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견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견융은 고대 중국의 유목 민족으로, 학자들은 그들을 선운의 후대 명칭으로 추정한다. 견융은 흰 개를 숭배하며 강족의 유목 부족으로 분류되었고, 주나라 시대에 세력이 강해져 주 유왕을 공격하여 호경을 점령하고 유왕을 살해하기도 했다. 이후 한나라와 당나라 시대에도 기록이 남아있으며, 감숙성 경녕현 위융진을 근거지로 삼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고대 민족 - 흉노
    흉노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동아시아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유목민족 연맹 또는 제국으로, 묵돌 선우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한나라와의 전쟁과 내분으로 멸망했으며, 민족 및 언어적 기원은 불분명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고대 민족 - 쿠차
    쿠차는 타림 분지의 고대 오아시스 도시 국가로, 실크로드 교역 중심지이자 토하라인 거주지였으며, 다양한 민족 교류와 불교 번성으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었으나 13세기 이후 쇠락했고, 현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속한다.
  • 주나라 - 오왕
    오왕은 주나라 시대 오나라 군주에서 유래하여 춘추시대 오나라 군주, 한나라 초기 제후왕, 삼국시대 오나라 손권, 당나라 왕족, 오대십국시대 남오 지배자, 명나라 초 주원장 등이 사용하거나 책봉받은 칭호이다.
  • 주나라 - 종횡가
    종횡가는 전국 시대에 외교와 정치 전략을 통해 국가 간의 관계를 조율하고 권력을 쟁취하려 한 사상가 집단이다.
견융
개요
민족 명칭견융 (犬戎)
다른 명칭권융 (權戎)
곤융 (昆戎)
융적 (戎狄)
활동 시기상나라 말기 ~ 춘추 시대
주요 활동 지역중국 서부 지역
티베트 동부 지역
역사
기원상나라 말기 주나라의 문왕 시기에 중국 서부에서 활동한 유목민족
서주 시대주나라를 공격하여 유왕을 살해하고 수도 호경을 점령
춘추 시대진(晉)나라에 의해 쇠퇴
영향일부는 중국 문화에 동화되고, 일부는 서쪽으로 이동하여 다른 민족의 기원이 됨
문화
생활 방식유목 생활
군사기마병을 주력으로 사용
특징중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었음
관련 기록
사기사기 흉노열전에 "당요이후, 흉노침성"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일부 학자는 이를 "당요 시대 이후, 견융이 융성했다"로 해석
죽서기년죽서기년에 "유왕 11년, 견융이 침입하여 왕을 죽였다"라는 기록이 있음
기타
관련 부족백융
언어알타이어족 계통으로 추정

2. 어원

학자들은 견융(Quanrong)이 선운 獫狁(xian, 긴 주둥이를 가진 개 (爾雅|이아중국어) 또는 얼굴이 노란색인 검은 개 (說文解字|설문해자중국어)로 정의됨)의 후대 명칭이라고 믿고 있다. 중화학자 리펑에 따르면, "선운이라는 용어가 獫狁 두 글자로 쓰이게 되었을 때, '개'라는 개념이 'xian'이라는 글자와 연관되어 '견융(Quanrong)' 즉 '개 오랑캐'라는 용어가 생겨났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2]

두 마리의 흰 개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하는 견융 부족은 흰 개 형태의 토템을 숭배했다. 그들은 강족의 유목 부족으로 분류되었으며, 염황 부족의 맹세한 적이었다.

3. 역사

후한서》에는 고신씨(요 임금의 아버지)의 적은 견융이었으며, 황제가 그들에게 심한 침략을 받았지만 보복하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다.

국어 주어편에는 주나라 목왕 시대에 견융의 세력이 강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목왕은 견융 정벌을 고려했으나 채공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기원전 771년, 신후는 견융과 연합하여 주나라 유왕을 공격, 호경을 점령하고 유왕을 살해했다. 진나라 상공이 주나라 평왕을 성주로 호송하여 서주가 멸망하고 춘추 시대가 시작되었다.

한나라 명제(재위 58–75년) 시대에는 130만 가구, 약 명이 백늑 등 다른 부족들에게 조공을 바치고 있다는 말이 있었다.

