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릴레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릴레온은 민코프스키 공간 위의 스칼라장 이론으로, 갈릴레이 변환에 대해 불변이다. 갈릴레온은 3차 이상의 고차 미분항을 포함하는 작용임에도 불구하고,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이 장의 2차 미분에만 의존하는 특성을 갖는다. 갈릴레온은 각종 중력 이론에 응용되며, 2009년에 발견되었다. 특수 갈릴레온은 갈릴레이 대칭 외에 특별한 대칭을 가지며, 2014년 경에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장론 - 페르미-디랙 통계
    페르미-디랙 통계는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르는 페르미 입자의 통계적 분포를 설명하는 양자 통계로, 금속 내 전자 현상 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페르미 입자가 특정 에너지 준위를 점유할 확률을 나타낸다.
  • 양자장론 - 양자 색역학
    양자 색역학은 색 전하를 국소 대칭으로 정의한 SU(3) 게이지 군의 비아벨 게이지 이론으로, 쿼크와 글루온을 기본 입자로 하여 쿼크 사이의 강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며, 점근적 자유성과 색 가둠의 특징을 가지는 이론이다.
갈릴레온
갈릴레온
분야이론 물리학
하위 분야고에너지 물리, 우주론
관련 개념스칼라장, 유효장 이론, 수정 중력
중요성암흑 에너지 및 우주 가속 팽창의 잠재적 설명, 수정 중력 이론 구성 요소
상세 정보
특징갈릴레오 변환에 대한 대칭성을 가짐, 2차 미분 항만 포함
수식 형태스칼라장 φ에 대한 특정 형태의 라그랑지안
라그랑지안 구성 요소φ
(∂μφ)(∂μφ)
□φ(∂νφ)(∂νφ)
... (더 높은 차수의 항 포함)
응용암흑 에너지 모형
우주론 모형
수정 중력 이론
역사
최초 제안2008년, 니콜라스 니마-하메드, 하오좐 셴, 마르코 베날리-가바지, 크리스토퍼 슈탁에 의해 제안됨
연구 동향다양한 변형 및 일반화 연구 진행 중, 우주론 및 입자 물리학 모형에 응용
참고 문헌
논문Thomas Curtright, David Fairlie, A galileon primer (영어)
Justin Khoury, Les Houches lectures on physics beyond the standard model of cosmology (영어)

2. 정의

민코프스키 공간 위의 스칼라장 \phi의 이론에서, 다음과 같은 갈릴레이 변환에 대해 불변인 경우 스칼라장 \phi를 '''갈릴레온'''이라고 한다.

:\phi(x) \mapsto \phi(x) + a + b_\mu x^\mu

2. 1. 작용

D차원 시공간에서 갈릴레온 \phi의 작용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띤다.

:\mathcal L = \sum_{n=0}^D \alpha_{n+1} \phi \epsilon^{\mu_1\dotso\mu_D} \epsilon^{\nu_1\dotso\nu_D} \prod_{i=1}^n \partial_{\mu_i}\partial_{\nu_i}\phi \prod_{j=n+1}^D g_{\mu_i\nu_i}

= D!\alpha_0 \phi

+ (D-1)! \alpha_1 \phi (\partial\phi)^2

+ (D-2)! \alpha_2 \phi ((\partial^2\phi)(\partial^2\phi)-(\partial_\mu\partial_\nu\phi)(\partial^\mu\partial^\nu\phi))

+ \dotsb

+ \delta^{\mu_1\dotso\mu_D}_{\nu_1\dotso\nu_D}

(\partial_{\mu_1}\partial_{\nu_2}\phi)

\dotsm

(\partial_{\mu_D}\partial_{\nu_D}\phi)



여기서 \alpha_0,\alpha_1,\dotsc는 임의의 실수 결합 상수이며, \delta^{\mu_1\dotso\mu_D}_{\nu_1\dotso\nu_D}는 일반화 크로네커 기호이다. ((\nu_1,\dotsc,\nu_D) = (\mu_{\sigma(1)},\dotsc,\mu_{\sigma(D)})일 때, \delta^{\mu_1\dotso\mu_D}_{\nu_1\dotso\nu_D}=(-)^\sigma).

양자역학적으로 이론이 잘 정의되려면, 즉 바닥 상태가 존재하려면 \alpha_1 = 0이어야 한다. 또한, 항상 \phi에 상수를 곱하여

:\alpha_2 = \frac{(-)^D}{2(D-1)!}

로 놓을 수 있다. (운동항의 규격화).

'''특수 갈릴레온'''(special galileon영어)은 다음과 같은 결합 상수를 갖는 갈릴레온이다.[3][4]

:\alpha_n =

\begin{cases}

\frac1{nM^{(n-2)(D+2)/2}}\binom D{n-1} & 2 \mid n \\

0 & 2 \not\mid n

\end{cases}



여기서 M은 질량 단위를 갖는 결합 상수이다. 특수 갈릴레온은 갈릴레이 대칭 외에도 다음과 같은 특별한 대칭을 갖는다.

:\phi \mapsto \phi + \theta^{\mu\nu} (M^{(D+2)}x_\mu x_\nu - \partial_\mu\phi\partial_\nu\phi)

예를 들어 4차원에서 특수 갈릴레온은 (장을 재정의하면) 다음과 같다.[7]

:\mathcal L = -\frac12(\partial\phi)^2 + \frac1{12\Lambda^6} (\partial\phi)^2 \left((\partial^2\phi)^2 - (\partial_\mu\partial_\nu\phi)(\partial^\mu\partial^\nu\phi)\right)

3. 성질

일반적으로, 3차 이상의 고차 미분항을 갖는 작용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장의 3차 이상의 미분에 의존하는 편미분 방정식이므로 불안정하다. 그러나 갈릴레온의 경우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오직 장의 2차 미분에만 의존한다. 즉, 장의 1차 및 0차 및 3차 이상의 미분은 장방정식에 등장하지 않는다.

4. 응용

갈릴레온은 각종 중력 이론에 등장한다.

5. 역사

갈릴레온은 2009년에 중력을 연구하던 중 발견되었다.[5] ‘갈릴레온’이라는 이름은 그 대칭이 마치 갈릴레이 변환과 흡사한 것에서 유래한다.

특수 갈릴레온은 2014년경에 발견되었다.[6][7]

참조

[1] 저널 A galileon primer
[2] 저널 Les Houches lectures on physics beyond the standard model of cosmology
[3] 저널 Geometry of the special galileon
[4] 저널 Special galileon at one loop
[5] 저널 The galileon as a local modification of gravity 2009
[6] 저널 Scattering Equations and Matrices: From Einstein To Yang-Mills, DBI and NLSM 2015
[7] 저널 A Hidden Symmetry of the Galile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