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재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재언은 일제강점기 제주도 출신으로, 경제학을 공부하고 일본에서 조선사 연구를 시작한 역사학자이다. 교토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 화원대학 촉탁 교수를 거쳐 문학부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1970년대부터 조선사, 한반도 정세에 관심을 가진 일본인들과 교류하며 강연 활동을 펼쳤고, 1993년에는 제1회 해외동포상을 수상했다. 전공은 조선 근현대사·일조관계사이며, 저서로 『조선의 개화사상』, 『조선근대사』 등이 있다. 그의 구장서 대부분은 시가현립대학 도서관에 '강재언 문고'로 소장되어 있다. 아내는 경제학자 다케나카 에미코이며, 장남은 사회학자 다케나카 히토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일 한국인 학자 - 강상중
    강상중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재일 한국인 2세 정치학자이자 작가로, 일본 근대화 및 전후 일본 사회에 대한 비판적 분석, 재일 한국인의 정체성, 민족주의, 동아시아 공동체 건설 등에 대한 저술과 방송 활동을 하고 있다.
  • 재일 한국인 학자 - 조경달
    조경달은 1954년 도쿄에서 태어난 재일 한국인 역사학자이며, 근대 한일 관계, 식민지 조선의 역사 등을 연구하고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다.
  • 한국사학자 - 신채호
    신채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전개한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역사가, 문필가로, 민족주의적 역사관과 독립운동에 대한 열정으로 한국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한국사학자 - 브루스 커밍스
    브루스 커밍스는 20세기 동아시아 국제 관계, 특히 한국 전쟁과 현대 한국사에 대한 수정주의적 해석으로 알려진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정치학자로,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등을 연구했고, "한국 전쟁의 기원" 등의 저서를 통해 동아시아 역사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시한다.
  • 제주특별자치도 출신 - 이학주 (야구 선수)
    이학주는 대한민국 출신 야구 선수로, 미국과 한국 프로야구에서 활동했으며, 2019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며 한국 프로야구에 데뷔하여 롯데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하다가 2024년 방출되었다.
  • 제주특별자치도 출신 - 현길언
    현길언은 1940년 제주 출생으로 제주대와 한양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양대 교수를 역임했으며, 제주도의 역사적 배경을 다룬 소설을 발표하며 녹원문학상, 현대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을 수상했다.
강재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 (한국어)강재언
이름 (한자)姜在彦
이름 (로마자 표기)Gang Jae-eon
이름 (영어)KANG je-on
인물 정보
출생1926년 10월 25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제주도 (현재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사망2017년 11월 19일
사망지알려지지 않음
국적알려지지 않음
배우자다케나카 에미코
자녀다케나카 히토시 (사회학자)
학력
대학오사카상과대학
경력
직업역사가, 교수
소속 기관하나조노 대학
활동 기간알려지지 않음
관심 분야
주요 관심사역사학 (한반도 근대사, 사상사)
기타 정보
영향알려지지 않음
수상알려지지 않음
서명알려지지 않음
웹사이트알려지지 않음

2. 생애

1926년 일제강점기 제주도에서 태어나,[4] 제주농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태평양 전쟁 종결 후 한반도는 해방되었지만, 1948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으로 밀항했다. 오사카상과대학에서 경제학을 배우고, 동 대학 연구과를 수료했다. 오사카시립대학 등 간사이 지역의 여러 대학에서 강사로 재직했다. 1981년 교토대학에 『조선의 개화사상』을 제출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1년~1981년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 1984년 화원대학 촉탁 교수를 거쳐 문학부 객원교수가 되었다.[5] 1989년부터 잡지 『계간 청구』의 편집위원을 맡았다.

1968년까지 조선 민족 운동에 참여했다.[4] 1970년대 초 간사이 지방에서 조선사 및 한반도 정세에 관심이 높은 일본인 청년들이 만든 "무궁화의 모임" 등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활발한 강연 활동을 했다.[5]

2. 1. 유년기와 학창 시절

1926년 일제강점기 제주도에서 태어났다.[4] 제주농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태평양 전쟁 종결 후 한반도는 해방되었지만, 1948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그 초기 일본으로 밀항했다. 오사카상과대학에서 경제학을 배우고, 동 대학 연구과를 수료했다. 그 후, 오사카시립대학 등 간사이 지역의 많은 대학에서 강사로 재직했다.

