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족 유사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족 유사성은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한 개념으로, 공통된 본질 없이 서로 유사한 특징들을 공유하며 가족처럼 묶이는 현상을 설명한다. 비트겐슈타인은 언어 사용의 다양성을 게임의 다양성에 비유하며, 모든 게임에 공통된 특징은 없지만 유사한 특징들의 겹침을 통해 '게임'으로 인식되는 것처럼, 가족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유사한 성질을 가족 유사성으로 설명한다. 이 개념은 과학, 예술, 정치, 인지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 연구, 모리스 와이츠의 예술 설명, 움베르토 에코의 파시즘 분석 등에 적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철학 개념 - 실재
    실재는 철학, 과학, 사회문화, 기술 등 다양한 관점에서 탐구되는 개념으로, 존재론, 양자역학, 개인의 경험, 동양 철학 등을 통해 현실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 언어철학 개념 - 의미 (철학)
    의미(철학)는 단어, 기호, 아이디어 등의 의미를 다루는 철학의 한 분야이며, 진리, 정합성, 구성주의, 합의, 실용주의 등의 이론을 통해 의미를 설명하고, 20세기 분석철학에서는 언어 사용과 발화 행위, 대화의 협력 원리 등을 통해 의미를 탐구한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버트런드 러셀
    버트런드 러셀은 20세기 분석철학의 기초를 다지고 수학의 논리적 환원을 시도한 영국의 철학자, 논리학자, 수학자, 역사가, 사회 비평가, 정치 운동가로, 평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라이너 마리아 릴케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20세기 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독일어 시인이자 소설가, 서간 작가로, 그의 작품은 삶의 경험과 연관되어 종교적 신비주의, 죽음과 실존, 예술가의 고뇌 등을 다루며 20세기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의미 유사도 - 반의어
    반의어는 의미가 반대되는 낱말이나 어구로, 한자 구성 방식이나 의미상 관계에 따라 분류되지만, 품사가 항상 같지 않고 문맥에 따라 관계가 달라지는 모호성을 지니며, 언어의 문화적 배경과 사용 문맥에 의존한다.
  • 의미 유사도 - 시맨틱 네트워크
    시맨틱 네트워크는 개념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지식 표현 방법으로, 노드와 링크를 사용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며 인공지능,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가족 유사성
철학적 개념
정의여러 사물이나 개념들이 공통된 본질을 공유하지 않더라도, 서로 겹치는 유사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는 철학적 개념
기원
창시자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독일어 명칭Familienähnlichkeit (Familienähnlichkeit)
영문 명칭family resemblance (패밀리 리젬블런스)
특징
설명어떤 특징이 모든 구성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가족 구성원 간에 공유되는 특징들의 복잡한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음.
예시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다른 눈 색깔, 키, 걸음걸이 등을 가질 수 있지만, 이들의 조합이 "가족"이라는 인상을 형성.
함의
개념 정의특정 범주에 속하는 사물이나 개념을 정의할 때, 명확하고 공통된 특징을 찾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
범주화범주화는 엄격한 규칙이나 정의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유사성에 기반한 유연한 과정임을 강조.
활용
철학개념 분석, 언어 철학, 인식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인지 과학인간의 범주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
인공지능패턴 인식, 머신 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같이 보기
관련 개념원형 이론
퍼지 논리
유형 이론

2. 철학적 배경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본질, 정신적 실체, 그리고 이전 세기 말 대륙철학에서 당연하게 여겨졌던 관념론에 대한 비판을 포함한다.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그러한 오류의 주요 원인은 언어와 그에 대한 비판 없는 사용이다. 일반적인 견해에서 개념, 범주, 종류는 그것들에 포함되는 모든 항목에 공통적인 필수적인 특징에 의존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추상화는 이러한 필연성을 인정하고 본질을 도출하는 절차이지만, 단일한 공통 특징이 없다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

2. 1. 언어 게임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존재하는 유사한 성질을 가족 유사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사람인 A, B, C, D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A와 B가 특징1이 닮았고, B와 C가 또 특징2가 닮았고, C와 D가 특징3이 닮았고, A와 D가 특징4가 닮았다면 모두가 공통되는 특징은 없지만, 서로 교차한 유사성 때문에 그들을 가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런 유사성이 바로 가족 유사성이다.

