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흉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흉노는 기원전 4세기 말부터 중국 기록에 등장하는 유목 민족으로, 오랜 기간 존속하며 중국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흉노는 단순히 물자 획득을 넘어, 중국 정권으로부터 조공을 받기 위해 약탈을 감행했으며, 흉노 지배자의 권력은 한나라의 조공에 대한 지배력에 기반했다. 흉노는 측계 승계 관습의 문제로 분열되기도 했으며, 한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세력을 확장하기도 했으나, 한무제의 공세와 서역 정벌로 인해 경제적으로 약화되었다. 이후 흉노는 남흉노와 북흉노로 분열되었으며, 남흉노는 후한에 복속되어 중국의 번병 역할을 했다. 흉노는 5호 16국 시대를 거치며 멸망했고, 일부는 한족과 동화되었으며, 그들의 후손들은 다양한 국가를 건국하기도 했다. 흉노의 언어와 기원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으며, 훈족과의 관련성에 대한 주장도 제기되었지만, 흉노가 한민족과 관련 있다는 설은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랴트 공화국의 역사 - 바이칼 카자크
    자바이칼 코사크 군은 1851년 러시아 제국이 청나라와의 국경 경비와 자바이칼 지역 치안 유지를 위해 창설한 코사크 군으로,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여러 전쟁에 참전했으나 볼셰비키 혁명 이후 해체되었고 일부는 만주로 망명했다.
  • 부랴트 공화국의 역사 - 판석묘 문화
    판석묘 문화는 기원전 1300년경 자바이칼에서 시작하여 몽골, 중국 북부, 만주 등지에 분포하며, 판석으로 둘러싸인 무덤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청동기 및 초기 철기 시대의 고고학 문화이다.
  • 몽골의 옛 나라 - 복드 칸국
    1911년 몽골 혁명 후 제브츠운담바 호토크트 8세가 보그드 칸으로 추대되어 건국된 복드 칸국은 티베트 불교를 국교로 하는 신정 체제 국가였으나, 러시아와 중국의 외교적 압력, 중국의 침공, 몽골 인민당의 몽골 인민 정부 수립 등으로 혼란을 겪으며 1924년 멸망하였다.
  • 몽골의 옛 나라 - 위구르 카간국
    위구르 카간국은 744년부터 840년까지 몽골 고원을 지배한 튀르크계 유목 제국으로, 동돌궐을 멸망시키고 건국되었으며 당나라와 우호 관계를 유지, 마니교를 국교로 삼아 번성했으나 키르기스족의 침입으로 멸망하여 일부는 서쪽으로 이동했다.
흉노
지도 정보
2세기 BC경 흉노의 영역 (133 BC – 89 AD 한-흉노 전쟁 이전): [[몽골]], 동부 [[카자흐스탄]], 동부 [[키르기스스탄]], 남부 [[시베리아]], 그리고 [[만주]], [[신장]], [[내몽골]] 및 [[간쑤]]와 같은 중국 북부 일부를 포함함.
2세기 BC경 흉노의 영역
기원전 250년경 흉노의 최대 강역
기원전 250년경 흉노의 최대 강역
명칭
일반 명칭흉노
공식 명칭흉노
한자 표기匈奴
로마자 표기Xiōngnú
기타 표기
Shiongnu
Hung1-nou4
Hūng-nòuh

Hing-lôo
*
qʰoŋ.na:
Syong-nú
ㄒㄩㄥ ㄋㄨˊ
기본 정보
시대고대
정치 체제부족 연맹
공용어다양한 언어
수도롱청
미직
건국 시기기원전 3세기
멸망 시기서기 2세기
종교샤머니즘
텡그리즘
불교
별칭흉노
지도자 칭호선우
역대 지도자
초대 지도자두만
초대 지도자 재위 기간기원전 220년–기원전 209년
2대 지도자묵돌
2대 지도자 재위 기간기원전 209년–기원전 174년
3대 지도자노상
3대 지도자 재위 기간기원전 174년–기원전 161년
4대 지도자오다제후
4대 지도자 재위 기간서기 46년
지도자 (선우)蒲奴
지도자 (선우) 재위 기간46년
지도자 (선우)어제건
지도자 (선우) 재위 기간91년~93년
역사
건국기원전 4세기
백등산 전투기원전 200년
남북 분열48년
북흉노 멸망93년
이전 및 이후 국가
이전 국가판석묘 문화
동호
월지
사카
오르도스 문화
이후 국가한나라
선비족
유연 가한국
토하라인
돌궐 제1 카간국
남흉노
북흉노
오환
탁발선비
정령
몽골 관련
관련 국가험윤
훈육
산융

월지
동호
정령
유연
조복
키르기스
요나라
몽올실위
관련 부족중세 몽골 부족
몽골부
나이만부
케레이트부
메르키트부
타타르부
몽골 제국
관련 국가북원
오이라트 4부족 연맹
카라델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만주족 식민지
외할하 독립 칸부
세첸칸부
투시예트칸부
코토고이드부
자사그투칸부
중가르 칸국
관련 국가만주족 식민지
외할하 독립 칸부
세첸칸부
투시예트칸부
코토고이드부
자사그투칸부
몽골 청치시기
관련 국가1911년 ~ 1924년
1924년 ~ 1992년
몽골국 1992년 ~ 현재

2. 역사

흉노는 기원전 4세기 말, 중국 전국시대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한다. 기원전 318년, 흉노는 한, , 위, 연, 와 함께 을 공격했으나 연합군은 참패했다.[229] 이후 조나라 장군 이목이 흉노를 막아 싸워 흉노 선우의 군대를 격파했다.[230] 여기서 선우는 흉노의 황제를 뜻하는 칭호로, '하늘의 아들'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제는 기원전 215년에 장군 몽염을 보내 흉노를 토벌하고 하남의 땅(오르도스)을 점령했다. 이후 흉노를 몰아낸 뒤, 장성을 쌓아 북방 기마민족의 침입을 막았다. 당시 흉노의 두만은 여러 차례 중국을 공격하다 화친을 맺었다. 기원전 210년, 두만은 자신의 태자 묵돌을 서쪽의 월지국에 인질로 보냈으나, 묵돌은 탈출하여 아버지를 살해하고 스스로 선우가 되었다.

기원전 2세기, 흉노와 주변 국가.


기원전 209년, 진시황이 사망하고 진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묵돌은 군사를 강화하여 동쪽의 동호를 멸망시키고, 서쪽의 월지국을 중앙아시아로 몰아냈으며, 남쪽의 누란 등을 병합하여 북방 최대의 유목민족국가를 수립하였다.[256]

기원전 200년, 흉노는 유방이 이끄는 한군을 백등산으로 유인하여 7일간 포위했고, 유방은 진평의 계책으로 겨우 탈출했다. 이후 전한은 흉노와 굴욕적인 화친을 맺었다. 화친 조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용
한의 공주를 흉노 선우에게 의무적으로 출가시킨다.
한이 매년 술, 비단, 곡물을 포함한 일정량의 공물을 바친다.
한과 흉노가 형제맹약을 맺는다.
만리장성을 경계로 양국이 서로 상대의 영토를 침범하지 않는다.



이 합의는 기원전 198년에 발효되었으며, 이 시기 전한이 흉노의 속국과 같은 존재였다고 해석되기도 한다.[257]

기원전 121년, 흉노는 표기장군 곽거병이 이끄는 한나라 군대에 패배하여 중요 거점인 하서회랑을 잃었다. 기원전 119년, 이지사선우위청과 곽거병의 침공을 받아 대패하고, 막남의 땅(내몽골)까지 한나라에 빼앗겼다. 기원전 102년, 한나라 이광리대완 원정에서 대완을 항복시켜 한나라의 서역 지배력이 확대되고, 흉노의 서역에 대한 지배력은 약화되었다.

기원전 85년, 우환족이 역대 선우의 무덤을 파헤치자 호연퇴 선우는 우환을 공격했다. 한나라 곽광범명우를 보내 우환을 공격하여 6천 명이 넘는 목을 베었다. 호연퇴 단우는 서쪽의 오손을 공격하여 거여(차연, 악사)의 땅을 차지했다. 오손의 구원 요청을 받은 한나라는 흉노를 공격했고, 흉노는 큰 피해를 입었다. 그 해 겨울, 호연퇴 단우는 오손을 보복 공격했으나 폭설을 만나 흉노는 크게 약해졌다.

기원전 60년, 곽연거퇴 선우의 폭정으로 흉노 내부에서 내분이 일어났고, 호한야 선우가 세워지면서 곽연거퇴 단우는 자살했다. 이후 흉노는 분열되어 내전 시대를 맞게 된다. 호한야 선우는 한나라와 친선을 맺었으며, 한나라는 왕소군을 호한야 선우에게 시집보냈다. 호한야 선우와 대립하던 지지 선우는 강거에 의지했지만, 한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흉노를 통일한 호한야 선우는 한나라와의 관계를 유지했고, 그의 자식들도 그것을 지켜 한동안 평화가 지속되었다.[233]

기원전 60년경 흉노는 선우 자리를 놓고 내전이 일어났으며, 호한야 선우는 기원전 51년 한나라의 지원을 받아 흉노를 재통일하고 전한과 화친을 맺었다. 질지 선우는 서흉노를 이끌었으나, 후에 동흉노에 패하여 흡수되었다.

