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각성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각성 운동은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미국에서 일어난 종교 부흥 운동들을 통칭한다. 제1차 대각성 운동은 1730년대에 시작되어 조지 화이트필드, 조나단 에드워즈 등의 인물들을 중심으로 종교적 열정을 고취하고 교파를 초월한 설교를 통해 큰 영향을 미쳤다. 제2차 대각성 운동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진행되었으며, 찰스 G. 피니 등의 지도자를 통해 노예제 폐지 운동, 여성 권리 운동 등 사회 개혁 운동과 연관되었다. 제3차 대각성 운동은 1850년대부터 1900년대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YMCA의 활동, 선교 활동의 활성화, 사회 복음적 접근 방식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제4차 대각성 운동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일어났다고 주장되나 논란이 있으며, 예수 운동과 보수적 종교 교파의 성장을 특징으로 한다. 대각성 운동은 미국 사회의 정치, 사회, 문화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의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비판과 논란도 존재하며, 특히 '대각성'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종교 - 에퍼슨 대 아칸소 사건
    에퍼슨 대 아칸소 사건은 1968년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아칸소 주의 진화론 교육 금지 법률이 수정헌법 제1조의 정교분리 원칙에 위배된다고 판결한 사건으로, 공립학교에서 진화론 교육을 금지하는 것이 위헌임을 확인하고 과학 교육과 종교적 신념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미국의 종교 - 다윗교
    다윗교는 1929년 빅터 호테프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에서 분리되어 시작된 종교 분파로, 텍사스 웨이코에 본부를 두고 다윗 왕국 부활을 주장하며 교세를 확장했으나, 지도자 교체, 종말론 예언 불발, 데이비드 코레쉬의 등장으로 혼란을 겪었고, 1993년 마운트 카멜 센터 급습과 포위 공격으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후 여러 파생 그룹이 생겨났다.
  • 개신교의 역사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막스 베버의 저서인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은 칼뱅주의를 포함한 프로테스탄티즘 윤리가 근면, 절약, 합리성 등의 가치를 통해 자본주의 정신에 영향을 주어 경제 활동의 윤리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지만, 방법론적 한계와 근거 부족으로 비판받으며 자본주의 발전의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개신교의 역사 - 위그노 전쟁
    위그노 전쟁은 16세기 프랑스에서 개신교(위그노)와 가톨릭 간의 종교적 갈등으로 발발하여, 앙리 4세의 낭트 칙령으로 종결되었지만, 칙령 폐지 후 많은 위그노가 해외로 이주하게 된 사건이다.
  • 미국의 기독교사 - 솔로몬 스토다드
    솔로몬 스토다드는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역사상 최초의 미국 사서로 임명되었으며, 뉴잉글랜드에서 영향력 있는 종교 지도자로서 하프웨이 언약을 제창하고 저술 활동을 했다.
  • 미국의 기독교사 - 조너선 에드워즈 (신학자)
    조너선 에드워즈는 18세기 미국의 회중교회 목사이자 신학자로, 대각성운동을 주도하며 칼뱅주의 신학을 발전시키고 미국 종교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노예제 옹호와 노예 소유 사실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대각성 (운동)
개요
"1740년경의 설교, 그림: 존 콜린."
유형종교 부흥 운동
시기약 1730년 – 1755년 (제1차); 약 1790년 – 1840년 (제2차); 약 1855년 – 1930년 (제3차); 약 1960년 – 1980년 (제4차)
관련 인물조지 휫필드
조나단 에드워즈
길버트 테넌트
주요 특징
강조점개인적인 종교적 경험
죄의 자각과 회개
성경의 중요성
선교 활동
영향
사회적 영향새로운 교파의 형성
선교 활동의 증가
노예 제도 반대 운동
교육 개혁
종교적 영향복음주의의 확산
개인주의적 신앙 강조
종교적 열정 고취
역사적 맥락
배경계몽주의의 확산
기존 교회의 형식주의
사회적 불안
결과미국 독립 혁명에 영향
사회 개혁 운동의 촉진
용어
다른 이름대부흥

2. 제1차 대각성 운동 (1730년대 - 1740년대)

제1차 대각성 운동은 1730년대부터 1740년대까지 미국에서 일어난 종교 부흥 운동이다. 조지 휫필드는 감리교 운동의 영향을 받아 미국을 방문하여 여러 지역을 순회하며 설교했고, 조나단 에드워즈는 회중교회 목사이자 학자로서 믿음을 통한 구원을 강조했다.[16] 휫필드는 당시 교회 건물들이 많은 군중을 수용할 수 없어 주로 들판에서 설교했다.

