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침례교는 신약성서의 침례자 요한과 예수에게서 기원을 찾기도 하는 기독교의 한 교파이다. 17세기 영국 분리주의 운동에서 기원하며, 신앙고백 후의 침례와 믿음의 자유를 강조한다. 침례교는 성경을 신앙의 유일한 근거로 삼는 성서주의에 기반하며, 신앙자의 침례(전침례)를 중요하게 여긴다. 주요 교리로는 만인제사장설, 성례전(침례와 주의 만찬) 등이 있으며, 각 교회의 자치권을 존중하는 회중주의를 따른다. 침례교는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주장해 왔으며, 목사와 집사를 주요 직분으로 한다. 역사적으로 노예제도, 현대주의, 사회 정의 문제 등에 대한 논쟁을 겪어 왔으며, 현재 다양한 교단과 협회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침례교 - 아서 태펀 피어슨
아서 태펀 피어슨은 19세기 복음주의 선교 운동의 이론가이자 목사로, 《세계선교논평》 편집장, 학생자원운동 창시자이며 《선교의 위기》 저술가로서 "이 세대 안에 세계 복음화"를 통해 선교 운동을 고취하고, 한국 선교에도 기여했으며, 피어선성경기념학원을 설립하여 한국 기독교 교육에 영향을 미쳤다. - 침례교 - 새들백 교회
릭 워렌 목사 부부가 1980년에 설립한 새들백 교회는 캘리포니아에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형 교회로 성장했지만, 여성 목사 안수 문제로 교단에서 제명되는 등 논란도 겪고 있다.
침례교 | |
---|---|
개요 | |
![]() | |
구분 | 개신교 교파 |
역사적 배경 | |
기원 | 기독교, 개신교, 청교도, 재침례교 |
교리 | |
주요 교리 | 침례교 신앙, 신앙 고백, 신자 교회, 만인 제사장직, 개인의 영혼의 자유, 정교 분리, 오직 성경, 회중주의, 규례, 직책, 종교의 자유 |
주요 인물 | |
관련 인물 목록 | 침례교도 목록 |
주요 인물 | 존 스미스, 토마스 헬위스, 토마스 그랜섬, 로저 윌리엄스, 존 클라크, 존 버니언, 슈발 스턴스, 앤드루 풀러, 찰스 스펄전, 제임스 로빈슨 그레이브스, 윌리엄 불린 존슨, 윌리엄 캐리, 루터 라이스, 존 길, 제임스 P. 보이ce |
관련 단체 | |
교단 목록 | 침례교 교단 목록 |
국제 기구 | 침례교 세계 연맹 |
일본 바プ테スト 교회 | |
주요 인물 | 존 스미스, J. 버니언, C.H. 스펄전, J. 고블, N. 브라운, C.A. 칸바스, 가와카츠 데쓰야, 지바 유고로 |
신학 | 제2차 런던, 개별 교회, 계승성, 침례, 침례, 재침례파 |
연합체 | 일본 바プ테スト 연맹, 오키나와 바プ테スト 연맹, 일본 바プ테スト 동맹, 일본기독교단 신생회, 일본 바プ테スト 기독교단, 보수 바プ테스트 동맹, 일본 바プ테스트 교회 연합, 일본 바プ테스트 선교단, 일본 바プ테스트・바이블・펠로우십, 일본 바プ테스트 연합, 복음 바プ테스트 선교단 |
주요 신학교 | 서남학원대학・신학부, 도쿄 바プ테スト 신학교, 일본 바プ테스트 신학교, 센다이 바プ테스트 신학교, 일본 바プ테스트 성서신학교, 일본 선교 바プ테스트 신학교, 간사이 단립 바プ테스트 신학교 |
2. 역사
1889년 캐나다 선교사 맬컴 펜윅이 함경남도 원산에 대한기독교회(1921년 '''동아기독교회'''로 교단명 변경)를 설립했다. 1949년 미국 남침례회와 제휴하면서 본격적인 교파로 발전하였고, 1954년 미국 선교사 아이잭 포스터에 의해 한국성서침례친교회가 선교활동을 시작하였다.
1959년 남침례회 선교사 중심의 교인들과 동아기독교회 출신 토착 교인들 간의 신학적 논쟁으로 대한기독교침례회연맹과 기독교대한침례회연맹으로 분열되기도 했으나, 1968년 두 파벌이 합동하여 현재의 기독교한국침례회가 되었다.
2. 1. 기원
침례교는 성경을 신앙과 실천의 유일한 원칙으로 삼고, (영아가 아닌) 신앙인의 침례와 믿음만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역교회(개별교회) 각각의 독립성을 원칙으로 한다는 점에서 장로교 및 감리교와 다르다. 각 개별교회는 규모나 조직체계와 상관없이 독립적이며, 다른 교회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교회 내부 문제도 외부 교회나 총회의 간섭 없이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그러나 독립적인 개교회들이 자발적으로 연합하여 협력사업을 한다는 점에서 '독립개교회주의'와는 다르다.1609년 암스테르담에서 영국인 분리주의자 존 스미스를 목사로 한 회중을 최초의 침례교회로 보기도 하지만, 미국 남침례교단의 공식 사학자는 이를 단정하지 않고 'path finder'로 지칭한다. 스미스는 신약성경에 근거한 회중을 세우기 위해 노력했지만, 영아 침례를 거부하고 신앙 고백이 있는 이들에게만 '뱁티즘'을 주었다. 그러나 뱁티즘 방식과 정당성에 대해 깊이 고민했고, 그의 회중은 그의 죽음으로 소멸되었다.
이후 잉글랜드의 자유교회운동은 청교도 신학의 칼빈주의를 기초로 하는 특수침례교인(Particular Baptists)들과, 알미니안주의적 성향을 보이기도 하는 일반침례교인(General Baptists)들로 나뉘었다. 특수침례교회와 일반침례교회는 교회론 차이로 교류가 없었고, 일반침례교회는 쇠락하여 특수침례교회에 흡수되었다. 따라서 영국 침례교는 칼빈주의를 기초로 하는 개혁파 성향이 강하다. 1639년 로저 윌리엄스는 미국에 최초의 침례교회를 설립했고, 미국의 자유정신은 침례교회의 성장 기반이 되었다. 18세기 중반 대각성 운동 이후 미국의 침례교회는 감리교회와 함께 성장했다.
2000년 기준 세계 침례교인 수는 약 1억 5천만 명이며, 미국 개신교에서 가장 큰 교파는 남침례회(Southern Baptist)이다.
침례자 요한과 그리스도를 침례교의 기원으로 보기도 한다. 이 견해에 따르면 침례교는 종교개혁 이전부터 존재하며, 기독교인들이 회중으로 모여 현재의 침례교 방식과 전통을 이어왔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일부 근본주의적인 침례교인들을 제외한 대다수는 이 주장을 근거 없다고 생각하며, 현대에는 이러한 주장을 하는 침례교 신학자들이 거의 없다.
재침례파는 1500년대의 종파로서 유아 세례를 인정하지 않고 성인에게 “다시 침례”를 준 집단이다. 이들은 신앙고백 이후의 침례와 믿음의 자유 등 침례교와 공통점이 많으며, 침례교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일부 청교도들이 이들의 영향을 받아 1620년 영국 런던에 침례교회를 세웠다고 보기도 한다. 청교도들은 성공회의 주교제와 예복 사용에 반대하고, 민주적인 교회정치제도인 장로제를 요구하며 17세기 분리된 칼뱅주의자들이다.
침례교 역사가 브루스 구어리(Bruce Gourley)는 침례교 기원에 대한 네 가지 주요 견해를 제시했다.