가족 유사성이라는 주제가 등장하는 지역적 맥락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비판이다. 『철학적 탐구』 §65-71에서 언어 사용의 다양성은 게임의 다양성과 비교된다. 다음으로 게임에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지만 모든 게임에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은 없다는 것이 주장된다. 이러한 주장 전체는 '언어 게임'이라는 제목으로 유명해졌다.

2. 2. 본질주의 비판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존재하는 유사한 성질을 가족 유사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A, B, C, D가 있을 때, A와 B는 특징1이 닮았고, B와 C는 특징2가 닮았고, C와 D는 특징3이 닮았고, A와 D는 특징4가 닮았다면, 모두에게 공통되는 특징은 없지만 서로 교차하는 유사성 때문에 그들을 가족으로 인식할 수 있다.

가족 유사성 개념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비판에서 등장한다. 철학적 탐구 §65-71에서 언어 사용의 다양성은 게임의 다양성과 비교된다. 게임에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지만, 모든 게임에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은 없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이러한 주장은 '언어 게임'이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비트겐슈타인 철학은 본질, 정신적 실체, 그리고 이전 세기 말 대륙철학에서 당연하게 여겨졌던 관념론에 대한 비판을 포함한다.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그러한 오류의 주요 원인은 언어와 그에 대한 비판 없는 사용이다. 일반적인 견해에서 개념, 범주, 종류는 그것들에 포함되는 모든 항목에 공통적인 필수적인 특징에 의존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추상화는 이러한 필연성을 인정하고 본질을 도출하는 절차이지만, 단일한 공통 특징이 없다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

3. 용어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존재하는 유사한 성질을 가족 유사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A, B, C, D라는 서로 다른 사람들이 있을 때, A와 B는 특징1이 닮았고, B와 C는 특징2가 닮았고, C와 D는 특징3이 닮았고, A와 D는 특징4가 닮았다면, 이들 모두에게 공통되는 특징은 없지만 서로 교차하는 유사성 때문에 가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성이 가족 유사성이다.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특징인 "가족 유사성"(Family resemblance)이라는 용어는 영어 번역 과정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비트겐슈타인은 주로 독일어로 저술하면서 Familienähnlichkeit|파밀리엔엔리히카이트de라는 독일어 합성어를 사용했지만, 영어로 강의하거나 대화할 때는 'family likeness'를 사용했다(예: 『푸른 책』(The Blue Book), 17, 33쪽; 『갈색 책』(The Brown Book), §66). 그러나 『철학적 탐구』(Philosophical Investigations)에서는 별개의 단어 Ähnlichkeit|엔리히카이트de가 §§11, 130, 185, 444에서 'similarity'(유사성)로 번역되었고, §§9, 90에서는 두 차례 'like'(비슷한)으로 번역되었다. 독일어 가족 관련 단어는 흔하며, 그림 사전(Deutsches Wörterbuch)에도 나온다. 'family likeness'는 1877년 J. F. 몰턴의 강의에서 드물게 사용된 기록이 있다.[6]

4. 예시와 인용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존재하는 유사한 성질을 가족 유사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A, B, C, D 네 사람이 있을 때, A와 B는 특징1이, B와 C는 특징2가, C와 D는 특징3이, A와 D는 특징4가 닮았다면, 모두에게 공통된 특징은 없지만 서로 교차하는 유사성 때문에 이들을 가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저술에서 가족 유사성을 설명하기 위해 게임, 숫자, 실 등의 예시를 사용하고, 인용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한다.[1] 그는 이러한 예시들에서 명확한 경계를 찾기 어렵고, 이러한 불확정성이 가족 유사성의 핵심 주장과 분리될 수 있는지에 대한 모호함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4. 1. 게임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저술에서 '게임'을 주요 예시로 삼고, 숫자를 언급하며 실과의 유추를 제시한다.[1] 그는 이러한 경우 명확한 경계가 없으며, 이러한 불확정성이 핵심 주장과 분리될 수 있는지 여부에 모호함이 발생한다고 주장하며 논의를 더욱 발전시킨다.[1]

§66에서 비트겐슈타인은 "예를 들어 우리가 '게임'이라고 부르는 행위들을 생각해 보라…[그리고] 모든 것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있는지 살펴보라."라고 제안한다.[1]

이 절에서는 카드 게임, 보드 게임, 공놀이, 링어링어로제스와 같은 게임 등을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결론짓는다.[1]

"그리고 우리는 수많은 다른 게임 그룹들을 같은 방식으로 살펴볼 수 있다. 유사점이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는 복잡하게 얽히고 겹쳐진 유사성의 그물을 본다. 때로는 전반적인 유사성도 있다."

