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서북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경서북로는 송나라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여러 부, 주, 군으로 구성되었다. 서도 하남부, 영창부, 정주, 활주, 맹주, 채주, 회녕부, 순창부, 여주, 신양군 등이 이에 속했다. 각 지역은 현을 관할했으며, 현의 등급과 특산품, 역사적 변천 등이 기록되어 있다. 각 부, 주, 군은 군사적, 경제적, 행정적 기능을 수행했다.

2. 서도 하남부(西都 河南府)

西都 河南府|서도 하남부중국어송나라의 제2 수도 역할을 했던 곳으로, 京洛|경락중국어이라고도 불렸다.

2. 1. 개요

京洛|경락중국어이라고도 불리며 송나라의 제2수도 역할을 했다. 1072년(희녕 5년) 경서북로에 속했다. 숭녕 연간에는 127,767호 233,280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꿀, 밀랍, 사기그릇(瓷器)을 공납으로 바쳤다. 16현을 두었다.

2. 2. 하위 행정 구역

경서북로는 16개의 현(縣)으로 구성되었다.[1] 각 현의 위치와 정보는 다음과 같다.

경서북로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하남현河南縣뤄양 시
낙양현洛陽縣뤄양 시 동1072년 하남현에 통합되었다가 1087년 복구
영안현永安縣뤄양 시 옌스 시 동1007년 진에서 현으로 승격
언사현偃師縣뤄양 시 옌스 시1042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복구. 1072년 구씨현(緱氏縣) 흡수, 3년 뒤 복구했다가 진으로 격하
영양현潁陽縣정저우 시 덩펑 시 영양진1042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복구. 1068년 등봉현(登封縣) 통합, 1087년 독립
공현鞏縣정저우 시 궁이 시
밀현密縣정저우 시 신미 시1105년 정주에서 1120년 본부로 이동
신안현新安縣뤄양 시 신안 현
복창현福昌縣뤄양 시 이양 현 한성향 복창촌1072년 수안현 통합, 1087년 독립
이양현伊陽縣뤄양 시 쑹 현 서남 구현진1068년 난천야진을 괵주 노씨현에 편입. 1071년 이궐현을 진으로 격하, 1072년 개명
민지현澠池縣싼먼샤 시 몐츠 현1037년 철문진을 연희진으로 개명
영녕현永寧縣뤄양 시 뤄닝 현
장수현長水縣뤄양 시 뤄닝 현 장수향
수안현壽安縣뤄양 시 이양 현1043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복구
하청현河淸縣뤄양 시 지리 구968년 백파진에 치소 설치, 1074년 철감 설치
등봉현登封縣정저우 시 덩펑 시


2. 2. 1. 하남현(河南縣)

뤄양 시에 위치하며 현급은 '적(赤)'이었다.[1]

현명한자현급
하남현河南縣


2. 2. 2. 낙양현(洛陽縣)

뤄양 시 동쪽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적(赤)'이었다.[1] 1072년(희녕 5년) 하남현에 통합되었다가 1087년(원우 2년)에 복구되었다.[1]

2. 2. 3. 영안현(永安縣)

뤄양 시 옌스 시 동쪽에 위치하며, 현급은 '적(赤)'이었다. 1007년(경덕 4년), 진(鎭)에서 현으로 승격되었다.[1]

2. 2. 4. 언사현(偃師縣)

뤄양 시 옌스 시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기(畿)'였다. 1042년(경력 2년) 진으로 격하됐다가 2년 뒤에 현으로 복구되었다. 1072년(희녕 5년) 구씨현(緱氏縣)을 흡수했다가 3년 뒤에 구씨현을 복구했다가 진으로 격하해 본현에 내속시켰다.