# 17세기 영국 분리주의자들을 통한 기원 (현대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
# 1525년 유럽 대륙에서 시작된 신자의 침례 재침례파 운동의 결과라는 견해
# 그리스도 시대 이후로 침례교 신앙과 실천이 존재해 왔다는 침례교 연속성(영속성) 견해
# 그리스도 시대 이후로 침례교회들이 실제로 끊임없이 존재해 왔다는 연속주의적 견해[4]

현대 침례교회는 17세기 영국 분리주의 운동에서 기원하며, 이는 종교 개혁 기간 중 설립된 잉글랜드 교회보다 1세기 이상 후의 일이다. 이 견해는 가장 많은 역사적 지지를 받고 널리 받아들여진다.[6] 이들은 초기 침례교에 대한 재침례파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간주한다.[1] 당시 개인과 교회는 성경적 "진리"가 발견되면 자신의 신학적 뿌리를 버릴 의향이 있었다.[7]
종교 개혁 기간 동안 잉글랜드 교회(앵글리칸교)는 로마 가톨릭교회로부터 분리되었다. 그러나 주류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에 만족하지 못하는 기독교인들이 있었고,[33][8] 잉글랜드 교회가 오류와 남용을 시정하지 않은 것에 실망한 이들도 있었다. 이들 중 일부는 앵글리칸 교회 내에서 변화를 시도하는 "청교도"가 되었고, 다른 이들은 교회를 떠나 분리주의자가 되었다.[4]
1579년, 파우스투스 소키누스는 폴란드-리투아니아에서 유니테리언 폴란드 형제단을 설립했다. 유니테리언들은 침수 세례를 가르쳤고, 1658년 연방에서 추방된 후 많은 이들이 네덜란드로 도망쳐 네덜란드 멘노파에 침수 세례를 소개했다.[9]
침례교회는 존 스미스와 토마스 헬위스(Thomas Helwys)가 암스테르담에서 시작한 운동에서 기원한다.[10][11][12] 그들은 청교도 및 회중 교회파와 신앙을 공유하며 성경이 유일한 지침이며 신자의 세례가 성경이 요구하는 것이라고 믿었다.[14] 1609년, 그들은 신자들을 세례하고 최초의 침례교회를 설립했다.[15][16]
1609년, 스미스는 "짐승의 특징"이라는 소책자에서 유아는 세례를 받아서는 안 되며, 개종한 반기독교인들은 세례를 통해 참된 교회에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주장했다.[1] 그는 분리주의 운동의 유아 세례 교리를 거부했다.[17][18]
얼마 후 스미스는 그룹을 떠났고,[4] 신자 세례만이 유일한 성경적 세례라고 확신했다. 그는 유아가 유아기에 죽더라도 저주받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다. 스미스는 자신의 자가 세례가 무효라고 확신하여 멘노파에 회원 자격을 신청했고, 기다리는 동안 사망했다. 헬위스와 다른 사람들은 자신의 세례와 침례교 신앙을 지켰다. 현대 침례교파는 스미스의 운동에서 파생되었다.[8] 침례교인들은 재침례파라는 이름을 거부했다. 맥베스(McBeth)는 18세기 후반까지도 많은 침례교인들이 자신을 "일반적으로—비록 ''잘못''이지만—재침례파라고 불리는 기독교인들"이라고 불렀다고 썼다.[19]
헬위스는 지도자가 되어 1611년 교회를 영국으로 데려왔고, 최초의 침례교 신앙 고백인 "영국인들의 신앙 선언"을 발표했다.[20] 그는 1612년 런던 동부 스피털필즈(Spitalfields)에 최초의 일반 침례교 교회를 설립했다.[21]
1638년 존 스필스베리는 침수 세례를 엄격하게 실천하는 것을 장려했다.[6] 톰 네틀스(Tom Nettles)에 따르면, "침수 세례를 받은 신자들의 모인 규율 있는 회중이 신약 교회를 구성한다는 스필스베리의 설득력 있는 주장은 분리주의 내에서 나타난 통찰력을 표현하고, 존 스미스의 삶과 토마스 헬위스의 고난받는 회중에서 발전하고, 특수 침례교에서 성숙한 통찰력을 기반으로 했다."[6]
17세기 초 침례교도들이 유럽 대륙 재세례파의 영향을 받았다는 소수 견해도 있다.[22] 이 견해에 따르면, 일반 침례교도들은 네덜란드 워터랜더 멘노나이트와 신자의 세례, 종교 자유, 교회와 국가의 분리, 아르미니우스적 구원관 등에서 공통점을 공유했다.
스미스가 이끌었던 초기 침례교회가 재세례파와 접촉했던 것은 확실하지만, 이러한 영향이 영국의 일반 침례교도들에게까지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23] 이 이론을 대표하는 학자로는 A.C. 언더우드와 윌리엄 R. 에스텝이 있다. 구얼리는 영혼의 자유보다 공동체의 신앙을 강조하는 일부 현대 침례교 학자들 사이에서 재세례파 영향 이론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고 썼다.[4] 이 견해는 개혁주의 역사가 필립 샤프도 가르쳤다.[24]
그러나 침례교도와 재세례파 사이의 관계는 초기에 긴장되었다. 1624년 런던의 기존 5개 침례교회는 재세례파를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25] 스미스와 관련된 원래 그룹은 네덜란드에서 짧은 기간의 교류 후 워터랜더 멘노나이트 재세례파와 결별했다.[26]
전통적인 침례교 역사가들은 침례교가 그리스도 시대부터 존재해왔다는 관점에서 글을 쓴다. 침례교 계승설 또는 영속성 관점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침례교 운동이 로마 가톨릭교회와는 독립적으로, 그리고 종교 개혁 이전부터 존재해왔다고 생각한다.[27]
영속성 관점은 종종 제임스 밀턴 캐롤(James Milton Carroll)이 1931년에 발표한 ''피의 자취(The Trail of Blood)''와 관련이 있다.[33] 침례교 기원에 대한 계승 이론을 옹호하는 다른 침례교 저술가로는 존 T. 크리스천(John T. Christian)과 토마스 크로스비(Thomas Crosby)가 있다.[27] 이 관점은 영국의 침례교 설교가 찰스 스펄전(Charles Spurgeon)[28]과 제시 머서(Jesse Mercer)[29]도 지지했다. 1898년 윌리엄 휘츠싯(William Whitsitt)은 침례교 계승설을 부인한 이유로 남침례신학교(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총장직에서 사퇴 압력을 받았다.[30]
2. 2. 영국에서의 발전
현대 침례교회는 17세기 영국 분리주의 운동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종교 개혁 기간 중 설립된 잉글랜드 교회보다 1세기 이상 후의 일이다. 이러한 침례교 기원에 대한 견해는 역사적으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으며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6] 이들은 초기 침례교에 대한 재침례파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간주한다.[1] 당시 영국은 정치적, 종교적으로 상당한 혼란을 겪고 있었으며, 개인과 교회는 성경적인 "진리"가 발견되었다고 확신하면 기존의 신학적 뿌리를 버릴 의향이 있었다.[7]
종교 개혁 기간 동안 잉글랜드 교회 (앵글리칸교)는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 분리되었다. 그러나 주류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에 만족하지 못하는 기독교인들도 있었다.[33][8] 잉글랜드 교회가 일부 사람들이 오류와 남용으로 간주하는 것들을 시정하지 않은 것에 실망한 기독교인들도 있었다. 이들 중 일부는 앵글리칸 교회 내에서 변화를 시도하는 청교도로 남았고, 다른 일부는 교회를 떠나 분리주의자가 되었다.[4]
1579년, 파우스투스 소키누스는 폴란드-리투아니아에서 유니테리언 폴란드 형제단을 설립했다. 유니테리언들은 침수 세례를 가르쳤으며, 1658년 추방된 후 많은 이들이 네덜란드로 도망쳐 네덜란드 멘노파에 침수 세례를 소개했다.[9]
침례교회는 존 스미스와 토마스 헬위스(Thomas Helwys)가 암스테르담에서 시작한 운동에서 기원한다.[10][11][12] 이들은 청교도, 회중 교회파와 신앙을 공유하여 1607년 망명 생활을 시작했고, 성경이 유일한 지침이며 신자의 세례가 성경이 요구하는 것이라고 믿었다.[13][14] 1609년, 이들은 신자들을 세례하고 최초의 침례교회를 설립했다.[15][16]
1609년, 스미스는 "짐승의 특징" 또는 "교회의 잘못된 구성"이라는 소책자에서 유아는 세례를 받아서는 안 되며, "개종한 반기독교인들은 세례를 통해 참된 교회에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두 가지 명제를 제시했다.[1] 그는 성경적인 교회는 신앙의 개인적인 고백 후에 세례를 받은 중생한 신자들로만 구성되어야 한다고 확신하여 분리주의 운동의 유아 세례 교리를 거부했다.[17][18]
스미스는 그룹을 떠나 멘노파에 회원 자격을 신청했지만, 기다리는 동안 사망했고, 그의 추종자들 중 일부는 멘노파가 되었다. 헬위스와 다른 사람들은 자신의 세례와 침례교 신앙을 지켰다.[19] 침례교인들은 반대자들이 조롱하는 의미로 그들을 그렇게 부르자 재침례파라는 이름을 거부했다.
