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쪽무릎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쪽무릎핵(LGN, 외측슬상핵)은 좌우 대뇌 반구에 각각 존재하며,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핵심 영역이다. 일반적으로 6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망막 신경절 세포의 종류에 따라 거대세포층, 소세포층, 먼지세포층으로 나뉜다. 각 층은 시각 정보의 특정 측면(움직임, 색상, 형태 등)을 처리하며, 망막과 시각 피질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LGN은 망막, 시각 피질, 상구 등 다양한 뇌 영역으로부터 입력을 받으며, 시각 피질, V2, V3 영역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설치류의 경우 등쪽 가쪽무릎핵, 배쪽 가쪽무릎핵, 가쪽무릎핵간 소엽으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각계 - 눈 (해부학)
    눈은 빛을 감지하여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감각 기관이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안구, 시신경, 부속기로 구성되며, 진화 과정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해왔다.
  • 시각계 - 시각 영역
    시각 영역은 눈으로 볼 수 있는 시야의 범위로, 정상 범위는 수평 180~200도, 수직 130~140도이며, 시야 결손은 다양한 질환이나 뇌 손상으로 발생하고 시야 검사로 진단한다.
가쪽무릎핵
개요
라틴어 명칭Corpus geniculatum laterale
약칭LGN, LGB, LG
위치시상
관련 계통시각계
구성 요소해당사항 없음
동맥전맥락총동맥, 후대뇌동맥
정맥기저정맥
구조 및 기능
역할뇌의 시각 시스템의 구성 요소
기능시각 정보 처리
식별
AnatomographyPartsIDFMA62209
BredeROI 번호237
NeuroNames ID352
NIF외측 슬상체
MeshName슬상체
그레이 해부학189
그레이 해부학 단락16
추가 정보
참고 문헌Cudeiro & Sillito (2006)

2. 구조

가쪽무릎핵(외측슬상핵)은 좌우 대뇌 반구에 각각 하나씩 존재하며, 굽은 무릎 모양을 하고 있어 '슬상핵'이라는 이름이 붙었다.[3][4] 이는 인간뿐만 아니라 많은 다른 영장류에서도 관찰되는 구조이다.

시상핵


인간의 가쪽무릎핵은 일반적으로 6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쪽의 1층과 2층은 큰세포층(거대세포층)이고, 바깥쪽의 3, 4, 5, 6층은 작은세포층(소세포층)이다. 각 층 사이에는 먼지세포층(코니오세포층)이 존재한다.[3][4] 이러한 층상 구조는 영장류 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성인 인간의 가쪽무릎핵 부피는 평균 약 118mm3이며, 연구에 따르면 91~157mm3 정도의 변이가 나타났다.[5] 이 중 거대세포층은 약 28mm3, 소세포층은 약 90mm3를 차지한다.[5]

가쪽무릎핵은 양쪽 눈에서 오는 정보를 받지만, 각각 시야의 반대편 절반에 해당하는 정보만을 처리한다. 즉, 오른쪽 가쪽무릎핵은 왼쪽 시야의 정보를, 왼쪽 가쪽무릎핵은 오른쪽 시야의 정보를 받는다. 각 가쪽무릎핵 내에서 같은 쪽 눈(동측 눈)에서 온 정보는 2, 3, 5층으로, 반대쪽 눈(대측 눈)에서 온 정보는 1, 4, 6층으로 전달된다.[9]

2. 1. 세포 구성

외측슬상핵은 주로 세 가지 유형의 세포층으로 구성된다.

유형크기*RGC 근원정보 유형위치반응
M: 거대세포우산 세포움직임, 깊이 및 미세한 밝기 차이 감지1, 2층빠르고 일시적?
P: 소세포작음왜소 세포색상 및 형태 감지 (세부 사항)3, 4, 5, 6층느리고 지속적?
K: 사립세포매우 작은 세포체이층 세포M층과 P층 사이


  • 크기는 세포체와 수상돌기 나무를 설명하지만 수용 영역을 설명할 수도 있다.


M-, P-, K-층의 상대적 위치 (원숭이)


LGN의 거대세포, 소세포 및 사립세포 층은 유사하게 명명된 유형의 망막 신경절 세포와 일치한다. 망막 P 신경절 세포는 소세포 층으로 축삭을 보내고, M 신경절 세포는 거대세포 층으로 축삭을 보내며, K 신경절 세포는 사립세포 층으로 축삭을 보낸다.[6]

사립세포는 기능적으로나 신경화학적으로 M 세포 및 P 세포와 구별되며 시각 피질에 세 번째 채널을 제공한다. 이들은 M 세포와 P 세포가 투사되는 가쪽무릎핵 층 사이에 축삭을 투사한다. 시각적 인식에서의 역할은 현재 불분명하지만, 사립세포 시스템은 체감각 시스템-고유수용성 정보와 시각적 인식의 통합과 관련이 있으며, 색상 인식에도 관여할 수 있다.[7]

3. 기능

가쪽무릎핵(LGN)은 시상에 위치한 주요 시각 정보 처리 중계 핵으로, 망막에서 받은 시각 정보를 시각 피질로 전달하기 전에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LGN은 망막 신경절 세포의 종류에 따라 크게 세 층으로 나뉜다.