왕망(新)을 건국한 직후 흉노와 중국의 관계는 크게 악화되었고, 흉노는 신나라를 침공하기도 했다. 후한 건국 시점에서 흉노는 다시 분열되었다. 남흉노는 후한에 복속되었고, 북흉노는 몽골 고원에 남았다. 89년 후한과 남흉노 연합군은 북흉노를 공격하여 멸망시켰으며, 북흉노 일파는 서방으로 피신하였다. 이때 서방으로 향한 북흉노를 훈족으로 보기도 한다. 북흉노 멸망 직후 몽골 고원에는 선비(鮮卑), 오환(烏桓) 등 다른 유목 부족들이 성립되었다.[233]

남흉노는 중국의 번병(番兵) 역할을 하며 북방을 방어하였고, 후한은 남흉노 군대를 용병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후한 말기에는 남흉노에 대한 간섭으로 선우 직위가 크게 실추되었다.[233] 삼국 시대 조조(曹操)에 의해 흉노 선우는 유명무실하게 되었고, 흉노는 5부로 재편되어 중국의 실질적인 통제를 받게 되었다.[233]

후한 말기 남흉노는 대부분 남하하여 한족과 동화되었다. 후한의 유표는 흉노 모계 조상 중 한나라 공주 유(劉)씨가 있었기 때문에 유(劉)씨로 성을 바꿨다. 그의 후손 유연서진(西晉) 말기 중국의 혼란을 틈타 한(漢)을 건국했다. 흉노의 한나라는 서진을 멸망시키고 화북 지역을 지배했다. 이후 흉노의 일파인 갈족(羯族)의 석륵후조를 건국하자 국호를 조(전조)로 바꾸고 화북을 양분하여 대립했다. 329년에 후조에 의해 전조는 멸망했으며, 후조 역시 351년에 멸망했다.

407년에는 흉노 철불부의 혁련발발산시성 일대에서 하(夏)를 건국하여 선우를 자칭하였으나 431년에 멸망하였다. 이로써 흉노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오늘날 경빈현 산시성에 위치한 하 왕조의 수도였던 통만성의 잔해


철불 부족의 수장들은 곡비의 후손들이었으며, 독고 씨와 관련이 있었다. 유보보는 철불의 생존자 중 한 명으로 후진에 봉사했지만, 407년 반란을 일으켜 하 왕조를 건국했다. 유보보는 흉노 혈통을 강하게 주장했는데, "하"라는 국호는 흉노가 하 왕조의 후손이라는 주장에 근거했으며, 자신의 성을 "유"(劉)에서 "협련"(赫連)으로 바꾸었다.

425년 협련보보가 사망한 후, 하 왕조는 북위의 압력으로 인해 빠르게 쇠퇴했다. 428년, 황제 협련창과 수도는 모두 북위군에 의해 함락되었다. 그의 동생인 협련정이 그를 계승하여 431년 서진을 정복했지만, 같은 해 토욕혼에게 매복 공격을 받아 투옥되었다.

통만성(모든 민족을 통합한다는 의미)은 협련보보의 통치 기간 동안 건설된 하 왕조의 수도 중 하나였다. 폐허가 된 도시는 1996년에 발견되었고[99] 국무원은 이를 최고 국가 보호 문화 유적지로 지정했다. 협련보보가 군대를 사열했던 용안대의 수리는 완료되었고, 31미터 높이의 망루 복원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100][101]

주곡(沮渠)씨는 397년에 오늘날 간쑤성에 북량을 건국한 루수이후 가문이었다. 북량은 불교를 간쑤성에 전파한 것으로 유명하며, 천티산과 막고굴 등 불교 유적을 건설했고, 439년 북위에 정복될 때까지 십육국 중 마지막 국가였다.[103][104]

2. 1. 초기 역사

흉노가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기원전 4세기 말, 중국의 전국시대였다. 기원전 318년, 흉노는 한(韓), (趙), 위(魏), 연(燕), (齊)와 함께 (秦)을 공격했지만, 연합군은 참패했다.[229] 이후 효성왕(孝成王, 재위: 기원전 265년 - 기원전 245년) 시대에 장군 이목의 안문에서 흉노를 막아 싸워 흉노 선우(單于)의 군대를 격파했다.[230] 여기서 선우는 흉노의 황제를 뜻하는 칭호로, '하늘의 아들'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효성왕과 싸운 선우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제는 기원전 215년에 장군 몽염을 보내 흉노를 토벌하고 하남의 땅(오르도스)을 점령했다. 이후 흉노를 몰아낸 뒤, 장성을 쌓아 북방 기마민족의 침입을 막았다. 당시 흉노의 두만(頭曼)은 여러 차례 중국을 공격하다 화친을 맺었다. 기원전 210년, 두만은 죽기 직전 황하를 넘어 화친에 방해가 되는 자신의 태자 묵돌을 서쪽의 월지국에 인질로 보냈다. 묵돌은 월지국을 공격하려는 아버지의 계략에서 가까스로 탈출하여 귀국한 뒤, 자신을 따르는 무리를 모아 아버지를 살해하고 스스로 선우가 되었다.

2. 2. 묵돌 선우와 흉노 제국

기원전 209년, 진시황이 사망하고 진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묵돌은 군사를 강화하여 동쪽의 동호를 멸망시키고, 서쪽의 월지국을 중앙아시아로 몰아냈으며, 남쪽의 누란 등을 병합하여 북방 최대의 유목민족국가를 수립하였다.[256] 묵돌은 북쪽의 여러 부족을 복속시켜 몽골 초원 부족들의 추장이 되었다.

기원전 200년, 흉노는 마읍성을 공격하여 한왕 신의 항복을 받고 태원으로 진격했다. 유방이 이끄는 한군이 도착했으나, 추위로 곤욕을 치렀다. 묵돌은 한군을 백등산으로 유인하여 7일간 포위했고, 유방은 진평의 계책으로 겨우 탈출했다. 이후 전한은 흉노와 굴욕적인 화친을 맺었다.

화친 조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용
한의 공주를 흉노 선우에게 의무적으로 출가시킨다.
한이 매년 술, 비단, 곡물을 포함한 일정량의 공물을 바친다.
한과 흉노가 형제맹약(兄弟盟約)을 맺는다.
만리장성을 경계로 양국이 서로 상대의 영토를 침범하지 않는다.



이 합의는 기원전 198년에 발효되었다. 이 시기 전한이 흉노의 속국과 같은 존재였다고 해석되기도 한다.[257] 흉노의 영토는 동쪽으로 동호예맥, 북쪽으로 예니세이강 상류, 서쪽으로 동투르케스탄, 남쪽으로 중국의 오르도스 지방과 칭하이성 북부에 이르렀다.

2. 3. 실크로드 장악과 흉노의 분열

기원전 121년, 흉노는 표기장군 곽거병이 이끄는 한나라 군대에 패배하였다. 이어 흉노가 점령하고 있던 기련산도 곽거병과 합기후 공손오의 공격을 받았다. 이로써 흉노는 중요 거점인 하서회랑을 잃었고, 휴투왕이 한나라에 투항하였다. 원수 4년(기원전 119년), 이지사선우(재위: 기원전 126년 - 기원전 114년)는 위청과 곽거병의 침공을 받아 대패하고, 막남의 땅(내몽골)까지 한나라에 빼앗겼다. 이로써 형세는 완전히 역전되어, 다음 오위선우(재위: 기원전 114년 - 기원전 105년) 때에는 한나라로부터 인질을 요구받게 되었다.

태초 3년(기원전 102년), 한나라 이광리대완 원정에서 대완을 항복시켰다. 이로써 한나라의 서역 지배력이 확대되고, 흉노의 서역에 대한 지배력은 약화되었다.

그 후에도 흉노는 한나라와 전투를 벌였고, 한나라의 이릉과 이광리를 사로잡기도 하였으나, 국력에서 우세한 한나라와의 격차는 점점 커져갔다.[231]

호연퇴 단우(재위: 기원전 85년 - 기원전 68년) 때, 동호의 잔존 세력으로 흉노에 복속해 있던 우환족이 역대 선우의 무덤을 파헤쳐 모두 선우에게 패했던 것을 복수했다. 호연퇴 단우는 크게 노하여 2만 기병을 이끌고 우환을 공격했다.

이 소식을 들은 한나라 대장군 곽광중랑장 범명우를 도료장군으로 임명하고 3만 기병을 거느려 요동군에서 출병시켰다. 범명우는 흉노를 추격하여 공격했으나, 범명우의 군대가 도착했을 때는 흉노는 이미 철수한 뒤였다. 그래서 범명우는 우환의 세력이 약해진 것을 틈타 공격하여 6천 명이 넘는 목을 베고 세 명의 왕의 목을 가져와 귀환했다.

이것을 두려워한 호연퇴 단우는 한나라에 대한 출병을 삼가고, 서쪽의 오손을 공격하여 거여(차연, 악사)의 땅을 차지했다. 그러나 오손은 한나라의 동맹국이었기 때문에, 구원 요청을 받은 한나라는 다섯 장군을 파견하여 흉노를 공격했다. 흉노는 큰 피해를 입었고, 오손을 깊이 원망하게 되었다. 그 해 겨울, 호연퇴 단우는 오손을 보복 공격했다. 그러나 돌아오는 길에 폭설을 만나 많은 백성과 가축이 동사했고, 이를 틈타 흉노의 속국이었던 북쪽의 정령, 동쪽의 우환, 서쪽의 오손이 공격해와 많은 군사와 가축을 잃었다. 이로 인해 흉노에 복속해 있던 주변 여러 나라도 반란을 일으켰고, 흉노는 크게 약해졌다.

한나라에 대항할 수 없게 된 흉노는 여러 차례 한나라에 화친을 청했고, 곽연거퇴 단우(재위: 기원전 60년 - 기원전 58년) 때에도 그의 동생을 한나라에 입조시켰다. 그러나 곽연거퇴 단우의 폭정으로 흉노 내부에서 내분이 일어났고, 전대 허려권거 단우의 아들인 호한야 선우(재위: 기원전 58년 - 기원전 31년)가 세워지면서 곽연거퇴 단우는 자살로 몰렸다. 이후 흉노 내부가 분열되어 한때 5명의 선우가 병립할 정도로 내전 시대를 맞게 된다. 이들은 호한야 선우에 의해 통합되지만, 호한야 선우의 형인 지지 선우가 나타나 형제가 동서로 나뉘어 대립하게 된다. 호한야 선우는 내부를 다스리기 위해 한나라에 입조하여 칭신하고 한나라와 친선을 맺었다. 한나라는 이를 크게 기뻐하여 후에 왕소군을 호한야 선우에게 시집보냈다. 한나라와 손을 잡은 호한야 선우를 두려워한 지지 선우는 강거에 의지했지만, 한나라의 진탕과 감연수에 의해 공격받아 멸망했다.

