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계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력은 고공단보의 아들로, 서주 문왕의 아버지이다. 고공단보는 아들 계력의 아들 창이 번창할 것이라고 예견했고, 이에 장남 태백과 차남 우중은 계력에게 왕위를 물려주기 위해 스스로 떠났다. 계력은 고공단보의 정치를 계승하여 정의를 실현했으나, 상나라 문정에게 감금되어 굶어 죽었다. 계력의 부인은 태임이며, 아들로는 서주 문왕, 괵중, 괵숙이 있다. 주공묘 갑골문에 제사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계력은 당시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나라의 추존왕 - 주 태왕
    주 태왕은 고공단보라고도 불리며 주나라의 기틀을 다진 인물로, 훈육의 침략을 피해 기산으로 이주하여 백성을 보호하고 융적의 풍속을 개량하는 등 주나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주나라의 추존왕 - 주 문왕
    주 문왕은 상나라 말기에 세력을 확장하고 인재 등용과 백성을 위한 정책을 펼쳐 백성들의 신망을 얻었으며, 유리에 유폐되었을 때 《주역》을 저술했다는 설화가 있는 주나라의 제후이자 서백 희창이다.
  • 기원전 12세기 중국의 군주 - 문정
    문정은 상나라의 왕으로, 주나라 제후 계력을 중용했으나 감금 후 죽여 상나라 국력 약화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기원전 12세기 중국의 군주 - 주 태왕
    주 태왕은 고공단보라고도 불리며 주나라의 기틀을 다진 인물로, 훈육의 침략을 피해 기산으로 이주하여 백성을 보호하고 융적의 풍속을 개량하는 등 주나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상나라 사람 - 설 (상나라)
    설은 상나라의 시조로, 제곡의 비 간적이 현조의 알을 삼켜 잉태하여 태어났다는 설화가 있으며, 우의 치수를 도와 순 임금으로부터 상나라 땅에 봉해지고 자(子)라는 성을 받았다고 전해지지만, 갑골문 연구에서는 실존 인물이 아닐 가능성도 제기된다.
  • 상나라 사람 - 무경 (상나라)
    주왕의 아들인 무경은 주나라에 의해 상나라 유민을 다스리도록 봉해졌으나, 삼감의 난을 일으켰다가 진압당해 주살되었다.
계력
기본 정보
중국어 간체周王季
중국어 정체周王季
병음Zhōu Wáng Jì
다른 이름계력
계력
개인 이름희력
희력
기타 이름여무

예도
색고
생애
아버지고공단보
어머니태임
아내태강
자녀주 문왕
형제자매태백
우중
통치 정보
작위주나라 왕
이전고공단보
이후주 문왕
기타 정보
참고 문헌린 (1995)

2. 생애

계력은 고공단보의 뒤를 이어 정치 자세를 계승하고 정의를 실시하여 제후들이 따랐다.[1] 상나라문정에게 감금되어 굶어 죽었다.[1]

2. 1. 초기 생애와 후계

고공단보에게는 계력 외에 장남 태백, 차남 우중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삼남인 계력의 아들 창(서주 문왕)이 태어났을 때 여러 가지 길조가 나타났으므로, 고공단보는 "우리 자손으로 번창하는 것이 있다고 하면, 그것은 창의 자손일까"라고 말했다.[1] 고공단보가 계력이 뒤를 잇기를 원함을 헤아린 태백과 우중은 계력이 뒤를 잇게 하기 위해 스스로 출분해 남쪽에서 를 창시했다.[1]

2. 2. 통치와 죽음

계력은 고공단보의 뒤를 이어 그의 정치 자세를 계승하고 정의를 실시했으므로, 제후들이 따랐다.[1] 상나라문정(또는 문무정)에게 감금되어 굶어 죽었다.[1]

3. 가족

항목내용
맏아들서주 문왕
둘째 아들괵중
셋째 아들괵숙
부인태임


4. 평가 및 기록

계력은 고공단보의 셋째 아들이자 태백, 우중의 동생이었다. 창이 태어났을 때 상서로운 일이 많이 일어나자, 고공단보는 "내 자손 중에서 번영할 자가 있다면, 그것은 창의 자손이 아닐까"라고 말했다.[1] 태백과 우중은 고공단부가 계력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싶어하는 것을 눈치채고, 스스로 다른 곳으로 가 남쪽에서 나라를 세웠다.[1]

계력은 고공단보의 뒤를 이어 그의 정치 자세를 이어받아 정의를 행하여 제후들이 따랐다.[2] 그러나 은나라 문무정에게 잡혀 굶어 죽었다.[2]

주공묘 갑골문에는 왕계(계력)에 대한 제사 기록이 존재한다.[6]

4. 1. 문헌 자료

계력은 고공단보의 셋째 아들이자 태백, 우중의 동생이었다. 계력의 아들 창이 태어났을 때 상서로운 일이 많이 일어나자, 고공단보는 "내 자손 중에서 번영할 자가 있다면, 그것은 창의 자손이 아닐까"라고 말했다.[1] 고공단부가 계력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싶어하는 것을 눈치챈 태백과 우중은 계력에게 왕위를 잇게 하기 위해 스스로 다른 곳으로 가 남쪽에서 나라를 세웠다.[1]

계력은 고공단보의 뒤를 이어 그의 정치 자세를 이어받아 정의를 행하여 제후들이 따랐다.[2] 그러나 이후 은나라 문무정에게 잡혀 굶어 죽었다.[2]

4. 2. 갑골문

은허 갑골문에는 기록이 없지만, 서주 초기 주공묘 갑골문에는 왕계(계력)에 대한 제사의 기록이 존재한다.[6]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ctext.org/sh[...]
[2] 서적 Bamboo Annals
[3] 논문 Problems in the Studies of Zhou Oracle-Bone Script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995
[4]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ctext.org/sh[...]
[5] 시 Classic of Poetry https://ctext.org/bo[...]
[6] 간행물 赫赫宗周 西周文化特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