유형기능위치
M-세포층 (Magnocellular cells, 거대세포)크기가 크고, 움직임, 깊이, 밝기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빠른 처리를 담당한다.1층과 2층
P-세포층 (Parvocellular cells, 소세포)크기가 작고, 색과 형태(세부 특징)를 감지하며 느리지만 지속적인 처리를 담당한다.3, 4, 5층과 6층
K-세포층 (Koniocellular cells, 먼지세포성 세포/과립세포)크기가 매우 작고, M층과 P층 사이에 위치하며 기능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체감각-고유수용성 정보와 시각적 인식의 통합, 색상 인식 등에 관여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M층과 P층 사이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LGN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시공간적 상관관계 제거: 망막은 공간적 상관관계를 제거하는 반면, LGN은 시간적 상관관계를 제거하여 효율적인 코딩을 가능하게 한다.[17]
  • 주의 집중: 다른 중계 핵과 마찬가지로, LGN은 시각 시스템이 가장 중요한 정보에 주의를 집중하도록 돕는다.[18] 예를 들어, 청각 시스템과 협력하여 특정 방향으로 시각적 주의를 유도할 수 있다.
  • 수용 영역 개선: LGN은 특정 수용 영역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19]
  • 색 처리: LGN은 색 처리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서로 다른 광수용체 세포 유형 간의 신호를 비교하는 반대 채널을 생성한다.[7]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공간적 주의와 안구 운동 모두 LGN의 활동을 조절한다고 한다.[32]

3. 1. PGO 파

PGO파는 REM 수면 및 꿈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 PGO는 다리뇌(pons), (외측)가쪽무릎핵(geniculate) 그리고 후두엽피질(occipital)을 가리킨다.

4. 입력과 출력

가쪽무릎핵(LGN)은 망막뿐만 아니라 시각 피질, 상구, 시개전구역 등 다양한 뇌 영역으로부터 입력을 받는다.[12] 망막은 가쪽무릎핵 입력의 작은 비율만을 차지하며, 입력의 95%는 다른 뇌 영역에서 온다.[12] 이러한 비망막 입력은 흥분성, 억제성, 조절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가쪽무릎핵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12]

가쪽무릎핵은 M-세포층, P-세포층, K-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망막 신경절 세포의 종류에 따라 이름 붙여졌다.[37] 각 층은 같은 쪽 눈 또는 반대쪽 눈으로부터 정보를 받는다.[9]


  • 같은 쪽 눈(동측 눈)은 2, 3, 5층으로 정보를 보낸다.
  • 반대쪽 눈(대측 눈)은 1, 4, 6층으로 정보를 보낸다.


가쪽무릎핵에서 처리된 정보는 시방선을 통해 일차 시각 피질(V1)로 전달된다.[14] 거대 세포층(1–2층)과 소세포층(3–6층)은 V1의 4층으로 축삭을 보내고, 가쪽무릎핵 1–6층 사이에 끼어 있는 알맹이 세포층은 주로 V1의 2층과 3층으로 축삭을 보낸다.[14] 또한, 시각 피질의 6층에서 나온 축삭은 가쪽무릎핵으로 정보를 다시 보낸다.

블라인드 시각(맹시) 연구에 따르면 가쪽무릎핵에서 투사되는 정보는 일차 시각 피질뿐만 아니라 더 높은 피질 영역인 V2와 V3로도 이동한다.[15] 이는 가쪽무릎핵이 일차 시각 피질 외에도 고차 시각 피질에 정보를 전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5. 설치류의 외측슬상핵

설치류에서 가쪽무릎핵은 등쪽 가쪽무릎핵(dLGN), 배쪽 가쪽무릎핵(vLGN), 가쪽무릎핵간 소엽(IGL)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기능의 차이를 보이는 별개의 피질하 핵이다.

가쪽무릎핵의 주요 부분은 등쪽가쪽무릎핵(dLGN)이다. 생쥐에서 dLGN의 면적은 약 0.48mm2이다.[27] dLGN으로의 대부분의 입력은 망막에서 온다. 이는 층상 구조를 가지며 망막지도를 나타낸다.[27]

배쪽가쪽무릎핵은 도마뱀, 설치류, 소, 고양이, 영장류 등 여러 종에서 비교적 크게 발견되었다.[28] 초기 세포 구조 계획에 따르면 vLGN은 외부 부분과 내부 부분으로 나뉜다. 외부 부분과 내부 부분은 가는 섬유 그룹과 희소하게 분산된 뉴런 영역으로 구분된다. 여러 연구에서 다른 종의 vLGN을 더 세분화할 것을 제안했다.[29] 예를 들어, 고양이의 vLGN 세포 구조는 설치류와 다르다. 일부 연구에서는 고양이의 vLGN을 5개로 세분화했지만,[30] vLGN을 3개 영역(내측, 중간, 가쪽)으로 나누는 방식이 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사이사이 무릎핵(IGL)은 vLGN의 등쪽에 위치한 비교적 작은 영역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IGL을 vLGN의 내부 등쪽 부분이라고 언급했다. 여러 연구에서 인간을 포함한 여러 종에서 상동 부위를 설명했다.[31]

vLGN과 IGL은 신경 화학 물질, 입력 및 출력, 생리적 특성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vLGN과 IGL은 뉴로펩타이드 Y, GABA, 엔케팔린, 일산화질소 합성효소를 포함하여 세포에 집중적으로 존재하는 많은 신경 화학 물질을 공유한다. 세로토닌, 아세틸콜린, 히스타민,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은 이 핵의 섬유에서 발견되었다.