다음 §67은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1]

"이러한 유사성을 특징짓는 데 있어 '''가족적 유사성'''보다 더 나은 표현을 생각할 수 없다. 가족 구성원 사이의 다양한 유사성, 즉 체격, 특징, 눈 색깔, 걸음걸이, 기질 등등이 같은 방식으로 겹쳐지고 서로 얽혀 있다. – 그리고 나는 이렇게 말하겠다. '게임'은 하나의 가족을 형성한다."

그리고 예시를 확장한다.[1]

"예를 들어, 숫자의 종류도 같은 방식으로 가족을 형성한다. 우리는 어떤 것을 왜 '숫자'라고 부르는가? 아마도 그것은 지금까지 숫자라고 불렸던 여러 가지 것들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가 같은 이름으로 부르는 다른 것들과 간접적인 관계를 갖게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실을 잣듯이 섬유를 꼬아 숫자에 대한 개념을 확장한다. 그리고 실의 강도는 어떤 하나의 섬유가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기 때문이 아니라 많은 섬유가 겹쳐 있기 때문이다."

경계의 문제는 §68에서 시작된다.[1]

"나는 '숫자'라는 개념에 엄격한 한계를 줄 수 있다…즉, '숫자'라는 단어를 엄격하게 제한된 개념에 사용할 수 있지만, 개념의 범위가 경계로 닫히지 않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우리는 '게임'이라는 단어를 이런 식으로 사용한다. 게임의 개념은 어떻게 경계 지어지는가? 무엇이 여전히 게임으로 간주되고 무엇이 더 이상 게임으로 간주되지 않는가? 경계를 정의할 수 있는가? 아니다. 경계를 그릴 수는 있지만, 아직까지 그려진 경계는 없다. (하지만 당신이 '게임'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이전에는 결코 당신을 괴롭히지 않았다.)"

4. 2. 숫자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저술에서 게임을 주요 예시로 삼고, 숫자를 언급하며 실과의 유추를 제시한다. 그는 이러한 경우 명확한 경계가 없으며, 이러한 불확정성이 핵심 주장과 분리될 수 있는지 여부에 모호함이 발생한다고 주장하며 논의를 더욱 발전시킨다.[1]

§67에서 비트겐슈타인은 예시를 확장한다.[1]

For example, the kinds of number form a family in the same way. Why do we call something a "number"? Well, perhaps because it has a—direct—relationship with several things that have hitherto been called number; and this can be said to give it an indirect relationship to other things we call the same name. And we extend our concept of number as in spinning a thread we twist fibre on fibre. And the strength of the thread does not reside in the fact that some one fibre runs through its whole length, but in the overlapping of many fibres.|예를 들어, 숫자의 종류도 같은 방식으로 가족을 형성한다. 우리는 어떤 것을 왜 "숫자"라고 부르는가? 아마도 그것은 지금까지 숫자라고 불렸던 여러 가지 것들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가 같은 이름으로 부르는 다른 것들과 간접적인 관계를 갖게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실을 잣듯이 섬유를 꼬아 숫자에 대한 개념을 확장한다. 그리고 실의 강도는 어떤 하나의 섬유가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기 때문이 아니라 많은 섬유가 겹쳐 있기 때문이다.영어

경계의 문제는 §68에서 시작된다.[1]