2. 2. 5. 영양현(潁陽縣)

정저우 시 덩펑 시 영양진에 위치했으며, 1042년(경력 2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2년 뒤에 복구되었다. 1068년(희녕 2년) 등봉현(登封縣)을 통폐합했다가 1087년에 독립시켰다.[1] 현급은 '기(畿)'였다.[1]

2. 2. 6. 공현(鞏縣)

정저우 시 궁이 시에 위치하며, 현급은 '기(畿)'였다.[1]

2. 2. 7. 밀현(密縣)

정저우 시 신미 시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기(畿)'였다.[1] 1105년(숭녕 4년) 정주에 두었다가 1120년(선화 2년)에 본부로 옮겨졌다.[1]

2. 2. 8. 신안현(新安縣)

뤄양 시 신안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기(畿)'였다.[1]

2. 2. 9. 복창현(福昌縣)

뤄양 시 이양현 한성향(韓城鄕) 복창촌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기(畿)'였다. 1072년(희녕 5년), 수안현을 통폐합했다가 1087년(원우 2년)에 독립시켰다.[1]

2. 2. 10. 이양현(伊陽縣)

伊陽縣|이양현중국어은 뤄양 시 쑹 현 서남 구현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기(畿)'였다.[1] 1068년(희녕 원년), 난천야진(欒川冶鎮)을 괵주(虢州) 노씨현에 편입시켰다. 1071년 이궐현(伊闕縣)을 진으로 격하시키고 하남에 이속시켰으며, 1072년 이양현으로 개명했다.[1]

2. 2. 11. 민지현(澠池縣)

싼먼샤 시 몐츠 현에 위치한다. 1037년(경우 4년), 철문진(鐵門鎭)을 연희진(延禧鎭)으로 개명했다.[1]

2. 2. 12. 영녕현(永寧縣)

뤄양 시 뤄닝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기(畿)'였다.[1]

2. 2. 13. 장수현(長水縣)

뤄양 시 뤄닝 현 장수향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기(畿)'였다.

2. 2. 14. 수안현(壽安縣)

1043년(경력 3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1년 뒤에 현으로 복구되었다. 뤄양 시 이양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기(畿)'였다.

2. 2. 15. 하청현(河淸縣)

968년(개보 원년), 치소를 백파진(뤄양 시 지리 구)에 두었다. 1074년(희녕 8년) 4월에 철감을 설치하였다.

2. 2. 16. 등봉현(登封縣)

登封縣|등봉현중국어은 정저우 시 덩펑 시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기(畿)'였다.[1]

3. 영창부(潁昌府)

군명은 허창군(許昌郡)이며, 충무군절도를 두었다. 영창부에는 7개의 현이 있었다.

영창부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장사현長社縣쉬창 시次赤1070년(희녕 4년)에 허전현(許田縣)이 진으로 격하되어 본현에 내속되었다.
언성현鄢城縣뤄허 시 옌청 구次畿
양적현陽翟縣쉬창 시 위저우 시次畿
장갈현長葛縣쉬창 시 창거 시次畿
임영현臨潁縣뤄허 시 린잉 현次畿
무양현舞陽縣뤄허 시 우양 현次畿
겹현郟縣핑딩산 시 자 현본래 여주(汝州)에 속했지만 1105년에 본부에 내속되었다.


3. 1. 개요

1080년(원풍 3년) 허주(許州)에서 부로 승격되었으며, 1105년(숭녕 4년) 남보로 칭하고 경기로에 소속시켰다. 1110년(대관 4년) 보군을 폐했다가 1114년(정화 4년) 다시 보군으로 칭하여 경기로에 소속시켰다. 1120년 다시 보군을 폐하고 경서북로에 소속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66,041호 160,193명이 살았다. 비단과 표석(藨席)을 공납으로 바쳤다.

3. 2. 하위 행정 구역

경서북로는 7개의 현을 두었다.[1]

경서북로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장사현長社縣쉬창 시次赤1070년 허전현(許田縣)이 진으로 격하되어 본현에 내속됨.
언성현鄢城縣뤄허 시 옌청 구次畿
양적현陽翟縣쉬창 시 위저우 시次畿
장갈현長葛縣쉬창 시 창거 시次畿
임영현臨潁縣뤄허 시 린잉 현次畿
무양현舞陽縣뤄허 시 우양 현次畿
겹현郟縣핑딩산 시 자 현본래 여주(汝州)에 속했지만 1105년 본부에 내속됨.