흉노를 통일한 호한야 선우는 한나라와의 관계를 깨뜨리지 않았고, 그의 자식들도 그것을 지켜 한동안 한나라와 흉노 사이에 평화가 지속되었다.[233]

2. 4. 남흉노와 북흉노

기원전 60년경 흉노는 선우 자리를 놓고 내전이 일어났으며, 호한야 선우는 기원전 51년 한나라의 지원을 받아 흉노를 재통일하고 전한과 화친을 맺었다. 이 관계는 전한이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질지 선우는 서흉노를 이끌었으나, 후에 동흉노에 패하여 흡수되었다. 다만, 일부 집단은 서쪽으로 이동하였다.[233] 이 시기 흉노의 내분과 약화 원인으로는 당시 몽골 고원의 한랭화가 지목되기도 한다.

왕망(新)을 건국한 직후 흉노와 중국의 관계는 크게 악화되었고, 흉노는 신나라를 침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후한 건국 시점에서 흉노는 다시 수십 개의 부족으로 분열되었다. 이 중 남흉노는 후한에 복속되어 오르도스 및 산시성(山西省) 일대에 거주했으며, 북흉노는 몽골 고원에 남았다. 89년 후한과 남흉노 연합군은 북흉노를 공격하여 멸망시켰으며, 북흉노 일파는 서방으로 피신하였다. 이때 서방으로 향한 북흉노를 훈족으로 보기도 한다. 북흉노 멸망 직후 몽골 고원에는 선비(鮮卑), 오환(烏桓) 등 다른 유목 부족들이 성립되었다.[233]

남흉노는 중국의 번병(番兵) 역할을 하며 오르도스 및 산서 일대에서 북방을 방어하였다. 후한은 남흉노 군대를 용병으로 활용, 선비, 오환, 강(羌) 등을 토벌하기도 하였다. 중국 명령을 충실히 이행하는 선우에 대해 흉노 유력자들은 불만을 가졌으며, 이로 인해 선우와 흉노 유력자들 간에는 끊임없는 알력이 있었다. 후한 말기에는 남흉노에 대한 간섭으로 선우 직위가 크게 실추되고 위태로워졌다.[233] 삼국 시대 조조(曹操)에 의해 흉노 선우는 유명무실하게 되었고, 흉노는 5부로 재편되어 중국의 실질적인 통제를 받게 되었다.[233]

2. 5. 5호 16국 시대와 흉노의 소멸

후한 말기 남흉노는 대부분 남하하여 한족과 동화되었다. 후한의 유표는 흉노 모계 조상 중 한나라 공주 유(劉)씨가 있었기 때문에 유(劉)씨로 성을 바꿨다. 그의 후손이자 서진(西晉) 말기 흉노의 좌부수였던 유연은 중국의 혼란을 틈타 산서 일대에서 '''한'''(漢)을 건국했다. 이는 흉노가 과거 한나라와 형제의 맹약을 맺은 것을 근거로 한 것이며, 유연은 형인 한나라를 대신하여 한나라를 계승한다고 선언했다. 흉노의 한나라는 서진을 멸망시키고 화북 지역을 지배했다. 이후 흉노의 일파인 갈족(羯族)의 석륵후조를 건국하자 국호를 '''조'''(趙, 후조와의 구분을 위해 보통 전조라고 부른다.)로 바꾸고 화북을 양분하여 대립했다. 329년에 후조에 의해 전조는 멸망했으며, 후조 역시 351년에 멸망했다.

407년에는 흉노 철불부의 혁련발발산시성 일대에서 하(夏)를 건국하여 선우를 자칭하였으나 431년에 멸망하였다. 이로써 흉노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철불 부족의 수장들은 곡비의 후손들이었으며, 다른 부족인 독고 씨와 관련이 있었다. 그들의 이름은 아버지는 흉노이고 어머니는 선비족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철불이 선비족과 혼합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보보는 철불의 생존자 중 한 명으로 망명하여 강족이 이끄는 후진에 봉사했다. 그는 수오팡을 경비하는 임무를 받았지만, 407년 북위와의 평화 협상을 맺은 후진에 분노하여 반란을 일으켜 하 왕조를 건국했다. 유보보는 흉노 혈통을 강하게 주장했는데, "하"라는 국호는 흉노가 하 왕조의 후손이라는 주장에 근거했으며, 자신의 성을 한족 모계 혈통을 따르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여겨 "유"(劉)에서 "협련"(赫連)으로 바꾸었다. 협련보보는 후진을 끊임없는 전쟁 상태에 놓이게 만들었고, 후진의 쇠퇴에 크게 기여했다.

425년 협련보보가 사망한 후, 하 왕조는 북위의 압력으로 인해 빠르게 쇠퇴했다. 428년, 황제 협련창과 수도는 모두 북위군에 의해 함락되었다. 그의 동생인 협련정이 그를 계승하여 431년 서진을 정복했지만, 같은 해 북량에 대한 원정을 시도하는 동안 토욕혼에게 매복 공격을 받아 투옥되었다. 하 왕조는 멸망 직전에 있었고, 이듬해 협련정은 북위로 압송되어 처형되었다.

통만성(모든 민족을 통합한다는 의미)은 협련보보의 통치 기간 동안 건설된 하 왕조의 수도 중 하나였다. 폐허가 된 도시는 1996년에 발견되었고[99] 국무원은 이를 최고 국가 보호 문화 유적지로 지정했다. 협련보보가 군대를 사열했던 용안대의 수리는 완료되었고, 31미터 높이의 망루 복원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100][101]

주곡(沮渠)씨는 397년에 오늘날 간쑤성에 북량을 건국한 루수이후 가문이었다. 북량은 불교를 간쑤성에 전파한 것으로 유명하며, 천티산과 막고굴 등 불교 유적을 건설했고, 439년 북위에 정복될 때까지 십육국 중 마지막 국가였다.[103][104] 442년부터 460년까지 존재했던 고창의 북량도 있었다.

3. 정치 제도

흉노의 군주는 선우라고 불렸으며, 묵돌 선우 이래 부자세습제를 통해 자리를 이어갔다. 선우 아래에는 좌도기왕과 우도기왕 등의 작위가 있었다. 흉노의 신앙 체계는 천신사상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통치자 선우는 천신(天神)의 아들로서 하늘의 뜻을 이 땅에서 이루는 제사장으로 표현되고 있다.

흉노의 주요 지배 집단은 연제씨(攣鞮), 호연씨(呼衍), 수복씨(須卜), 난씨(蘭), 구림씨(丘林) 등 5개 부족이었다. 국가를 구성하는 5부족 족장은 1년에 세 번, 선우의 본거지에 모여 무속적(巫俗的)인 제사를 거행하고 국사를 의론하였다. 흉노의 지배 계층은 험윤에서 이어져 온 몽골계이며, 흉노는 다민족 국가로서 중앙아시아의 투르크계와 아리아계가 흉노에 포함되었다.

4세기 이후, 오르도스와 중앙아시아 등지의 유목 왕조들의 군주들은 선우라는 명칭은 거의 쓰지 않았고, 한이나 가한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흉노 선우의 시각은 중원 왕들과 반대로 남방을 정면으로 삼았기 때문에, 좌현왕은 동부, 우현왕은 서부를 관장했다. 당시 중국 왕조인 한나라 식으로 하면, 선우는 황제, 좌우현왕은 황제가 봉해주는 왕에 해당한다. 또한 좌우현왕과 유사한 두 왕(좌곡려왕, 우곡려왕)이 더 있어 선우와 함께 유목민족 특유의 5부 체제를 이끌었다.

흉노는 한나라와 혼인 외교를 맺기도 했다. 백등산 전투 이후 한나라는 흉노와의 혼인 동맹을 맺을 때 황제의 딸을 보내는 것을 피하기 위해 여러 차례 일반 백성 여성들을 "공주"와 한나라 황실 구성원으로 허위 표기하여 보냈다.[56][57][58][59][60] 한나라는 국경 침입을 막기 위해 이러한 "공주들"을 흉노 지도자들과 결혼시켰다. 한나라는 정략결혼과 함께 흉노의 공격을 멈추도록 뇌물로 비단, 술, 쌀 등의 선물을 보냈다. 흉노는 또한 한나라 장교 및 관리들과 혼인 동맹을 맺었는데, 흉노(선우)의 자매와 딸들을 흉노에 귀순한 한족과 한나라에 복무하는 흉노에게 시집보냈다.

흉노의 최고 지도자는 단우(單于)라 불렸다. 단우 아래에는 도기왕(屠耆王, 현왕(賢王)), 곡려왕(谷蠡王), 대장(大將), 대도위(大都尉), 대당호(大當戶), 골도후(骨都侯) 등의 관직이 있었고, 각각 좌우로 나뉘어 영토를 관할했다. 여러 대신들의 관직은 세습이었으며, 호연씨(呼衍氏), 란씨(蘭氏), 그 후에 수복씨(須卜氏)가 더해져 이 세 성씨가 흉노의 귀족이었다. 좌우 현왕(賢王)과 좌우 곡려왕(谷蠡王)이 가장 큰 영토를 가지고 있었고, 좌우 골도후(骨都侯)는 정치를 보좌했다. 좌우 현왕부터 당호(當戶)에 이르기까지, 많은 경우 1만 기병, 적은 경우 수천 기병을 통솔했다. 모두 24명의 집단장이 있었고, 「만기(萬騎)」라는 칭호로 불렸다. 24명의 집단장들은 각자 천인장, 백인장, 십인장을 임명하고, 비소왕(裨小王), 상(相), 풍도위(封都尉), 당호(當戶), 차거(且渠) 등의 직책을 두었다.

매년 정월(1월)에 각 집단장은 단우정(單于庭)에서 소회의를 열고 제사를 지냈으며, 5월에는 농성(籠城)에서 대회의를 열어 그들의 조상, 하늘과 땅, 신령을 제사 지냈다. 가을에 말이 살찌면, 착림(蹛林)에서 대집회를 열어 인구와 가축의 수를 조사하고 과세했다. 새로운 단우를 선출할 때도 전체 집회에서 결정되었다[233].

