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먼지세포성 세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먼지세포성 세포(K 세포)는 신경화학적, 해부학적으로 거대세포(M 세포) 및 소세포(P 세포)와 구별되는 시상피질 뉴런의 한 유형이다. K 세포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색상 대비, 안구 운동 관련 신호, 신경 조절 경로 등에 기여할 수 있다. K 세포는 속세포층에 위치하며, 각 층은 M 층 또는 P 층과 동일한 망막 부분의 지배를 받는다. K 세포는 V1의 얕은 블롭과 제1층, 여외 선조 피질 영역, V2 및 하측두피질로 출력을 보낸다. 또한, 맹시 현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LGN에서 중간 측두 시각 영역(V5 또는 hMT)으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를 통해 운동 감지 능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상 - 큰세포성 세포
    큰세포 경로는 망막에서 외측 슬상 핵을 거쳐 시각 피질로 정보를 전달하며, 움직임, 깊이, 밝기 변화, 물체 위치 파악 및 행동 유도와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 시상 - 안쪽섬유띠
    안쪽섬유띠는 뇌간을 따라 올라가는 신경 섬유 다발로, 체감각 정보를 전달하며, 숨뇌에서 신경 섬유가 교차하여 시상으로 연결된다.
  • 시각계 - 눈 (해부학)
    눈은 빛을 감지하여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감각 기관이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안구, 시신경, 부속기로 구성되며, 진화 과정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해왔다.
  • 시각계 - 시각 영역
    시각 영역은 눈으로 볼 수 있는 시야의 범위로, 정상 범위는 수평 180~200도, 수직 130~140도이며, 시야 결손은 다양한 질환이나 뇌 손상으로 발생하고 시야 검사로 진단한다.
먼지세포성 세포
기본 정보
시상 먼지세포성 경로
시상 먼지세포성 경로
발견 위치영장류의 시상
기능시각 정보 처리
특징작고 염색이 약한 세포체, 독특한 신경 화학적 특성
상세 정보
분포시상의 층 사이에 위치
수용체망막의 작은 양반세포로부터 시각 정보를 받음
투사대뇌 피질의 1층과 3층으로 투사
신경 화학적 특성
특징칼빈딘,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와 같은 물질 발현
추가 정보
역할색상 인지, 시각적 주의, 정서 처리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

2. 구조

K 세포는 신경화학적, 해부학적으로 M 세포 및 P 세포와 구별된다. K 세포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단백질은 다음과 같다.[1]


  • 칼빈딘(28kDa 칼슘 결합 단백질, CALB)
  • II형 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의 알파 소단위체 (CAMKIIα)
  • 단백질 키나아제 C(PKC-γ)의 감마 소단위체


K 세포는 크기 면에서도 M 세포 및 P 세포와 다르며, 훨씬 작다. M 세포 및 P 세포와 달리, K 세포는 다른 시상피질 뉴런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이는 K 세포가 다른 시상피질 세포처럼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기능

K 세포는 이질적인 세포 집단이므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하위 부류를 포함할 가능성이 높다. 일부 세포는 색상에 반응하고, 일부는 무채색 격자에 반응하며, 다른 세포는 어떤 종류의 격자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K 세포는 공간 및 시간 시각의 측면에 기여할 수 있지만, 정확히 어떻게 기여하는지는 불분명하다. 몇 가지 가설은 다음과 같다.


  • K 세포는 색각을 가진 종에서 밝기 대비 정보와 색상 대비에 기여한다.
  • K 세포는 운동 관련 영역인 배외측 시각 영역 (DM, V6)으로 직접 투사하여 안구 운동 관련 신호에 기여한다.
  • K 세포는 V1의 가장 얕은 층인 층 I으로 투사하여 신경 조절 경로의 일부를 형성한다.[2]

4. 층

M, P, K 세포


각 거대세포층(M층)과 소세포층(P층)의 배쪽(ventral)에는 두께가 다른 속세포층(K층, koniocellular layer)이 위치한다. 원숭이의 외측슬상핵(LGN)에는 두 개의 거대세포층과 네 개의 소세포층이 있으며, 이에 따라 여섯 개의 속세포층(K1~K6)이 존재한다. M1층의 배쪽에 있는 K1층이 가장 크다. K2, K3, K4는 더 얇지만 상당한 두께의 뉴런 띠를 형성하며, 가장 등쪽(dorsal)에 위치한 두 층인 K5와 K6는 대부분 단층 구조를 이룬다.[1] 고양이 외측슬상핵의 W 세포와 유사한 생리학적 특성과 연결성을 가진 K 세포는 원숭이에서 기능에 따라 세 쌍의 층을 형성한다.

