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옥 (만화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경옥은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1985년 《현재진행형(ING)》으로 데뷔하여, 순정 만화 최초의 SF 작품으로 평가받는 《별빛속에》를 발표했다. 이후 《라비헴 폴리스》, 《노말시티》 등의 작품을 선보이며 SF, 판타지, 공포 등 다양한 장르를 시도했다. 1999년 《두 사람이다》로 대한민국 출판만화대상 저작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설희》를 연재하고 있다. 2004년에는 《버츄얼 그림동화》로 독자만화대상 온라인만화부문 1위를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덕고등학교 (서울) 동문 - 한채진
한채진은 2003년 WKBL에 데뷔하여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구리 금호생명 레드윙스, 수원 OK저축은행 읏샷을 거쳐 현재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 여자 프로 농구 선수로, 다수의 WKBL 수상 경력과 올스타전 3점슛 콘테스트 우승 경력을 보유하며 WKBL을 대표하는 선수이다. - 성덕고등학교 (서울) 동문 - 간미연
간미연은 1997년 걸그룹 베이비복스 메인 보컬로 데뷔하여 그룹의 인기를 이끌었으며, 2006년 솔로 데뷔 후 중국 활동, 음반 발매, 라디오 DJ, 뮤지컬 배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 가수이다. - 대한민국의 만화가 - 차명진
차명진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 후 노동운동과 정치 활동을 거쳐 부천시 소사구에서 재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MBN 뉴스 패널 및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만화가 - 김태권
김태권은 서울대학교에서 미학과 서양고전학을 전공한 대한민국의 만화가이자 작가로, 2002년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로 데뷔하여 역사, 인문학, 사회 비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인문학적 깊이와 풍자, 해학을 통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들을 발표해왔다. - 1965년 출생 - 체링 톱게
체링 톱게는 2013년부터 2018년, 그리고 2024년부터 현재까지 부탄의 총리직을 수행하고 있는 정치인으로, 인민민주당 창당을 주도하며 정계에 입문하여 경제 발전, 투명성 강화, 그리고 탄소 중립 유지를 위한 환경 운동에 힘쓰고 있다. - 1965년 출생 - 교토쿠 고지
교토쿠 고지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다양한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2008년 부탄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남아시아 축구 연맹컵 준결승 진출, 2003년 시미즈 에스펄스 감독으로 J리그컵 준결승과 천황배 준결승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강경옥 (만화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강경옥 |
출생일 | 1965년 10월 16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만화가 |
활동 기간 | 1985년 ~ 현재 |
장르 | 로맨스 SF 판타지 |
주요 작품 | |
수상 | |
기타 |
2. 작품 활동
강경옥은 1985년 《현재진행형(ING)》로 데뷔했으나 연재가 중단되었고, 1986년 《이 카드입니까》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2] 1987년 《별빛속에》는 한국 순정만화 최초의 SF로 평가받으며, 이후 《라비헴 폴리스》, 《노말시티》 등의 SF 작품을 발표했다.[3] 1991년에는 판타지 《퍼플하트》를 연재했으나 중단되었고, 1999년에는 공포물 《두 사람이다》를 발표하여 2001년 대한민국 출판만화대상 저작상을 수상했다.[4] 《천애》와 《라비헴 폴리스》는 라디오 드라마로 제작되기도 했다. 현재는 《설희》를 연재 중이다.
2. 1. 초기 활동 (1985년 ~ 1990년대 초)
1985년 청소년 잡지 《여학생》에 《현재진행형(ING)》를 발표하며 데뷔하였으나, 갑작스럽게 연재가 중단되었다.[2] 1986년 《이 카드입니까》를 대본소용 단행본으로 내놓으며 본격적인 프로 작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하였다.1987년 대본소용 단행본으로 발표한 《별빛속에》는 대한민국 순정 만화 최초의 SF로 평가받고 있으며[3], 강경옥의 작품 중 가장 많이 재발행(현재까지 총 5판 발행)되었다. 강경옥은 SF에 많은 관심을 보여 《별빛속에》 이후에도 1989년 순정 만화 잡지 《르네상스》에 《라비헴 폴리스》를 연재하였다.
2. 2. 장르 확장과 실험 (1990년대 중반 ~ 2000년대 초)
1991년 잡지 《미르》에 판타지 장르인 《퍼플하트》를 연재했으나 중단되었고, 2001년 잡지 《케이크》에 다시 연재했으나 잡지의 폐간으로 중단되었다.[4] 1993년 서울문화사의 순정만화 잡지 《윙크》에 《노말시티》를 발표하며 SF 장르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했다. 1999년 《케이크》에 연재한 《두 사람이다》는 순정만화로는 드문 공포물로, 2001년 대한민국 출판만화대상 저작상을 수상하고 영화로도 제작되었다.[4] 《천애》는 옛날방송국을 통해, 《라비헴 폴리스》는 MBC 만화열전을 통해 각각 라디오 드라마로 제작·방송되었다.2. 3. 현재 (2000년대 중반 ~ 현재)
현재 만화 《설희》를 연재하고 있다.[2]3. 작품 목록
강경옥 작가의 작품은 출판 목록과 단편 목록으로 나눌 수 있다.