4. 언어

흉노어 및 흉노인들이 사용한 문자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노인울라 16호 고분을 비롯한 흉노 유적지에서 발굴된 출토품에 흉노 문자로 추정되는 기호들이 새겨져 있다.[258]



흉노 제국은 다민족 국가였던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207] 흉노의 민족언어적 정체성에 대한 여러 이론이 있지만, 학자들 사이에서 흉노 엘리트들이 어떤 언어를 사용했는지에 대한 의견 일치는 없다.[105]







해롤드 월터 베일리는 기원전 2세기 초 흉노 이름들을 모두 이란어 계통으로 인식하여 흉노의 기원을 이란계로 주장했다. 중앙아시아 학자 크리스토퍼 아이. 벡위스는 흉노라는 이름이 스키타이, 사카 및 소그디아나의 이름과 관련이 있으며, 동이란계 스키타이의 이름과 일치한다고 지적한다.[111] 벡위스에 따르면 흉노는 초기에는 이란계 구성원이 지배적이었을 수도 있지만, 이전에 이란계 민족의 지배를 받았고 그들로부터 이란계 유목민 모델을 배웠을 가능성이 더 높다.

1994년 유네스코에서 출판한 "중앙아시아 문명사"에서 편집자인 야노시 하르마타는 흉노의 왕족과 왕들은 이란식 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중국인들이 기록한 모든 흉노어 단어는 스키타이어로 설명할 수 있으며, 따라서 대다수의 흉노 부족은 동이란어를 사용했음이 분명하다고 주장한다.[18]

리게티 라요시는 흉노가 예니세이어 계열 언어를 사용했다는 주장을 처음으로 제기한 인물이다. 1960년대 초 풀리블랭크 에드윈은 신빙성 있는 증거를 바탕으로 이러한 생각을 처음으로 확장시켰다. 예니세이어설은 서흉노에 속하는 자족이 예니세이어 계열 언어를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김현진은 7세기 중국 편찬물인 『진서(晉書)』에 자족 출신의 노래가 음역되어 있는데, 이것이 예니세이어와 유사하다고 지적한다. 풀리블랭크와 보빈은 이 노래를 근거로 이란계 및 투르크계 등 다른 흉노 민족을 지배한 예니세이어를 사용하는 자족의 지배적 소수 민족을 주장했다. 김현진은 지배적인 흉노어는 투르크어 또는 예니세이어일 가능성이 높지만, 흉노는 확실히 다민족 사회였다고 주의를 덧붙였다.[114]

풀리블랭크와 D. N. 케이트리는 흉노의 칭호가 "원래 시베리아어였지만 나중에 투르크계와 몽골계 민족이 차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타르칸, 태근, 카간과 같은 칭호 또한 흉노어에서 유래했으며, 예니세이어 기원일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흉노어의 "하늘"에 대한 단어는 원시 예니세이어 *''tɨŋVr''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115][116]

흉노 비문의 어휘는 때때로 예니세이어와 관련된 어근을 보이는데, 보빈은 이를 흉노에 예니세이어를 사용하는 집단이 상당수 포함되었다는 자신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사용했다. 제시된 관련 어근의 예로는 흉노어 kʷala '아들'과 케트어 qalek '막내아들', 흉노어 sakdak '장화'와 케트어 sagdi '장화', 흉노어 gʷawa "왕자"와 케트어 gij "왕자", 흉노어 "attij" '아내'와 원시 예니세이어 "alrit", 케트어 "alit", 그리고 흉노어 dar "북쪽"과 유그어 tɨr "북쪽" 등이 있다.[115][117] 풀리블랭크는 또한 흉노어 단어들이 단어 앞부분에 r과 l이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들어 투르크어 기원일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하며, 우리가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어휘는 예니세이어와 매우 유사하다고 믿었다.[118]

알렉산더 보빈은 또한 흉노어의 일부 말 이름이 예니세이어 접두사가 붙은 투르크어 단어처럼 보인다고 기술했다.[115]

알렉산더 사벨리예프와 정충원이 2020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의 저널인 『진화 인류 과학』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흉노 인구의 대부분은 튀르크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러나 유전학 연구에서는 서유라시아와 동유라시아 기원의 해플로그룹이 혼합되어 흉노 내부의 다양한 유전적 다양성과, 흉노 엘리트의 다중 기원을 시사하는 결과가 나왔다. 튀르크 관련 구성 요소는 동유라시아 유전적 기반에 의해 가져왔을 가능성이 있다.[112]

튀르크어 이론을 지지하는 다른 학자들로는 E.H. 파커, 장-피에르 아벨-레뮤자, 율리우스 클라프로트, 구스타프 존 람스테트, 안네마리 폰 가바인[112], 그리고 찰스 허커가 있다. 앙드레 윙크는 흉노가 아마도 초기 형태의 튀르크어를 사용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비록 흉노가 "튀르크"가 아니었거나 튀르크어를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그들은 매우 초기에 튀르크어 사용자들과 긴밀한 접촉을 가졌다. 크레이그 벤자민은 흉노를 원시 튀르크족 또는 원시 몽골족으로 보고, 아마도 정령과 관련된 언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121]

몽골 및 다른 학자들은 흉노가 몽골어족과 관련된 언어를 사용했다고 제안했다.[138][139] 몽골 고고학자들은 판석묘 문화 사람들이 흉노의 조상이라고 제안했으며, 일부 학자들은 흉노가 몽골인의 조상일 가능성을 제시했다.[19] 니키타 비추린은 흉노와 선비를 하나의 같은 민족의 두 하위 집단(또는 왕조)으로 간주했다.[140]

칭기즈칸은 도교도 구처기에게 보낸 편지에서 모둔 찬유 시대를 "우리 찬유의 먼 옛날"이라고 언급했다.[155]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흉노의 해와 달 상징은 몽골의 소욤보와 유사하다.[156][157][158]

  • '''기타'''


알베르 테리앵 드 라쿠페리는 흉노를 다성분 집단으로 간주했다. 많은 학자들은 흉노 연맹이 서로 다른 민족 언어 집단의 혼합이었으며, 그들의 주요 언어(중국 자료에 나타난 대로)와 그 관계는 아직 만족스럽게 밝혀지지 않았다고 믿는다. 김은 "광대한 다민족, 다언어 유목 제국의 역사적 현실"을 옹호하며 "오래된 인종 이론이나 심지어 민족적 연관성"을 거부한다.[159]

일부 위구르족은 흉노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했지만(중국 역사서 『위서』에 따르면 위구르 카간국의 창시자는 흉노 지배자의 후손이었다), 많은 현대 학자들은 현대 위구르족이 고대 위구르 카간국으로부터 직계 계승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데, 현대 위구르어와 고대 위구르어가 다르기 때문이다.[169] 오히려 그들은 그들이 여러 민족의 후손이라고 생각하는데, 그중 하나가 고대 위구르인이다.[170][171][172]

문무왕의 비석 등 여러 종류의 고대 비문에는 문무왕에게 흉노 혈통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러 역사가들에 따르면, 한국어족 기원의 부족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신라와 동흉노의 무덤 유물이 비슷하다는 점을 지적하는 한국 연구자들도 있다.[173][174][175][176][177]

터키학자인 게르하르트 도어퍼(Gerhard Doerfer)는 흉노어가 다른 알려진 언어와 어떤 관계도 없으며, 심지어 튀르크어나 몽골어와의 관련성도 없다고 주장했다.

“흉노(匈奴)”라는 명칭은 그들이 자칭하였거나(혹은 타칭되었거나) 했던 민족 명칭의 음역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그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흉노(匈奴)”의 어원에 대한 가설
가설내용
훈죽(葷粥) 유래설[218]훈죽(葷粥)의 고대음 “ヒュエンツュク”에서 유래.
淳維중국어 유래설“흉노(匈奴)(Chiung-nula)”라는 명칭은 그 시조인 “(Chiun-yüla)”에서 유래.
한어(중국어) 악자(惡字) 유래설[220]“흉(匈)”, “노(奴)” 모두 한어에서의 악자(惡字)로, 흉(匈)은 가슴(胸)과 통하며 “흉흉(匈匈)”은 소란·소동을 의미하고, 노(奴)는 낮춰 부르는 호칭이며, “흉노(匈奴)”는 소란을 일으키는 무리라는 뜻.
토템 동물 명칭 유래설[217]흉노라는 족명은 그 토템 동물의 명칭이며, 노욘 올(노인 우라) 흉노 왕후 묘 출토의 바느질 수놓은 모직물에 보이는 돼지 모양의 기이한 동물이 아닌가 하는 설.



또한, 한문 사서에 나오는 “흉노하(匈奴河)”라는 하천명이 흉노의 어원인지, 흉노가 할거하였기에 붙여진 하천명인지는 불명확하다.[217]

현재 “흉노(匈奴)”는 중국어(표준어, 북경관화)로 “시옹누()”, 일본어 한음으로 “きょうど”라고 읽는다. 그리고 중국사에서의 명칭 예에 준하여 현대의 비한자권에서의 명칭도 표준어에 준하여 Xiongnula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중국어 음운학 연구에 따르면, 전한대(前漢代)의 “흉노(匈奴)” 발음은 각지의 현재 발음과 크게 달랐을 것으로 생각된다. 먼저, 중국어 음운학 지식에 근거한 고전적인 추정음[221]의 대표적인 것을 아래에 적는다.

“흉노(匈奴)”의 추정 상고음(추정되는 진한기(秦漢期)의 발음)
연구자카를그렌왕력이방귀
발음 기호xi̯uŋ nolaxioŋ nalahjuŋ naɡla
가타카나 근사휴응·노훠응·나휴응·나그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흉노(匈奴)”는 어디까지나 한대(漢代) 사람들의 한자 음역이기 때문에, 한자의 추정음이 그들의 발음 그대로는 아니다. 이 점, 중국어 음운학 연구와 거의 동시에 역사학자들은 여러 관점을 고려하여 “흉노(匈奴)”가 어떤 발음을 기록했는지(한어의 음역 원이 되는 발음)를 고찰하고 있다.