I can give the concept 'number' rigid limits…that is, use the word "number" for a rigidly limited concept, but I can also use it so that the extension of the concept is not closed by a frontier. And this is how we do use the word "game". For how is the concept of a game bounded? What still counts as a game and what no longer does? Can you give the boundary? No. You can draw one; for none has so far been drawn. (But that never troubled you before when you used the word "game".)|나는 '숫자'라는 개념에 엄격한 한계를 줄 수 있다…즉, "숫자"라는 단어를 엄격하게 제한된 개념에 사용할 수 있지만, 개념의 범위가 경계로 닫히지 않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우리는 "게임"이라는 단어를 이런 식으로 사용한다. 게임의 개념은 어떻게 경계 지어지는가? 무엇이 여전히 게임으로 간주되고 무엇이 더 이상 게임으로 간주되지 않는가? 경계를 정의할 수 있는가? 아니다. 경계를 그릴 수는 있지만, 아직까지 그려진 경계는 없다. (하지만 당신이 "게임"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이전에는 결코 당신을 괴롭히지 않았다.)영어[1]

4. 3. 실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저술에서 게임을 주요 예시로 삼고, 숫자를 언급하며 실과의 유추를 제시한다. 그는 이러한 경우 명확한 경계가 없으며, 이러한 불확정성이 핵심 주장과 분리될 수 있는지 여부에 모호함이 발생한다고 주장하며 논의를 더욱 발전시킨다.[1]

§66에서 비트겐슈타인은 "게임"이라고 부르는 행위들을 살펴보고 모든 것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있는지 살펴보라고 제안한다.[1]

이 절에서는 카드 게임, 보드 게임, 공놀이, 링어링어로제스와 같은 게임 등을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결론짓는다.[1]

"우리는 수많은 다른 게임 그룹들을 같은 방식으로 살펴볼 수 있다. 유사점이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는 복잡하게 얽히고 겹쳐진 유사성의 그물을 본다. 때로는 전반적인 유사성도 있다."[1]

다음 §67은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1]

"이러한 유사성을 특징짓는 데 있어 '''가족적 유사성'''보다 더 나은 표현을 생각할 수 없다. 가족 구성원 사이의 다양한 유사성, 즉 체격, 특징, 눈 색깔, 걸음걸이, 기질 등등이 같은 방식으로 겹쳐지고 서로 얽혀 있다. – 그리고 나는 이렇게 말하겠다. "게임"은 하나의 가족을 형성한다."[1]

그리고 예시를 확장한다.[1]

"예를 들어, 숫자의 종류도 같은 방식으로 가족을 형성한다. 우리는 어떤 것을 왜 "숫자"라고 부르는가? 아마도 그것은 지금까지 숫자라고 불렸던 여러 가지 것들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가 같은 이름으로 부르는 다른 것들과 간접적인 관계를 갖게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실을 잣듯이 섬유를 꼬아 숫자에 대한 개념을 확장한다. 그리고 실의 강도는 어떤 하나의 섬유가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기 때문이 아니라 많은 섬유가 겹쳐 있기 때문이다."[1]

경계의 문제는 §68에서 시작된다.[1]

"나는 '숫자'라는 개념에 엄격한 한계를 줄 수 있다…즉, "숫자"라는 단어를 엄격하게 제한된 개념에 사용할 수 있지만, 개념의 범위가 경계로 닫히지 않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우리는 "게임"이라는 단어를 이런 식으로 사용한다. 게임의 개념은 어떻게 경계 지어지는가? 무엇이 여전히 게임으로 간주되고 무엇이 더 이상 게임으로 간주되지 않는가? 경계를 정의할 수 있는가? 아니다. 경계를 그릴 수는 있지만, 아직까지 그려진 경계는 없다. (하지만 당신이 "게임"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이전에는 결코 당신을 괴롭히지 않았다.)"[1]

4. 4. 경계의 문제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저술에서 게임을 주요 예시로 삼고, 숫자를 언급하며 실과의 유추를 제시한다. 그는 이러한 경우 명확한 경계가 없으며, 이러한 불확정성이 핵심 주장과 분리될 수 있는지 여부에 모호함이 발생한다고 주장하며 논의를 더욱 발전시킨다.[3]

§68에서 비트겐슈타인은 '숫자'라는 개념에 엄격한 한계를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즉, "숫자"라는 단어를 엄격하게 제한된 개념에 사용할 수 있지만, 개념의 범위가 경계로 닫히지 않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그는 "게임"이라는 단어가 이런 식으로 사용된다고 말하며, 게임의 개념은 어떻게 경계 지어지는가? 무엇이 여전히 게임으로 간주되고 무엇이 더 이상 게임으로 간주되지 않는가? 경계를 정의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경계를 그릴 수는 있지만, 아직까지 그려진 경계는 없다고 답한다.[7]

5. 형식 모델

§66-9의 본문에서 유도할 수 있는 몇 가지 간단한 모델[7][8]이 있다. 비트겐슈타인의 설명에 가장 잘 맞는 가장 간단한 모델은 소리테스 역설 유형으로 보인다.