헬위스는 지도자가 되어 1611년 교회를 영국으로 다시 데려왔고, 최초의 침례교 신앙 고백인 "영국인들의 신앙 선언"을 발표했다.[20] 1612년, 그는 런던 동부 스피털필즈(Spitalfields)에 최초의 일반 침례교 교회를 설립했다.[21]
1638년, 존 스필스베리(John Spilsbury)는 칼뱅주의 목사로서 침수 세례(물 붓기 또는 물 뿌리기와는 대조적으로)를 엄격하게 실천하는 것을 장려했다.[6] 그의 주장은 분리주의 내에서 나타난 통찰력을 표현하고, 존 스미스의 삶과 토마스 헬위스의 회중에서 발전하고, 특수 침례교에서 성숙한 통찰력을 기반으로 했다.[6]

1612년 헬위스는 스미스의 교회 신자들로 구성된 런던에 침례교회를 설립했다. 다른 여러 침례교회들이 생겨났고, 이들은 일반 침례교로 알려지게 되었다. 특수 침례교는 칼뱅주의 분리주의자 그룹이 신자의 세례를 채택하면서 설립되었다. 특수 침례교는 1644년까지 7개의 교회로 구성되었고, 런던 신앙 고백서라는 신앙 고백서를 만들었다.[31]
2. 3. 북미에서의 발전
1612년 헬위스(Helwys)는 스미스(Smyth)의 교회 신자들로 구성된 런던에 침례교를 설립했다. 다른 여러 침례교회들이 생겨났고, 이들은 일반 침례교(General Baptists)로 알려지게 되었다. 특수 침례교(Particular Baptists)는 칼뱅주의 분리주의자 그룹이 신자의 세례(believers' Baptism)를 채택하면서 설립되었다.[31] 특수 침례교는 1644년까지 7개의 교회로 구성되었고, 제1차 런던 신앙 고백서(First London Confession of Faith)라는 신앙 고백서를 만들었다.[31]2. 4. 우크라이나에서의 발전
우크라이나의 침례교는 16세기부터 우크라이나 남부에 거주하며 성인 신앙자 침례를 실천해 온 독일계 재세례파와 메노나이트 공동체에 앞서 존재했다.[40] 우크라이나에서 최초의 침례(전신 침수에 의한 성인 침례)는 1864년 엘리자베트그라드 지역(현재 크로피브니츠키 지역)의 인훌 강에서 독일인 정착촌에서 이루어졌다. 1867년, 그 지역에 최초의 침례교 공동체가 조직되었다. 이후 침례교 운동은 우크라이나 남부로 퍼져나갔고,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되었다.최초의 침례교 공동체 중 하나는 1907년 키이우에 등록되었고, 1908년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제국의 통치를 받던 시기에 제1차 전러시아 침례교 대회가 그곳에서 열렸다. 전러시아 침례교 연합은 우크라이나 남부의 예카테리노슬라프(현재 드니프로)에 설립되었다. 19세기 말 우크라이나에는 10만 명에서 30만 명 사이의 침례교인이 있었다.[41] 20세기 초 우크라이나의 짧은 독립 기간 동안, 그리고 소련 붕괴 후 다시 독립적인 전우크라이나 침례교 연합이 설립되었으며, 그중 가장 큰 연합은 현재 우크라이나 복음 침례교 연합으로 알려져 있다.
2. 5. 한국으로의 전래
대한민국의 침례교회는 1889년 캐나다 선교사 맬컴 펜윅에 의해 함경남도 원산에 설립된 대한기독교회(1921년 '''동아기독교회'''로 교단명 변경)를 모태로 1949년 미국 남침례회와 제휴하면서 본격적인 교파로 발전하였다. 1954년 미국 선교사 아이잭 포스터에 의해 한국성서침례친교회가 선교활동을 시작하였다.1959년 남침례회 선교사를 중심으로 한 교인들과 동아기독교회 출신 토착 교인들 간의 신학적 논쟁으로 인해 대한기독교침례회연맹과 기독교대한침례회연맹으로 분열되기도 했으나, 1968년 두 파벌이 합동하였다. 현재의 명칭은 기독교한국침례회다.
3. 교리
침례교는 성경을 신앙과 실천의 유일한 원칙으로 삼고 있으며, 지역교회(개별교회) 각각의 독립성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에서 장로회 및 감리교와 다르다. 각 개별교회는 규모나 조직체계와 상관없이 독립적이며, 다른 교회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각 교회에서 발생한 문제는 외부의 다른 교회나 총회에서 간섭할 수 없다. 그러나 독립된 개교회들이 자발적으로 연합하여 협력한다는 점에서 '독립개교회주의'와는 구별된다.
1609년 암스테르담에서 영국인 분리주의자 존 스미스를 목사로 한 회중을 최초의 침례교회로 보기도 하지만, 미국 남침례교단의 공식 사학자는 신약성경에 근거한 회중을 세우기 위한 시험을 한 공로가 있다고만 언급한다. 1639년 로저 윌리엄스는 미국에 최초로 침례교회를 설립하였고, 미국의 자유정신은 침례교회가 성장하는 기초가 되었다.
2000년 기준으로 세계 침례교인 수는 약 1억 5천만 명이며, 특히 미국의 개신교에서 교세가 가장 큰 교파는 남침례회(Southern Baptist)이다.
침례교는 전통적으로 일반 침례교는 아르미니우스주의 신학을, 특수 침례교는 칼뱅주의 신학을 옹호한다.[3] 성결 운동 기간 동안, 일부 일반 침례교인들은 두 번째 은혜의 역사에 대한 가르침을 받아들여 이 신념을 강조하는 교파를 형성하기도 했다.[67]
대부분의 침례교인들은 교리적으로 복음주의적이지만, 개별 지역 침례교회에 자치권을 부여하는 회중 통치 시스템 때문에 그들의 신념은 다를 수 있다.[68] 역사적으로 침례교인들은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를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69]
대부분의 침례교인들은 어떤 교회나 교회 조직도 침례교회에 고유한 권위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정치 체제 하에서 교회들은 자발적인 협력을 통해서만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정부의 통제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70]
계층적 권위가 없고 각 침례교회는 자치적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침례교 신학적 신앙 체계는 없다.[73] 침례교도들 사이에 광범위한 차이가 있는 교리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종말론
- 분리의 교리 및 "세상의" 사람들과 교제할 것인지 여부
- 방언과 오순절 교회에서 다른 카리스마적 은사의 역사[74]
- 성경을 해석해야 하는 방법(성경해석학)
- 선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선교부를 사용해야 하는 정도
- 비회원이 주기도식 예배에 참여할 수 있는 정도
- 어떤 성경 번역본을 사용할 것인지 (예: 킹 제임스 성경만 사용 운동)[75]
- 경륜주의 대 언약 신학
- 결혼에서 여성의 역할
- 집사 또는 목사로서의 여성 안수[76]
- 교회 일치 운동에 대한 태도 및 참여
- 구원에서 회개와 견인의 역할 (주권 구원 논쟁).[77][78][79][80]
일부 교파와 교회에서는 공동체의 신앙 고백과 상반되는 신념이나 행동을 회개하지 않으려는 회원들에게 최후의 수단으로 파면을 사용할 수 있다.
3. 1. 성서주의(복음주의)
침례교는 성경을 신앙과 실천의 유일한 원칙으로 삼으며, 복음주의와 근본주의 노선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63] 침례교 신학은 복음주의 신학과 많은 교리를 공유하며,[63] 신자 교회 교리에 기반한다.[64]침례교인들은 다양한 신앙 고백을 채택해 왔는데,[62] 역사적으로 중요한 침례교 교리 문서에는 1689년 런던 침례교 신앙 고백, 1742년 필라델피아 침례교 신앙 고백, 1833년 뉴햄프셔 침례교 신앙 고백 등이 있다.[62]
대부분의 침례교인들은 성경의 무오성 또는 성경 무류설·직접 영감설을 지지하지만, 일본침례교연맹·일본침례회연합 등에서는 성경 본문에 대해 그 맥락(문맥: 쓰여진 배경)을 중시하는 고등 비평적 해석이 지지되고 있다.
공유되는 교리에는 한 하나님에 대한 신앙, 예수의 동정녀 탄생, 기적, 대속 속죄를 통한 죄에 대한 속죄(예수의 죽음, 매장, 그리고 육체적 부활을 통해), 삼위일체, 구원의 필요성, 은혜, 하나님의 나라, 종말론(예수의 그리스도는 영광 중에 지상에 개인적이고 눈에 보이게 다시 올 것이며, 죽은 자들이 부활할 것이며, 그리고 그리스도는 모든 사람을 의롭게 심판할 것이다) 등이 포함된다.
침례교인들은 일반적으로 그리스도의 문자적인 재림을 믿으며,[71] "종말"에 대한 신념에는 무천년설, 계시적 그리고 역사적 전천년설이 포함되며, 후천년설과 세대주의와 같은 견해도 약간의 지지를 받고 있다.
침례교 원칙은 다음과 같다.[72]
- 신앙과 실천의 규범으로서 정경 성경의 최고성.
- 하나님과 개인 사이의 문제인 신앙과 절대적인 양심의 자유 옹호.
- 침수 세례만이 유일한 세례 방식이라는 주장.

3. 2. 신앙자의 침례(전침례)
침례교에서는 유아세례를 인정하지 않는다.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의 고백으로 구원을 받는 것이므로, 부모가 자식의 구원을 결정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침례교는 물에 완전히 잠기는 침례를 강조한다. 이는 침례 요한이 사용했던 방식으로서, 침례를 주는 목회자가 침례 받는 사람을 뒤쪽으로 몸을 낮추어 물에 잠기게 하며,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침례를 주고 그리스도의 제자로 삼으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 즉 삼위일체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 마태복음서 28장 19절-20절이나 다른 신앙고백문을 낭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식은 그리스도인이 예수와 함께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다는 로마서의 가르침을 설명한다.[6]
인정되는 침례 방식과 주체는 교회별로 다를 수 있다. 많은 침례교회는 물에 완전히 잠기는 침례만 인정하지만, 장애인이나 노인 등 예외적인 경우에는 물에 잠기는 것을 대체하기도 한다. 다른 기독교 교파에서 받은 세례(유아세례 제외)를 침례로 인정하는 교회도 있다.
