 사역 형태소보다 훨씬 덜 흔하다. |
고대 반전 | -hs- | 동사의 의미를 반전시킨다. 종종 "un-"으로 번역될 수 있다 (예: "tie" > "untie"). | 새로운 반전 형태소보다 덜 흔하다. |
수인 | -ni-, -ne- | 어떤 당사자에게 이익이나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동작을 나타낸다. "그/그녀/그들에게"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 |
지향 | -n- | 어떤 방향으로 동작이 일어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거기에"로 번역될 수 있으며, "거기로 가라", "거기로 날아가라"와 같이 사용된다. | |
분배 | -hö- | 동작이 시간과 공간의 여러 당사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 |
이중 분배 | -nyö- | 가끔 분배 형태소 다음에 오며, 추가적인 의미적 중요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
결과 | -hsʼ- | "결국" | |
용이 | -hsk- | "쉽게" | |
시작 | -ʼ- | "되다", "얻다", "생기다" | |
수단 | -hkw- | "~에 의해" | |
새로운 사역 | -ht- | "야기하다", "만들다" | 고대 사역 형태소보다 훨씬 더 흔하다. |
새로운 반전 | -kw- | 동사의 의미를 반전시킨다. 종종 "un-"으로 번역될 수 있다 (예: "tie" > "untie"). | 고대 반전 형태소보다 더 흔하다. |
4. 1. 2. 양상 접미사
세네카어 동사는 특정 사건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 기저로 구성되며, 여기에는 항상 동사 어근이 포함된다. 이 어근 뒤에는 항상 양상 접미사가 오고, 거의 항상 대명사 접두사가 선행된다. 대명사 접두사는 행위자, 피행위자 또는 동사의 대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양상 접미사는 습관적 또는 상태적일 수 있으며, 습관, 진행, 상태, 완료의 네 가지 의미 유형을 설명한다. 기저는 "결과적" 또는 "비결과적"으로 분류되며, "새로운 상황을 초래하는지 여부"에 따라 분류된다. 비결과적 기저는 습관적 양상 접미사를 사용하여 습관적인 동작을 설명하고, 상태적 양상 어간을 사용하여 진행 중인 동작을 설명한다. 결과적 기저는 습관적 양상 접미사를 사용하여 습관적 또는 진행 중인 동작을 설명하고, 상태적 양상 어간을 사용하여 완료된 동작을 설명한다. 일부 동사 어근은 상태적 전용이라고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긴 상태를 설명한다(예: "무겁다", "늙다" 등). 습관적 및 상태적 어근은 동사 기저의 어미와 관련이 있지만, 대부분 임의적이거나, 적어도 일관성이 없다. 또한 일반적인 점묘 양상 접미사가 있으며, 점묘 사건을 설명하기 위해 추가되는 양상 접미사이다. 이는 반드시 "양태 접두사"를 사용하며, 이 접두사는 대명사 접두사에 선행하며, 동사에서 설명하는 동작과 현실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세 가지 접두사는 사실, 미래, 가설이다.
4. 1. 3. 대명사 접두사
세네카어는 매우 풍부한 동사 형태론적 체계를 가진 교착어의 일종인 합성어이며, 명사 형태론적 체계 역시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 동사는 세네카어 단어의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며, 동사 어근에 추가될 수 있는 수많은 형태소 종류, 일반적으로 그에 속하는 여러 형태소, 그리고 그 변이형 사이에서 진정으로 엄청난 수의 세네카어 동사가 문법적으로 가능하다.[1] 대부분의 동사 형태는 여러 개의 이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형태소의 변이형은 음운론적 환경을 기준으로 신뢰할 수 있게 예측할 수 없다.세네카 동사에 붙는 대명사 접두사 체계는 매우 풍부하며, 각 대명사는 행위의 주체뿐만 아니라 그 행위의 대상(즉, "객체")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1인칭 단수 접두사는 객체가 없을 때는 k- ~ ke- 이지만, 객체가 2인칭 단수일 때는 kö- ~ köy-, 객체가 2인칭 복수일 때는 kni- ~ kn- ~ ky- , 객체가 2인칭 복수일 때는 kwa- ~ kwë- ~ kw- ~ ky- 가 된다. 누가 행동을 수행하고 누가 그 행동을 받는지에 따라 55개의 가능한 대명사가 있다. 이 대명사들은 단수, 이중수, 복수 숫자를 나타낸다. 더욱이, 행위자를 묘사하는 대명사 접두사의 경우 1인칭에서 포함/배타적 구분이 있다. 성별과 생물 여부도 3인칭에서 표현되며, 성별은 남성 개체와 "여성-동물" 개체(즉, 여성과 동물) 사이에서 구분되며, 무생물은 단수 형태로 구분된다. 또한, 대명사 접두사 앞에 다양한 의미를 지닌 "전치 대명사" 접두사를 두어 동사의 의미를 수정할 수 있다.[2]
부정 |
---|
동시적 또는 대조적 |
이동적 |
부분적 |
중복적 |
반복적 또는 근접적 |
4. 1. 4. 전치 대명사 접두사
