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온음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겹온음표는 중세 시대 계량 표기법에서 사용된 음표로, 롱가의 3분의 1 또는 2분의 1 길이를 가졌다. 현대 악보에서는 온음표 머리에 세로선을 추가하거나 직사각형 형태로 표기하며, 겹온쉼표는 오선보의 두 번째와 세 번째 줄 사이를 채우는 직사각형으로 나타낸다. 알라 브레베는 겹온음표에서 유래된 박자표 2/2를 의미하며, 빠른 템포의 음악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악에 관한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음악에 관한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 기보법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기보법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겹온음표 | |
---|---|
음표 정보 | |
종류 | 음표 |
길이 | 온음표의 두 배 |
미국/영국 명칭 | Double whole note (미국), breve (영국) |
프랑스 명칭 | Carre |
독일 명칭 | Doppelganze Note |
일본 명칭 | 倍全音符 (baizen'onpu) |
한국 명칭 | 겹온음표 |
로마자 표기 | Gyeopon'eumpyo |
지속 시간 | 온음표의 두 배 |
![]() |
2. 역사
겹온음표는 중세 시대 계량 표기법에서 유래되었다. 브레비스(brevis)는 사용되는 음표 길이 중 가장 짧은 것 중 하나였으며, "짧은"을 뜻하는 라틴어 어원에서 유래했다. [1][2]
2. 1. 중세 계량 표기법
중세 계량 표기법에서 브레비스(brevis)는 사용되는 음표 길이 중 가장 짧은 것 중 하나였다.[1] 그 이름은 "짧은"을 뜻하는 라틴어 어원에서 유래했다. "완전한" 리듬 모드에서 브레비스는 롱가(longa)의 3분의 1이었고, "불완전한" 모드에서는 롱가의 절반 길이를 가졌다.[2]3. 형태
현대 악보에서 겹온음표는 음표 머리 양쪽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수직선이 있는 형태, 혹은 오래된 악보에서 발견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두 가지 방식으로 표현된다.[1][2] 겹온음표는 박자표의 한 마디보다 더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반음표가 종종 박자 단위로 사용되는 영국 음악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3]
3. 1. 현대 겹온음표 표기
현대 악보에서 겹온음표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식으로 표현된다. 하나는 온음표와 같은 속이 빈 음표 머리에 양쪽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수직선이 있는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오래된 악보에서도 발견되는 직사각형 모양이다.[1][2]겹온음표는 일반적인 현대 박자표에서 마디보다 더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반음표가 종종 박자 단위로 사용되는 영국 음악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3]
3. 2. 겹온쉼표 표기
겹온쉼표는 오선보 위에서 두 번째 줄과 세 번째 줄 사이를 채우는 직사각형으로 그려진다. 여러 마디 쉼표를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된다.[1] 이것과 더 긴 쉼표는 통틀어 여러 마디 쉼표라고 부른다.[2] 또한 박자표 의 온마디 쉼표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4. 알라 브레베 (Alla breve)
'''알라 브레베'''(Alla breve)는 박자표의 하나로, 2/2 박자를 나타낸다. 그 이름은 겹온음표(breve)에서 유래했다. 르네상스 시대 계량 악보에서는 ''proportio dupla''의 대체 용어였으며, 이는 탁투스인 ''세미브레비스'' 대신 ''브레비스''를 시간 단위로 간주해야 함을 의미했다. 옛 기호
4. 1. 알라 브레베의 의미
알라 브레베는 박자표의 하나로, 그 이름은 겹온음표(breve)에서 유래했다. 르네상스 시대의 계량 악보에서는 ''proportio dupla''를 대체하는 용어였으며, 이는 일반적인 탁투스인 ''세미브레비스'' 대신 ''브레비스''를 시간 단위로 간주해야 함을 의미했다. 옛 기호는 계량 악보에서 2:1 비율을 나타내는 대안으로 사용되었고, 현대 악보 표기법에서는 각 음표의 상대적 값을 더 작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주로 빠른 템포의 음악에 사용되며, 4개의 4분음표 마디에서 2개의 2분음표 박자를 나타낸다. 반면, 는 4개의 4분음표 박자를 갖는 와 동일하다.4. 2. 알라 브레베의 사용
알라 브레베는 박자표 를 사용하며, 음표 '브레베'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빠른 템포의 음악에 사용되며, 4개의 4분음표 마디에서 2개의 2분음표 박자를 나타내는 반면, 은 4개의 4분음표 박자가 있는 와 동일하다.참조
[1]
서적
標準音楽辞典
音楽之友社
[2]
웹사이트
楽典解説 > 音符と休符(おんぷときゅうふ)p.1
https://www.senzoku-[...]
2020-06-18
[3]
간행물
教育用音楽用語
https://www.bunka.go[...]
[4]
웹사이트
楽典解説 > 音符と休符(おんぷときゅうふ) p.2
https://www.senzoku-[...]
2020-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