이러한 부흥 운동에 찰스 촌시 목사와 같이 반대하는 이들도 있었다. 그는 에드워즈의 가르침과 감정적인 종교 체험을 불신했다.

1700년대 후반에는 헨리 알린의 뉴 라이트 운동을 통해 노바스코샤, 뉴브런즈윅,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등 영국 식민지에도 부흥 운동이 전파되었다.

2. 1. 주요 인물

조지 휫필드


조지 휫필드성공회 사제이자 감리교의 기틀을 세운 존 웨슬리의 영향을 받아 감리교 운동을 이끈 영국 출신의 순회 설교자였다. 1739~40년 미국을 방문하여 여러 식민주를 돌아다니며 교파를 초월하여 설교를 했다. 당시 많은 군중을 수용할 만한 교회 건물이 없었기 때문에 들판에서 설교를 하여 미국 전역에 신앙의 활기를 새롭게 불어넣었다.[16] 많은 사람들을 개종시켰지만, 다른 사람의 신앙 체험을 비판하고 지나친 감정과 위험한 종교적 망상을 자극하며, 교회 성직자들의 허락 없이 기존의 교구에 함부로 들어와 설교한다는 이유로 다른 부흥사들과 마찬가지로 비판을 받았다.[16]

조나단 에드워즈 목사


조나단 에드워즈는 위대한 학자이자 변증가이며 회중교회 목사였다. 에드워즈 목사는 오직 믿음으로만 의로움을 얻는다고 설교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신앙 체험의 심리적인 면을 재규명하고, 부흥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이 성령의 참된 사역과 거짓 사역을 구분할 수 있도록 도왔다.

회중교회 찰스 촌시 목사는 에드워즈 목사의 가르침 및 대각성 운동을 강력하게 반대하고 주정주의를 불신하여 이에 반대하는 글을 쓰고 설교했다.

2. 2. 특징

대각성 운동 시기에는 교파 간의 분쟁과 경쟁 속에서도, 전반적인 그리스도 교회적 연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목사들의 설교 방식도 변화하기 시작했다. 부흥 설교자들은 죄인에 대한 '율법의 경고', 하나님의 값없이 베푸시는 은혜,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거듭남'을 강조했다.[16]

식민지 후반기 대부분의 목사들은 신학적으로 정교하고 진보적인 신학 논법이나 해석을 바탕으로 설교했다. 회중교회의 조너선 에드워즈 목사와 감리교회조지 휫필드 목사와 같은 지도자들은 단순히 교구민을 채우는 것보다 청중들의 감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데 힘썼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성직자들이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설교를 더 이상 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사실과 달랐다. 예를 들어, 에드워즈 목사는 정열적이고 지적으로 논리적이며 체계적인 정밀함을 유지하며 설교했다.[17] 전기 작가이자 역사가인 조지 마즈든은 에드워즈 목사 설교의 힘을 그의 한결같은 주제와 함께 "솔직한 감정과 마음속의 진심, 굽히지 않는 논리"가 "점증적 효과"를 만들어낸 것이라고 평가했다.[17]

헨리 메이는 그의 저서 '미국의 계몽주의'에서 대각성 운동이 갖는 세 가지 큰 변화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18]

1. 칼뱅주의 교리 중심에서 체험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면서, 중생의 체험을 강조했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외우고 공부하는 것보다 감정 위주의 체험 신앙이 등장했다.