세네카어 동사에 붙는 대명사 접두사는 행위의 주체뿐만 아니라 그 행위의 대상(객체)도 나타내는 풍부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1인칭 단수 접두사는 객체가 없을 때 'k- ~ ke-'이지만, 객체가 2인칭 단수일 때는 'kö- ~ köy-', 객체가 2인칭 복수일 때는 'kni- ~ kn- ~ ky-', 객체가 2인칭 복수일 때는 'kwa- ~ kwë- ~ kw- ~ ky-'가 된다. 행동의 주체와 대상에 따라 55개의 가능한 대명사가 있으며, 이들은 단수, 이중수, 복수를 나타낸다. 또한, 행위자를 나타내는 대명사 접두사의 경우 1인칭에서 포함/배타적 구분이 있다. 3인칭에서는 성별과 생물 여부가 표현되며, 성별은 남성 개체와 "여성-동물" 개체(여성과 동물) 사이에서 구분되고, 무생물은 단수 형태로 구분된다.대명사 접두사 앞에 다양한 의미를 지닌 "전치 대명사" 접두사를 붙여 동사의 의미를 수정할 수 있다. 전치 대명사 접두사는 아래 표와 같은 순서로 배열된다.[1]
순서 |
---|
부정 |
동시적 또는 대조적 |
이동적 |
부분적 |
중복적 |
반복적 또는 근접적 |
4. 2. 명사 형태론
세네카어 명사 형태론은 동사 형태론보다 훨씬 단순하다. 명사는 명사 어근, 명사 접미사, 그리고 대명사 접두사로 구성된다. 명사 접미사는 단순 명사 접미사(당연히 명사임을 나타냄), 외부 장소 접미사(무언가가 해당 명사 "위에" 또는 "에" 있음을 나타냄), 또는 내부 장소 접미사(무언가가 해당 명사 "안에" 있음을 나타냄)로 나타난다. 이들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1]- 단순 명사 접미사: -aʼ ~ -öʼ (비음화 환경에서)
- 외부 장소 접미사: -aʼgeh
- 내부 장소 접미사: -aʼgöh
명사 앞에는 종종 대명사 접두사가 오지만, 이 맥락에서는 행위자나 수용자와는 대조적으로 소유를 나타낸다. 대명사 접두사가 없는 명사 앞에는 중성 피동 접두사 yo- ~ yaw- ~ ya- 또는 중성 능동 접두사 ka- ~ kë- ~ w- ~ y-가 온다. 이 형태소들은 의미적 가치를 지니지 않으며 역사적으로 특정 명사 어근과 임의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특정 대명사 이전 동사 접두사는 명사에 접미되어 그 의미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근접 장소, 동시, 부정, 부분, 반복 접두사가 이 그룹에 속한다.
4. 3. 통사론
다른 언어에서 절에 포함될 수 있는 많은 부분이 세네카어 단어에 포함되기 때문에, 세네카어는 어순이 자유로우며 주어/목적어/동사 틀에 따라 깔끔하게 분류될 수 없다. 대신, 새로운 정보가 세네카어 문장에서 먼저 나타난다. 명사가 화자에 의해 같은 문장의 동사보다 더 "뉴스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동사 앞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고, 그러한 관련성이 없다고 간주되면 일반적으로 동사 뒤에 나타난다.[1] 명사나 동사로 분류할 수 없는 유일한 세네카어 단어인 입자는[2] 동일한 어순 패러다임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대명사 형태소를 결정하는 행위자/참가자 구분을 고려할 때, 세네카어를 주격-대격 언어로 간주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3]4. 4. 접속
세네카어에서는 문장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5]접속사 | 번역 | 참고 |
---|---|---|
ø | '그리고' | 두 개의 동사구 사이에 나타난다. |
koh | '그리고' | 주로 후치사 접속사로 나타난다. |
háéʼgwah 또는 há꞉ʼgwah | 또한, '역시' | "동등한 가중치"의 구성요소들을 결합하며, 위치는 다양하다. |
gi꞉h | '또는' | 두 개의 대안 사이에 나타난다. |
giʼsëh | '아마도' | 주로 문장 끝에 나타난다. |
giʼsëh ... giʼsëh | '혹은 ... 또는' | 첫 번째 요소는 두 개의 대안 사이에 나타나고, 두 번째 요소는 (영어와 같이) 두 요소 바로 뒤에 나타난다. |
gwa꞉h heh | '하지만' | 주로 도입하는 절 앞에 나타난다. |
sëʼëh | '왜냐하면' | 주로 이유를 도입하기 전에 나타난다. |
4. 5. 지시어
세네카어에서 시간과 공간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시 대상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단어는 근접/원거리 구분을 특징으로 하며, 다음 지시 대명사에서 볼 수 있다.[6]대명사 | 의미 | 거리 |
---|---|---|
në꞉gë꞉h | '이것' | 근접 |
në꞉dah | '바로 이것' | |
hi꞉gë꞉h | '저것' | 원거리 |
né꞉neʼ | '저기 있는 그것' | |
neʼhoh | 저것, '저기' |
5. 세네카어 복원 노력의 의의와 한국에 주는 시사점
1998년, 세네카 신앙 수호 학교가 세네카어와 전통을 아이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주 5일제 학교로 설립되었다.[7] 이 학교는 Memrise라는 언어 학습 플랫폼에서 주제별로 세분화된 언어 학습 도구와 강좌를 출판했다.[8]