침례교에서는 세례식을 가리킬 때 '세례'라는 말 대신 '침례' 또는 '침수'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는 온몸을 물에 담그는(전신 침수) 행위와 신앙고백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자각적인 신앙고백을 할 수 없는 신생아나 유아에게 세례를 주는 것(유아세례)은 부정한다. 따라서 전신 침수가 아닌 세례(점적 세례 등)는 인정하지 않으며, 성공회, 루터교, 개혁·장로교, 감리교, 회중교회 등 다른 교파에서 세례를 받은 기독교인이 침례교회로 옮기려면 다시 침례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신앙고백에 기초한 세례(점적 세례 등)를 받은 기독교인의 신앙생활을 확인한 후, 재세례를 요구하지 않고 신앙고백에 따라 전입을 허락하는 교회도 최근에는 많다. 또한, 고령이거나 병상에 있는 경우 등 개별적인 사정에 따라 점적 세례를 집행하기도 한다. 의사 표현이 불가능한 장애인의 침례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든 교회의 총의가 필요하다.
3. 3. 만인제사장설
전 신자가 제사장 직분자라는 만인제사장설은 모든 기독교인은 성직자들의 도움 없이 하나님과 직접 만날 수 있으며, 성경을 통해 계시된 진리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교리는 "그리스도인은 왕같은 제사장이요, 하나님의 백성이요, 거룩한 민족이며, 우리를 어둠에서 빛으로 이끄신 하나님의 구원을 선언하기 위해서 부름을 받았습니다."라고 고백하는 베드로전서 2장 9절 내용에 근거하고 있으며, 마르틴 루터에 의한 종교개혁 및 15세기 영국교회의 종교개혁자 존 위클리프에 의해 대중화되었다.[62] 침례교의 모든 신자의 제사장 직분은 그들의 종교의 자유에 대한 믿음을 지지하는 기둥 중 하나이다.침례교 공동체에서는 목사가 설교와 목회를 담당하는 직무를 맡지만, 목사를 포함한 모든 신자는 신분적으로는 평등하다는 만인 제사장주의를 취한다.
특히 침례교회 초기에는 신도 총회에서 승인만 받으면 신자라도 예식을 집행하거나 설교를 할 수 있었다. 이 침례교회에서 신자의 위치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목사가 조직의 중심이었던 다른 프로테스탄트 교파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할 정도로 매우 참신한 시도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시 침례교회에서 활동한 신자 지도자들은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한 것도 아니고, 장인 등 세속적인 직업을 겸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136] 그러한 지도자 중 한 명이 윌리엄 키핀(William Kiffin)으로, 수공업자에서 무역상을 거쳐 특별 침례교의 목사이자 지도자가 되었으며, 1643년경부터 사망한 1701년까지 무역에 종사하면서 침례교회 목사로 활동했다.[137]
3. 4. 성례전
일반적으로 침례교회에서는 신약성서에 나오는 두 가지 성례전인 침례와 주의 만찬을 행한다.[3]침례는 예수를 그리스도로 고백한 후 물 속에 온몸이 완전히 잠기는 의식으로서, 옛사람이 죽고 새사람으로 거듭남을 상징한다. 따라서 침례중생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침례교회에서는 구원을 얻은 후 받는 신자의 침례를 회원의 자격으로 삼고 있다. 침례교에서는 유아세례(유아침례)를 인정하지 않는데,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의 고백으로 구원을 얻는 것이므로 부모가 자식의 구원을 결정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침례는 침례 요한이 사용했던 방식대로 물에 완전히 잠기는 것을 강조한다. 침례를 주는 목회자가 침례 받는 사람을 뒤쪽으로 몸을 낮추어 물에 잠기게 하며, 삼위일체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 마태복음서 28장 19절-20절이나 다른 신앙고백문을 낭독한다. 이러한 의식은 그리스도인이 예수와 함께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다는 로마서의 가르침을 설명한다.
인정되는 침례 방식과 주체는 교회별로 다를 수 있다. 많은 침례교회들은 물에 완전히 잠기는 침례만을 인정하나, 몇몇 교회에서는 장애인이나 노인 등 예외적인 경우에 한하여 물에 잠기는 것을 대체하기도 한다. 다른 기독교 교파에서 받은 세례(유아세례 제외)를 침례로 인정하는 교회도 있다.
침례교회에서는 주의 만찬(Lord's Supper)을 성례전으로 행한다.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의 마지막 만찬을 모방한 의식인데, 누가복음서 22장 19절에 따르면 예수께서는 "나를 기념하여 이것을 행하라"라고 하였다. 주의 만찬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예수의 몸과 피를 상징하는 빵과 음료를 함께 먹는다. 침례교에서는 빵과 음료가 예수의 몸과 피라는 것을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하며, 로마 가톨릭의 화체설(빵이 실제로 몸으로 변함)과 같은 문자적 해석은 배제한다. 주의 만찬 집전 시에는 고린도전서 11장 23절~25절을 인용한다.
주의 만찬에 사용하는 빵은 누룩(베이킹파우더)을 넣지 않는 네모진 모양의 빵이나 웨이퍼(얇게 구운 과자) 등을 자주 사용하며, 마지막 만찬에 사용되었으리라 여겨지는 누룩 없는 종류의 빵을 사용한다. 미국 침례교에서는 금주주의에 근거하여 주의 만찬에 알콜이 없는 포도 음료를 주로 사용하지만, 일부 교회에서는 포도주를 사용하기도 한다. 보통은 개개인별로 작은 잔에 음료를 담아 나누지만, 회중 전체가 하나의 큰 잔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회중이 일치의 상징으로 동시에 빵을 먹고 잔을 마신다. 때에 따라서는 빵과 잔을 한꺼번에 먹는 경우도 있다.
주의 만찬 주기는 주, 월, 분기, 연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통 예배 마지막에 행해지나 예배 중 어느 때라도 행할 수 있다. 주의 만찬 참여 자격 범위는 기독교 신앙을 고백하는 모든 회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열려 있는 방식, 침례교인이면 참여할 수 있는 방식, 자기 교회에 등록한 회원만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이 있다.
4. 교회 정치
침례교는 (영아가 아닌) 신앙인의 침례와 믿음만으로 이뤄지는 구원을 비롯해 성경을 신앙과 실천의 유일한 원칙으로 삼고 있으며, 지역 교회(개별 교회) 각각의 독립성을 원칙으로 한다는 점에서 장로교 (장로주의) 및 감리교 (감독주의)와 다르다. 침례교의 직제는 목사와 집사가 있다.
4. 1. 개별 교회의 자치권(회중주의)
침례교는 각 교회의 정책, 조직 형태, 가르침에 있어서 자치권을 갖는다. 침례교회는 각 교회의 독립을 강조하여, 총회와 같은 기관이나 교황과 같은 지도자에 의한 직접 관리를 받지 않는다. 교회 운영, 지도권, 가르침은 각 교회의 평신도에 의해 민주적으로 결정되며, 이에 따라 각 교회의 믿음의 차이가 나타난다. 회중주의의 특징으로서, 많은 협의회와 총회들이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협회들은 선교를 비롯한 교육 및 자선을 위해 존재하고 있으며, 개별 교회의 운영에 대한 권한은 갖지 않고, 개별 교회의 자율성을 존중한다. 따라서 어느 총회에도 소속되지 않은 독립 침례교회들도 존재한다.침례교회는 목사와 신도 사이에 신분적 차등이나 구별이 없다고 한다. 목사와 교인(침례를 받고 교회의 회원이 된 자)의 역할에는 차이가 있지만, 교회 운영은 교인 한 사람 한 사람이 평등한 입장에서 참여하는 총회를 중심으로 책임 있는 논의를 통해 교회의 의사가 결정된다.
