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방형 협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방형 협업은 평등주의, 실력주의, 자기 조직화를 기반으로 하는 협업 방식으로, 경제적 가치가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기여자와 비기여자를 모두 위해 상호 작용하며 기여하는 혁신 또는 생산 시스템을 의미한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위키백과, 사용자 포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피어 프로덕션과 대량 협업의 기본 원칙으로 자리 잡았다. 개방형 협업에 대한 연구는 국제 개방형 협업 심포지엄(OpenSym)에서 이루어지며, 동료 생산 저널(JoPP)과 같은 학술 저널을 통해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협동 - 업무 연속성 계획
    업무 연속성 계획은 예기치 못한 상황 발생 시 조직의 핵심 업무를 지속하고 빠르게 복구하기 위한 사전 계획으로,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사업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이해관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목적을 둔다.
  • 협동 - 델파이 기법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복적인 피드백을 통해 수렴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하향식 의견 도출 방법으로, 익명성, 정보 흐름의 구조화, 정기적인 피드백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크라우드소싱 - 듀오링고
    듀오링고는 루이스 폰 안과 세버린 해커가 개발한 무료 언어 학습 플랫폼으로,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통해 다양한 언어 코스를 제공하고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활용하며, 광고 및 유료 구독 서비스로 수익을 창출하고 듀오링고 영어 시험을 통해 공인 영어 능력 시험 서비스도 제공하며, 수학, 음악 학습 기능도 추가하고 있다.
  • 크라우드소싱 - 페이지랭크
    페이지랭크는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문서 집합에서 웹 페이지의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하며, 링크를 투표로 간주하여 페이지 순위를 재귀적으로 결정하고, 구글 검색 엔진의 초기 핵심 알고리즘으로 활용되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개방형 협업
일반 정보
분야인터넷, 비즈니스, 과학기술
유형협업
설명개방형 협업은 개인, 기업, 기관이 지리적 경계나 조직적 제약 없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방법이다.
관련 항목크라우드소싱
오픈 이노베이션
협업 소프트웨어
집단 지성
분산 컴퓨팅
위키노믹스
오픈 소스
공유 경제
특징
개방성참여 장벽이 낮고 누구나 기여 가능
자발성참여자들은 자발적으로 협력
분산성작업이 작은 단위로 나뉘어 분산적으로 진행
투명성과정과 결과가 투명하게 공개
수평적 의사소통계층 구조 없이 수평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짐
장점
혁신 촉진다양한 아이디어와 기술 결합으로 혁신적인 결과 창출
효율성 증대전문 지식과 자원 공유로 효율성 증대
문제 해결 능력 향상다양한 관점과 경험 통합으로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사회적 가치 창출지식 공유와 협력을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
단점
품질 관리 어려움참여자들의 역량 차이로 품질 관리 어려움 발생 가능
보안 문제정보 유출이나 악용 위험 존재
의사 결정 지연다양한 의견 조율 과정에서 의사 결정 지연될 수 있음
무임승차 문제일부 참여자들이 기여 없이 이익만 취하려는 경향
성공 사례
리눅스오픈 소스 운영체제 개발
위키백과집단 지성을 활용한 온라인 백과사전
이노센티브크라우드소싱 기반의 문제 해결 플랫폼
깃허브오픈 소스 프로젝트 호스팅 서비스
참고 문헌
참고 문헌Open collaboration leading to novel organizations - American'Girl Rachel And Sons The Crimson White Brothers
Open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Principles and Performance
Opening Up Innovation: The Role of Social Network Centrality

2. 정의

개방형 협업은 피어 프로덕션 및 대량 협업의 기본 원칙이다. 처음에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서 관찰되었으며 리처드 스톨먼GNU 선언문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그 이후로 인터넷 포럼[16], 메일링 리스트[17], 인터넷 커뮤니티[18]크리에이티브 커먼즈와 같은 오픈 콘텐츠 등 다른 많은 사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크라우드소싱, 협력적 소비, 개방형 혁신(오픈 이노베이션)의 몇 가지 사례를 들 수 있다.

Riehle 등은 개방형 협업을 평등주의, 실력주의, 자기 조직이라는 세 가지 원칙에 기반한 협업으로 정의한다.[7] Levine과 Piretula는 개방형 협업을 "경제적 가치가 있는 제품(또는 서비스)을 만들기 위해 상호 작용하며 기여자와 비기여자를 모두 위해 이를 제공하는 목표 지향적이지만 느슨하게 조정된 참여자들에 의존하는 모든 혁신 또는 생산 시스템"으로 정의한다.[8][9] 이 정의는 유사한 원칙으로 결합된 여러 사례를 포착한다. 예를 들어,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재화, 기여와 소비에 대한 개방된 접근, 상호 작용 및 교환, 목적 지향적이면서도 느슨하게 조정된 작업과 같은 모든 요소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위키백과, 사용자 포럼 또는 커뮤니티에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상업용 웹사이트에도 존재할 수 있다. 개방형 협업의 이러한 모든 사례에서 누구나 기여할 수 있으며, 느슨하게 조정된 상호 작용하는 참여자에 의해 생산된 공유의 결실을 자유롭게 누릴 수 있다.[10]

3. 역사

개방형 협업은 피어 프로덕션 및 대량 협업의 기본 원칙이다. 처음에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서 관찰되었으며 리처드 스톨먼GNU 선언문에 의해 대중화되었다.[16] 이후 인터넷 포럼, 메일링 리스트,[17] 인터넷 커뮤니티[18]크리에이티브 커먼즈와 같은 오픈 콘텐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크라우드소싱, 협력적 소비, 개방형 혁신의 여러 사례에서도 나타난다.

