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괵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괵숙은 주나라 초기에 봉해진 괵국의 시조와 관련된 논쟁을 다루는 문서이다. 괵숙(虢叔)이 서괵에, 괵중(虢仲)이 동괵에 봉해졌다는 설과 괵중이 서괵에, 괵숙이 동괵에 봉해졌다는 설이 존재하며, 문헌 기록과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논쟁이 이루어진다. 또한, 괵숙의 후손으로 알려진 한국의 남곽씨와 주나라 및 한나라 시대의 한자 표기 문제로 인한 괵숙과 곽숙의 동일인 여부에 대한 내용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1세기 사람 - 헷 사람 우리아
    헷 사람 우리아는 다윗 왕 시대의 용맹한 군인이자 밧세바의 남편으로, 다윗 왕의 간통 사건으로 인해 전쟁터에서 죽음을 맞이하며 다윗의 죄악을 부각하는 인물이며, 그의 삶과 죽음은 인간의 본성과 권력의 비극을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진다.
  • 주나라 사람 - 감덕
    감덕은 중국 전국 시대의 천문학자로, 석신과 함께 행성을 관측하고 기록하여 고대 천문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목성 위성 최초 발견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논쟁적인 인물이다.
  • 주나라 사람 - 담계 재
    주나라 문왕의 아들이자 무왕의 동복 형인 담계 재는 주나라 초기에 심에 봉해졌고, 삼감의 난 평정 후 사공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이 심씨를 칭하게 되었다.
  • 기원전 제2천년기 - 기원전 13세기
    기원전 13세기는 동아시아의 상나라 천도, 이집트의 왕조 교체, 중동의 제국 번영과 전투, 유럽의 에게 문명 발전, 그리고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의 시작과 같은 정치적, 문화적 격변이 일어난 시기이다.
  • 기원전 제2천년기 - 한국의 청동기 시대
    한국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0세기경부터 기원전 3세기경까지 한반도에서 지속된 시대로,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존재했으며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민무늬 토기 등의 유물과 고인돌 등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농경 발달과 사회적 잉여 발생으로 초기 신분제 사회가 형성되어 고대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괵숙
기본 정보
대수초대
호칭
왕조서괵동괵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후술
재위 기간불명
도읍불명
불명
몽골어 존칭불명
만주어불명
불명
아명불명
시호불명
묘호불명
출생년도불명
사망년도불명
아버지계력
어머니불명
자녀
황후불명
능묘불명
연호불명
주석불명

2. 동괵과 서괵의 시조 논쟁

東虢중국어과 西虢중국어의 시조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설이 있다.


  • 괵숙(虢叔)이 西虢중국어에, 괵중(虢仲)이 東虢중국어에 봉해졌다는 설. (이 설이 더 유력함)
  • 괵중(虢仲)이 西虢중국어에, 괵숙(虢叔)이 東虢중국어에 봉해졌다는 설.


각각의 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 1. 괵숙(虢叔) 서괵, 괵중(虢仲) 동괵 설

이 설은 괵숙(虢叔)이 서괵(西虢)에, 괵중(虢仲)이 동괵(東虢)에 봉해졌다는 주장이다. 이 설은 여러 역사서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

  • 춘추좌씨전》 희공 5년: "괵중(虢仲)이 동괵(東虢)에 봉해졌으니, 이것이 옳다."
  • 국어・정(鄭)어》 주석: "동괵(東虢)이며, 괵중(虢仲)의 후손으로, 희(姬)씨이다."
  • 수경주・위수주》 권18: "《태강지기》에 이르기를: 괵숙(虢叔)의 나라이며, 괵궁(虢宮)이 있다. 평왕이 동쪽으로 천도했을 때, 숙(叔)은 옹(雍)현에서 상양(上陽)으로 가서 남괵(南虢)이 되었다."
  • 《괄지지》: "괵(虢)의 옛 성은 기주(岐州) 진창현(陳倉県) 동쪽 40리에 있으며, 그 다음 서쪽 10여 리에 또 성이 있는데, 또한 괵성(虢城)이라고 한다."
  • 사기・진(秦)본기》 정의: "《여지지》에 이르기를: 이곳 괵(虢)은 문왕(文王)의 모제(母弟) 괵숙(虢叔)이 봉해진 곳으로, 이를 서괵(西虢)이라고 한다."
  • 《사기・주(周)본기》 집해 인용 위소(韋昭): "문공(文公)은 괵숙(虢叔)의 후손이며, 서괵(西虢)이다."
  • 《태평환우기》 권30: "봉상부(鳳翔府) 괵현(虢県)은 옛 괵국(虢國)의 땅이며, 곧 주(周) 문왕(文王)의 아우 괵숙(虢叔)이 봉해진 곳으로, 이를 서괵(西虢)이라고 한다."
  • 《원화군현지》: 유사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현대 학자들 역시 이 설을 지지한다.