  • 중간 쌍 (K3, K4): 단파장 원뿔세포로부터 시토크롬 c 산화효소의 블롭으로 입력을 중계한다.
  • 가장 등쪽 쌍 (K5, K6): 저해상도 시각 정보를 V1의 제1층으로 중계한다.
  • 가장 배쪽 쌍 (K1, K2): 상구의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K 세포는 속세포층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M층과 P층 내에서도 소규모 그룹, 쌍 또는 단일 세포 형태로 발견된다. 또한, 일부 K 세포 집단은 인접한 두 K층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다리 구조를 형성하기도 한다.[1]

5. 입력

각 먼지세포성 세포(koniocellular, K) 층은 해당 K층의 등쪽에 위치한 거대세포성 세포(M)층 또는 소세포성 세포(P)층과 동일한 망막 영역으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총 6개의 K층이 존재하며, 망막과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 K1, K4, K6 층: 반대쪽 눈의 망막에서 입력을 받는다.
  • K3, K5 층: 같은 쪽 눈의 망막에서 입력을 받는다.
  • K2 층: 양쪽 눈의 망막 모두에서 입력을 받지만, 각 눈에서 오는 입력은 별개의 세부 층으로 나뉘어 전달된다. 이 중 등쪽 세부 층은 같은 쪽 망막, 복측 세부 층은 반대쪽 망막과 연결된다.[1]


K 세포는 주로 작은 이층성 세포, 희소 세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넓은 영역을 담당하는 세포들로부터 입력을 받으며, 아마도 큰 이층성 세포와 넓은 가시 세포도 포함될 것이다. 특히 이층성 세포는 짧은 파장(청색광) 신호를 외측슬상핵(LGN)으로 전달하는 신경절 세포이다. 중간 K층으로 들어오는 망막에서 시상으로 가는 신경 섬유는 중심에서는 켜지고(ON) 주변에서는 꺼지는(OFF) 청색-황색 반응을 보이는 수용 영역 특성을 나타낸다.[1] 희소 세포는 청색광에 반응하여 꺼지는(OFF)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작은 이층성 세포와 희소 세포 모두 K 세포로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K 세포는 주로 짧은 파장의 시각 정보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3]

망막 외에도 다른 뇌 영역에서 오는 입력이 있다. 시상하부에서 오는 피질시상하부 축삭은 LGN 내에서 수적으로 가장 많은 입력을 차지하며, 이는 K 세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K 세포는 M 세포나 P 세포와 달리 외선조 피질로부터도 입력을 받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상구의 얕은 회색층에서 나오는 축삭은 모든 K층으로 연결되는데, 특히 가장 복측에 있는 K층이 가장 강한 입력을 받는다. 이 때문에 K층은 상구와 기능적으로 연관되어 눈 운동의 반사적 조절 등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1] 결국, K 세포로 들어오는 망막 입력은 수적으로 훨씬 우세한 피질시상하부 신경 입력 및 뇌간 핵들로부터 오는 다양한 신경 입력과 함께 처리된다.

6. 출력

K 세포는 주로 시각 피질의 일차 시각 피질(V1) 내 특정 영역으로 축삭을 보낸다. 구체적으로 V1의 얕은 블롭과 제1층에서 종결된다. 일반적으로 등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K층(K5, K6)의 뉴런들은 V1의 제1층으로 많은 축삭을 보내는 경향이 있는 반면, K1부터 K4까지의 층들은 주로 블롭으로 축삭을 보낸다. 그러나 이 구분은 명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복부 가장자리의 K1, K2 뉴런에서 나온 축삭 역시 V1의 제1층을 지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 블롭에 대한 지배는 망막시상체 종말에서 알려진 패턴을 따른다.[1]

K층투사 대상 블롭
K1, K4, K6반대쪽 눈 기둥의 중심에 있는 블롭
K3, K5동측 눈 기둥의 중심에 있는 블롭
K2양쪽 모두 (반대쪽 눈 및 동측 눈 블롭을 지배하는 별도의 세포 계층 존재)