Riehle 등은 개방형 협업을 평등주의, 실력주의, 자기 조직이라는 세 가지 원칙에 기반한 협업으로 정의한다.[7] Levine과 Piretula는 개방형 협업을 "경제적 가치가 있는 제품(또는 서비스)을 만들기 위해 상호 작용하며 기여자와 비기여자를 모두 위해 이를 제공하는 목표 지향적이지만 느슨하게 조정된 참여자들에 의존하는 모든 혁신 또는 생산 시스템"으로 정의한다.[8][9] 이 정의는 여러 사례를 포착한다. 예를 들어,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재화, 기여와 소비에 대한 개방된 접근, 상호 작용 및 교환, 목적 지향적이면서도 느슨하게 조정된 작업과 같은 모든 요소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위키백과, 사용자 포럼 또는 커뮤니티에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상업용 웹사이트에도 존재할 수 있다. 개방형 협업의 이러한 모든 사례에서 누구나 기여할 수 있으며, 느슨하게 조정된 상호 작용하는 참여자에 의해 생산된 공유의 결실을 자유롭게 누릴 수 있다.[10]

4. 학계 연구

국제 개방형 협업 심포지엄(OpenSym, 이전 WikiSym)은 개방형 협업 연구와 실천을 위한 연례 학술 회의이다.[11] 이 그룹은 개방형 협업을 "평등주의적(모두가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에 대한 원칙적이거나 인위적인 장벽이 존재하지 않음), 능력주의적(결정과 지위가 강요가 아닌 능력에 기반함), 자기 조직화(프로세스가 미리 정의된 프로세스에 사람이 적응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게 적응함)"로 정의한다.[12]

동료 생산 저널(JoPP, The Journal of Peer Production)은 동료 생산 프로세스를 기록하고 연구하는 학술 저널이다. 이 학술 공동체는 동료 생산을 "참여가 자발적이며 작업의 자기 선택에 기반한 공유 기반 및 지향 생산 방식"으로 이해한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및 위키백과 온라인 백과사전의 공동 개발이 있다.[13]

5. 한국의 개방형 협업

한국에서는 IT 분야를 넘어 사회 혁신, 시민 참여, 공공 서비스 개선 등 다양한 영역으로 개방형 협업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시민들이 정책을 제안하고, 사회 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이 활발하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개방형 협업의 가치를 인식하고, 시민 참여 확대와 정책 결정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5. 1. 주요 사례

개방형 협업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리처드 스톨먼GNU 선언문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16] 이후 인터넷 포럼, 메일링 리스트,[17] 인터넷 커뮤니티,[18]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와 같은 오픈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었다. 크라우드소싱, 협력적 소비, 개방형 혁신(오픈 이노베이션) 등도 개방형 협업의 사례이다.

개방형 협업의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논문 Open Collaboration for Innovation: Principles and Performance https://www.research[...] 2014
[2] 논문 How Open Source Software Works: Free User to User Assistance 2003
[3] 간행물 Peer Production: A Form of Collective Intelligence https://mako.cc/acad[...] MIT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2015
[4] 서적 The Wealth of Networks: How Social Production Transforms Markets and Freedom https://www.benkler.[...]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USA 2006
[5] 논문 Coase's Penguin, or, Linux and The Nature of the Firm https://www.yalelawj[...] 2002
[6] 논문 Knowledge Collaboration in Online Communities http://www.adaptivec[...] 2011
[7] 학술지 Open Collaboration within Corporations Using Software Forges https://dirkriehle.c[...] 2009-03
[8] 학술지 Open Collaboration for Innovation: Principles and Performance https://pubsonline.i[...] 2014
[9] 논문 Open Collaboration for Innovation: Principles and Performance https://papers.ssrn.[...] 2013
[10] 서적 Collaborative Society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20-02-18
[11] 웹사이트 About http://www.opensym.o[...] 2010-06-15
[12] 웹사이트 Definition of Open Collaboration https://opensym.org/[...] 2013-04-12
[13] 웹사이트 About http://peerproductio[...]
[14] 논문 Open Collaboration for Innovation: Principles and Performance https://www.research[...] 2014
[15] 웹인용 Open collaboration leading to novel organizations - American'Girl Rachel And Sons The Crimson White Brothers http://www.kurzweila[...]
[16] 논문 How Open Source Software Works: Free User to User Assistance 2003
[17] 논문 Knowledge Collaboration Among Professionals Protecting National Security: Role of Transactive Memories in Ego-Centered Knowledge Networks https://www.research[...] 2008
[18] 논문 Knowledge Collaboration in Online Communities http://www.adaptivec[...]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