4. 2. 각개 교회의 자주 독립
침례교는 지역교회(개별교회) 각각의 독립성을 원칙으로 한다는 점에서 장로교파(장로주의) 및 감리교파(감독주의)와 다르다. 즉, 각각의 개별교회는 규모와 조직체계와는 상관이 없이 독립된 완전체이며 어떤 개별교회도 다른 개별교회의 일부가 될 수 없고, 어떤 교회도 다른 교회를 간섭하거나 간섭받아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각 개별교회 내부에서 발생한 문제를 그 교회 밖의 다른 어떤 교회나 총회에서 간섭하여 재판을 하고 판결을 내리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가하다. 반면에 외부의 어떤 조직으로부터도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된 개교회들이 자발적으로 연합하여 협력한다는 점에서 '독립개교회주의'(church individualism)와도 다르다. 침례교회는 각 교회의 독립을 강조하여, 총회와 같은 기관이나 교황과 같은 지도자에 의한 직접 관리를 받지 않는다. 교회 운영, 지도권, 가르침은 각 교회의 평신도에 의해 민주적으로 결정되며, 이에 따라 각 교회의 믿음의 차이가 나타난다.[2] 침례교는 각 교회가 자주 독립적인 주체이며, 교회 간 어떠한 지배 관계도 인정하지 않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각 교회는 서로 지배·종속 관계에 있지 않고 자주 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많은 교회가 다른 교회와의 협력을 기꺼이 하는 목적으로 선교 협력체를 결성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체는 각 교회에 상위 기관이 아니라고 명시하고 있다.[3]4. 3. 교회와 국가의 분리(정교분리 원칙)
침례교는 17세기 초, 존 스미스와 토마스 헬위스(Thomas Helwys)가 정교분리 원칙을 주장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은 그리스도가 다스리는 하나님의 나라(교회)와 국가를 구분하여, 국가는 교회(종교)의 일에 간섭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26] 이러한 특징은 현대에도 계승되어, 인간의 평등, 신앙의 자유, 양심의 자유라는 이념을 추구해 온 침례교는 시대의 통치자에게 정의와 공평을 제공할 것을 요구해 왔다고 여겨진다.교회 자체의 정치 활동 관여 여부는 교회마다 다르다. 일본침례교연맹, 일본침례교연합은 정치적·사회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지만, 보수침례교, 바이블침례교 등은 정치 자체에 관여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5. 직책
일반적으로 침례교에서는 목사와 집사를 성서에 나타난 직분으로 보고 있다. 다른 교파에서 많이 나타나는 장로의 직분은 목사의 직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독립적인 직책으로 보지 않는다. 이들 직분이 남자에게만 해당되는 것인가 하는 논쟁이 한동안 있었으나, 2009년 침례교단 총회에서 여성의 감독과 집사 안수가 통과되었다. 이는 "그때에 내가 나의 영으로 남종과 여종에게 부어주리라" 하신 구약의 요엘 2장 29절을 근거로 한 것이며, 인간의 오랜 전통보다도 성경을 최고의 권위로 삼는 정신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결과이다.
5. 1. 목사
침례교 목사의 주요 역할은 예배 때마다 성경을 해석하여 설교함으로써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것이다. 또한 목사는 병든 사람의 집이나 병원을 심방하기도 하며, 아직 믿음의 결정을 내리지 못한 가정을 방문하기도 한다. 성도들의 결혼식과 장례식을 이행하며, 업무 회의에서는 사회자 역할을 맡는다. 어느 정도 크기가 되는 교회에서는 특정 목적을 담당하는 부교역자를 둔다. 부교역자가 담당하는 부분은 행정, 상담, 사회사업, 교회음악, 청년교육, 어린이교육, 교회경영 등이 있다.5. 2. 집사
침례교의 직제는 목사와 집사가 있다. 초대교회에서 사도들의 사역이 늘어나면서 각가지 공정성 문제들을 모두 감당하기 어려워졌다. 그래서 선택된 사람들이 바로 집사들이다. 우리가 잘 아는 스데반도 이때 집사로 안수받았다. 집사들의 직무는 주로 재정 문제였다. 성도들의 구제 문제에서 비롯하여 교회의 각종 사업에 대한 재정 출납을 총괄하였다.[3]6. 현대 침례교회
침례교는 1609년 암스테르담에서 존 스미스를 목사로 한 영국인 분리주의자 회중을 최초의 침례교회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미국 남침례교단의 공식 사학자는 이를 단정짓지 않고 'path finder'로 지칭한다.[42] 스미스는 영아 세례(침례)를 거부하고 신앙 고백이 있는 이들에게만 '뱁티즘'을 주었지만, 그 방식과 효력에 대해 깊이 고뇌했다. 그의 회중은 그의 죽음으로 소멸되었지만, 잉글랜드 자유교회 운동은 칼빈주의에 기초한 특수침례교인(Particular Baptists)들과 알미니안주의적 성향을 보이기도 하는 일반침례교인(General Baptists)들을 탄생시켰다. 특수침례교회와 일반침례교회는 교회론이 달라 교파적 교류가 없었고, 일반침례교회는 쇠락하여 특수침례교회에 흡수되었다. 따라서 영국 침례교는 특수침례교(Particular Baptists)적 성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1639년 로저 윌리엄스는 미국에 최초로 침례교회를 설립하였다. 미국의 자유정신은 침례교회의 자유정신과 유사하여 침례교회가 성장하는 기초가 되었다. 18세기 중반 대각성 운동 이후 미국의 침례교회는 감리교회와 더불어 성장했다.
2000년 기준 세계 침례교인 수는 약 1억 5천만 명이며, 미국 개신교에서 가장 큰 교파는 세계 최대 개신교단인 남침례회(Southern Baptist)이다. 현대 침례교회는 회중 정치를 고수하면서 국제적 또는 국가적 침례교 기독교 교파나 협회의 일부가 되기도 하고,[43][44][45] 선교와 기독교 인도주의적 지원, 학교, 신학교, 병원 설립과 같은 사회적 목적을 위해 공동 조직을 발전시키기도 한다.[46]
대다수 침례교회는 전국 교파(또는 '협회' 또는 '협력 단체')와 1905년 여러 국가의 24개 침례교파에 의해 설립된 세계침례연맹(BWA)의 일부이다.[47][48][49] BWA는 빈곤층 지원, 세계 복음주의 주도, 인권 및 종교 자유 옹호를 목표로 한다.
6. 1. 침례교회 목록


일부 침례교회는 더 큰 교회 조직과 독립적으로 운영되기를 선택하며(독립 침례교), 다른 침례교회들은 회중 정치를 고수하면서 국제적 또는 국가적 침례교 기독교 교파나 협회의 일부가 되기를 선택한다.[42][43][44][45] 이러한 협력 관계는 선교와 기독교 인도주의적 지원, 학교, 신학교, 병원 설립과 같은 사회적 목적을 위해 공동 조직을 발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46]
대다수의 침례교회는 전국 교파(또는 '협회' 또는 '협력 단체')와 1905년 여러 국가의 24개 침례교파에 의해 설립된 세계침례연맹(BWA)의 일부이다.[47][48][49] BWA의 목표에는 빈곤층 지원, 세계 복음주의 주도, 인권 및 종교 자유 옹호가 포함된다.
6. 2. 선교 단체
세계선교회(BMS World Mission)는 1792년 잉글랜드 케터링(Kettering)에서 설립되었다.[50][51] 미국에서는 국제선교회(International Ministries)가 1814년에, 국제선교위원회(International Mission Board)가 1845년에 설립되었다.[52][53]6. 3. 예배
침례교회에서 예배는 교회 생활의 일부이며, 찬양, 경배,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 성경에 기초한 설교, 헌금, 그리고 주기적으로 성만찬을 포함한다.[82][83] 어떤 교회는 전통적인 기독교 음악으로 예배를 드리고, 다른 교회는 현대 기독교 음악으로 예배를 드리며, 어떤 교회는 별도의 예배 시간에 두 가지 모두 제공하기도 한다.[84] 많은 교회에서 어린이, 심지어 청소년을 위한 예배도 진행된다.[85] 또한 주중에는 기도 모임이 열린다.[86]건축 양식은 일반적으로 소박하며, 라틴 십자가는 침례교회 건물에서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영적인 상징 중 하나이며, 교회의 소속을 나타낸다.[87]


6. 4. 교육
침례교회는 1680년대 초 영국에서 초·중등학교, 성서대학, 대학 및 대학교를 설립했으며,[88] 이후 여러 국가에서 계속 설립되었다.[89] 2006년 미국에서 국제침례교대학연합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aptist Colleges and Universities)가 설립되었다.[90] 2023년에는 42개의 회원 대학이 있었다.[91]- -----
7. 논쟁
침례교는 400년 역사 동안 많은 논쟁을 겪었다. 침례교 역사가 월터 셔든(Walter Shurden)은 "위기"라는 단어가 결정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위기가 때로는 긍정적이고 생산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분열이 이상적이지는 않지만 종종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고 보았다.[103] 침례교 내의 위기는 각각 미래를 형성한 결정의 순간이었다는 것이다.
침례교는 계층적 권위가 없고 각 교회가 자치적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신학적 신앙 체계는 없다.[73] 따라서 다양한 교리적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의견 차이가 존재한다.