2. 에드워즈의 후천년설이 등장하면서, 이 신세계에서의 새로운 역할이 강조되었다. 즉, 재림을 기다리는 신앙보다 이 땅에서의 삶을 더 강조하는 설교가 나타났다.

3. 경건주의자와 이성주의자라는 양 극단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대각성 운동 기간 동안, 구파(Old Lights)와 신파(New Lights)(또는 자유주의파) 간의 대립, 이른바 성직자들 간의 전쟁이 발생했다. 구파는 전통 기독교의 부흥을 반대한 반면, 신파는 이 부흥을 신의 새로운 은총이 넘치는 증거로 보았다. 토마스 키드는 반부흥파, 온건 복음주의자, 급진 복음주의자의 세 파벌이 있다고 주장하며, 앞선 구분법에 미묘한 차이를 제시했다. 예를 들어, 제임스 다빈포트는 인간의 겉치레와 허영을 버리기 위해 공공 모닥불에 책과 호화품들을 태웠고,[19] 대각성 운동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반부흥주의자들을 위협하기 위해 자신의 바지마저 불에 던지기도 했다.[20]

2. 3. 영향

대각성 운동은 미국 사회의 종교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42년, 개신교 목사이자 역사가인 조셉 트레이시는 《대각성 운동》(The Great Awakening)을 저술하여 이러한 종교 현상에 '대각성 운동'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트레이시는 제1차 대각성 운동을 미국 독립 전쟁의 전조로 보았다. 미국 독립 혁명 시대에 1740년대의 복음주의 운동은 민주주의 사상을 전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21]

계몽주의 시대에 로마 작가들은 왕과 귀족, 서민 계급사회체제를 바탕으로 공화당의 이상을 가르쳤다. 세속적 계몽주의 작가들은 영국의 자유는 왕과 엘리트 집단, 서민에게 균형적인 권한을 부여하고 특권층에 복종함으로써 사회적 안정을 얻는 데 있다고 믿었다.[22] 그러나 18세기 중반의 청교도주의와 복음주의의 유행은 "모든 사람은 평등하고, 사람의 참된 가치는 계층이 아니라 도덕적 행위에 있으며, 모두 구원받을 수 있다"는 성경 내용을 가르침으로써 사회 계층이라는 전통적 개념에 도전을 불러일으켰다.[23]

노예 제도 폐지 운동 또한 제2차 대각성 운동의 일부분으로 노예 제도의 위기에 기여하여 남북 전쟁으로까지 이어졌다. 제3차 대각성 운동은 대공황제2차 세계 대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고, 뉴딜 정책도 같은 시기에 일어났다.

부흥운동으로 인해 프린스턴·다트머스·브라운·러트거즈 대학 등 여러 교육기관이 발전하였고, 제2차 대각성 운동을 통해 선교협회들이 조직되었다. 이 기간 동안 켄터키 주에서도 야영집회 방식의 부흥운동이 발전했으며, 19세기 내내 미국 개척지에 영향을 주었다.[16]

1700년대 후반에는 헨리 알린과 그의 뉴 라이트 운동의 노력으로 부흥이 노바스코샤, 뉴브런즈윅,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의 영국 식민지에 도달했다.

3. 제2차 대각성 운동 (18세기 후반 - 19세기 중반)

프랑스 혁명에 대한 미국인들의 반응은 종교적인 면모를 보였다. 찰스 G. 피니데이비드 흄, 볼테르의 영향력이 미국에 확산되는 것을 우려하여, 이신론 사상이 미국에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하며 두 번째 부흥 운동을 이끌었다. 이 운동은 이성보다는 성령 체험을 통한 회심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3. 1. 주요 인물

찰스 G. 피니


찰스 G. 피니데이비드 흄, 볼테르의 영향력이 미국에 미치는 것을 두려워하여 두 번째 부흥 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이성에 치우치기보다는 성령 체험을 통한 회심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의 주요 창립자인 리처드 앨런 목사는 필라델피아의 백인 중심 교회에서 발생한 인종 차별 사건을 언급했다. 당시 델라웨어 출신의 동료 설교자이자 전 노예였던 압살롬 존스가 기도 중에 백인 교회 이사에게 붙잡혀 강제로 나가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6]