“흉노(匈奴)”의 음역 원이 되는 발음에 대한 학설
학자내용
Gustav Halounde고대 중국어로는 xbron-nola이었다고 했다.
백조고길“奴(누·도)”라는 글자가 고대 중국에서는 “나”라고 발음되어 Hu-nala, Hun-nala였다고 했다.[222]
상원규장Hunnila였다고 했다.[223]
우치다 긴푸거의 flōŋ-nahla이었다고 하며, 4세기에 유럽을 휩쓴 훈족을 가리키는 고대 그리스어의 “Φροῦνοιgrc”와 관련시켜, 오호십육국 시대의 타림 분지 등에서 소그드인이 전조의 흉노인을 “훈”이라고 불렀던 것오렐 스타인이 발견한 『소그드어 고대 서간』보다.과 합쳐 “흉노(匈奴)”의 고대음은 “훈” 또는 “훌노이”에 가까운 것이었다고 했다.[225]


5. 주변과의 관계

흉노는 유목 민족으로서 경제를 유지하기 위해 농경 정주민에게 필요한 물자를 확보해야 했다. 이를 위해 주변 국가를 침략·약탈하거나, 조공이나 세폐를 통해 평화적으로 물자를 얻었다.


  • '''중국'''


서주(기원전 1045년~771년) 시대에는 선운, 귀방 등 북쪽과 북서쪽의 유목 부족들과 잦은 충돌이 있었다.[27] 견융은 기원전 771년에 서주를 멸망시키기도 하였다.[27] 전국 시대에는 진, 조, 연이 흉노와 다른 호 민족이 거주하는 유목 지역을 침략하고 정복했다.

최초로 알려진 흉노의 지도자는 기원전 220년부터 기원전 209년까지 통치한 두만(Touman)이었다. 기원전 215년, 진시황제는 맹천을 파견해 흉노 정벌을 감행, 흉노를 오르도스 고원에서 몰아내고 몽골 고원으로 쫓아냈다. 기원전 209년, 두만의 아들 모두가 흉노의 선우(Chanyu)가 되었다. 모두는 흉노를 강력한 연합으로 통합하고, 북쪽으로는 딩링, 동쪽으로는 동호, 서쪽으로는 월지를 정복하며 흉노 제국을 확장했다. 특히 월지 왕의 두개골로는 두개골 술잔을 만들기도 했다.

기원전 200년, 모두는 32만 대군으로 한 고조를 포위하고, 북방 여러 주를 할양받고 매년 조공을 받는 조건으로 포위를 풀었다. 기원전 198년에는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기원전 176년, 흉노는 서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기원전 174년 모두가 죽을 무렵, 흉노는 중국 한나라와 국경을 접한 유목민 중 가장 중요한 세력이 되었다.

기원전 53년, 호한야선우는 한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고, 흉노의 정치적 지위는 "형제 국가"에서 "외번"으로 격하되었다. 호한야는 아들을 인질로 보내고 직접 장안을 방문해 조공을 바쳤다. 기원전 33년, 호한야는 황실 사위가 되기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하고, 대신 왕소군을 포함한 다섯 명의 궁녀를 받았다.

지지 선우는 형 호한야의 항복에 반발하여 한나라에 아들을 인질로 보내고 조공을 바쳤으나, 직접 조공하지 않아 조공 체제에 편입되지 못했다. 기원전 36년, 진탕이 이끄는 한나라 원정군에 패배하여 사망했다.

후한 시대(18년~48년)에는 신나라의 혼란으로 조공 관계가 중단되었으나, 기원후 50년 남흉노가 다시 한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었다. 남흉노는 한나라의 보조군으로 복무하며 선비족의 침략을 받았다. 2세기 후반, 남흉노는 한나라의 반란에 휘말렸고, 215~216년 조조에 의해 5부로 재편성되었다.

흉노 연맹은 이례적으로 오랜 기간 존속했는데, 이는 한나라의 조공에 의존했기 때문이다.

  • '''훈족'''


서흉노 또는 북흉노가 훈족의 원류라는 주장이 있으나, 명확한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12] 흉노와 훈족이 소그드 문자로 γwn (''xwn'')으로 언급되어 두 이름이 동의어임을 시사한다.[12] 흉노가 훈족의 선조라는 이론은 일부 학자들이 받아들이고 있지만, 정설은 아니다.

  • '''한민족'''


신라 금석문에 김일제가 신라 김씨 왕실의 조상이라는 기록이 있어,[260][261][262][263] 신라 왕실이 흉노의 후예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역사학계에서는 왕가 미화를 위한 꾸며낸 이야기로 해석한다.[264][265][266]

5. 1. 중국과의 관계

흉노는 유목 민족으로, 경제 유지를 위해 농경 정주민에게 필요한 물자를 확보해야 했다. 이를 위해 때로는 중국을 침략·약탈하고, 때로는 조공이나 세폐를 통해 평화적으로 물자를 얻었다. 중국은 흉노의 침입을 막기 위해 장성을 쌓고 막대한 세폐를 바치기도 했다.[259] 중국 측 역사 교과서에 따르면, 전한 무제 때 흉노를 대대적으로 토벌하여 세력을 약화시켰고, 일부 흉노 부족은 한나라에 화친을 청하며 신하를 자칭했다고 한다. 전한 원제는 궁녀 왕소군을 공주로 만들어 흉노에 시집보내, 비교적 장기간 국경을 안정시켰다. 이는 결혼 동맹을 통한 양국 간 우호 관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전한 무제가 흉노와 전쟁을 시작한 이후, 흉노는 경제적 중심지였던 서역을 상실하여 세력이 약화되었다. 이후 흉노 내분으로 더욱 약화되어 일부는 중국에 복속되어 번병이 되기도 하였다.

서주(기원전 1045년~771년) 시대에는 북쪽과 북서쪽의 유목 부족들과 잦은 충돌이 있었다. 이들은 선운, 귀방, 또는 다양한 "융" 부족들(예: 서융, 산융, 견융)로 알려져 있다.[27] 이 부족들은 주의 영토를 괴롭혔지만, 당시 주는 북쪽으로 확장하여 그들의 전통적인 땅, 특히 위수 계곡을 침범하고 있었다. 견융은 기원전 771년에 서주를 멸망시키고, 주의 수도인 호경을 함락시키고 마지막 서주 왕인 유왕을 죽였다.[27] 그 후 북방 부족들을 다루는 일은 그들의 봉신인 진에게 맡겨졌다.[27]

전국 시대 동안 진, 조, 연의 군대는 흉노와 다른 호 민족이 거주하는 여러 유목 지역을 침략하고 정복했다. 조(趙)-흉노 전쟁은 이러한 원정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풀리블랭크는 흉노가 서융(西戎) 집단 중 의곡(義渠)의 일부였으며, 수세기 동안 중국의 영향을 받은 후 진에 의해 쫓겨났다고 주장했다. 진(秦)나라의 흉노 정벌은 흉노의 땅을 빼앗아 진의 영토를 확장시켰다. 진나라 통일 이후, 흉노는 진나라의 북쪽 국경에 대한 위협이 되었다. 흉노는 자연재해를 겪을 때 진나라를 공격할 가능성이 높았다.[46]

최초로 알려진 흉노의 지도자는 기원전 220년에서 기원전 209년까지 통치한 두만(Touman)이었다. 기원전 215년, 중국 진시황제(Qin Shi Huang)는 장군 맹천(Meng Tian)을 흉노에 대한 흉노 정벌(Qin's campaign against the Xiongnu)에 파병했다. 맹천은 흉노를 패퇴시키고 오르도스 루프에서 몰아냈으며, 두만(Touman)과 흉노는 몽골 고원(Mongolian Plateau)으로 북쪽으로 도망칠 수밖에 없었다. 기원전 210년에 맹천이 죽었고, 기원전 209년에 두만의 아들 모두가 흉노의 선우(Chanyu)가 되었다.

진나라(Qin dynasty)의 위협으로부터 흉노를 보호하기 위해 모두(Modu Chanyu)는 흉노를 강력한 연합(confederation)으로 통합했다. 이로써 흉노는 더욱 강력한 정치체로 변모하여 더 큰 규모의 군대를 조직하고 전략적 조정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2년 후인 기원전 207년에 진나라가 멸망하고, 내전이 진행된 후 기원전 202년에 전한이 들어섰다. 중국의 이러한 불안정한 시기는 흉노에게는 번영의 시기였는데, 흉노는 노예를 이용한 중노동과 한식 주택 등 많은 한의 농업 기술을 받아들였다.

내부 통합을 이룬 후 모두(Modu Chanyu)는 사방으로 흉노 제국을 확장했다. 북쪽으로는 남시베리아의 딩링(Dingling)을 포함한 여러 유목민들을 정복했다. 그는 동몽골과 만주 지역의 동호(Donghu people)와 간쑤(Gansu)의 하서주랑(Hexi Corridor)에 있는 월지(Yuezhi)의 세력을 분쇄했고, 그의 아들 기주(Jizhu)는 월지 왕의 두개골로 두개골 술잔(skull cup)을 만들었다. 모두는 또한 이전에 진나라 장군 맹천에게 빼앗겼던 흉노의 원래 고향인 황하(Yellow River)를 탈환했다. 모두의 지휘 아래 흉노는 매우 강해져서 한나라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200년, 모두는 32만 대군을 이끌고 백등(현재 산시성 대동)의 패릉(Peteng) 요새에서 첫 번째 한나라 황제인 고조(고제)를 포위했다. 고조(고제)는 북방의 여러 주를 흉노에게 할양하고 매년 조공을 바치는 등 모두의 모든 조건에 동의한 후 포위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고조는 수도 장안(현재 시안)으로 돌아올 수 있었지만, 모두는 종종 한나라의 북방 국경을 위협했고, 마침내 기원전 198년에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흉노의 확장으로 인해 서쪽 이웃인 월지는 기원전 176년에 하서주랑(Hexi Corridor)에서 쫓겨났고, 월지 왕은 죽임을 당했으며 흉노는 서역(Western Regions)에 그들의 존재를 확립했다.

기원전 174년 모두가 죽을 무렵, 흉노는 중국 한 제국과 국경을 접한 유목민들 중 가장 중요한 세력으로 인정받았다.

기원전 53년, 호한야 단우한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기로 결정했다. 한나라 조정이 처음 요구한 조건은 첫째, 단우 또는 그의 대표가 조공을 바치기 위해 수도에 와야 하고, 둘째, 단우는 인질 왕자를 보내야 하며, 셋째, 단우는 한 황제에게 조공을 바쳐야 한다는 것이었다. 중국 세계 질서에서 흉노의 정치적 지위는 "형제 국가"에서 "외번(外臣)"으로 격하되었다.