주요 논쟁점
논쟁점 | 내용 |
---|---|
종말론 | |
아르미니우스주의 대 칼뱅주의 | 일반 침례교는 아르미니우스주의 신학을, 특수 침례교는 칼뱅주의 신학을 옹호한다.[3] |
"세상"으로부터의 분리의 교리 | "세상의" 사람들과의 교제 여부 |
두 번째 은혜의 역사 | 온전한 성화에 대한 신앙 (성결 전통의 일반 침례교도들이 믿음) |
방언과 카리스마적 은사 | [74] |
성경해석학 | 성경 해석 방법 |
선교사 지원 방식 | |
주기도식 예배 | 비회원의 참여 허용 정도 |
성경 번역본 선택 | 예: 킹 제임스 성경만 사용 운동[75] |
경륜주의 대 언약 신학 | |
결혼에서 여성의 역할 | |
여성 안수 | [76] |
교회 일치 운동 | 태도 및 참여 |
주권 구원 논쟁 | 구원에서 회개와 견인의 역할[77][78][79][80] |
일부 교파와 교회에서는 공동체의 신앙 고백과 상반되는 신념이나 행동을 회개하지 않으려는 회원들에게 파면을 사용하기도 하며, 전체 교회가 제명될 때는 교제 중단이라고 한다.[81]
19세기 초, 근대 선교 운동의 부상과 이에 대한 반발은 미국 침례교 내에서 큰 논쟁을 일으켰다. 이 시기에 미국 침례교인들은 선교 옹호파와 반대파로 나뉘었다. 또한, 상당수의 침례교인들은 알렉산더 캠벨이 이끈 운동에 참여하여 보다 근본적인 교회로 회귀하려 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1963년 저서 ''힘으로 사랑하라(Strength to Love)''에서 일부 침례교회의 반지성주의, 특히 목사들의 신학적 훈련 부족을 비판했다.[130]
2018년, 침례교 신학자 러셀 D. 무어는 미국의 일부 침례교인들이 특정 개인의 죄는 비난하면서도 인종차별과 같은 사회적 불의에는 침묵하는 도덕주의를 비판했다.[131] 2020년, 북미 침례교 연합은 사회 정의에 대한 약속을 하고 미국의 사법 제도 내 제도적 차별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132] 2022년, 침례교 세계 연맹은 역사적으로 노예 제도의 죄에 기여했던 침례교회와 연합들이 회복적 정의에 참여하도록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133]
7. 1. 노예제도 논쟁
미국 남북 전쟁 이전, 침례교는 미국 내 노예제 논란에 휘말렸다. 제1차 대각성 시대에 감리교와 침례교 설교자들은 노예제도에 반대하고 노예 해방을 촉구했지만, 수십 년 동안 제도와 타협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들은 남부의 노예 소유주들과 협력하여 가부장적인 제도를 주장했다. 두 교파 모두 노예와 흑인들에게 직접 개종을 호소했으며, 특히 침례교는 그들에게 교회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허용했다. 19세기 중반까지 북부 침례교는 노예제도에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1844년 홈 미션 협회는 조지아주가 제안한 노예 소유주를 선교사로 임명하는 것을 거부했다. 선교사가 종을 데려갈 수 없다는 점과 이사회가 노예제도를 묵인하는 것처럼 보이고 싶지 않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104]1845년, 노예제도를 옹호하고 삼년제 협약(현재 미국 침례교회 USA)의 폐지론에 반대하는 일련의 교회들이 남침례회를 결성하기 위해 분리되었다.[105] 그들은 성경이 노예제도를 승인하고 기독교인이 노예를 소유하는 것이 용납된다고 믿었다. 그들은 노예제도가 인간이 만든 제도이며 침례교의 가르침이 이를 덜 가혹하게 만들 수 있다고 믿었다. 이 무렵 많은 대농장주들이 침례교회 신자였고, 앨라배마 대학교 총장인 베이실 맨리(Basil Manly Sr.) 등 교파의 저명한 설교자들도 노예를 소유한 대농장주였다.
18세기 후반부터 흑인 침례교도들은 별도의 교회, 협회 및 선교 단체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남북 전쟁 이전에 흑인들은 남부에서 일부 독립적인 침례교회를 설립했고, 백인 침례교 협회는 이러한 교회들을 일부 감독했다.
전후, 해방 노예들은 빠르게 백인 교회와 협회를 떠나 자신의 교회를 설립했다.[106] 1866년, 남부와 서부의 흑인 침례교도들로 구성된 통합 미국 침례교 협의회는 남부 협회가 앨라배마, 아칸소, 버지니아, 노스캐롤라이나, 켄터키에 흑인 주 협의회를 설립하도록 지원했다. 1880년, 흑인 주 협의회는 흑인 침례교 선교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전국 외국 선교 협의회로 통합되었다. 다른 두 개의 전국 흑인 협의회가 결성되었고, 1895년 이들은 미국 국립 침례교 협회(National Baptist Convention, USA, Inc.)로 통합되었다. 이 단체는 나중에 자체적인 변화를 거치며 다른 협의회를 분리시켰다. 이 단체는 세계에서 가장 큰 흑인 종교 단체이자 두 번째로 큰 침례교 단체이다.[107] 침례교는 남동부에서 수적으로 가장 우세하다.[108] 2007년 퓨 리서치 센터(Pew Research Center)의 종교 현황 조사에 따르면, 모든 흑인 미국인의 45%가 침례교 교파를 지지하며, 그 대부분이 역사적으로 흑인 전통에 속해 있다.[109]

미국 남부에서 남북 전쟁, 노예제 폐지, 전후 시대에 대한 해석은 그 이후로 인종에 따라 극명하게 달랐다. 미국인들은 종종 위대한 사건들을 종교적인 용어로 해석해왔다. 역사가 윌슨 팔린(Wilson Fallin)은 알라바마에서 기록된 침례교 설교를 분석하여 백인과 흑인의 기억 속에서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에 대한 해석을 대조했다. 남북 전쟁 직후 남부의 대부분의 흑인 침례교도들은 남침례회를 떠났고, 남침례회의 수는 수십만 명 이상 감소했다. 그들은 빠르게 자신의 교회를 조직하고 지역 및 주 협회를 개발했으며, 19세기 말까지 전국 협약을 체결했다.[110]
재건 시대 이후 알라바마의 백인 설교자들은 하나님이 그들을 징벌하시고 정통성, 엄격한 성경주의, 개인적인 경건, 그리고 "전통적인" 인종 관계를 유지하는 특별한 사명을 주셨으며, 노예제가 죄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또한 해방은 역사적인 비극이었고 재건 시대의 종식은 하나님의 은총의 명확한 징후였다고 보았다.
반면, 흑인 설교자들은 남북 전쟁, 해방 선언, 재건 시대를 "하나님의 자유 선물"로 해석했다. 그들은 구약성경의 탈출기와 오랫동안 동일시하며 해방의 복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독립을 행사하고, 자신의 방식으로 예배하고, 자신의 가치와 존엄성을 확인하고, 하나님의 아버지됨과 인간의 형제애를 선포할 기회를 가졌다. 무엇보다도 그들은 백인의 감독 없이 자유롭게 운영하기 위해 자신의 교회, 협회, 협의회를 신속하게 형성했다. 이러한 기관들은 자조와 인종적 향상을 제공하고, 리더십을 개발하고 사용할 장소, 그리고 해방의 복음을 선포할 장소를 제공했다. 결과적으로, 흑인 설교자들은 하나님이 그와 하나님의 백성을 보호하고 도우실 것이며, 하나님이 폭풍우 치는 땅에서 그들의 반석이 되실 것이라고 말했다.[111]
남침례회는 백인 우월주의와 그 결과를 지지했다. 즉, 20세기 초 투표 등록에 대한 장벽을 높이고 짐 크로 법 체제를 시행하는 인종 차별 법안을 통과시켜 대부분의 흑인과 많은 가난한 백인의 참정권을 박탈했다.[112] 남침례회 회원들은 공공 접근 및 투표에 대한 헌법적 권리를 보장하려는 남부의 시민권 운동과 중반기 연방 시민권 법률의 시행에 대체로 저항했다.[113]
1995년, 남침례회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시민권을 보호하지 못한 조상들의 실패를 인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114] 애틀랜타 회의에는 2만 명이 넘는 남침례교도가 등록했다. 이 결의안은 SBC 대표인 메신저들이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을 끔찍한 죄로 단호하게 규탄하고", "노예제와 같은 역사적 악행을 애통하며 거부하며 그로부터 계속 쓰라린 결실을 거두고 있다"고 선언했다. 이는 "우리 시대에 개인적이고 체계적인 인종차별을 묵인하고/또는 영속시켰다"는 점과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우리가 범한 인종차별"에 대해 사과하고 회개하는 것이었다. 남침례교도들은 과거에도 인종차별을 규탄했지만, 재건 시대 이후 대부분 백인이었던 협의회가 노예제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룬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이 성명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형제자매들에게" 용서를 구하고 "남침례교의 삶과 사역에서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을 근절하겠다"고 약속했다. 1995년, 1,560만 명의 교파 회원 중 약 50만 명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고, 30만 명은 다른 소수 민족이었다. 이 결의안은 인종차별이 교파 설립에 역할을 했다는 교파의 첫 공식적인 인정을 표시했다.[115]
아메리카 대륙의 다른 곳, 특히 카리브해에서는 침례교 선교사들과 신자들이 반노예 제도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예를 들어 자메이카에서는 저명한 영국 침례교 선교사인 윌리엄 니브가 영국령 서인도 제도에서 노예 해방(1838년 완전 해방)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니브는 "자유 마을"의 건설을 지원하고 해방 노예들이 경작할 토지를 사기 위해 영국 침례교도들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자유 마을은 해방된 노예들이 자신의 땅을 경작할 수 있는 침례교회를 중심으로 한 농촌 공동체로 구상되었습니다. 몬테고 베이의 선교 목사인 토마스 버철은 이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영국의 침례교도들로부터 버철 자유 마을로 알려지게 된 토지를 구입할 자금을 얻었습니다.