  • 진몽가: 이 설에 찬동한다.
  • 이학근의 《서주(西周) 중기 청동기의 중요 척도》: "서주(西周) 시기에는 두 개의 괵국(虢國)이 있었는데, ... 괵중(虢仲)은 동괵(東虢)에 봉해졌으며, ... 괵숙(虢叔)은 서괵(西虢)에 봉해졌다."
  • 량녕삼의 《괵국(虢國) 연구》: "서괵(西虢)이 처한 전략적 지위가 중요하고, ... 이 인물은 괵숙(虢叔)일 수밖에 없으며, 괵중(虢仲)일 수는 없다."


이 설에 따르면, 서괵은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여 주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했고, 덕망과 군사력을 갖춘 괵숙이 통치하기에 적합했다.

2. 2. 괵중(虢仲) 서괵, 괵숙(虢叔) 동괵 설

이 설은 괵중(虢仲)이 서괵(西虢)에, 괵숙(虢叔)이 동괵(東虢)에 봉해졌다는 주장이다.

《군국지(郡国志)》에는 "형양(滎陽)에 괵정(虢亭)이 있는데, 괵숙(虢叔)의 나라이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

두예(杜預)의 《좌전정의(左伝正義)》 은공 원년 주석에는 "괵숙(虢叔)은 동괵군(東虢君)으로, 험준한 지형을 믿고 덕을 닦지 않아 정(鄭)나라에 멸망했다... 괵국(虢国)은 지금의 형양현(滎陽県)이다."라고 적혀있다.[2]

태평어람(太平御覧)》 권 159, 《태평환자기(太平環字記)》 권 6 괵주(虢州) 《제왕세기(帝王世紀)》의 기록에는 "괵숙(虢叔)을 동괵(東虢)에 봉했는데, 즉 성고(城皋)이다."라고 되어있다.

《괄지지(括地志)》에는 "낙주(洛州) 사수현(汜水県)은 옛 동괵숙(東虢叔)의 나라, 동괵군(東虢君)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국어(國語)·주어상(周語上)》 가규(賈逵) 주석에는 "괵문공(虢文公)은 문왕(文王)의 어머니의 동생 괵중(虢仲)의 후손으로, 왕의 경사(卿士)가 되었다."라고 적혀있다.

사기(史記)·주본기(周本紀)》 집해 인용 가규(賈逵)에는 "괵문공(虢文公)은 문왕(文王)의 어머니의 동생 괵중(虢仲)의 후손이다."라고 적혀있다.

위소(韋昭)의 《국어·주어상(周語上)》 주석에는 "괵문공(虢文公), 괵숙(虢叔)의 후손, 서괵(西虢)이다. 선왕(宣王)이 즉위하여 호경(鎬京)에 도읍을 정했을 때, 기내(畿内)에 있었다."라고 되어있다.

근대의 곽말약(郭沫若)은 《반궤의 재발현(班簋的再発現)》의 한 구절에서 이 설에 찬동하여, 괵문공(虢文公)은 서괵(西虢) 군주의 후예로 인정하며, 서괵(西虢)의 시봉군(始封君)은 괵중(虢仲)이라고 보고 있다.

3. 한국의 남곽씨

한국의 성씨 중 하나인 남곽씨(南郭氏)는 주나라 초기 괵국에 봉해진 괵숙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1] 남곽씨는 괵국 남쪽에 살던 괵숙의 자손들이 남곽을 성씨로 사용하면서 유래되었다.[1] 이후 복성이 없어지는 흐름에 따라 남씨로 바뀌었다.[1] 괵숙과 무관한 강성(姜姓) 계열 남곽씨도 존재한다고 한다.[1]

4. 주나라와 한나라 시기 표기 문제

주나라한나라 시기에는 한문 표기가 조금씩 달라서, 주 무왕을 비롯한 주나라 초기 인물들의 한자 표기가 제각각이었다. 그래서 괵숙(虢叔)은 곽숙(郭叔)과 동일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러한 표기 문제는 괵국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어려움을 야기한다.[1]

참조

[1] 문서 東虢 '#東虢・西虢の始君問題'
[2] 서적 《虢国研究》第119頁 河南人民出版社 20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