호한야는 그의 아들인 "우현왕" 술루주탕을 인질로 한나라 조정에 보냈다. 기원전 51년 그는 직접 장안을 방문하여 음력 설날에 황제에게 조공을 바쳤다. 같은 해, 또 다른 사절 기구산(稽居狦)이 오늘날 산서성 북서쪽의 감천궁에서 접견을 받았다. 재정적인 측면에서 호한야는 그의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많은 양의 금, 현금, 의복, 비단, 말, 곡물을 풍족하게 받았다. 호한야는 기원전 49년과 기원전 33년에 두 차례 더 조공을 바쳤고, 매번 황실의 선물은 증가했다. 마지막 방문에서 호한야는 황실 사위가 되는 것을 허락해달라고 요청했다. 흉노의 정치적 지위 하락의 징후로 한 원제는 거절하고 대신 다섯 명의 궁녀를 주었다. 그중 한 명이 바로 중국 민간 설화에서 사대미인 중 한 명으로 유명한 왕소군이었다.

지지가 그의 형제의 항복을 알게 되자, 그는 기원전 53년에 아들을 인질로 한나라 조정에 보냈다. 그 후 기원전 51년과 기원전 50년 두 차례에 걸쳐 조공을 바치며 사절을 한나라 조정에 보냈다. 그러나 직접 조공을 바치지 못했기 때문에 조공 체제에 편입되지 못했다. 기원전 36년, 진탕이라는 하급 장교가 서역도호 감연수의 도움을 받아 원정군을 조직하여 지지 전투에서 그를 패배시키고 그의 목을 전리품으로 장안으로 보냈다.

후한시대(18년~48년) 통치 기간 동안 신나라의 정치적 혼란에 따라 조공 관계는 중단되었다. 흉노는 기회를 틈타 서역뿐만 아니라 우환과 같은 이웃 민족에 대한 지배권을 되찾았다. 24년, 후더스는 조공 제도를 역전하는 것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기원후 50년, 남흉노는 한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었다. 한나라는 남흉노를 통제하기 위해 조공 체계를 상당히 강화했다. 선우(chanyu)는 서하군(Xihe Commandery)의 매지(Meiji) 지역에 궁궐을 세우라는 명령을 받았고, 남흉노는 8개의 변경 군현에 재정착되었다. 동시에 많은 수의 한족도 이러한 군현에 정착하여 한족과 흉노가 혼합된 정착촌을 형성했다. 경제적으로 남흉노는 한나라와의 무역에 의존하게 되었다.

남흉노는 한나라의 북쪽 국경 방어를 위한 보조군으로 복무했고, 북흉노를 물리치는 데에도 역할을 했다. 그러나 북쪽의 대응 세력이 쇠퇴함에 따라 남흉노는 스텝의 선비족(Xianbei)의 침략을 계속해서 받았다. 변경의 열악한 생활 조건 외에도, 한나라 조정은 남흉노의 정치에 간섭하여 한나라에 충성하는 선우를 임명하기도 했다.

2세기 후반, 남흉노는 당시 한나라 조정을 괴롭히던 반란에 휘말렸다. 188년, 선우는 한나라의 하북(Hebei) 반란 진압을 돕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많은 흉노들은 이것이 한나라 조정에 대한 끝없는 군역의 선례가 될 것을 우려했다. 당시 수추거는 병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한나라의 주 자사를 살해했다. 남흉노의 반란 세력은 수추거와 연합하여 선우를 살해했다. 그의 아들 유복로(Yufuluo)는 치지시주(持至尸逐侯, Chizhisizhu)라는 칭호를 받고 그의 뒤를 이었지만, 189년 반란군에 의해 폐위되었다. 그는 낙양(Luoyang)(한나라 수도)으로 가서 한나라 조정의 도움을 청했지만, 이때 한나라 조정은 대장군 하진(He Jin)과 환관들 사이의 갈등과 동탁(Dong Zhuo)의 개입으로 혼란에 빠져 있었다.

215~216년, 조조(Cao Cao)는 (Ye, China) 시에서 호추권(Huchuquan Chanyu)을 구금하고 산서의 남흉노의 마지막 잔재를 5부(五部) – 좌, 우, 남, 북, 중앙 – 로 재편성했다.

흉노 연맹은 초원 제국으로서는 이례적으로 오랜 기간 존속했다. 중원을 약탈한 목적은 단순히 물자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중원 정권으로 하여금 정기적으로 조공을 바치도록 강요하기 위한 것이었다. 흉노 지배자의 권력은 그가 자신의 추종자들에게 나눠주던 한나라의 조공에 대한 지배력에 기반을 두었다. 한나라와 흉노 제국은 동시에 흥망했는데, 이는 흉노 국가가 한나라의 조공에 의존했기 때문이다.

5. 2. 훈족과의 관계

서흉노 또는 북흉노가 훈족의 원류라는 주장이 있으나, 이 둘 사이의 명확한 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2] 18세기 프랑스 역사가 조제프 드 기뉴는 고대 중국 학자들이 흉노와 관련된 부족 구성원들을 "훈"과 비슷한 이름으로 불렀다는 점에 주목했는데, 다만 사용된 한자는 다양했다. 에티엔 드 라 베시에르는 "소그드 고대 문자"에 사용된 소그드 문자에서 흉노와 훈족 모두 γwn (''xwn'')으로 언급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두 이름이 동의어임을 시사한다.[12]

흉노가 유럽에서 후에 알려진 훈족의 선조라는 이론은 많은 학자들이 받아들이고 있지만, 아직 정설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훈족과의 동일시는 잘못되었거나 지나치게 단순화된 것일 수 있다.

5. 3. 한민족과의 관계

신라의 일부 금석문에는 흉노 출신의 김일제가 신라 김씨 왕실의 조상이라 기록되어 있다.[260][261][262][263] 이를 근거로 재야사학자 및 소수의 역사학자들은 신라 왕실이 흉노의 후예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학계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고대 신라인들이 왕가의 혈통을 미화하기 위해 중국 역사 속의 위인을 시조로 꾸며낸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64][265][266]