3. 2. 특징

제2차 대각성은 18세기 후반에 시작하여 19세기 중반까지 지속된 미국의 종교 부흥 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특히 북동부와 중서부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뉴잉글랜드의 교육받은 엘리트들뿐만 아니라 덜 부유하고 덜 교육받은 사람들에게까지 확산되었다. 부흥 운동의 중심지는 뉴욕 서부의 불탄 지역이었는데, 이곳에서는 수십 개의 새로운 교파, 공동체 사회, 개혁이 생겨났다.[5]

이 시기에는 기존의 백인 중심 교회와는 별도로 운영되는 흑인 자유 교회가 등장했다. 1840년대에서 1850년대에는 흑인들의 백인 교회 참여가 거의 없어졌는데, 이는 교회 내 인종 차별 때문이었다.[5]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의 주요 창립자인 리처드 앨런 목사는 필라델피아의 백인 중심 교회에서 인종 차별 사건을 경험했다고 언급했다.[6]

제2차 대각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개혁 운동으로는 금주 운동, 노예제 폐지 운동, 여성 권리 운동 등이 있었다. 금주 운동은 가정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술을 마시지 않도록 권장했고, 노예제 폐지 운동은 미국에서 노예 제도를 폐지하기 위해 싸웠다. 여성 권리 운동은 여성 노예 폐지론자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권리를 위해 싸우면서 성장했다. 이 외에도 담배 사용 제한, 식단 및 의상 개혁 등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측면에 개혁이 영향을 미쳤다. 노예 폐지 운동은 1800년부터 1840년까지 제2차 대각성의 영향으로 북부에서 시작되었다.

3. 3. 영향

대각성 운동은 미국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종교가 정치적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이 운동은 미국의 정치와 사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개신교 목사이자 역사가인 조셉 트레이시는 1842년 《대각성 운동》(The Great Awakening)이라는 책을 통해 이러한 종교 현상을 설명하고, 제1차 대각성 운동을 미국 독립 전쟁의 전조로 보았다. 그는 미국 독립 혁명 시대에 1740년대의 복음주의 운동이 민주주의 사상을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21]

계몽주의 시대에 로마 작가들은 왕, 귀족, 서민으로 구성된 계급 사회 체제를 바탕으로 공화당의 이상을 가르쳤다. 세속적 계몽주의 작가들은 영국의 자유가 왕과 엘리트 집단, 그리고 서민에게 균형적인 권한을 부여하고 특권층에 복종함으로써 사회적 안정을 얻는 데 있다고 믿었다.[22] 그러나 18세기 중반의 청교도주의와 복음주의의 유행은 "모든 사람은 평등하며, 사람의 참된 가치는 계층이 아닌 도덕적 행위에 있고, 모두가 구원받을 수 있다"는 성경의 가르침을 통해 사회 계층이라는 전통적 개념에 도전했다.[23]

제2차 대각성 운동의 영향으로 노예 제도 폐지 운동이 일어나 남북 전쟁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제3차 대각성 운동은 대공황과 세계 2차 대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뉴딜 정책도 같은 시기에 나타났다.

또한, 부흥 운동은 프린스턴, 다트머스, 브라운, 러트거즈 대학을 포함한 여러 교육 기관의 발전을 이끌었고, 제2차 대각성 운동을 통해 선교 협회들이 조직되었다. 이 기간 동안 켄터키 주에서는 야영 집회 방식의 부흥 운동이 발전하여 19세기 내내 미국 개척지에 영향을 주었다.[16] 18세기 후반에 부흥 운동은 사그라들었지만, 뉴잉글랜드신학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15]

"각성"이라는 개념은 세속적이거나 덜 종교적인 시대의 무활동이나 수동성을 내포하며, 복음주의 그리스도인들이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고 주로 사용한다.[24] 최근에는 이 용어가 미국 보수 복음주의자들에 의해 사용된다.[25]