3. 2. 1. 장사현(長社縣)

1070년(희녕 4년)에 허전현(許田縣)이 진으로 격하되어 본현에 내속되었다.[1] 현급은 차적(次赤)이었다.[1] 대략적 위치는 쉬창 시이다.[1]

3. 2. 2. 언성현(鄢城縣)

뤄허 시 옌청 구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차기(次畿)'였다.[1]

3. 2. 3. 양적현(陽翟縣)

쉬창 시 위저우 시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차기(次畿)'였다.[1]

양적현(陽翟縣)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양적현陽翟縣쉬창 시 위저우 시차기


3. 2. 4. 장갈현(長葛縣)

쉬창 시 창거 시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차기(次畿)'였다.

3. 2. 5. 임영현(臨潁縣)

뤄허 시 린잉 현에 위치하며, 현급은 차기(次畿)였다.

3. 2. 6. 무양현(舞陽縣)

뤄허 시 우양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차기(次畿)였다.

3. 2. 7. 겹현(郟縣)

핑딩산 시 자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중(中)'이었다. 본래 여주(汝州)에 속했지만 1105년에 허창군(許昌郡)에 내속되었다.

4. 정주(鄭州)

보로 군명은 형양군(滎陽郡)이며, 봉녕군절도(奉寧軍節度)를 두었다. 1071년(희녕 4년)에 주를 폐하고 관성현과 신정현은 개봉부로 이속, 형양현은 폐현, 형택현은 진으로 격하시켜 관성현에 통폐합, 원무현은 진으로 격하시켰다가 양무현에 통폐합했다. 1078년(원풍 원년)에 형양현, 형택현, 원무현을 복원하고 활주와 더불어 경서로에 속하게 했다. 1105년(숭녕 4년)에 서보를 건립했다가 1110년(대관 4년)에 보군을 폐했다. 1114년(정화 4년)에 다시 보를 설치했다. 1120년(선화 2년)에 다시 폐지했다. 숭녕 연간에는 30,976호, 41,848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비단, 마황을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

경서북로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관성현管城縣정저우 시 관청 후이족 구망(望)
형택현滎澤縣정저우 시 고형진(古荥鎭) 북중(中)
원무현原武縣신샹 시 위안양 현 서상(上)
신정현新鄭縣정저우 시 신정 시상(上)
형양현滎陽縣정저우 시 싱양 시긴(緊)


4. 1. 개요

보로 군명은 '''형양군(滎陽郡)'''이다. '''봉녕군절도(奉寧軍節度)'''를 두었다. 1071년( 희녕 4년)에 주를 폐하고 관성현과 신정현은 개봉부로 이속, 형양현은 폐현, 형택현은 진으로 격하시켜 관성현에 통폐합, 원무현은 진으로 격하시켰다가 양무현에 통폐합했다. 1078년(원풍 원년)에 형양현, 형택현, 원무현을 복원하고 활주와 더불어 경서로에 속하게 했다. 1105년(숭녕 4년)에 서보를 건립했다가 1110년(대관 4년)에 보군을 폐했다. 1114년(정화 4년)에 다시 보를 설치했다. 1120년(선화 2년)에 다시 폐지했다. 숭녕 연간에는 30,976호, 41,848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비단, 마황을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1]

현명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관성현管城縣정저우 시 관청 후이족 구
형택현滎澤縣정저우 시 고형진(古荥鎭) 북
원무현原武縣신샹 시 위안양 현 서
신정현新鄭縣정저우 시 신정 시
형양현滎陽縣정저우 시 싱양 시


4. 2. 하위 행정 구역

경서북로는 5개의 현으로 구성되었다.[1]

경서북로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관성현管城縣정저우 시 관청 후이족 구망(望)
형택현滎澤縣정저우 시 고형진(古荥鎭) 북중(中)
원무현原武縣신샹 시 위안양 현 서상(上)
신정현新鄭縣정저우 시 신정 시상(上)
형양현滎陽縣정저우 시 싱양 시긴(緊)