2010년, K-5 세네카어 교사인 앤 타하몬트는 실버 크릭 학교 학생들과의 협력 및 언어 기록 작업으로 인정받아 국제 언어 기록 및 보존 회의(ICLDC)에서 "재귀적 이중 언어 교육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세네카어 기록"을 발표했다.[9]
2012년 여름, 세네카 네이션 오브 인디언스의 언어를 사용하는 원어민이 50명 미만으로 줄어들어 세네카어가 소멸 위기에 처했다. 다행히 세네카 언어 부활 프로그램에 대한 200000USD의 연방 보조금과 로체스터 공과대학교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미래 세대가 언어를 공부하고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컴퓨터 카탈로그를 개발하게 되었다.[10] 이 프로젝트는 "사용자 친화적인 웹 기반 사전 또는 세네카어 가이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1]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버팔로 근처 캐터러거스 인디언 보호구역 거주자이자 RIT 컴퓨터 과학 프로그램의 대학원생인 로비 짐머슨은 "우리 할아버지는 농담은 영어보다 세네카어로 하는 것이 더 재미있다고 늘 말씀하셨어요."라고 언급했다.[12] 2013년 1월에는 세네카어 앱이 개발 중이었다.[13]
2012년 가을, 세네카어 학습자들은 유창한 멘토와 협력하고 있으며, 세네카어 뉴스레터 Gae꞉wanöhgeʼ!see가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다.[14]
세네카 소유의 전 라디오 방송국인 WGWE(호출 부호는 "무슨 일이야?"를 의미하는 세네카어 단어 "gwe"에서 유래)는 주로 영어로 방송했지만, 정오 뉴스 방송 전에 매일 "오늘의 세네카 단어"를 방송하고, 제한된 양의 세네카어 음악을 방송했으며, 세네카어를 일반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방송에서 세네카어를 가끔 사용했다.
2013년에는 중학생들이 라크로스 경기의 아나운서로 참여하여 최초의 공개 스포츠 행사가 세네카어로 개최되었다.[15]
정지 표지판 및 속도 제한 표지판과 같은 이중 언어 도로 표지판이 짐머슨타운의 세네카 수도에 설치되었으며, 2016년에 세워졌다. 이전에 86번 주간 고속도로의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앨러게니 인디언 보호구역 내의 타운십 이름이 Comic Sans로 고속도로를 따라 세네카어로 표시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2]
뉴스
Seneca people are reviving their language, which boarding schools tried to erase
https://www.npr.org/[...]
2023-11-04
[3]
서적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https://archive.org/[...]
Taylor & Francis
[4]
웹사이트
Onödowága – Seneca
http://www.languageg[...]
The LinguaSphere Online
2008-02-22
[5]
서적
A Grammar of the Seneca Langu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6]
서적
A Grammar of the Seneca Language
A Grammar of the Seneca Language
[7]
뉴스
Seneca Faithkeepers School Tries to Keep Alive the Tribe's Traditional Ways, Language
https://web.archive.[...]
2004-06-05
[8]
웹사이트
Faithkeepers School - SNI
https://sni.org/educ[...]
[9]
뉴스
Teacher feted for work with language of the Senecas
https://web.archive.[...]
[10]
뉴스
RIT Partners with Seneca Nation to Preserve 'Endangered' Language
http://www.nativetim[...]
[11]
뉴스
New life for Seneca language
http://www.rochester[...]
2012-07-04
[12]
뉴스
RIT Partners with Seneca Indian Nation to Preserve 'Endangered' Native Language
https://archive.toda[...]
[13]
뉴스
Want to speak Seneca? There's an app for that
http://www.pressconn[...]
2013-01-07
[14]
간행물
Gae꞉wanöhgeʼ!
http://sni.org/media[...]
[15]
뉴스
Students announce lacrosse games in Seneca language
http://www.observert[...]
2013-05-10
[16]
서적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Taylor & Franc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