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서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톨릭 서신은 신약성경에 포함된 일곱 개의 서신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4세기부터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특정 교파에 얽매이지 않았다. 가톨릭 서신은 요한 1서, 2서, 3서, 베드로 전서, 베드로 후서, 야고보서, 유다서로 구성된다. 저자 및 정경 채택에 대한 논란이 존재하며,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정경 채택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가톨릭 서신 | |
---|---|
일반 정보 | |
분류 | 신약성경의 책 |
다른 이름 | 공동 서간 일반 서간 |
구성 | |
권수 | 7권 |
포함 서간 | 야고보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요한1서 요한2서 요한3서 유다서 |
특징 | |
수신인 | 특정 교회가 아닌 보편적인 기독교인 |
2. 명칭
'가톨릭 서신'이라는 용어에서 '가톨릭'이라는 단어는 4세기부터 사용된 관례이다. 당시 이 단어는 특정 교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보편적', '일반적'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가톨릭'이라는 단어가 로마 가톨릭교회의 명칭 일부가 되었기 때문에, 이 서신들이 로마 가톨릭교회에만 국한된 문서라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 '일반 서신' 또는 '공동 선교 서신'과 같은 대체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세 개의 요한 서신은 저자가 명시되지 않은 익명의 서신이다. 전통적으로 이 서신들은 사도 요한, 즉 제베데오의 아들이자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의 저작으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이유로 저자가 직접 언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요한 서신'으로 불린다. 그러나 현대의 많은 학자들은 사도 요한이 실제 저자가 아닐 것으로 보며, 특정 역사적 인물에 대한 학계의 일치된 견해는 아직 없다. (요한 저작물 저자 참조).
가톨릭 서신이 신약성경의 정경으로 받아들여지는 과정은 초기 기독교 역사에서 논란의 대상이었다. 3세기 초, 신학자 오리겐은 이미 일부 기독교인들이 이 서신들을 받아들이지 않는 현상이 있음을 기록했다. 비록 4세기 후반부터는 가톨릭 서신들이 정경 목록에 널리 포함되기 시작했지만, 모든 기독교 공동체가 이를 즉시 수용한 것은 아니었다. 일부 집단에서는 6세기와 7세기에 이르기까지도 가톨릭 서신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고 계속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다.[11]
[1]
서적
Lost Christianities: The Battles for Scripture and the Faiths We Never Knew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역사적 맥락에서 '가톨릭'이라는 명칭은, 바울 서신처럼 특정 교회나 개인에게 보내진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교회 전체를 대상으로 쓰였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무라토리 단편에서도 이 서신들이 "공동 교회(기독교도 일반)를 위해" 쓰여졌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요한 2서는 "택함받은 부인"(교회를 상징한다는 해석도 있음)에게, 요한 3서는 "가이오"라는 특정 인물에게 보내졌기 때문에, 모든 서신을 '가톨릭' 즉 '보편적'이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9] 가이오의 정확한 신원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있지만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학자들은 '가톨릭'이라는 명칭이 원래 요한 1서에만 적용되었고, 이후 다른 비(非)바울 서신들로 그 범위가 확대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9]
한편, 일부 개신교에서는 이 서신들을 "소 서신"(Lesser Epistleseng)이라고 부르기도 했다.[10]
3. 저자
두 개의 베드로 서신은 시몬 베드로,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이 저자라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베드로 서신'으로 불린다. 하지만 현대 학자들 대부분은 베드로 후서가 베드로의 저작일 가능성이 낮다고 본다. 그 이유는 이 서신이 베드로가 사망한 지 오랜 시간이 지난 2세기 초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베드로 전서에 대한 의견은 더 나뉜다. 많은 학자들이 이 서신을 베드로의 진정한 저작으로 보기도 하지만,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베드로 전서는 바울로의 서신보다도 더 세련된 그리스어로 작성되었는데, 이는 글을 몰랐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대인 어부에게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바울로의 신학을 수용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이는 바울로와 베드로 사이에 존재했던 긴장 관계와 잘 맞지 않는다는 비판으로 이어진다.[1]
야고보서의 저자는 자신을 단순히 야고보(Ἰάκωβος|이아코보스grc)라고만 밝히고 있어, 이 인물이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예수의 형제 야고보를 언급하는 다른 신약성경 본문들과 연결 짓는 여러 전통적인 기독교 해석이 존재한다. 하지만 저자 자신이 예수와의 가족 관계를 전혀 언급하지 않기 때문에,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추정을 대체로 받아들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유다서 역시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다. 저자는 자신을 야고보의 형제(ἀδελφὸς δὲ Ἰακώβου|아델포스 데 이아코부grc) 유다(Ἰούδας|이우다스grc)라고 소개하지만, 여기서 언급된 야고보가 누구인지는 불분명하다. 일부 기독교 전통에서는 이 야고보를 야고보서의 저자와 동일 인물, 즉 예수의 형제로 간주한다. 그렇다면 유다 역시 예수의 형제가 되어야 하지만, 유다서 본문에서는 그러한 관계를 시사하는 내용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1]
위경일 가능성이 제기되는 베드로 후서를 제외한 일곱 개의 공동 서신들은 초기 교부들이 중요한 인물들에게 익명의 서신들을 귀속시키거나, 중요한 인물과 이름이 같은 저자의 서신을 그 중요한 인물에게 귀속시키는 과정을 통해 신약성경 정경에 포함된 것으로 여겨진다.[1]
4. 정경 채택 논란
참조
[2]
성경
James 1:1
[3]
성경
1 Peter 1:1
[4]
성경
2 Peter 1:1, "To those who have received a faith as precious as ours through the righteousness of our God and Savior Jesus Christ"
[5]
인용
[6]
성경
2 John 2
[7]
성경
3 John 1
[8]
성경
Jude 1, "To those who are called, who are beloved in God the Father and kept safe for Jesus Christ"
[9]
백과사전
katholieke brieven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1993-2002
[10]
서적
Light and truth: or, Bible thoughts and themes. The Lesser epistles.
https://catalog.hath[...]
J. Nisbet & co.
2017-03-14
[11]
간행물
The Amanuensis Hypothesis in New Testament Scholarship: Its Origin, Evidential Basis, and Application
http://journals.sage[...]
2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