4. 2. 1. 관성현(管城縣)

정저우 시 관청 후이족 구에 위치하며, 현급은 '망(望)'이었다.[1]

관성현(管城縣) 정보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관성현管城縣정저우 시 관청 후이족 구


4. 2. 2. 형택현(滎澤縣)

정저우 시 고형진(古荥鎭) 북쪽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중(中)'이었다.[1]

형택현(滎澤縣) 정보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형택현滎澤縣정저우 시 고형진(古荥鎭) 북


4. 2. 3. 원무현(原武縣)

신샹 시 위안양 현 서쪽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상(上)'이었다.[1]

원무현(原武縣) 정보
한자대략적 위치현급
原武縣신샹 시 위안양 현 서

[1]

4. 2. 4. 신정현(新鄭縣)

정저우 시 신정 시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상(上)'이었다.[1]

신정현(新鄭縣)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정저우 시 신정 시新鄭縣정저우 시 신정 시


4. 2. 5. 형양현(滎陽縣)

滎陽縣|형양현중국어은 정저우 시 싱양 시에 위치하며, 현급은 '긴(緊)'이었다.[1]

위 표는 형양현에 대한 정보를 요약한 것이다.

형양현(滎陽縣) 정보
한자대략적 위치현급
滎陽縣정저우 시 싱양 시


5. 활주(滑州)

화현의 연혁 문단을 참고한다.

6. 맹주(孟州)

하양삼성절도(河陽三城節度)를 두었으며, 1112년에 제원군(濟源郡)으로 개명했다.[1]

6. 1. 개요

경서북로는 숭녕 연간에 33,481호, 70,169명의 주민이 거주했다. 양미(梁米)를 공납으로 바쳤으며, 6개 현을 두었다. 1112년에 제원군(濟源郡)으로 개명되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하양현河陽縣자오쭤 시 멍저우 시
제원현濟源縣지위안 시
온현溫縣자오쭤 시 원 현
사수현汜水縣정저우 시 싱양 시 사수진(汜水鎭)1011년(대중상부 4년), 무뢰관(武牢關)을 행경관(行慶關)으로 개명했다. 1072년에 하음현을 통폐합했다가 1079년 복구했다.
하음현河陰縣정저우 시 싱양 시 동북
왕옥현王屋縣지위안 시 왕옥진1072년 하남부에서 이관되었다.


6. 2. 하위 행정 구역

경서북로는 6개의 현으로 구성되었다.[1]

경서북로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하양현河陽縣자오쭤 시 멍저우 시
제원현濟源縣지위안 시
온현溫縣자오쭤 시 원 현
사수현汜水縣정저우 시 싱양 시 사수진(汜水鎭)1011년(대중상부 4년), 무뢰관을 행경관(行慶關)으로 개명. 1072년 하음현을 통폐합했다가 1079년 복구.
하음현河陰縣정저우 시 싱양 시 동북
왕옥현王屋縣지위안 시 왕옥진1072년 하남부에서 이관.[1]


6. 2. 1. 하양현(河陽縣)

자오쭤 시 멍저우 시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망(望)'이었다.[1]

하양현(河陽縣)
한자대략적 위치현급
河陽縣자오쭤 시 멍저우 시


6. 2. 2. 제원현(濟源縣)

지위안 시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망(望)'이었다.[1]

현명한자현급
제원현濟源縣


6. 2. 3. 온현(溫縣)

자오쭤 시 원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망(望)'이었다.

6. 2. 4. 사수현(汜水縣)

정저우 시 싱양 시 사수진(汜水鎭)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상(上)'이었다. 1011년(대중상부 4년), 무뢰관을 행경관(行慶關)으로 개명했다. 1072년에 하음현을 통폐합했다가 1079년 복구했다.