비트겐슈타인은 모든 항목에 공유되는 것으로서 특징 또는 '속성'의 선택적 결합을 거부한다. 그는 '공유'가 모든 것에 공통적이라는 것을 인정하지만, 그것은 단지 언어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 "누군가가 '이 모든 구성물에는 공통적인 것이 있다. 즉, 모든 공통 속성의 선택적 결합이다'라고 말하고 싶다면, 나는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당신은 단지 말장난을 하고 있을 뿐이다. 마치 '연속적인 섬유의 겹침이라는 것이 전체 실을 관통한다'라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5. 1. 소리테스 역설 유형 모델

소리테스 역설 유형으로 보이는 모델은 특징 A, B, C, D, ...로 설명되는 항목 ''Item_1'', ''Item_2'', ''Item_3''...의 집합으로 구성된다.[7][8]

Item_1: A B C D
Item_2: B C D E
Item_3: C D E F
Item_4: D E F G
Item_5: E F G H
......... . . . .



무한히 확장되는 순서화된 가족을 보여주는 이 예에서, 유사성은 공유된 특징에서 볼 수 있다. 각 항목은 이웃 항목과 세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Item_2''는 B, C, D 측면에서 ''Item_1''과 유사하고, C, D, E 측면에서 ''Item_3''과 유사하다. '유사성'이라고 부르는 것은 각각의 경우에 다른 측면을 포함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서로 다른 '정도'를 가지며, 여기서는 '거리'에 따라 약해진다. ''Item_1''과 ''Item_5''는 공통점이 없다.

다른 간단한 모델은 다음과 같다.

Item_1: A B C
Item_2: B C D
Item_3: A C D
Item_4: A B D



이것은 일정한 정도의 유사성이 존재하고, 무한대로 확장되지 않고 공통된 특징이 없음을 보여준다.

비트겐슈타인은 모든 항목에 공유되는 것으로서 특징 또는 '속성'의 선택적 결합 {A, B, C, D,..}을 거부한다. 그는 '공유'가 모든 것에 공통적이라는 것을 인정하지만, 그것은 단지 언어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5. 2. 선택적 결합 모델

§66-9의 본문에서 유도할 수 있는 몇 가지 간단한 모델[7][8]이 있다. 비트겐슈타인의 설명에 가장 잘 맞는 가장 간단한 모델은 소리테스 역설 유형으로 보인다. 이는 특징 A, B, C, D, ...로 설명되는 항목 ''Item_1'', ''Item_2'', ''Item_3''...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아래는 그 예시이다.

''Item_1'': A B C D


''Item_2'': B C D E


''Item_3'': C D E F


''Item_4'': D E F G


''Item_5'': E F G H


......... . . . .

무한히 확장되는 순서화된 가족을 보여주는 이 예에서, 유사성은 공유된 특징에서 볼 수 있다. 각 항목은 이웃 항목과 세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Item_2''는 B, C, D 측면에서 ''Item_1''과 유사하고, C, D, E 측면에서 ''Item_3''과 유사하다. '유사성'이라고 부르는 것은 각각의 경우에 다른 측면을 포함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서로 다른 '정도'를 가지며, 여기서는 '거리'에 따라 약해진다. ''Item_1''과 ''Item_5''는 공통점이 없다.

다른 간단한 모델은 다음과 같다.

''Item_1'': A B C


''Item_2'': B C D


''Item_3'': A C D


''Item_4'': A B D


이것은 일정한 정도의 유사성이 존재하고, 무한대로 확장되지 않고 공통된 특징이 없음을 보여준다.