해방 전, 버철과 함께 섬겼던 침례교 집사 새뮤얼 샤프는 더 나은 조건을 요구하는 노예들의 총파업을 조직했습니다. 이는 최대 6만 명의 노예가 참여한 대규모 반란으로 발전하여 크리스마스 반란 또는 침례교 전쟁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2주 만에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습니다. 반란 중과 이후 약 200명의 노예가 현장에서 사망했고, 300명 이상이 법정에서 사소한 범죄로 기소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침례교도들은 해방 후 전 노예들의 교육을 장려하는 데 적극적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나이지리아의 항구 도시인 칼라바의 이름을 딴 자메이카의 칼라바 고등학교는 침례교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동시에 노예 제도 중과 이후에 노예와 흑인들은 자신들만의 영적 침례교 운동을 형성했습니다. 이는 종종 억압에 대한 저항을 표현하는 신학적 분파 운동입니다.[117]
7. 2. 현대주의 논쟁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신학적 현대주의가 부상하면서 침례교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121] 미국 남침례회에서는 랜드마크 운동(Landmark movement)이 초기 현대주의에 대한 반발로 여겨진다.[121] 영국에서는 찰스 스펄전이 격하 논쟁(Downgrade Controversy)에서 성경에 대한 현대주의적 견해에 맞서 싸웠고, 그 결과 그의 교회가 침례교 연합(Baptist Union)에서 분리되었다.[122][123]
미국에서는 북부 침례교 협의회(Northern Baptist Convention)가 20세기 초 현대주의를 둘러싼 내부 갈등을 겪었고, 결국 현대주의를 받아들였다. 그 결과, 협의회에서 분리된 두 개의 새로운 보수적인 교회 연합이 설립되었는데, 1933년 정규 침례교회 총회(General Association of Regular Baptist Churches)와 1947년 미국 보수 침례교 협회(Conservative Baptist Association of America)이다.
현대주의를 둘러싼 비슷한 갈등 이후, 남침례회는 보수적인 신학을 공식 입장으로 고수했다.[124][125] 20세기 후반, 이러한 방향에 동의하지 않은 남침례회 신자들은 두 개의 새로운 단체를 설립했는데, 1987년 자유주의적인 침례교 연합(Alliance of Baptists)과 1991년 더 온건한 협력 침례교 연합(Cooperative Baptist Fellowship)이다.[126][127][128][129] 처음에는 두 분파 모두 남침례회로서 정체성을 유지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영구적인 새로운 침례교 가족"이 되었다.[1]
7. 3. 기타 논쟁
계층적 권위가 없고 각 침례교회가 자치적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침례교 신학적 신앙 체계는 없다.[73] 이러한 차이점은 연합회들 사이에서, 심지어 연합회 내 교회들 사이에서도 존재한다. 침례교도들 사이에 광범위한 차이가 있는 일부 교리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 종말론
- 아르미니우스주의 대 칼뱅주의 (일반 침례교는 아르미니우스 신학을 옹호하는 반면, 특수 침례교는 칼빈주의 신학을 가르친다).[3]
- "세상"으로부터의 분리의 교리 및 "세상의" 사람들과 교제할 것인지 여부
- 두 번째 은혜의 역사, 즉 온전한 성화에 대한 신앙 (성결 전통의 일반 침례교도들이 믿음)
- 방언과 오순절 교회에서 다른 카리스마적 은사의 역사[74]
- 성경을 해석해야 하는 방법(성경해석학)
- 선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선교부를 사용해야 하는 정도
- 비회원이 주기도식 예배에 참여할 수 있는 정도
- 어떤 성경 번역본을 사용할 것인지 (예: 킹 제임스 성경만 사용 운동)[75]
- 경륜주의 대 언약 신학
- 결혼에서 여성의 역할
- 집사 또는 목사로서의 여성 안수[76]
- 교회 일치 운동에 대한 태도 및 참여
- 구원에서 회개와 견인의 역할 (주권 구원 논쟁).[77][78][79][80]
일부 교파와 교회에서는 공동체의 신앙 고백과 상반되는 신념이나 행동을 회개하지 않으려는 회원들에게 최후의 수단으로 파면을 사용할 수 있다. 전체 교회가 제명될 때는 종종 교제 중단이라고 한다.[81]
남침례교의 랜드마크주의는 당시 교파 간 연합 회의가 일반적이었던 시대에 오래된 침례교회들을 특징지었던 교회 분리주의를 재설정하려고 했다.[118] 19세기의 영향력 있는 침례교인이자 이 운동의 주요 지도자인 제임스 로빈슨 그레이브스가 있었다.[119] 일부 랜드마크주의자들은 결국 남침례회에서 분리되었지만, 이 운동은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남침례회에 계속 영향을 미쳤다.[120]
1963년 출판된 저서 ''힘으로 사랑하라(Strength to Love)''에서 침례교 목사인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일부 침례교회의 반지성주의를 비판했는데, 특히 목사들의 신학적 훈련 부족을 지적했다.[130]
2018년에는 침례교 신학자인 러셀 D. 무어가 미국의 일부 침례교인들의 도덕주의를 비판했다. 특정 개인의 죄를 강력하게 비난하면서도, 인종차별과 같이 전체 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불의에 대해서는 침묵하는 것을 지적했다.[131] 2020년에는 침례교 세계 연맹의 한 지역인 북미 침례교 연합이 공식적으로 사회 정의에 대한 약속을 하고 미국의 사법 제도 내 제도적 차별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132] 2022년에는 침례교 세계 연맹이 역사적으로 노예 제도의 죄에 기여했던 침례교회와 연합들이 회복적 정의에 참여하도록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133]
참조
[1]
웹사이트
Turning Points in Baptist History
http://www.centerfor[...]
The Center for Baptist Studies, Mercer University
2010-01-16
[2]
백과사전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3]
서적
A General History of the Baptist Denomination in America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Lewis Colby
[4]
간행물
A Very Brief Introduction to Baptist History, Then and Now
[5]
문서
The First Church
[6]
뉴스
Anabaptist kinship or English dissent? Papers at ETS examine Baptist origins
https://web.archive.[...]
2009-12-14
[7]
harvnb
[8]
웹사이트
Baptist Origins
https://web.archive.[...]
Baptist History and Heritage Society
2010-01-10
[9]
서적
Heresies: Heresy and Orthodoxy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Hendrickson Publishers
[10]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1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12]
서적
Les églises évangéliques de Suisse: origines et identités
Labor et Fides
[13]
서적
The Baptist River
Mercer University Press
[14]
서적
A Summary of Christian History
B&H Publishing Group
[15]
서적
A Global Introduction to Baptist Church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urning Points in Baptist History
Mercer University Press
[17]
저널
Once Upon a Time, Four Hundred Years Ago...
https://web.archive.[...]
2009-03-01
[18]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Baptists
http://www.reformedr[...]
The Reformed Reader
2009-12-23
[19]
웹사이트
Baptist Beginnings
http://www.baptisthi[...]
Baptist History and Heritage Society
2007-10-19
[20]
서적
A Dictionary of European Baptist Life and Thought
Wipf and Stock Publishers
[21]
서적
Une autre manière d'être chrétien en France: socio-histoire de l'implantation baptiste, 1810–1950
Editions Labor et Fides
[22]
citation
Are Baptists Protestants?
http://www.dbts.edu/[...]
Detroit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2010-10-14
[23]
웹사이트
Origins of the Particular Baptists
https://www.thegospe[...]
2023-11-26
[24]
웹사이트
Philip Schaff: Creeds of Christendom, with a History and Critical notes. Volume I. The History of Creed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3-11-26
[25]
서적
The Early English Dissenters in the Light of Recent 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citation
Encyclopedia of American Religions
[27]
citation
The Baptist Heritage
Broadman Press
[28]
citation
The New park Street Pulpit
[29]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Georgia Baptist Association
http://baptisthistor[...]
[30]
citation
W.H. Whitsitt – The Man and the Controversy
Mercer University Press
[31]
서적
The Southern Baptist Convention: A Sesquicentennial History
Broadman & Holman
[32]
citation
Newport Notables
https://web.archive.[...]