6. 2. 5. 하음현(河陰縣)

정저우 시 싱양 시 동북쪽에 위치하며, 현급은 '중(中)'이었다.[1]

현명
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하음현河陰縣정저우 시 싱양 시 동북


6. 2. 6. 왕옥현(王屋縣)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왕옥현王屋縣지위안 시 왕옥진1072년 하남부에서 이관되었다.[1]


7. 채주(蔡州)

긴(緊)급주로 여남군 회강군절도(淮康軍節度)를 두었다.[1]

7. 1. 개요

여남군 회강군절도(淮康軍節度)를 두었다. 숭녕 연간에 98,502호, 185,013명이 살았다. 비단(綾)을 공납으로 바쳤다. 10개의 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여양현汝陽縣뤄양 시 루양 현
상채현上蔡縣주마뎬 시 상차이 현
신채현新蔡縣주마뎬 시 신차이 현
포신현褒信縣신양 시 시 현 포신진(包信鎭)
수평현遂平縣주마뎬 시 쑤이핑 현
신식현新息縣신양 시 시 현
확산현確山縣주마뎬 시 췌산 현
진양현真陽縣주마뎬 시 정양 현
서평현西平縣주마뎬 시 시핑 현
평여현平輿縣주마뎬 시 핑위 현


7. 2. 하위 행정 구역

경서북로|징시베이루중국어는 10개의 현을 두었다.[1]

경서북로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여양현汝陽縣뤄양 시 루양 현
상채현上蔡縣주마뎬 시 상차이 현
신채현新蔡縣주마뎬 시 신차이 현
포신현褒信縣신양 시 시 현 포신진(包信鎭)
수평현遂平縣주마뎬 시 쑤이핑 현
신식현新息縣신양 시 시 현
확산현確山縣주마뎬 시 췌산 현
진양현真陽縣주마뎬 시 정양 현
서평현西平縣주마뎬 시 시핑 현
평여현平輿縣주마뎬 시 핑위 현


7. 2. 1. 여양현(汝陽縣)

뤄양 시 루양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상(上)'이었다.[1]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여양현汝陽縣뤄양 시 루양 현


7. 2. 2. 상채현(上蔡縣)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상채현上蔡縣주마뎬 시 상차이 현



주마뎬 시 상차이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상(上)'이었다.[1]

7. 2. 3. 신채현(新蔡縣)

주마뎬 시 신차이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중(中)'이었다.

7. 2. 4. 포신현(褒信縣)

신양 시 시 현 포신진(包信鎭)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중(中)'이었다.

7. 2. 5. 수평현(遂平縣)

주마뎬 시 쑤이핑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중(中)'이었다.

7. 2. 6. 신식현(新息縣)

新息縣|신식현중국어은 신양 시 시 현에 위치하며, 현급은 '중(中)'이었다.

7. 2. 7. 확산현(確山縣)

확산현(確山縣)은 주마뎬 시 췌산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중(中)'이었다.[1]

7. 2. 8. 진양현(真陽縣)

真陽縣|전양 현중국어은 주마뎬 시 정양 현에 위치하며, 현급은 '중(中)'이었다.

7. 2. 9. 서평현(西平縣)

西平縣|시핑 현중국어은 주마뎬 시 시핑 현에 위치하며, 현급은 '중(中)'이었다.

7. 2. 10. 평여현(平輿縣)

주마뎬 시 핑위현에 위치하며, 현급은 '중(中)'이었다.

8. 회녕부(淮寧府)

회양군은 보급주로, 1113년(정화 3년) 상급주로 승격되었고, 1119년(선화 원년) 진주가 부로 승격되었다. 숭녕연간에는 32,094호 159,617명이 살았으며, 고(槹)와 명주(絹)를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1]

8. 1. 개요

1119년 진주(陳州)에서 부로 승격되었으며, 숭녕 연간에는 3만 2천여 호, 15만 9천여 명의 주민이 거주했다. 고(槹)와 명주(絹)를 공납으로 바쳤다.[1]

경서북로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완구현宛丘縣저우커우 시 화이양 현회녕부의 치소가 있었다.
항성현項城縣저우커우 시 선추 현
상수현商水縣저우커우 시 상수이 현
서화현西華縣저우커우 시 시화 현
남돈현南頓縣저우커우 시 샹청 시1073년(희녕 6년), 진으로 격하하여 상수현과 항성현에 분할 편입했다가 1086년에 복구했다.