비트겐슈타인은 모든 항목에 공유되는 것으로서 특징 또는 '속성'의 선택적 결합 {A, B, C, D,..}을 거부한다. 그는 '공유'가 모든 것에 공통적이라는 것을 인정하지만, 그것은 단지 언어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비트겐슈타인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며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 누군가가 "이 모든 구성물에는 공통적인 것이 있다. 즉, 모든 공통 속성의 선택적 결합이다"라고 말하고 싶다면, 나는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당신은 단지 말장난을 하고 있을 뿐이다. 마치 "연속적인 섬유의 겹침이라는 것이 전체 실을 관통한다"라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6. 주요 적용 분야

가족 유사성은 여러 분야에 적용되었다.


  • 과학: 토머스 쿤은 저서 《과학혁명의 구조》(1962)에서 비트겐슈타인의 개념을 사용했다.[9]
  • 예술: 모리스 와이츠는 예술을 설명하기 위해 이 개념을 처음 적용했다.[10]
  • 정치: 움베르토 에코는 파시즘의 발현이 가족 유사성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2] 렌퍼드 밤브로는 비트겐슈타인이 "보편자 문제"를 해결했다고 제안했다.[13] 로드니 니덤은 정치 동맹 문제와 관련하여 이 개념을 탐구했다.[7]
  • 인지 과학: 엘리너 로시는 인지주의 연구에서 가족 유사성을 사용했다.[15]
  • 기업가 정신: 다니엘 룬바흐는 기업가 정신이 가족 유사성 개념이라고 주장했다.[18]

6. 1. 과학

토머스 쿤은 그의 저서 《과학혁명의 구조》(1962) 5장('패러다임의 우선성')에서 비트겐슈타인의 개념을 사용했는데, 패러다임은 단일하게 발견 가능한 과학적 규칙들의 집합으로 환원될 수 없지만, 과학 공동체의 일부가 인식하는 다른 규칙들과 관련된 가정들로 구성된다고 보았다.[9]

모리스 와이츠는 처음으로 가족 유사성을 예술을 설명하기 위해 적용했으며,[10] 이는 계속되는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1] 움베르토 에코는 제도들이 세부 사항에서 크게 다를 수 있지만, 파시즘의 발현은 일종의 가족 유사성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2]

렌퍼드 밤브로는 비트겐슈타인이 "보편자 문제"를 해결했다고 제안했으며, 그의 해결책에 대해 "문자의 공화국에서 최근 몇 년 동안 이루어진 가장 위대하고 귀중한 발견 중 하나"라고 말했다.[13] 그의 견해는 수많은 추가적인 논평을 낳았다.[14]

로드니 니덤은 정치 동맹 문제와 관련하여 가족 유사성을 탐구했고, 분류학에서 다형적 분류로 알려진 가족 유사성의 존재를 지적했다.[7]

엘리너 로시는 인지주의 연구에서 가족 유사성을 사용했다.[15] 다른 인지 연구[16]는 어린이와 심지어 붉은털원숭이조차도 범주를 학습할 때 명시적인 규칙[17]보다는 가족 유사성 관계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니엘 룬바흐는 기업가 정신이 가족 유사성 개념이라고 주장했다.[18]

6. 2. 예술

모리스 와이츠는 예술을 설명하기 위해 가족 유사성을 처음으로 적용했으며,[10] 이는 현재까지도 계속되는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1]

6. 3. 정치

로드니 니덤(Rodney Needham)은 정치 동맹 문제와 관련하여 가족 유사성을 탐구했고, 분류학에서 다형적 분류로 알려진 가족 유사성의 존재를 지적했다.[7]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는 제도들이 세부 사항에서 크게 다를 수 있지만, 파시즘의 발현은 일종의 가족 유사성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2]

6. 4. 인지 과학

엘리너 로시(Eleanor Rosch)는 인지주의 연구에서 가족 유사성을 사용했다.[15] 다른 인지 연구에서는[16] 어린이와 심지어 붉은털원숭이조차도 범주를 학습할 때 명시적인 규칙[17]보다는 가족 유사성 관계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6. 5. 기업가 정신

다니엘 룬바흐(Daniel Leunbach)는 기업가 정신이 가족 유사성 개념이라고 주장했다.[18]