2. 2. 일본 밀항과 경제학 연구

1926년 일제강점기 제주도에서 태어나,[4] 제주농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태평양 전쟁 종결 후 한반도는 해방되었지만, 1948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으로 밀항했다. 오사카상과대학에서 경제학을 배우고, 동 대학 연구과를 수료했다. 이후 오사카시립대학 등 간사이 지역의 여러 대학에서 강사로 재직했다. 점차 연구 테마를 조선사로 바꾸어, 1981년 교토대학에 학위논문 『조선의 개화사상』을 제출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1년~1981년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있었으며, 1984년 화원대학 촉탁 교수를 거쳐 문학부 객원교수가 되었다.[5] 1989년부터는 학계에서 잡지 『계간 청구』의 편집위원을 맡았다.

고향 조선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1970년대 초 간사이 지방에서 조선사 및 한반도 정세에 관심 있는 일본인 청년들이 결성한 "무궁화의 모임" 등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활발한 강연 활동을 펼쳤다. 1968년까지 조선 민족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2. 3. 역사학자로의 전향과 학문 활동

1926년 일제강점기 제주도에서 태어나[4] 제주농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태평양 전쟁 종결 후 한반도는 해방되었지만, 1948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그 초기 일본으로 밀항했다. 오사카상과대학에서 경제학을 배우고, 동 대학 연구과를 수료했다. 그 후, 오사카시립대학 등 간사이 지역의 많은 대학에서 강사로 재직했다. 점차 연구 테마를 조선사로 바꾸어, 1981년에 학위논문 『조선의 개화사상』을 교토대학에 제출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1년~1981년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을 지냈다. 1984년 화원대학 촉탁 교수가 되었고, 후에 문학부 객원교수[5]가 되었다. 1989년부터 잡지 『계간 청구』의 편집위원을 맡았다.

고향 조선에 마음을 기울이며, 1970년대 초 간사이 지방에서 조선사·한반도 정세에 관심이 높은 일본인 청년들이 만든 "무궁화의 모임" 등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활발한 강연 활동을 했다. 1968년까지 조선 민족 운동에 참여했다.

2. 4. 사회 참여와 민족 운동

1968년까지 조선 민족 운동에 참여했다.[4] 1970년대 초 간사이 지방에서 조선사·한반도 정세에 관심이 높은 일본인 청년들이 만든 "무궁화의 모임" 등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활발한 강연 활동을 했다.[5] 1989년부터 잡지 『계간 청구』의 편집위원을 맡았다.

2. 5. 수상 경력


  • 1993년: 해외동포상을 수상하였다.[1]

3. 연구 내용 및 업적

강재언은 조선 근현대사와 한일 관계사를 전공하였다. 그의 구장서 대부분은 "강재언 문고"라는 이름으로 시가현립대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3. 1. 한일 관계사 연구

강재언은 조선 근현대사와 한일 관계사를 전공하였다. 그의 구장서 대부분은 "강재언 문고"라는 이름으로 시가현립대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4. 저서 및 번역

강재언은 저술 및 번역 활동을 활발히 하였다. 주요 저서는 '주요 저서' 표에, 다른 학자와 함께 저술한 책은 '공편' 표에, 번역서는 '번역'에 각각 정리되어 있다.

번역서로는 신유한의 『해유록』(조선통신사의 일본 기행)을 역주하여 헤이본샤 동양문고에서 1974년에 출간하였고,[1] 『조선세시기』를 역주하여 헤이본샤 동양문고에서 1971년에 출간하였다.[2]

가와이 가즈오, 히다 유이치, 미즈노 나오키, 미야지마 히로시는 강재언의 고희를 기념하여 논문집 論集 朝鮮近現代史 姜在彦先生 古稀記念論集일본어을 아카시 서점에서 1996년에 출간하였다.