8. 2. 하위 행정 구역

경서북로는 5개의 현으로 구성되었다.

경서북로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완구현宛丘縣저우커우 시 화이양 현회녕부 치소
항성현項城縣저우커우 시 선추 현
상수현商水縣저우커우 시 상수이 현
서화현西華縣저우커우 시 시화 현
남돈현南頓縣저우커우 시 샹청 시1073년(희녕 6년) 진으로 격하, 상수현과 항성현에 분할 편입, 1086년 복구


8. 2. 1. 완구현(宛丘縣)

회양군은 보급주로, 1113년(정화 3년) 상급주로 승격되었고, 1119년(선화 원년) 진주(陳州)가 부로 승격되었다. 숭녕연간에는 32,094호 159,617명이 살았으며, 고(槹)와 명주(絹)를 공납으로 바쳤다. 5현 중 하나인 완구현은 저우커우 시 화이양 현에 위치하며, 현급은 '긴(緊)'이었고, 회녕부의 치소가 있었다.

8. 2. 2. 항성현(項城縣)

저우커우 시 선추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상(上)'이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항성현項城縣저우커우 시 선추 현


8. 2. 3. 상수현(商水縣)

저우커우시 상수이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중(中)'이었다.[1]

8. 2. 4. 서화현(西華縣)

저우커우 시 시화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중(中)'이었다.[1]

8. 2. 5. 남돈현(南頓縣)

南頓縣|남돈현중국어은 저우커우 시 샹청 시에 위치하며, 현급은 '중(中)'이었다.[1] 1073년(희녕 6년), 진으로 격하하여 상수현과 항성현에 분할 편입되었다가 1086년에 복구되었다.[1]

9. 순창부(順昌府)

순창부는 상급부로 군명은 여음군이며, 방어를 두었다가 폐하고 단련을 두었다. 본래 영주(潁州)였는데, 973년 방어를 다시 설치하고 1079년 순창군절도를 두었다. 1116년 주를 부로 승격시켰다.

9. 1. 개요

1116년(정화 6년)에 주(州)에서 부(府)로 승격되었다. 송나라 숭녕 연간에는 78,174호, 160,628명의 주민이 거주했다. 고(槹), 깁(絁), 면화를 공납으로 바쳤다. 4개의 현(縣)을 두었다.

현(縣)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여음현汝陰縣푸양 시973년에 우주성(于州城) 동남쪽 10리로 치소를 옮겼다.
태화현泰和縣푸양 시 타이허 현 원장진(原墙镇)
영상현潁上縣푸양 시 잉상 현
침구현沈丘縣푸양 시 린취안 현


9. 2. 하위 행정 구역

경서북로는 4개의 현(縣)을 두었다.[1]

경서북로 하위 행정 구역
현명한자위치현급
여음현汝陰縣푸양 시
태화현泰和縣푸양 시 태화현
영상현潁上縣푸양 시 영상현
침구현沈丘縣푸양 시 임천현


9. 2. 1. 여음현(汝陰縣)

973년에 우주성(于州城) 동남쪽 10리로 치소를 옮겼다.[1] 푸양 시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망(望)'이었다.[1]

여음현(汝陰縣) 정보
현명한자위치현급비고
여음현汝陰縣푸양 시973년에 우주성(于州城) 동남쪽 10리로 치소를 옮겼다.


9. 2. 2. 태화현(泰和縣)

973년(개보 6년)에 우주성(于州城) 동남쪽 10리로 치소를 옮겼다.[1] 푸양 시 타이허 현 원장진(原墙镇)에 위치하며, 현급은 '망(望)'이었다.[1]

9. 2. 3. 영상현(潁上縣)

푸양 시 잉상 현에 위치하며, 현급은 '긴(緊)'이었다.[1]

현명한자현급
영상현潁上縣


9. 2. 4. 침구현(沈丘縣)

沈丘縣|침구현중국어은 푸양 시 린취안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긴(緊)'이었다.[1]

10. 여주(汝州)

여주는 보급주로 군명은 임려군(臨汝郡)이다. 육해군절도(陸海軍節度)를 두었으며, 본래 방어주였다가 1114년 군명을 받았다.[1]

10. 1. 개요

1114년 군명을 받았으며, 숭녕 연간에는 41,587호 141,495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깁(絁)과 명주를 공납으로 바쳤다. 5개의 현이 있었다.