작품명 | 연재 | 단행본 | 특징 |
---|---|---|---|
《현재진행형 ing》 | 《여학생》 1985년 ~ | 1판: 전7권 2판: 대화 전4권 3판: 2001년 시공사 전4권 | |
《이 카드입니까》 | 1986년 전5권 2001년 시공사 전3권 | ||
《별빛속에》 | 1판: 전21권 2판: 전19권 3판: 르네상스 1~4권 중단 4판: 1999년 서울문화사 전10권 5판: 2005년 애니북스 전8권 | 약 2000쪽 | |
《라비헴 폴리스》 | 《르네상스》 1989년 ~ | 1992년 서화 전4권 2000년 시공사 전3권 | 2025년 근미래 SF |
《레드땅》 | 2002년 시공사 단편집 | ||
《거울나라의 수수께끼》 | 《내 친구들》(천주교 잡지) 1991년 ~, 16쪽 연재 | 1994년 대화 전2권 2003년 시공사 전2권 | |
《17세의 나레이션》 | 《하이센스》 | 1판: 2판: 2000년 시공사 전4권 3판: 2003년 시공사 애장판 전2권 | |
《퍼플 하트》 | 《미르》 1991년 ~ 폐간 재연재 《케이크》 2001년 15호 ~ 폐간 | 2001년 시공사 1 ~ 2권 | 미완 |
《펜탈+샌달》 | 《나나》 1992년 ~ | 1999년 시공사 전3권 | |
《스타가 되고 싶어?》 | 《댕기》 | 1판 2판: 2000년 시공사 전2권 | |
《노말 시티》 | 《윙크》 | 1999년 서울문화사 전15권 2011년 학산문화사 전10권 | 약 2900쪽 |
《레드땅》 | 《로망스》 1987년 | 2002년 시공사 | 3부작 |
《울어도 좋습니까?》 | 1997년 대원 단편집 | ||
《천애》 | 1997년 단편집 | ||
《천사의 병》 | 1998년 대원 단편집 | ||
《두 사람이다》 | 《케이크》 | 1판: 1999년 시공사 전4권 2판: 2007년 해든아침 소장판 전3권 | 2007년 영화 《두 사람이다》 만들어짐 |
《버츄얼 그림동화》 | 엠파스만화 2004년 ~ | 2005년 다크북 1 ~ 2권 | |
《이미지 퍼즐》 | 2005년 반디 단편집 | ||
《설희》 | 《팝툰》 17호(2007년 11월 1일) ~ 2010년 폐간 다음 만화속세상 1화 ~ 66화 와이비미디어 67화 ~ | 2008년 씨네21북스 1 ~ 15권 | 출판 중 |
《키다리 아저씨》 | 없음 | 2003년 삼성출판사 단권 | 고전 각색물, 올컬러 |
3. 1. 출판 목록
작품명 | 연재 | 단행본 | 특징 |
---|---|---|---|
《현재진행형 ing》 | 《여학생》 1985년 ~ | 1판: 전7권 2판: 대화 전4권 3판: 2001년 시공사 전4권 | 데뷔작, 연재 중단[2] |
《이 카드입니까》 | 1986년 전5권 2001년 시공사 전3권 | 본격적인 프로 작가로서의 활동 시작 | |
《별빛속에》 | 1판: 전21권 2판: 전19권 3판: 르네상스 1~4권 중단 4판: 1999년 서울문화사 전10권 5판: 2005년 애니북스 전8권 | 대한민국 순정 만화 최초의 SF[3], 총 5판 발행. 약 2000쪽 2판: 페이지 바뀌거나 대사 빠짐 3판: 출판사 정리로 1~6권(1200쪽) 원고 실종 4판: 대사 빠짐 | |
《라비헴 폴리스》 | 《르네상스》 1989년 ~ | 1992년 서화 전4권 2000년 시공사 전3권 | 2025년 근미래 SF 서화판 4권 수록 단편: 〈레이블 호수〉 MBC 만화열전을 통해 라디오 드라마로 제작 |
《거울나라의 수수께끼》 | 《내 친구들》(천주교 잡지) 1991년 ~, 16쪽 연재 | 1994년 대화 전2권 2003년 시공사 전2권 | 대화판 수록 단편: 〈이상한 집〉 시공사판 2권 수록 단편: 〈지로의 할로윈 데이〉, 〈커피 타임〉 |
《17세의 나레이션》 | 《하이센스》 | 1판: 2판: 2000년 시공사 전4권 3판: 2003년 시공사 애장판 전2권 | |
《퍼플 하트》 | 《미르》 1991년 ~ 폐간 재연재 《케이크》 2001년 15호 ~ 폐간 | 2001년 시공사 1 ~ 2권 | 판타지 장편, 미완 |
《펜탈+샌달》 | 《나나》 1992년 ~ | 1999년 시공사 전3권 | 시공사판 3권 수록 단편: 〈커피로 주세요〉, 〈이상한 집〉 |
《스타가 되고 싶어?》 | 《댕기》 | 1판 2판: 2000년 시공사 전2권 | 1판 수록 단편: 〈이상하지 않은 나라〉 시공사판 2권 수록 단편: 〈어느 날...〉, 〈나는 지구에서 살고있다〉, 〈타임머신〉 |
《노말 시티》 | 《윙크》 | 1999년 서울문화사 전15권 2011년 학산문화사 전10권 | 약 2900쪽 |
《레드땅》 | 《로망스》 1987년 | 2002년 시공사 | 3부작. 마지막 회분은 출판사 폐간으로 원고 분실하여 1994년 30쪽 다시 그림. 시공사판 수록 단편: 〈레드땅〉, 〈끝나지 않는 열차〉, 〈할머니의 방〉, 〈파스텔 색조〉 |