4. 1. 주요 저서

출판 연도제목출판사
1966조선 역사와 풍토법률문화사
1970조선 근대사 연구일본평론사
1971근대 조선의 사상기노쿠니야 서점
1972조선의 척양과 개화 근대 조선에게 있어서의 일본헤이본샤 선서
1973근대 조선의 변혁 사상일본평론사
1978근대에 있어서의 일본과 조선 조선 문제 입문스크럼사
1980조선의 개화 사상이와나미 서점
1980일조 관계의 허구와 실상류케이쇼샤
1983일본에 의한 조선 지배의 40년오사카 서적, 아사히 문고
1984근대 조선의 사상미래사
1986조선 근대사헤이본샤 선서, 헤이본샤 라이브러리
1987조선의 역사와 문화오사카 서적
1988현해탄에 걸었던 역사, 일조 관계의 빛과 그림자오사카 서적
1992세계의 도시 이야기 7 서울분게이슌주
1993만주의 조선인 빨치산, 1930년대의 동만・남만을 중심으로아오키 서점
1994한국과 일본의 교류사 근세편아카시 서점
1994서양과 조선 그 이문화 격투의 역사분게이슌주, 아사히 선서
1996강재언 저작선
* 제1권 (조선의 유교와 근대)
* 제2권 (조선 근대의 변혁 운동)
* 제3권 (조선의 개화 사상)
* 제4권 조선의 서학사 / 스즈키 노부아키 역
* 제5권 (근대 조선의 사상)
아카시 서점
1996「재일」로부터의 시좌 강재언 재일 논집신간사
1997김일성 신화의 역사적 검증 항일 빨치산의 <허>와 <실>아카시 서점
2000조선 근대의 풍운지세이큐 문화사
2001조선 유교의 2천년아사히 선서, 고단샤 학술 문고
2002조선 통신사가 본 일본아카시 서점
2006역사 이야기 조선반도아사히 선서


4. 2. 공편

제목저자출판사출판년도
조선의 역사박경식삼일서방1957
근대 조선의 사회와 사상이이누마 지로미래사1981
수기=재일 조선인김달수류케이서사1981
식민지기 조선의 사회와 저항이이누마 지로미래사1982
조선에 있어서의 닛산 콘체른후지 출판1985
일본과 조선의 2천년우에다 마사아키오사카 서적1985
재일 한국·조선인 - 역사와 전망김동훈노동경제사1989
일조 교류사 새로운 이웃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이진희유비각1995
조선학 입문이진희, 하타다 타케시 외청구문화사1997
세월은 흐르는 물과 같이타케나카 에미코청구문화사2003


4. 3. 번역


  • 신유한의 『해유록』 (조선통신사의 일본 기행)을 역주하여 헤이본샤 동양문고에서 1974년에 출간하였다.[1]
  • 『조선세시기』를 역주하여 헤이본샤 동양문고에서 1971년에 출간하였다.[2]

4. 4. 기념 논문집

論集 朝鮮近現代史 姜在彦先生 古稀記念論集일본어, 가와이 가즈오, 히다 유이치, 미즈노 나오키, 미야지마 히로시 편, 아카시 서점, 1996

5. 가족


  • 아내: 다케나카 에미코는 경제학자이다.
  • 장남: 다케나카 히토시는 사회학자이다. 와세다 대학교 교수.

참조

[1] 서적 『現代日本人名録』
[2] 뉴스 おくやみ、姜在彦氏:東京新聞 http://www.tokyo-np.[...]
[3] 웹사이트 歴史物語 朝鮮半島(朝日選書)|姜 在彦,姜 在彦|本|通販|Amazon https://www.amazon.c[...] Amazon 2019-01-31
[4] 웹사이트 特集ワイド:在日の歴史学者、姜在彦さん逝く 司馬さんとの旅、光の中に 病床で赤ペン握り、隣人同士の友好願う https://mainichi.jp/[...] 2019-01-31
[5] 웹사이트 姜在彦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6] 웹사이트 姜在彦文庫 https://www.lib.usp.[...]
[7] 서적 『現代日本人名録』
[8] 웹인용 特集ワイド:在日の歴史学者、姜在彦さん逝く 司馬さんとの旅、光の中に 病床で赤ペン握り、隣人同士の友好願う https://mainichi.jp/[...] 2019-01-31
[9] 뉴스 おくやみ、姜在彦氏:東京新聞 http://www.tokyo-np.[...]
[10] 웹인용 歴史物語 朝鮮半島(朝日選書)|姜 在彦,姜 在彦|本|通販|Amazon https://www.amazon.c[...] Amazon 2019-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