vLGN과 IGL은 모두 망막, 청반, 솔기에서 입력을 받는다. 상호 연결된 것으로 밝혀진 다른 연결에는 상구, 전개막, 시상 하부뿐만 아니라 다른 시상 핵도 포함된다.

생리적 및 행동 연구에서 종에 따라 다른 스펙트럼 감지 및 운동 감지 반응이 나타났다. vLGN과 IGL은 빛과 관련되지 않은 일주기 리듬의 위상과 빛에 의존적인 위상 이동을 매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9]

6. 추가 이미지

시상


뇌간 해부. 측면도.


시신경과 시각로의 중심 연결을 보여주는 도식.


시상 핵


시각로의 3D 개략도


뇌간. 후면도.

참조

[1] 논문 Looking back: corticothalamic feedback and early visual processing
[2] 서적 Sight unseen. Oxford University Press, Inc. 2004
[3] 서적 The central nervous system : structure and fun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4] 서적 Physiology of behavior Pearson/Allyn & Bacon 2007
[5] 논문 Correlated Size Variations in Human Visual Cortex, Lateral Geniculate Nucleus, and Optic Tract 1997
[6] 서적 Neuroscience Sinauer 2011
[7] 논문 Color-related signals in the primate superior colliculus 2009-09-30
[8] 문서 Goodale & Milner, 1993, 1995.
[9] 서적 From Neuron to Brain: Fourth Edition Sinauer Associates, Inc. 2001
[10] 논문 Unusual pattern of retinogeniculate projections in the controversial primate Tarsius 1996
[11] 논문 Overview of the visual system of Tarsius 2005-11
[12] 논문 Thalamic relay functions and their role in corticocortical communication: generalizations from the visual system 2002-01-17
[13] 논문 Pretectal and tectal projections to the homolog of the dorsal lateral geniculate nucleus in the pigeon—an anterograde and retrograde tracing study with cholera-toxin conjugated to horseradish-peroxidase
[14] 논문 The koniocellular pathway in primate vision
[15] 논문 Blindsight depends on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16] 문서 Intracellular recordings from binocularly activated cells in the cats dorsal lateral geniculate nucleus 1990
[17] 문서 Network–Temporal Decorrelation: A Theory of Lagged and Nonlagged Responses in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1995
[18] 논문 Attentional Modulation of Thalamic Reticular Neurons
[19] 논문 Colour and pattern selectivity of receptive fields in superior colliculus of marmoset monkeys
[20] 논문 A computational theory of visual receptive fields
[21] 논문 Normative theory of visual receptive fields
[22] 논문 Receptive field dynamics in the central visual pathways
[23] 문서 A modern view of the classical receptive field: linear and non-linear spatio-temporal processing by V1 neurons. In: Chalupa, L.M., Werner, J.S. (eds.) The Visual Neurosciences, vol. 1, pp. 704–719 MIT Press, Cambridge 2004
[24] 논문 Invariance of visual operations at the level of receptive fields
[25] 논문 Covariance properties under natural image transformations for the generalized Gaussian derivative model for visual receptive fields https://dx.doi.org/1[...] 2023
[26] 논문 Towards building a more complex view of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its role https://doi.org/10.1[...] 2017
[27] 논문 Abnormal functional organization in the dorsal lateral geniculate nucleus of mice lacking the beta2 subunit of th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2003-12-18
[28] 논문 Visual system of a naturally microphthalamic mammal: The blind mole rat, Spalax ehrenbergl 2004-10-09
[29] 논문 The ventral lateral geniculate nucleus and the intergeniculate leaflet: interrelated structures in the visual and circadian systems 1997
[30] 논문 The structure of the ventral part of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 a cyto- and myeloarchitectonic study in the cat 1972
[31] 논문 The geniculohypothalamic tract in monkey and man 1989
[32] 문서 Goodale & Milner, 1993, 1995.
[33] 서적 From Neuron to Brain: Fourth Edition Sinauer Associates, Inc. 2001
[34] 간행물 Unusual pattern of retinogeniculate projections in the controversial primate Tarsius 1996
[35] 간행물 Overview of the visual system of Tarsius 2005
[36] 서적 The subcortical visual system of primates Alan Liss 2005
[37] 서적 Neuroscience Sinauer 2011
[38] 저널 Color-related signals in the primate superior colliculus 2009-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