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입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입동은 대한민국 제주시에 속하는 법정동이다. 신라 시대에 제주 고씨 일족이 들어온 것을 지칭하여 이름이 지어졌다는 설이 있으며, 1914년 건입면으로 시작하여 1931년 제주읍에 편입되었다가, 1955년 제주시로 승격되면서 동이 되었다. 과거 어촌이었으나 제주항 개항으로 상업 지역으로 발전했다. 주요 시설로 김만덕 기념관, 사라봉, 국립제주박물관, 제주 4·3 사건 역사관 등이 있으며, 제주동초등학교와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제주해양경찰서, 제주불교방송 등의 공공기관과 방송국이 소재해 있고, 제주항 연안 및 국제여객터미널이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건입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유형 | 동 |
한글 표기 | 건입동 |
한자 표기 | 健入洞 |
로마자 표기 | Geonip-dong |
행정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시/도 | 제주특별자치도 |
시/군/구 | 제주시 |
면적 | 2.53km² |
방언 | 제주어 |
인구 통계 | |
인구 | 8866명 |
인구 조사 기준일 | 2022년 12월 |
세대 | 4,163 |
세대 조사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행정 구역 | |
법정동 | 건입동 |
통 | 20 |
반 | 110 |
기타 | |
동주민센터 주소 | 제주시 만덕로 18 (건입동) |
홈페이지 | 건입동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건입동은 1955년 제주시에 편입되었으며, 1962년 동제(洞制) 실시에 따라 현재의 건입동이 되었다. 서쪽의 산지천을 중심으로 '산지'라고 불리며, 동쪽으로는 화북동과의 경계인 '고으니모르' 부근의 자연부락이 건입동에 속한다.[7]
제주항이 위치하여 행정, 경찰, 교육, 금융 기관이 밀집해 있다. 제주시 면적의 0.35%를 차지하며, 제주 외항 개발로 해양 공원이 조성될 예정이다.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으로 제주시 건입동이 되었다.
2. 1. 명칭 유래
이 명칭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한 자료에 따르면 신라 시대에 기원하며, 제주 고씨 일족이 신라에서 제주로 들어온 것을 지칭하며 건입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2]2. 2. 일제강점기
1914년 건입면으로 처음 시작되었다.[2] 1955년 건입동은 제주시에 편입되어 동이 되었다. 이 지역은 원래 어촌으로 시작되었으나, 인근의 제주항 개항으로 상업화되었다.[3]2. 3. 제주 4.3 사건
건입동은 1914년 건입면으로 처음 시작되었다.[2] 1955년 제주시에 편입되어 동이 되었다. 이 지역은 원래 어촌으로 시작되었으나, 인근의 제주항 개항으로 상업화되었다.[3]2. 4. 근현대
1914년 건입면으로 처음 시작되었다.[2] 1955년 제주시에 편입되어 동이 되었으며, 1962년 동제(洞制) 실시에 따라 건입동이 되었다. 서쪽의 산지천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마을이기 때문에 '''산지'''라고 통칭되는데, 동쪽으로는 화북동과의 경계지점인 '고으니모르'를 중심으로 한 여러 동네 중 하나의 자연부락이 독립되어 건입동에 속한다.[7]제주의 관문인 제주항이 있어서 9개의 행정관서, 3개의 경찰관서, 4개의 교육기관 등 각종 금융기관이 있으며, 제주시 면적의 0.35%를 차지하고 있다. 향후 건입동은 제주외항개발공사를 착수로 해양공원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 지역은 원래 어촌으로 시작되었으나, 인근의 제주항 개항으로 상업화되었다.[3] 2006년 7월 1일에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함에 따라 제주시 건입동이 되었다.
3. 지리
건입동은 서쪽의 산지천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마을이기 때문에 '산지'라고 통칭되는데, 동쪽으로는 화북동과의 경계 지점인 '고으니모르'를 중심으로 한 여러 동네 중 하나의 자연 부락이 독립되어 건입동에 속한다.[7] 제주항이 있어, 9개의 행정 관서, 3개의 경찰 관서, 4개의 교육 기관 등 각종 금융 기관이 있으며, 제주시 면적의 0.35%를 차지하고 있다. 향후 건입동은 제주 외항 개발 공사 착수로 해양 공원이 들어설 예정이다.
건입동은 20개 통과 113개 반으로 나뉜다.[3]
4. 관광
건입동에는 김만덕 기념관, 사라봉, 모충사, 국립제주박물관이 있다.[4][3][1] 탑동광장은 국립제주박물관 인근에 있으며, 2023년에는 제주 4·3 사건 역사관이 개관했다.[5]
4. 1. 사라봉
김만덕 기념관, 사라봉, 모충사가 있다.[4][3] 제주국립박물관도 위치해 있다.[1] 2023년에는 과거 희생자 수용소로 사용되었던 마을의 옛 양조장 부지에 제주 4·3 사건 역사관이 개관했다.[5]4. 2. 김만덕 기념관
김만덕 기념관은 1978년에 건립되었다.[4][3]4. 3. 국립제주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이 건입동에 위치해 있다.[1]4. 4. 탑동광장
탑동광장은 국립제주박물관 인근에 있다.5. 교육
6. 교통
- 제주항연안여객터미널
- 제주항국제여객터미널
7. 공공기관
제주항에는 9개의 행정관서와 3개의 경찰관서가 있다.
8. 방송
참조
[1]
웹사이트
일반현황
https://www.jejusi.g[...]
[2]
웹사이트
설촌유래
https://www.jejusi.g[...]
[3]
웹사이트
건입동
https://www.jejusi.g[...]
[4]
웹사이트
Kim Man-deok, remarkable female philanthropist
https://www.koreatim[...]
2018-04-30
[5]
웹사이트
제주4.3 주정공장 옛터, 치유.역사교육 공간으로 재탄생
https://www.headline[...]
[6]
웹인용
일반현황
https://www.jejusi.g[...]
[7]
웹사이트
건입동 마을소개
http://www.jejusi.go[...]
2011-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