《울어도 좋습니까?》 | 1997년 대원 단편집 | 대원판 수록 단편: 〈주신제〉, 〈따스함의 온도는 몇도?〉, 〈앨리스의 티타임〉, 〈울어도 좋습니까?〉 | |
《천애》 | 1997년 단편집 | 옛날방송국을 통해 라디오 드라마로 제작 | |
《천사의 병》 | 1998년 대원 단편집 | 대원판 수록 작품: 〈레이블 호수〉 | |
《두 사람이다》 | 《케이크》 | 1판: 1999년 시공사 전4권 2판: 2007년 해든아침 소장판 전3권 | 순정 만화로는 보기 드문 공포물, 2001년 대한민국 출판만화대상 저작상 수상[4], 2007년 같은 이름의 영화 《두 사람이다》 만들어짐 |
《버츄얼 그림동화》 | 엠파스만화 2004년 ~ | 2005년 다크북 1 ~ 2권 | 2004년 독자만화대상 온라인만화부문 1위 |
《이미지 퍼즐》 | 2005년 반디 단편집 | 반디판 수록 단편: 〈일요일〉, 〈달밤의 여행〉, 〈Lady's Knight〉, 〈Prologue 어느날 갑자기〉, 〈인어이야기〉, 〈문〉, 〈달밤의 파티〉, 〈환상〉, 〈꿈〉, 〈눈물 젖은 편지〉, 〈무제〉, 〈이상의 왕자님〉, 〈달의 찻집〉, 〈선물〉, 〈이상하지 않은 나라〉, 〈그 어느 겨울의 운동장은...〉, 〈너의 눈을...〉, 〈Dreaming〉, 〈라일락 향기의 오후〉, 〈무제〉, 〈대화〉, 〈냉장고 이야기〉, 〈고도리우나 화실의 비밀〉, 〈귀신야화〉, 〈불쌍한 사람들〉, 〈무성영화시대의 타잔〉, 〈일본여행기 9일간의 세상〉, 〈홍콩환타지〉, 〈할머니의 방〉 | |
《설희》 | 《팝툰》 17호(2007년 11월 1일) ~ 2010년 폐간 다음 만화속세상 1화 ~ 66화 와이비미디어 67화 ~ | 2008년 씨네21북스 1 ~ 15권 | 출판 중 |
《키다리 아저씨》 | 없음 | 2003년 삼성출판사 단권 | 고전 각색물, 올컬러 |
3. 2. 단편 목록
작품명 | 연재 | 단행본 | 특징 |
---|---|---|---|
〈레이블 호수〉 | 서화 《라비헴 폴리스》 4권 단편집 《천사의 병》 | ||
〈레드땅〉 | 단편집 《레드땅》 | ||
〈끝나지 않는 열차〉 | 단편집 《레드땅》 | ||
〈파스텔 색조〉 | 단편집 《레드땅》 | ||
〈지로의 할로윈 데이〉 | 시공사 《거울나라의 수수께끼》 2권 | ||
〈커피 타임〉 | 《여학생》 | 시공사 《거울나라의 수수께끼》 2권 | 《이 카드입니까》 레이아 그린, 그레인 허드슨 출연 |
〈커피로 주세요〉 | 시공사 《펜탈+샌달》 3권 | ||
〈이상한 집〉 | 대화 《거울나라의 수수께끼》 시공사 《펜탈+샌달》 3권 | ||
〈주신제〉 | 1995년 | 단편집 《울어도 좋습니까?》 | |
〈따스함의 온도는 몇도?〉 | 1995년 | 단편집 《울어도 좋습니까?》 | |
〈앨리스의 티타임〉 | 1995년 | 단편집 《울어도 좋습니까?》 | |
〈울어도 좋습니까?〉 | 1995년 | 단편집 《울어도 좋습니까?》 | |
〈어느 날...〉 | 시공사 《스타가 되고 싶어?》 | 《스타가 되고 싶어?》 외전, 서희 주인공 | |
〈나는 지구에서 살고 있다〉 | 시공사 《스타가 되고 싶어?》 | ||
〈타임머신〉 | 시공사 《스타가 되고 싶어?》 | ||
〈무엇이 필요하십니까?〉 | 《계간 만화》 2004년 봄호 | ||
〈기억의 증거〉 | 《허브》 2004년 10월 003호 ~ 12월 005호 | 〈무엇이 필요하십니까?〉 연작, 3부작 | |
〈일요일〉 | 1986년 《르네상스》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8쪽. |
〈달밤의 여행〉 | 1993년 《윙크》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8쪽. |
〈Lady's Knight〉 | 1991년 《르네상스》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8쪽. |
〈Prologue 어느날 갑자기〉 | 198?년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3쪽. |
〈인어이야기〉 | 1986년 6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8쪽. |
〈문〉 | 1986년 10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4쪽. |
〈달밤의 파티〉 | 1985년 10월 동인지 《fantasia》 | 《이 카드입니까》 단편집 《이미지 퍼즐》 | 7쪽. |
〈환상〉 | 1986년 9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쪽. |
〈꿈〉 | 1987년 6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1쪽. |