참조

[1] 서적 Global Connections: Volume 1, To 1500: Politics, Exchange, and Social Lif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3-16
[2] 서적 Atlas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 서적 The European Handbook of Central Asian Studies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21
[4] 서적 The Archaeology of Power and Politics in Eurasia: Regimes and Revolu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11-19
[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1: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 – 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학술지 Ethnicity and the Suppression of Buddhism in Fifth-century North China: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Gaiwu Rebellion 2002
[7] 웹사이트 http://ytenx.org/dci[...]
[8] 웹사이트 http://ytenx.org/dci[...]
[9] 서적 Türk Medeniyeti Tarihi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Xiongnu People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7-25
[11] 서적 The Historical Evolution of World-System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5-02-18
[12] 백과사전 Xiongnu http://www.iranicaon[...] 2006-11-15
[13] 학술지 Early nomads of the Eastern Steppe and their tentative connections in the West 2020-05-10
[14] 학술지 Bayesian phylolinguistics reveal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ranseurasian family 2018-07-01
[15] 서적 Chinese Architec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15] 웹사이트 Turcs ou Turks https://www.larousse[...] Larousse Éditions 2023-04-01
[16] 서적 Book of Zhou, vol. 50
[16] 서적 Henning 1948
[17] 서적 Sims-Williams 2004
[17] 서적 Pritsak 1959
[17] 서적 Hucker 1975, p. 136.
[17] 서적 Jinshu vol. 97 Four Barbarians - Xiongnu"
[17] 서적 Weishu
[17] 서적 Yuanhe Maps and Records of Prefectures and Counties vol. 4
[17]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4-18
[17] 서적 Du You. Tongdian
[17] 서적 Wink 2002, pp. 60–61.
[18] 서적
[19] 학술지 Anthropology of Archaeological Populations from Northeast Asia http://user.dankook.[...]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2011-02
[20] 학술지 Did the Xiongnu speak a Yeniseian language?
[21] 학술지 Quèdìng xià guó jí kǎitè rén de yǔyán wéi shǔyú hànyǔ zú hé yè ní sāi yǔxì gòngtóng cí yuán 2017
[22] 학술지 Huns and Xiongnu Identified by Hungarian and Yeniseian Shared Etymologies https://www.jstor.or[...] 2013
[23] 학술지 The Kai, the Khongai, and the Names of the Xiōngnú https://repository.u[...] 2015
[24] 학술지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South and Central Asia 2019-09-06
[25] 학술지 The human environment of the Xiongnu Ivolga Fortress (West Trans-Baikal area, Russia): Initial data https://www.scienced[...] 2020-04-30
[26] 서적
[27] 서적 The Collapse of China's Later Han Dynasty, 25-220 CE: The Northwest Borderlands and the Edge of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6-27
[28] 서적 Pazyryk Culture Up in the Alta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
[29] 웹사이트 Pazyryk archaeological site, Kazakhstan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01-09-11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학술지 Ancestry and demography and descendants of Iron Age nomads of the Eurasian Steppe 2017-03-03
[34] 웹사이트 The Yuezhi https://oxfordre.com[...] 2017-03-29
[35] 서적 The Oxford World History of Empire: Volume Two: The History of Empir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2-02
[36] 서적 Peerless Images: Persian Painting and Its Source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2-01-01
[37] 학술지 A Study on the Bone Plates from Orlat https://www.academia[...] The Institute of Silk Road Studies 1997
[38] 학술지 Sur quelques vestiges et indices nouveaux de l'hellénisme dans les arts entre la Bactriane et le Gandhāra (130 av. J.-C.-100 apr. J.-C. environ) https://www.academia[...] 2020
[39] 서적 The Account of the Xiongnu,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doi.org/10.1[...]
[40] 서적 Shiji Ch. 110: Xiongnu liezhuan https://ctext.org/sh[...]
[41] 서적 Stories about Lian Po and Lin Xiangru - Addendum: Li Mu https://zh.wikisourc[...]
[42] 웹사이트 Li Mu 李牧 http://www.chinaknow[...] 2019
[43] 서적 Hereditary House of Zhao https://ctext.org/sh[...]
[44] 서적 King Wuling spends his day in idleness https://jenniferdodg[...]
[45] 서적 Account of the Xiongnu https://zh.wikisourc[...]
[46] 학술지 China and the steppe: reception and resistance https://www.cambridg[...] 2017
[47] 서적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04-18
[48] 학술지 Tattoo in Early China
[49] 이미지 Xiongnu museum label File:Xiongnu museum [...]
[50] 학회발표논문 Xiongnu v Yuznom Kazakhstane Ministry of Culture and Information of the Kazakhstan Republic 2020-01-23
[51] 학술지 The Hsiung-nu imperial confederacy: Organization and foreign policy
[52] 웹사이트 ASYA HUN DEVLETİ (BÜYÜK HUN İMPARATORLUĞU) (M.Ö. 220 – M.S.216 ) — Dijital Hoca https://www.dijitalh[...]
[53] 웹사이트 Türklerin tarihî başkenti: Ötüken - Avrasya'dan - Haber https://www.trtavaz.[...]
[5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1: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 – 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웹사이트 Archeologists discover capital of Xiongnu Empire in central Mongolia https://akipress.com[...]
[56] 서적 Chinese Just War Ethics: Origin, Development, and Dissent Routledge 2015
[57] 서적 Historical Records 史记: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Biographical General History Book in China https://books.google[...] DeepLogic 2019
[58] 서적 Savage Exchange: Han Imperialism, Chinese Literary Style, and the Economic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20
[59] 서적 Savage Exchange: Figuring the Foreign in the Early Han Dynas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05
[60] 서적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https://books.google[...] X libris Corporation 2013
[61] 서적 Ancient bronzes, ceramics, and seals: The Nasli M. Heeramaneck Collection of ancient Near Eastern, central Asiatic, and European art, gift of the Ahmanson Foundation https://archive.org/[...]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1981
[62] 웹사이트 Belt Buckle LACMA Collections https://collections.[...]
[63] 학술지 FASTENING THE BUCKLE: A STRAND OF XIONGNU-ERA NARRATIVE IN A RECENT KIRGHIZ EPIC POEM http://www.silkroadf[...] 2016
[64] 서적 Traders and raiders on China's northern frontier https://archive.org/[...] Seattle :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itution, in association with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5
[65] 학술지 Sur quelques vestiges et indices nouveaux de l'hellénisme dans les arts entre la Bactriane et le Gandhāra (130 av. J.-C.-100 apr. J.-C. environ) https://www.academia[...] 2020
[66] 웹사이트 Aristocratic elites in the Xiongnu empire https://www.academia[...]
[67]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an dynasty https://books.google[...] Renditions-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01
[68] 서적 Monumenta Serica https://books.google[...] H. Vetch
[69]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0]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an Dynasty II https://dokumen.pub/[...] Columbia University Press
[71] 서적 History of Qin and Han https://books.google[...] Wunan Publishing
[72] 서적 The Sinitic Civilization Book II: A Factual History Through the Lens of Archaeology, Bronzeware, Astronomy, Divination, Calendar and the Annals https://books.google[...] iUniversе 2018
[73]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1-04-17
[74] 서적 The Great Wall: China Against the World, 1000 BC – AD 2000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2011-04-17
[75] 서적 The Human Record: To 1700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2011-04-17
[76] 서적 Story of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China Intercontinental Press 2011-04-17
[77]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1-04-17
[78] 서적 Man and environment, Volume 23, Issue 1 https://books.google[...] Indian Society for Prehistoric and Quaternary Studies 2011-04-17
[79] 서적 The Amazons: Lives and Legends of Warrior Women across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9-22
[80] 서적 The role of women in the Altaic world: Permanent International Altaistic Conference, 44th meeting, Walberberg, 26-31 August 2001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2-02-08
[81] 서적 Tang China and the collapse of the Uighur Empire: a documen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12-02-08
[82] 서적 The Urban Civilization of Northern and Innermost Asia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Research http://nbdrx.ru/pdf/[...] Romanian Academy Institute of Archaeology of Iaşi Editura Academiei Romane - Editura Istros 2010
[83] 서적 Tang China and the Collapse of the Uighur Empire: A Documen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21
[84] 서적 The role of women in the Altaic world: Permanent International Altaistic Conference, 44th meeting, Walberberg, 26-31 August 2001 Harrassowitz 2007
[85] 학술지 Breaking the Orkhon Tradition: Kirghiz Adherence to the Yenisei Region after A. D. 840 1999
[86] 서적 The Great Wall: China Against the World, 1000 BC – AD 2000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2011-04-17
[87] 서적 The Human Record: To 1700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2011-04-17
[88] 서적 Man and environment, Volume 23, Issue 1 https://books.google[...] Indian Society for Prehistoric and Quaternary Studies. 2011-04-17
[89] 학술지 Sino-Western Cultural Exchange as Seen through the Archaeology of the First Emperor's Necropolis 2023-01
[90] 서적 The World of the Huns: Studies in Their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01-01
[91] 웹사이트 Horse Stepping on a Xiongnu Soldier http://en.chinacultu[...]
[92] 서적 Han Shu Zhonghua shuju
[93] 서적 Han Material Culture: An Archaeological Analysis and Vessel Typ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2-02
[94] 웹사이트 Book of Wei Vol. 102 https://zh.wikisourc[...]
[95] 서적 History of Hun People http://gumilevica.ku[...]
[96] 서적 The Huns Routledge 2015
[97] 서적 Jìnshū Commercial Press
[98] 서적 Northern frontier: the policies and strategy of the later Han Empire Faculty of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84
[99] 간행물 Sand-covered Hun City Unearthed http://www.china.org[...] China
[100] 웹사이트 National Geographic http://www.geographi[...]
[101] 학술지 Hunok Kínában http://www.federatio[...] 2008-08-18
[102] 서적 《魏晋南北朝史论集》 Beijing University Press 1997-06
[103] 서적 Didactic Narration: Jataka Iconography in Dunhuang with a Catalogue of Jataka Representations in Chin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00
[104] 서적 Cave Temples of Mogao at Dunhuang: Art History on the Silk Road: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15-09-15
[105] 백과사전 The Xiongnu http://asian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2-29
[106] 서적 The Cultures of Ancient Xinjiang, Western China: Crossroads of the Silk Roads https://books.google[...] Archaeopress Publishing Ltd 2019-12-19
[107] 학술지 Sur quelques vestiges et indices nouveaux de l'hellénisme dans les arts entre la Bactriane et le Gandhāra (130 av. J.-C.-100 apr. J.-C. environ) https://www.academia[...] 2020-01-01
[108] 학술지 Nouvelles découvertes de tentures polychromes brodées du début de notre ère dans les "tumuli" n o 20 et n o 31 de Noin-Ula (République de Mongolie) 2015-01-01
[109] 학술지 KHALCHAYAN https://referencewor[...] Brill 2020-12-14