제2차 대각성은 18세기 후반에 시작하여 19세기 중반까지 지속된 미국의 종교 부흥 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미국 전역에서 일어났지만, 특히 북동부와 중서부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이 각성은 뉴잉글랜드의 교육받은 엘리트뿐만 아니라 덜 부유하고 덜 교육받은 사람들에게까지 확산되었다는 점에서 독특했다. 부흥 운동의 중심지는 뉴욕 서부의 불탄 지역이었는데, 이곳은 지옥불과 정죄 설교가 지나치게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었다. 이 지역에서는 수십 개의 새로운 교파, 공동체 사회, 개혁이 생겨났다.

이 새로운 교파들 중에는 기존의 백인 중심 교회와는 별도로 운영되는 흑인 자유 교회가 있었다. 미국 혁명과 1850년대 사이에 흑인들의 백인 교회 참여는 대폭 감소하여 1840년대에서 1850년대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교회 내의 인종 차별 때문이라고 주장한다.[5] 이러한 차별은 좌석 분리, 그리고 많은 백인 교회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교회 문제 투표 금지 또는 지도자 직책 금지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5]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의 주요 창립자인 리처드 앨런 목사는 필라델피아의 백인 중심 교회에서 일어난 인종 차별 사건을 언급했는데, 당시 델라웨어 출신의 동료 설교자이자 전 노예였던 압살롬 존스가 기도 중에 백인 교회 이사에게 붙잡혀 강제로 나가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6]

제2차 대각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다른 개혁 운동으로는 금주 운동, 노예제 폐지 운동, 여성 권리 운동 등이 있었다. 금주 운동은 가정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사람들이 술을 마시지 않도록 권장했다. 노예제 폐지 운동은 미국에서 노예 제도를 폐지하기 위해 싸웠다. 여성 권리 운동은 여성 노예 폐지론자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권리를 위해서도 싸울 수 있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성장했다. 이러한 운동 외에도, 개혁은 담배 사용 제한, 식단 및 의상 개혁 등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 노예 폐지 운동은 1800년부터 1840년까지 제2차 대각성에서 북부에서 시작되었다.

4. 제3차 대각성 운동 (1850년대 - 1900년대)

제3차 대각성은 1850년대에서 1900년대에 걸쳐 미국에서 일어난 세 번째 부흥 운동이다. 새로운 교파, 활발한 선교 활동, 채토쿼 운동, 사회 복음 접근 방식이 이 시기 나타났다.[1] YMCA(1844년 설립)는 도시 부흥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드와이트 L. 무디 등 여러 인물들이 부흥 운동을 이끌었다. 이들은 남북 전쟁 중 군대 내 종교 활동에도 영향을 주었다.[1]

4. 1. 특징

제3차 대각성은 1850년대에서 1900년대에 걸쳐 나타났으며, 새로운 교파, 활발한 선교 활동, 채토쿼, 사회 문제에 대한 사회 복음 접근 방식으로 특징지어졌다.[1] 1844년 설립된 YMCA는 1858년 각성 운동과 그 이후 도시에서 부흥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858년의 부흥은 드와이트 L. 무디와 같은 지도자들을 배출하여 남북 전쟁 군대에서 종교적인 활동을 수행했다.[1] 기독교 위원회, 위생 위원회, 그리고 수많은 흑인 지원 협회 또한 전쟁 중에 결성되었다.[1]

4. 2. 영향

1850년대에서 1900년대에 걸친 제3차 대각성은 새로운 교파, 활발한 선교 활동, 채토쿼, 그리고 사회 문제에 대한 사회 복음 접근 방식으로 특징지어졌다.[1] 1858년 각성 운동과 그 이후 도시에서 부흥을 촉진하는 데 YMCA(1844년 설립)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58년의 부흥은 드와이트 L. 무디와 같은 지도자들을 배출하여 남북 전쟁 군대에서 종교적인 활동을 수행했다.[1] 기독교 위원회, 위생 위원회, 그리고 수많은 흑인 지원 협회 또한 전쟁 중에 결성되었다.[1]