Redwood Library
[33]
서적
Baptists in North America: an historical perspective
Blackwell Publishing
[34]
서적
Baptists in America: A History
[35]
서적
The Sermons of Henry Alline
Lancelot Press for Acadia Divinity College and the Baptist Historical Committee of the United Baptist Convention of the Atlantic Provinces
[36]
논문
Henry Alline and Maritime Religion
Canadian Historical Association
[37]
서적
Readings in Baptist History: Four Centuries of Selected Documents
https://books.google[...]
B&H Publishing
2010-08-25
[38]
웹사이트
Southern Baptist Beginnings
http://www.baptisthi[...]
Baptist History & Heritage Society
2012-10-28
[39]
웹사이트
Appendix B: Classification of Protestant Denominations
http://www.pewforum.[...]
2015-05-12
[40]
웹사이트
RISU / English / Major Religions / Baptists
http://www.risu.org.[...]
2005-04-20
[4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UC ECB
http://ecbua.info/in[...]
[42]
웹사이트
Family Trees
https://www.thearda.[...]
Association of Religion Data Archives
2023-11-28
[43]
서적
Turning Points in Baptist History
Mercer University Press
2008
[44]
서적
Pocket Dictionary of North American Denominations: Over 100 Christian Groups Clearly & Concisely Defined
InterVarsity Press
2010-04-17
[45]
서적
Baptist Theology
T&T Clark
[4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47]
서적
A Global Introduction to Baptist Church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2009
[49]
서적
In Search of the New Testament Church: The Baptist Story
Mercer University Press
2008
[50]
서적
A Global Introduction to Baptist Church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52]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Volume 5
Rowman & Littlefield
[53]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Volume 5
Rowman & Littlefield
[54]
서적
Church Manual For Baptist Churches
http://www.reformedr[...]
The Judson Press
[55]
웹사이트
Baptist Faith and Mission
http://www.sbc.net/b[...]
Southern Baptist Convention
2011-11-08
[56]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57]
웹사이트
Qui sont les baptistes ?
https://www.reforme.[...]
2023-05-09
[58]
웹사이트
Member Unions Baptist World Alliance
https://baptistworld[...]
2024-09-09
[59]
서적
A Global Introduction to Baptist Church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History, 1896 to the Present: From the Age of Segregation to the Twenty-first Century Five-volume Set
Oxford University Press
[61]
웹사이트
Fast Facts About the SBC
https://www.sbc.net/[...]
Southern Baptist Convention
2024-07-24
[6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63]
서적
Baptist Theology: A Four-century Study
Mercer University Press
[64]
서적
Turning Points in Baptist History
Mercer University Press
[65]
웹사이트
A Foundation for the Future: The Southern Baptist Message and Mission
http://www.reformedr[...]
2010-01-17
[66]
서적
The Baptist Identity: Four Fragile Freedoms
Smyth & Helwys Publishing
[67]
서적
The Encyclopedia of Cults, Sects, and New Religions
Prometheus Books
2002
[68]
웹사이트
Baptist Origins
http://teachinghisto[...]
2011-09-23
[69]
웹사이트
Religion Facts
http://www.religionf[...]
2010-01-17
[70]
웹사이트
Trends in Baptist Polity
http://www.baptisthi[...]
Baptist History and Heritage Society
2005
[7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72]
서적
A History of the Baptist Churches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Christian Literature
[73]
서적
Biblical Foundations for Baptist Churches: A Contemporary Ecclesiology
Kregel Publications
[74]
웹사이트
Position Paper Concerning the IMB Policy on Glossolalia
https://web.archive.[...]
Florida Baptist Witness
2010-03-18
[75]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Bible Translations
https://verseforthed[...]
Trinity Baptist Church Discipleship Training
2005-04-00
[76]
학술지
Perspectives in Religious Studies (Response to 'The Ordination of Women Among Texas Baptists' by Ann Miller)
https://web.archive.[...]
2010-03-18
[77]
웹사이트
Free Grace for Baptists – Grace Evangelical Society
https://faithalone.o[...]
2014-01-01
[78]
웹사이트
What Denominations Hold to Free Grace? – Grace Evangelical Society
https://faithalone.o[...]
2022-02-11
[79]
서적
Eternal Security: Can You be Sure?
https://books.google[...]
Oliver-Nelson Books
1990
[80]
서적
"Free Grace" Theology: 5 Ways It Diminishes the Gospel
https://books.google[...]
Crossway
2016-07-18
[8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8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Christian Wo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8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84]
서적
"I Will Sing the Wondrous Story": A History of Baptist Hymnody in North America
Mercer University Press
[85]
서적
A Dictionary of European Baptist Life and Thought
Wipf and Stock Publishers
[86]
서적
A Dictionary of European Baptist Life and Thought
Wipf and Stock Publishers
[8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88]
서적
Congregation and Campus: Baptists in Higher Education
Mercer University Press
[89]
서적
Baptists in America
Columbia University Press
[90]
서적
Congregation and Campus: Baptists in Higher Education
Mercer University Press
[91]
웹사이트
Uniting Baptist Higher Education
https://www.baptists[...]
2017-01-18
[92]
서적
Human Sexuality: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Routledge
[93]
서적
Virgin Nation: Sexual Purity and American Adolescence
Oxford University Press
[94]
서적
Encyclopedia of Evangelicalism: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Baylor University Press
[9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9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97]
서적
Baptists in America
Columbia University Press
[9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Rowman & Littlefield
[9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Rowman & Littlefield
[100]
뉴스
Aliança batista aprova o reconhecimento da união gay no Brasil e afirma que é uma "boa nova"
https://noticias.gos[...]
noticias.gospelmais.com.br
2011-05-25
[101]
뉴스
'El cristianismo no jugará un papel relevante en la oposición al gobierno cubano'
https://newsweekespa[...]
newsweekespanol.com
2022-02-17
[10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103]
웹사이트
Crises in Baptist Life
https://web.archive.[...]
2010-01-16
[104]
서적
A Global Introduction to Baptist Church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5]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in the South
Mercer University Press
[106]
서적
A History of Black Baptists
Broadman Press
[107]
문서
[108]
웹사이트
Baptists as a Percentage of all Residents, 2000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Geography and Meteorology, Valparaiso University
[109]
웹사이트
A Religious Portrait of African-Americans
https://web.archive.[...]
Pew forum
2009-01-30
[110]
논문
The Evolution of the Negro Baptist Church
1922-01-01
[111]
서적
Uplifting the People: Three Centuries of Black Baptists in Alabama
[112]
뉴스
Oldest Institution of Southern Baptist Convention Reveals Past Ties to Slavery
https://www.nytimes.[...]
2018-12-12
[113]
서적
Uneasy in Babylon: Southern Baptist Conservatives and American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114]
뉴스
Southern Baptist Convention's flagship seminary details its racist, slave-owning past in stark report
https://www.washingt[...]
2018-12-12
[115]
뉴스
SBC renounces racist past – Southern Baptist Convention
The Christian Century
1995-07-05
[116]
웹사이트
The Best War Cry
http://www.newsforch[...]
1883-03-04
[117]
서적
Martha Brae's Two Historie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118]
서적
Landmarkism Revisited
Ashcraft Publications
[119]
서적
Pillars of Orthodoxy
https://archive.org/[...]
Baptist Book Concern
[120]
서적
American Christianity: An Historical Interpretation With Representative Documents
Charles Scribner's Sons
[121]
서적
History of the American Baptist Association
History and Archives Committee of the American Baptist Association
[122]
서적
The "Down Grade" Controversy
https://web.archive.[...]
Pilgrim Publications
2009
[123]
서적
Living By Revealed Truth The Life and Pastoral Theology of Charles Haddon Spurgeon
Christian Focus Publishing
2013-07-21
[124]
서적
The Truth in Crisis, Volume 6: The Conservative Resurgence in the Southern Baptist Convention
Hannibal Books
[125]
서적
The Fundamentalist Takeover in the Southern Baptist Convention
Wilkes Publishing
[126]
서적
Baptists in North America: An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Wiley
[127]
서적
Handbook of Denominations in the United States
Abingdon Press
[128]
서적
Baptists in America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29]
웹사이트
CBF History
https://web.archive.[...]
Cooperative Baptist Fellowship
[130]
서적
The Voice of Conscience: The Church in the Mind of Martin Luther King, Jr.
Oxford University Press
[131]
웹사이트
Moore on MacArthur's Social Justice Statement: 'Bible Doesn't Make These Artificial Distinctions'
https://www.christia[...]
2018-09-13
[132]
웹사이트
Baptist groups lament and decry racial injustice
https://www.baptists[...]
2020-06-04
[133]
뉴스
BWA resolutions condemn racism, commend reparations
https://www.baptists[...]
2022-07-16
[134]
웹사이트
一例(小山聖書浸礼教会)
https://oyamabbc.com
[135]
웹사이트
バプテストABC 東京北キリスト教会
http://www.tokyokita[...]
[136]
서적
見えてくるバプテストの歴史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清水, P246 - P247、大西, P181 - P1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