7. 비판과 논평

철학적 탐구에서 주로 가족 유사성이 논의되지만, 비트겐슈타인의 다른 저서, 특히 《갈색 책》에도 이 주제가 등장한다.[19] 이 논의에 대한 많은 기여는 철학 연구뿐만 아니라 분류학[4] 또는 정보 처리[20] 와 같은 실용적인 문제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한스 슬루가는 "가족 유사성의 개념은… 두 가지 매우 다른 개념 집합, 두 가지 다른 어휘를 사용하지만 마치 그것들이 하나와 같은 것인 양 다룬다. 첫 번째는 친족 관계, 혈통, 어떤 종류의 실제적이고 인과적인 연결에 대한 어휘이다… 두 번째는 유사성, 닮음, 친화성 및 대응에 대한 어휘이다"라고 언급했다.[21]

비트겐슈타인이 경계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임의적으로 추적될 수 있다는 주장은 관습주의로 묘사되었으며, 더 일반적으로 그의 개념에 대한 수용은 정교한 명목주의를 제시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22]

7. 1. 관습주의와 명목주의

《철학적 탐구》는 가족 유사성을 논의할 때 주로 사용되는 텍스트이지만, 비트겐슈타인의 다른 저서, 특히 《갈색 책》에도 이 주제가 등장한다.[19] 이 논의에 대한 많은 기여는 철학 연구에 참여하지만 분류학[4] 또는 정보 처리[20]와 같은 보다 실용적인 문제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한스 슬루가는 "가족 유사성의 개념은… 두 가지 매우 다른 개념 집합, 두 가지 다른 어휘를 사용하지만 마치 그것들이 하나와 같은 것인 양 다룬다. 첫 번째는 친족 관계, 혈통, 어떤 종류의 실제적이고 인과적인 연결에 대한 어휘이다… 두 번째는 유사성, 닮음, 친화성 및 대응에 대한 어휘이다"라고 언급했다.[21]

비트겐슈타인이 경계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임의적으로 추적될 수 있다는 주장은 관습주의로 묘사되었으며, 더 일반적으로 그의 개념에 대한 수용은 정교한 명목주의를 제시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22]

7. 2.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한국 사회에서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존재하는 유사한 성질을 '가족 유사성'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A, B, C, D라는 사람들이 있을 때, A와 B는 특징1이 닮았고, B와 C는 특징2가 닮았고, C와 D는 특징3이 닮았고, A와 D는 특징4가 닮았다고 가정해 보자. 이들 모두에게 공통된 특징은 없지만, 서로 교차하는 유사성 때문에 이들을 하나의 가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성이 바로 가족 유사성이다.

참조

[1] 서적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lackwell Publishing
[2] 간행물 Family Resemlance
[3] 서적 Culture and Value Blackwell
[4] 간행물 Non-essentialist methods in pre-Darwinian taxonomy
[5] 서적 Postawa estetyczna, literacka i poetycka
[6] 간행물 Wittgenstein, Universals and Family Resemblance
[7] 웹사이트 Polythetic classification: Convergence and consequences https://www.scribd.c[...] 2024-04-01
[8] 간행물 Kuhn's account of family resemblance
[9] 서적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간행물 The Role of Theory in Aesthetics
[11] 웹사이트 Family Resemblances Relationism and the Meaning of Art http://www.missouris[...] 2010-11-08
[12] 잡지 Ur-Fascism http://www.nybooks.c[...] 2018-07-01
[13] 간행물 Universals and Family Resemblance
[14] 서적 Wittgenstein, Language and Information
[15] 간행물 Family resemblances: studies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categories
[16] 간행물 Rules and Resemblance: Their Changing Balance in the Category Learning of Humans (Homo sapiens) and Monkeys (Macaca mulatta) 2019-03-01
[17] 간행물 Family resemblance: a reply
[18] 간행물 Entrepreneurship as a family resemblance concept: A Wittgensteinian approach to the problem of defining entrepreneurship 2021-03-01
[19] 서적 The Blue and Brown Books Blackwell
[20] 서적 Wittgenstein, Language and Information Springer
[21] 간행물 Family Resemlance
[22] 웹사이트 Resemblance Nominalism http://www.blackwell[...] Blackwell Dictionary of Western Philosophy 2019-12-01
[23] 문서 §§66-67
[24] 웹사이트 http://www.nalm.inf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