당나라 태종(재위 626–649년) 시대, 조정 학사 류강은 견융이 감숙성 산길을 침범하여 당나라 수도(시안)로 피를 흘리지 않고 들어왔다고 상소했다. 견융의 전통적인 근거지는 현대 감숙성 경녕현의 위융진이다.[4]

3. 1. 서주 시대

후한서》에 따르면, 전 황제 고신씨(요 임금의 아버지)의 적은 견융이었다. 황제는 그들에게 심한 침략을 받았지만 보복하지 않았다.[3]

국어 주어편에는 주나라 목왕 시대에 견융의 세력이 점차 강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목왕은 견융을 토벌하기 위해 서쪽으로 징벌 원정을 고려했으나, 채공은 "옛 현명한 황제들은 무력 사용을 옹호하지 않았습니다"라며 반대했다. 목왕은 이를 듣지 않고 원정을 강행, 예상치 못한 승리를 거두어 견융의 다섯 왕과 흰 늑대 다섯 마리, 흰 사슴 다섯 마리를 사로잡았다.

기원전 771년, 신후는 견융과 연합하여 주나라 유왕을 공격했다. 연합군은 주나라 수도 호경을 점령하고 유왕을 살해했으며, 그의 후궁 포사를 사로잡았다. 침략자들은 주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고 구정을 훔친 후 떠났다. 진나라 상공은 군대를 파견해 주나라를 돕고, 유왕의 아들 주나라 평왕을 성주의 동쪽 수도로 호송했다. 이로써 서주는 멸망하고 동주 시대와 춘추 시대가 시작되었다.

한나라 명제(재위 58–75년) 시대에는 "130만 가구, 약 명이 백늑을 비롯한 다른 부족들에게 조공을 바치고 있다"는 말이 있었다.

당나라 태종(재위 626–649년) 시대에 조정 학사 류강은 "견융이 감숙성의 산길을 침범하여 (당) 수도 (시안)로 피를 흘리지 않고 들어왔다"고 상소했다.

견융의 전통적인 근거지는 현대 감숙성 경녕현의 위융진이다.[4]

3. 2. 춘추전국시대

국어의 주어편에는 주나라 목왕 시대에 견융의 세력이 점차 강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3] 왕의 재위 기간 중 갈등으로 인해 그는 그들을 토벌하기 위해 서쪽으로 징벌 원정을 고려했다. 채공은 아버지의 계획에 반대하며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옛 현명한 황제들은 무력 사용을 옹호하지 않았습니다."라고 말했다.[3] 목왕은 그의 말을 듣지 않았지만, 이어진 충돌에서 예상치 못한 승리를 거두어 견융의 다섯 왕과 흰 늑대 다섯 마리, 흰 사슴 다섯 마리를 사로잡았다.

기원전 771년, 신후는 견융을 초대하여 그와 함께 주나라 유왕을 공격했다. 연합군은 이후 주나라 수도인 호경을 점령하고 유왕을 살해했으며 그의 후궁 포사를 사로잡았다. 결국 침략자들은 주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고 구정을 훔친 후 떠났다. 진나라 상공은 주나라를 돕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고, 유왕의 아들인 주나라 평왕을 성주의 동쪽 수도로 호송하여 사실상 서주를 멸망시키고 동주 시대와 춘추 시대를 시작했다.

3. 3. 한나라 시대

후한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 전 황제 고신(요 임금의 아버지)의 적은 견융이었다. 황제는 그들에게 심한 침략을 받았지만 보복하지 않았다.

국어의 주어편에는 주나라 목왕 시대에 견융의 세력이 점차 강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왕의 재위 기간 중의 갈등으로 인해 그는 그들을 토벌하기 위해 서쪽으로 징벌 원정을 고려했다. 채공은 아버지의 계획에 반대하며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옛 현명한 황제들은 무력 사용을 옹호하지 않았습니다."[3]라고 말했다. 목왕은 그의 말을 듣지 않았지만, 이어진 충돌에서 예상치 못한 승리를 거두어 견융의 다섯 왕과 흰 늑대 다섯 마리, 흰 사슴 다섯 마리를 사로잡았다.

한나라 명제(재위 58–75년)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었다.

> 130만 가구, 약 600만 명이 백늑을 비롯한 다른 부족들에게 조공을 바치고 있다.

3. 4. 당나라 시대

당나라 시대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당나라 태종 (재위 626–649년) 시대에, 조정 학사 류강은 견융이 감숙성의 산길을 침범하여 당나라 수도 (시안)로 피를 흘리지 않고 들어왔다고 상소하였다.[4] 견융의 전통적인 근거지는 현대의 감숙성 경녕현의 위융진이다.[4]

참조

[1] 웹사이트 灵台白草坡 西周墓葬里的青铜王国 http://www.kaogu.net[...]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CASS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2] 서적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3] 문서 Duke of Zhai advises against expedition against the Quanrong
[4] 웹사이트 静宁威戎镇:犬戎定鼎之地? https://web.archive.[...] 2010-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