경서북로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양현梁縣핑딩산 시 루저우 시
양성현襄城縣쉬창 시 샹청 현
엽현葉縣핑딩산 시 예 현 구현향
노산현魯山縣핑딩산 시 루산 현
보풍현寶豊縣핑딩산 시 바오펑 현본래 용흥현(龍興縣)이었는데, 1072년 진으로 격하되어 노산현에 편입되었다가 1086년 현으로 복구되었다. 1120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1]

10. 2. 하위 행정 구역

경서북로는 5개의 현(縣)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

경서북로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양현梁縣핑딩산 시 루저우 시
양성현襄城縣쉬창 시 샹청 현
엽현葉縣핑딩산 시 예 현 구현향
노산현魯山縣핑딩산 시 루산 현
보풍현寶豊縣핑딩산 시 바오펑 현



보풍현은 본래 용흥현(龍興縣)이었는데, 1072년 진으로 격하되어 루산 현에 편입되었다가 1086년 현으로 복구되었고, 1120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1]

10. 2. 1. 양현(梁縣)

梁縣|양현중국어은 핑딩산 시 루저우 시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중(中)'이었다.[1]

양현(梁縣)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양현梁縣핑딩산 시 루저우 시

[1]

10. 2. 2. 양성현(襄城縣)

襄城縣|샹청 현중국어은 쉬창 시 샹청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긴(緊)'이었다.

10. 2. 3. 엽현(葉縣)

예 현은 핑딩산 시 예 현 구현향에 위치하며, 현급은 '상(上)'이었다.[1]

10. 2. 4. 노산현(魯山縣)

핑딩산 시 루산 현에 위치했으며, 현급은 '중(中)'이었다.[1]

노산현(魯山縣) 정보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노산현魯山縣핑딩산 시 루산 현


10. 2. 5. 보풍현(寶豊縣)

본래 용흥현(龍興縣)이었는데, 1072년 진으로 격하되어 루산 현에 편입되었다가 1086년 현으로 복구되었다. 1120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1]

11. 신양군(信陽軍)

信陽軍|신양군중국어은 동하주였으며, 976년(개보 9년) 의양군으로 강등되었다가 신양군으로 개명되었다.[1]

11. 1. 개요

숭녕 연간에는 9,954호 20,050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사령포(糸寧布)를 공납으로 바쳤다.[1] 2개의 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신양현信陽縣신양 시中下신양군의 치소를 두었다.
나산현羅山縣신양 시 뤄산 현中下976년(개보 9년)에 폐했다가 985년(옹희 2년)에 복구했다.


11. 2. 하위 행정 구역

경서북로는 2개의 현을 두었다.

경서북로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신양현信陽縣신양 시中下신양군의 치소를 두었다.
나산현羅山縣신양 시 뤄산 현中下976년에 폐했다가 985년에 복구했다.

[1]

11. 2. 1. 신양현(信陽縣)

信陽縣|신양현중국어은 신양 시에 위치하며, 현급은 '중하(中下)'였다. 신양군의 치소를 두었다.[1]

신양현(信陽縣) 정보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信陽縣|신양현중국어信陽縣신양 시中下신양군의 치소를 두었다.

[1]

11. 2. 2. 나산현(羅山縣)

976년(개보 9년)에 폐했다가 985년(옹희 2년)에 복구되었다. 현급은 '중하(中下)'였다.[1] 뤄산 현은 신양 시에 위치한다.

현명한자위치현급비고
나산현羅山縣신양 시 뤄산 현中下976년에 폐했다가 985년에 복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