5. 제4차 대각성 운동 (1960년대 - 1970년대)

제4차 대각성 운동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 미국에서 일어났다고 주장되는 부흥 운동이다. 하지만 이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이전 세 번의 대각성 운동만큼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1] 로버트 포겔은 이 시기에 대각성 운동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대표적인 인물이다.[1]

5. 1. 특징

로버트 포겔과 같은 학자들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에 일어난 제4차 대각성 운동을 지지하며, 예수 운동을 그 증거로 제시한다. 이 시기 교회 음악 스타일에도 변화가 나타났다.[1]

주류 개신교 교파는 교인 수와 영향력이 감소한 반면, 남침례교와 같은 보수적인 복음주의 교파는 빠르게 성장하여 미국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이들은 내부적인 신학적 논쟁과 분열을 겪으면서도 정치적으로 강력한 힘을 갖게 되었다.[2]

5. 2. 영향

로버트 포겔과 같은 경제학자들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에 일어난 제4차 대각성 운동이 미국 사회의 보수화 경향에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한다.[1] 예수 운동은 이러한 각성의 증거로 인용되며, 교회 음악 스타일의 변화를 가져왔다.

주류 개신교 교파는 교인 수와 영향력이 모두 급격히 감소한 반면, 남침례교와 같이 가장 보수적인 종교 교파는 빠르게 성장했고, 미국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심각한 내부 신학적 논쟁과 분열을 겪었고, 정치적으로 강력해졌다.[2]

6. 대각성 운동과 한국

한국 개신교 역사에서 대각성 운동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참조

[1] 웹사이트 George Whitefield http://greatawakenin[...] 2017-11-16
[2] 웹사이트 Gilbert Tennent http://greatawakenin[...] 2017-11-16
[3] 웹사이트 New Light Schism http://www.mb-soft.c[...] 2017-11-16
[4] 서적 The Evangelical Revival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08-31
[5] 학술지 Documents relating to African American experiences of white congregational churches in Massachusetts, 1773–1832
[6] 웹사이트 Image 6 of The Episcopal Church and the colored people: a statement of facts https://www.loc.gov/[...] 2018-12-17
[7] 뉴스 Bush Tells Group He Sees a 'Third Awakening' https://www.washingt[...] 2006-09-13
[8] 학술지 Prosperity Theology Goes Online: Will This Be a Fifth Great Awakening? 2022-07
[9] 학술지 Great Awakening 2020: The Neoliberal Wellness Journey Down the Rabbit Hole https://scholarworks[...] 2021-08-01
[10] 학술지 Where We Go 1 We Go All: A Public Discourse Analysis of QAnon https://commons.emic[...] 2020
[11] 학술지 How conspiracy theorists argue: epistemic capital in the QAnon social media sphere https://oro.open.ac.[...] 2022-07-03
[12] 웹사이트 Where 'woke' came from and why marketers should think twice before jumping on the social activism bandwagon http://theconversati[...] 2019-09-08
[13] 서적 The Great Awokening Bombardier Books 2024-05-13
[14] 뉴스 Eric Kaufmann: 'Left-liberal extremism' has turned Canada into an international anomaly https://thehub.ca/20[...] 2024-05-22
[15] 웹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6] 웹사이트 Encyclopaedia Britannica: 대각성운동 http://members.brita[...]
[17] 서적 Jonathan Edwards: A Life Yale University Press 2003
[18] 서적 The Enlightenment in America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19] 서적 The Great Awakening: A Brief History with Documents Bedford/St. Martin's 2008
[20] 서적 The Great Awakening: A Brief History with Documents Bedford/St. Martin's 2008
[21] 서적 The Ideological Origins of the American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22] 서적 The Ideological Origins of the American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23] 서적 The Ideological Origins of the American Revolution 1992
[24] 서적 Inventing the Great Awaken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9
[25] 뉴스 Bush Tells Group He Sees a 'Third Awakening' Washington Post 2006-09-12
[26] 서적 The selected writings of John Witherspoon https://www.worldc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