[110] 서적 The Steppe Tradition in International Relations: Russians, Turks and European State Building 4000 BCE–2017 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7-19
[111] harvnb
[112] 학술지 Early nomads of the Eastern Steppe and their tentative connections in the West 2020-05-07
[113]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114] 서적 The Hun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5-11-01
[115] 학술지 Did the Xiongnu speak a Yeniseian language? Part 2: Vocabulary https://www.academia[...]
[116] 서적 A Descriptive Grammar of Ket (Yenisei-Ostyak): Part 1: Introduction, Phonology and Morphology https://books.google[...] Global Oriental 2007-03-22
[117] 학술지 ONCE AGAIN ON THE ETYMOLOGY OF THE TITLE qaγan https://core.ac.uk/r[...] 2022-04-06
[118] 논문 Identifying the Huns and the Xiongnu (or Not): Multi-Faceted Implications and Difficulties https://prism.ucalga[...] 2020-09-14
[119] 학술지 Late Holocene Technology Words in Proto-Athabaskan: Implications for Dene-Yeniseian Culture History 2023-07-21
[120]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121]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2] 서적 Zhoushu https://zh.wikisourc[...]
[123] 서적 Beishi https://zh.wikisourc[...]
[124] 학술지 The Ethnogonic Tales of the Türks https://www.research[...] 2018-08-01
[125] 서적 Tongdian https://zh.wikisourc[...]
[126] 서적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e-Dynastic Khitan https://helda.helsin[...]
[127] 서적 Suishu https://zh.wikisourc[...]
[128] 서적 Zhoushu
[129] 서적 Beishi
[130] 서적 Book of Wei https://zh.wikisourc[...]
[131] 서적 Xin Tangshu https://zh.wikisourc[...]
[132] 서적 Weishu https://zh.wikisourc[...]
[133] 서적 Jinshu https://zh.wikisourc[...]
[134] 서적 Yuanhe Maps and Records of Prefectures and Counties
[135] 서적 Tongdian https://zh.wikisourc[...]
[136] 웹사이트 Belt Buckle LACMA Collections https://collections.[...]
[137] 서적 Traders and raiders on China's northern frontier: 19 November 1995 - 2 September 1996, Arthur M. Sackler Gallery https://ia601307.us.[...]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 [u.a.] 1995-11-19
[138] 간행물 The scholar who showed the true Mongolia to the world 2010-01-01
[139] 서적 Aspects of Altaic Civilization III 2021-05-01
[140] 서적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 peoples who inhabited Central Asia in ancient times
[141] 논문 Ji 姬 and Jiang 姜: The Role of Exogamic Clans in the Organization of the Zhou Polity https://web.archive.[...]
[142] 서적 Book of Wei
[143] 서적 Liangshu https://zh.wikisourc[...]
[144] 논문 Some Notes on the Avars and Rouran Iași
[145] 서적 Old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146] 서적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e-Dynastic Khitan University of Helsinki
[147] 서적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e-Dynastic Khitan https://helda.helsin[...] University of Helsinki
[148] 서적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https://zh.wikisourc[...]
[149] 논문 Turko-Mongolic relations Routledge 2006-01-27
[150] 논문 Early Serbi-Mongolic-Tungusic lexical contact: Jurchen numerals from the 室韦 Shirwi (Shih-wei) in North China https://www.academia[...] Brill 2019-09-22
[151] 서적 Shiji https://zh.wikisourc[...]
[152]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zh.wikisourc[...]
[153] 서적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e-Dynastic Khitan University of Helsinki
[154] 학술지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Term Turk and the Nature of the Turkic Identity of the Chinggisid and Timurid Elites in Post-Mongol Central Asia
[155]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9th to the 19th century https://archive.org/[...] London : Longmans, Green
[156] 웹사이트 Sun and Moon http://depts.washing[...]
[157] 웹사이트 Xiongnu Archaeology http://depts.washing[...]
[158] 논문 Elite Xiongnu Burials at the Periphery https://www.academia[...]
[159]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0] 서적 Book of Zhou :zh:s:周書/卷50
[161] 서적 History of the Northern Dynasties :zh:s:北史/卷099
[162] 서적 Book of Sui :zh:s:隋書/卷84
[163] 서적 Tongdian Zhonghua Book Company
[164] 웹사이트 Об эт нической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Хунну http://rudocs.exdat.[...] 2014-06-21
[165] 서적 De Administrando Imperio by Constantine VII Porphyrogenitus https://books.google[...] Dumbarton Oaks Center for Byzantine Studies 2013-08-28
[166] 서적 Byzanz und Ostmitteleuropa 950–1453: Beiträge zu einer table-ronde des XIX. International Congress of Byzantine Studies, Copenhagen 1996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3-02-09
[167]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9th to the 19th Century: The So-called Tartars of Russia and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13-06-15
[168] 참고자료
[169] 학술지 The Formation of Modern Uyghur Historiography and Competing Perspectives toward Uyghur History http://www.isn.ethz.[...] 2023-07-05
[170] 서적 Xinjiang: China's Muslim Borderland M. E. Sharpe
[171] 서적 Democratization and Identity: Regimes and Ethnicity in East and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1-09-09
[172] 서적 The ETIM: China's Islamic Militants and the Global Terrorist Threat https://books.google[...] ABC-CLIO
[173] 서적 騎馬흉노국가 신라 연구 조갑제(월간조선 편집장)의 심층취재 내 몸속을 흐르는 흉노의 피 http://monthly.chosu[...] Monthly Chosun 2016-09-25
[174] 서적 김운회의 '대쥬신을 찾아서' <23> 금관의 나라, 신라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6-09-25
[175] 뉴스 경주 사천왕사(寺) 사천왕상(四天王像) 왜 4개가 아니라 3개일까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6-09-25
[176] 논문 문무왕릉비에 보이는 신라인의 조상인식 – 태조성한의 첨보 - 한국사연구회 1986
[177] 웹사이트 자료검색>상세_기사 {{!}}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 2019-04-15
[178] 논문 Thinking Political Communities: The State and Social Stratification among Ancient Nomads of Mongolia
[179] 서적 Les nomades Éditions Errance 2007
[180] 서적 Excavations in Northern Mongolia (1924–1925) http://depts.washing[...] J. Fedorov Printing House 1932
[181] 서적 The Great Empires of the Ancient World 2009
[182] 웹사이트 Hermitage Museum https://www.hermitag[...]
[183] 서적 Ivolginskii arkheologicheskii kompleks II. Ivolginskii mogil'nik. Arkheologicheskie pamiatniki Siunnu 2 Sankt-Peterburg 1996
[184] 서적 Dyrestuiskii mogil'nik. Arkheologicheskie pamiatniki Siunnu 3 Sankt-Peterburg 1998
[185] 논문 Keramika khunnskogo mogil'nika Burkhan-Tolgoi. Erdem shinzhilgeenii bichig. Arkheologi, antropologi, ugsaatan sudlal 19, 2003, 82–100 2003
[186] 논문 Tamiryn Ulaan khoshuuny bulsh ba Khünnügiin ugsaatny büreldekhüünii asuudald. Tükhiin setgüül 4, 2003, 6–17 2003
[187] 논문
[188] 서적 Xiongnu Archaeology http://www.vfgarch.u[...] Vor- und Fruhgeschichtliche Archaeologie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at Bonn 2012-12-13
[189] 논문 The Date of the TLV Mirrors from the Xiongnu Tombs http://www.silkroadf[...]
[190] 서적 Xiongnu Archaeology http://www.vfgarch.u[...] Vor- und Fruhgeschichtliche Archaologie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at Bonn 2012-12-13
[191] 서적 Xiongnu Archaeology http://www.vfgarch.u[...] Vor- und Fruhgeschichtliche Archaologie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at Bonn 2012-12-13
[192] 논문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Historical Sources and Y-DNA Studies with Regard to the Early and Medieval Turkic Peoples https://brill.com/vi[...] 2017
[193] 논문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haplogroup frequencies in the population of the slab burial mortuary culture of Mongolia (ca. 1100–300 BCE ) 2022
[194] 참고문헌
[195] 참고문헌
[196] 학회발표 Y chromosomes of ancient Hunnu people and its implication on the phylogeny of East Asian linguistic families https://www.ashg.org[...] American Society of Human Genetics 2013
[197] 논문 Knowing the Xiongnu Culture in Eastern Tianshan Mountain from Tomb Heigouliang and Dongheigou Site at the Beginning of Xihan Dynasty 2011
[198] 참고문헌
[199] 논문 Genetic evidence suggests a sense of family, parity and conquest in the Xiongnu Iron Age nomads of Mongolia
[200] 논문 A Dynamic 6,000-Year Genetic History of Eurasia's Eastern Steppe 2020
[201] 논문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Historical Sources and y-dna Studies with Regard to the Early and Medieval Turkic Peoples https://brill.com/vi[...] 2017-10-18
[202] 참고문헌
[203] 논문 A Dynamic 6,000-Year Genetic History of Eurasia's Eastern Steppe 2020-11-12
[204] 논문 The genetic origin of Huns, Avars, and conquering Hungarians 2022-05-25
[205] 논문 A Dynamic 6,000-Year Genetic History of Eurasia's Eastern Steppe 2020-11-12
[206] 논문 Medieval genomes from eastern Mongolia share a stable genetic profile over a millennium https://www.pivotsci[...] 2024-03-01
[207] 논문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of the Xiongnu Empire at imperial and local scales 2023-04-14
[208]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209] 서적 Book of Han, Vol. 94-I
[210] 서적 Тибетский буддизм: история и перспективы развития M. 1992
[211] 서적 Opera omnia https://books.google[...]
[212] 웹사이트 Xiongnu People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7-25
[213] 백과사전 Xiongnu http://www.iranicaon[...] 2006-11-15
[214] 서적 #추정
[215] 학술지 Anthropology of Archaeological Populations from Northeast Asia http://user.dankook.[...]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2011-02
[216] 학술지 Early nomads of the Eastern Steppe and their tentative connections in the West https://doi.org/10.1[...] 2020-05-10
[217] 서적 #추정, 정보 부족
[218] 서적 #추정
[219] 서적 西遊記與中國古代政治 三民書局 2018-07-13
[220] 서적 #추정, 정보 부족 匈奴史稿
[221]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eastling.[...] 2011-12-03
[222] 서적 #추정, 정보 부족 東西交渉史上より観たる遊牧民族
[223] 서적 #추정, 정보 부족 張騫西征考
[224] 서적 #추정, 정보 부족
[225] 서적 #추정, 정보 부족 騎馬民族史1
[226] 서적 #추정, 정보 부족
[227] 서적 #추정
[228] 서적 #추정
[229] 서적 #추정, 정보 부족 史記
[230] 서적 #추정, 정보 부족 史記
[231] 서적 #추정, 정보 부족 史記
[232] 서적 #추정, 정보 부족 騎馬民族史1
[233] 서적 #추정, 정보 부족 漢書
[234] 서적 #추정, 정보 부족 騎馬民族史1
[235] 서적 #추정, 정보 부족 後漢書
[236] 서적 #추정, 정보 부족 魏書, 北史
[237] 서적 #추정, 정보 부족 晋書
[238] 서적 #추정, 정보 부족 魏書, 晋書
[239] 서적 #추정
[240] 서적 #추정, 정보 부족 匈奴史稿
[241] 서적 #추정, 정보 부족
[242] 서적 #추정, 정보 부족
[243] 웹사이트 흉노 귀족계층 무덤의 연구 http://kiss.kstudy.c[...] 2017-12-23
[244] 서적 #추정, 정보 부족
[245] 서적 #추정, 정보 부족 騎馬民族史1
[246] 서적 騎馬民族史1
[247] 일반 북흉노가 멸망한 해
[248]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9] 서적 The Historical Evolution of World-Systems https://www.google.c[...] Springer 2005-02-18
[250] 백과사전 Xiongnu http://www.iranicaon[...] 2006-11-15
[25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52] 저널 Anthropology of Archaeological Populations from Northeast Asia https://web.archive.[...]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2011-02
[253] 저널 Early nomads of the Eastern Steppe and their tentative connections in the West https://doi.org/10.1[...] 2020-05-10
[254] 저널 Did the Xiongnu speak a Yeniseian language?
[255] 저널 Xia and Ket Identified by Sinitic and Yeniseian Shared Etymologies 2017
[256] 일반 이 관례는 문제(文帝, 기원전 179∼157) 때까지 계속되었다. 다만 한문제 시기에는 황제의 친딸이 아닌 방계 혈족의 여자로 충당했다.
[257] 웹사이트 재야사학자인 이종호의 소수의견이다. http://www.scienceti[...]
[258] 서적 몽골의 고대 주요 고고유적 서경문화사
[259] 서적 중국역사
[260] 저널 고구려와 흉노의 친연성에 관한 연구
[261] 저널 <이색보고> 金家 뿌리 탐사, 흉노왕의 후손 김일제 유적을 찾아서 http://www.donga.com[...] 1999-08
[262] 저널 騎馬흉노국가 신라 연구, 趙甲濟(月刊朝鮮 편집장)의 심층취재 http://monthly.chosu[...] 2004-03
[263] 뉴스 김운회의 '대쥬신을 찾아서' <23> 금관의 나라, 신라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5-08-30
[264] 일반 [[대당고김씨부인묘명]]을 발견한 부산외대 권덕영 교수의 견해
[265] 서적 문무왕릉비에 보이는 신라인의 조상인식 - 태조성한의 첨보 - 한국사연구회
[266] 웹인용 신라건국설화의 연구 https://web.archive.[...] 대구사학회 2015-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