〈눈물 젖은 편지〉 | 198?년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2쪽. |
〈무제〉 | 1990년 2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5쪽. |
〈디저트〉 | 1990년 12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쪽. |
〈로맨틱나이트〉 | 1991년 2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6쪽. |
〈무서운 밤〉 | 1991년 6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8쪽. |
〈무덤〉 | 1987년 8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8쪽. |
〈화장실〉 | 1987년 8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쪽. |
〈무제〉 | 1987년 6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쪽. |
〈이상의 왕자님〉 | 1989년 2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0쪽. |
〈달의 찻집〉 | 1986년 6월 | 《이 카드입니까》 단편집 《이미지 퍼즐》 | 9쪽. |
〈선물〉 | 1993년 1월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9쪽. |
〈이상하지 않은 나라〉 | 1991년 《댕기》 | 《스타가 되고 싶어?》 단편집 《이미지 퍼즐》 | 24쪽. |
〈그 어느 겨울의 운동장은...〉 | 1999년 《윙크》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1쪽. |
〈너의 눈을...〉 | 1999년 여만협 《세나클》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7쪽. |
〈Dreaming〉 | 2001년 《시카프 10인 작품집》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28쪽. |
〈라일락 향기의 오후〉 | 1999년 《나인》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8쪽. |
〈무제〉 | 1991년 합동 동인지 《크레파스》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2쪽. |
〈대화〉 | 1987년 2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쪽. |
〈냉장고 이야기〉 | 1991년 7월 《현재진행형 ing》 | 《현재진행형 ing》 단편집 《이미지 퍼즐》 | 5쪽. |
〈고도리우나 화실의 비밀〉 | 1988년 6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5쪽. |
〈귀신야화〉 | 1985년 4월 동인지 《fantasia》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쪽. |
〈불쌍한 사람들〉 | 1989년 8월 《모던타임스》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5쪽. |
〈무성영화시대의 타잔〉 | 1989년 《르네상스》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쪽. |
〈일본여행기 9일간의 세상〉 | 1989년 8월 《르네상스》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0쪽. |
〈홍콩환타지〉 | 1999년 《오즈》 | 단편집 《이미지 퍼즐》 | 8쪽. |
〈할머니의 방〉 | 2001년 《케이크》 | 단편집 《레드땅》 단편집 《이미지 퍼즐》 | 15쪽. |
4. 수상
- 2004년 독자만화대상 온라인만화부문 1위 《버츄얼 그림동화》
참조
[1]
웹사이트
Kang Kyung-ok
http://lambiek.net/a[...]
[2]
문서
이에 관하여, 강경옥 스스로도 원인을 "이해할 수 없는 사회적 이유"라고 《윙크》 1995년 5월 15일호에 실린 〈작가 릴레이 에세이〉에서 언급하였다.
[3]
웹사이트
만화규장각 별빛속에 전문가 리뷰
http://www.kcomics.n[...]
[4]
뉴스
“사는 것 자체가 저주라고 가정하고 시작했다”
http://www.cine21.co[...]
씨네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