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갯달팽이고둥상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갯달팽이고둥상과는 작은 연체동물로, 조가비나 아가미가 없으며, 내장 내용물이 몸의 나머지 부분과 명확히 구별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부쉐와 로크루아의 2005년 복족류 분류를 통해 분류되었으며, 최신 분류에 따르면 아글라자과, 알라쿠파과, 남극갯달팽이과, 콜포다스피스과, 가스트로프테라과, 라온과, 필리나과, 필리노글로사과, 필리노르비스과, 스카판드라과 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순류 - 민챙이
    민챙이는 부도가이과 민챙이붙이속의 유일한 종으로, 동아시아 갯벌에 서식하며 규조류를 섭취하고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지만 환경 오염 문제도 안고 있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갯달팽이고둥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갯달팽이고둥상과
Chelidonura varians
학명Philinoidea
명명자Gray, 1850 (1815)
상위 분류이새류
직신경류
진후새류
두순류

2. 형태

이 종은 일반적으로 작은 연체동물이며, 조가비 또는 아가미가 없다. 일부 관련 종들과는 달리, 내장 내용물이 몸의 나머지 부분과 따로 명확히 구별되지 않는다.[4] 필리노이데아상과에 속하는 종들은 작고, 내부에 껍질이 있거나 껍질이 없으며, 덮인 아가미를 가지고 있다.[2]

3. 분류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복족류 분류는 갯달팽이고둥상과를 아래와 같이 분류했다.[1]


  • '''갯달팽이고둥상과''' (Philinoidea)
  • * 민챙이아재비과 (Aglajidae)
  • * 둥근관고둥과 (Cylichnidae) - 이명: Tornatinidae
  • * Gastropteridae
  • * 갯달팽이고둥과 (Philinidae)
  • * Philinoglossidae
  • * Plusculidae
  • * 쌀알고둥과 (Retusidae) - 이명: Volvulidae


최신 분류에 따르면, 갯달팽이고둥상과(Superfamily Philinoidea)에는 다음과 같은 과가 포함된다:[1]

  • 아글라자과 (Aglajidae)
  • 알라쿠파과 (Alacuppidae)
  • 남극갯달팽이과 (Antarctophilinidae) 몰스, 아빌라 & 말라키아스, 2019
  • 콜포다스피스과 (Colpodaspididae)
  • 가스트로프테라과 (Gastropteridae)
  • 라온과 (Laonidae)
  • 필리나과 (Philinidae)
  • 필리노글로사과 (Philinoglossidae)
  • 필리노르비스과 (Philinorbidae)
  • * ''필리노르비스속'' (Philinorbis) 하베, 1950
  • * ''가짜필리나속'' (Pseudophiline) 하베, 1976
  • 스카판드라과 (Scaphandridae)

3. 1. 2005년 분류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복족류 분류는 갯달팽이고둥상과를 아래와 같이 분류했다.[1]

  • 갯달팽이고둥상과 (Philinoidea)
  • * 민챙이아재비과 (Aglajidae)
  • * 둥근관고둥과 (Cylichnidae) - 이명: Tornatinidae
  • * Gastropteridae
  • * 갯달팽이고둥과 (Philinidae)
  • * Philinoglossidae
  • * Plusculidae
  • * 쌀알고둥과 (Retusidae) - 이명: Volvulidae


최신 분류에 따르면, 갯달팽이고둥상과에는 아글라자과(Aglajidae), 알라쿠파과(Alacuppidae), 남극갯달팽이과(Antarctophilinidae), 콜포다스피스과(Colpodaspididae), 가스트로프테라과(Gastropteridae), 라온과(Laonidae), 필리나과(Philinidae), 필리노글로사과(Philinoglossidae), 필리노르비스과(Philinorbidae), 스카판드라과(Scaphandridae) 등이 포함된다.

3. 2. 2015년 이후 분류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복족류 분류에서는 갯달팽이고둥상과를 민챙이아재비과(Aglajidae), 둥근관고둥과(Cylichnidae), Gastropteridae, 갯달팽이고둥과(Philinidae), Philinoglossidae, Plusculidae, 쌀알고둥과(Retusidae) 등으로 분류했다.[1] 최신 분류에 따르면, 갯달팽이고둥상과(Superfamily Philinoidea)에는 아글라자과(Aglajidae), 알라쿠파과(Alacuppidae), 남극갯달팽이과(Antarctophilinidae), 콜포다스피스과(Colpodaspididae), 가스트로프테라과(Gastropteridae), 라온과(Laonidae), 필리나과(Philinidae), 필리노글로사과(Philinoglossidae), 필리노르비스과(Philinorbidae), 스카판드라과(Scaphandridae) 등이 포함된다.[1] 필리노르비스과에는 ''필리노르비스속(Philinorbis)''과 ''가짜필리나속(Pseudophiline)''이 있다.[1]

참조

[1] 간행물 MolluscaBase. Philinoidea Gray, 1850 (1815) http://marinespecies[...]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21-10-14
[2]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3] 논문 A new phylogeny of the Cephalaspidea (Gastropoda: Heterobranchia) based on expanded taxon sampling and gene markers
[4]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