마카크 원숭이의 경우, 약 30개의 K 세포가 각각의 블롭으로 축삭을 보내며, 해부학적으로 구별되는 K 세포 하위 집단이 청/황색 블롭 또는 적/녹색 블롭과 같이 특정 유형의 블롭을 지배한다. 이 블롭의 뉴런들은 각각 청/황색 또는 적/녹색 색상 길항 반응을 보인다.[1]

또한 K 세포는 V1 외에도 여외 선조 피질 영역으로 축삭을 보낸다. 특히 이차 시각 피질(V2)과 하측두피질(IT)로 투사하는 K 세포들은 크기가 상당히 크다. 면역 염색 연구에 따르면, V2의 중심와 표현을 지배하는 K 세포들과는 별개로, 드문드문 넓게 분포하는 큰 K 세포들이 존재한다. 이 세포들은 상대적으로 더 조밀하게 뭉쳐 있으며, 외측 슬상핵(LGN)의 꼬리쪽(미측) 및 꼬리쪽 가장자리를 따라 발견된다.[1] 각 K층 전체에 걸쳐 여외 선조 피질을 지배하는 뉴런들이 존재하며, 이는 V1이 손상된 경우에도 일부 시각적 행동이 유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K 세포가 중간 측두 시각 영역(hMT)으로 직접 투사한다는 사실은 이러한 가설, 특히 맹시 이론을 뒷받침한다.[4]

7. 발생과 가소성

K 세포는 인접한 M 세포 및 P 세포와 동시에 생성되고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 LGN의 가장 복부 부위의 뉴런은 더 등쪽 층의 뉴런보다 먼저 발달한다. K1 층의 뉴런은 M1 층의 뉴런의 최종 유사 분열 시점과 가깝게 발달하며, K6 층의 뉴런은 P6 층의 뉴런보다 약간 먼저 발달한다.[1] LGN의 M 층과 P 층 및 V1에서의 축삭 종말은 패턴화된 시각 입력 손실 후에 퇴행하지만, K 세포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8. 맹시에 대한 이론

맹시(Blindsight)는 일차시각피질(V1)에 손상을 입은 환자가 시각적 인식 능력은 없지만, 움직임을 감지하는 능력은 유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인간의 뇌에서 움직임에 반응하는 영역은 V5 또는 hMT라고 불린다. 맹시가 발생하는 원인을 밝히기 위해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다. 과거에는 상구를 제거하면 V1을 거치지 않는 시각 경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맹시에서 상구의 역할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V1에 병변이 있는 경우, 외측 슬상핵(LGN)의 기능을 추가로 억제하면 중간 측두 시각 영역(MT)과 같은 외선조 영역의 신경 활동이 크게 감소한다.[5]

연구에 따르면, LGN에서 MT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가 존재하며, 이 경로는 주로 먼지세포성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로 MT로 직접 신호를 보내는 뉴런의 63%가 먼지세포성 세포이다. LGN에서 MT가 직접 받는 입력은, V1을 통해 MT로 전달되는 뉴런 집단의 약 10%에 해당한다. 이러한 결과는 먼지세포성 층이 V1을 거치지 않는 시각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먼지세포성 층은 상구로부터 입력을 받기 때문에, 이전에 제기된 상구의 역할은 먼지세포성 층의 기능을 통해 보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LGN, 더 정확하게는 먼지세포성 층에서 MT로 이어지는 이 직접적인 연결은 맹시 현상뿐만 아니라, 시각 기능이 정상인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움직이는 물체의 빠른 감지 능력까지 설명할 수 있다.[6]

참조

[1] 논문 The koniocellular pathway in primate vision 2000
[2] 논문 A comparison of koniocellular, magnocellular and parvocellular receptive field properties in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of the owl monkey (Aotus trivirgatus) 2001-02
[3] 논문 Retinal Ganglion Cell Inputs to the Koniocellular Pathway 2008
[4] 논문 Abnormal Contrast Responses in the Extrastriate Cortex of Blindsight Patients 2015
[5] 논문 Blindsight depends on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2010
[6] 논문 Bypassing V1: a direct geniculate input to area MT 2004
[7] 논문 The koniocellular pathway in primate vision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