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르디아누스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르디아누스 2세는 192년경에 태어난 로마 황제로, 238년에 아버지 고르디아누스 1세와 함께 공동 황제가 되었다. 그의 초기 경력에 대한 기록은 불확실하지만, 엘라가발루스 치세에 퀘스토르를 역임하고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치세에 프라에토르와 보좌 집정관을 역임했다는 기록이 있다. 238년, 막시미누스 트락스에 대항한 반란으로 아프리카 속주에서 황제로 추대되었으나, 카펠리아누스가 이끄는 군대에 패배하여 카르타고 전투에서 사망했다. 그의 죽음 이후 그의 아버지인 고르디아누스 1세도 자살했으며, 고르디아누스 부자는 22일 동안 통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년 출생 - 조식 (조위)
    조식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시인이자 정치가로, 조조의 아들이며 조비와의 후계 다툼에서 밀려 정치적으로 불우했지만 뛰어난 문학적 재능으로 건안 문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 안토니우스 씨족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기원전 83년경 로마에서 태어나 율리우스 카이사르 휘하에서 갈리아 전쟁에 참전하여 두각을 나타낸 로마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카이사르 암살 후 옥타비아누스와 권력 다툼을 벌이다 클레오파트라 7세와의 관계로 옥타비아누스와 갈등, 악티움 해전 패배 후 자결했다.
  • 안토니우스 씨족 - 고르디아누스 1세
    고르디아누스 1세는 238년 막시미누스 트락스의 폭정에 반발한 아프리카 속주 반란으로 80세에 황제가 되었으나, 아들과 함께 누미디아 총독에게 패배하여 자결하며 22일 만에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로마 황제이다.
  • 238년 사망 - 고르디아누스 1세
    고르디아누스 1세는 238년 막시미누스 트락스의 폭정에 반발한 아프리카 속주 반란으로 80세에 황제가 되었으나, 아들과 함께 누미디아 총독에게 패배하여 자결하며 22일 만에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로마 황제이다.
  • 238년 사망 - 막시미누스 트락스
    막시미누스 트락스는 235년부터 238년까지 로마 제국의 황제였으며, 사병 출신으로 즉위 후 북방 민족 토벌에 주력했으나 강압적인 통치와 잦은 증세로 반감을 사 암살당하며 3세기 위기의 시작을 알렸다.
고르디아누스 2세
개요
고르디아누스 2세의 세스테르티우스 초상화
고르디아누스 2세가 새겨진 세스테르티우스. 비문은 gordianvs }}라고 적혀 있다.
로마자 표기Marcus Antonius Gordianus Sempronianus Romanus
칭호로마 황제 (공동 황제)
재위 기간기원후 238년 3월 – 4월 (추정)
선임 황제막시미누스 트라쿠스
후임 황제푸피에누스와 발비누스
섭정고르디아누스 1세
섭정 유형공동 황제
출생일기원후 192년경 (추정)
사망일기원후 238년 4월 (약 46세)
사망 장소카르타고, 아프리카 속주
매장지알 수 없음
전체 이름Marcus Antonius Gordianus
공식 이름Imperator Caesar Marcus Antonius Gordianus Sempronianus Romanus Africanus Augustus
왕조고르디아누스 왕조
아버지고르디아누스 1세
어머니알 수 없음, 아마도 파비아 오레스틸라
6 황제의 해
해당 시기6 황제의 해
생애
출생 연도기원후 192년경 (추정)
가계
아버지고르디아누스 1세
어머니불명, 아마도 파비아 오레스틸라

2. 초기 생애와 경력

고르디아누스 2세는 192년경 고르디아누스 1세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아나톨리아 출신으로 추정된다.[6] 고르디아누스 2세의 초기 경력에 대한 기록은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만 남아있어 신뢰하기 어렵다. 이 기록에 따르면, 그는 엘라가발루스 치세에 재무관을,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치세에는 법무관과 보좌 집정관을 역임했다.[7][8] 팔레스타인의 카이사레아에서는 이 사실을 확인하는 비문이 발견되기도 했다.[9] 237년 또는 238년, 고르디아누스 2세는 아버지 고르디아누스 1세를 따라 아프리카 속주로 가서 군단장으로 복무했다.[9]

2. 1. 가계

192년경에 태어난 고르디아누스 2세는 고르디아누스 1세의 외아들이었다.[6] 그의 이름인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아버지쪽 조상들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게서 로마 시민권을 받았음을 보여준다.[6] 코그노멘(개인 이름)인 "고르디아누스"는 그의 가문이 아나톨리아 출신임을 나타낸다.[6]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 따르면, 그의 어머니는 안토니누스 피우스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후손인 파비아 오레스틸라라고 하지만, 현대 역사가들은 이 주장을 거짓으로 본다.[4] 고르디아누스 2세의 어머니는 헤로데스 아티쿠스의 손녀였을 가능성도 있다. 그의 여동생 안토니아 고르디아나는 훗날 황제 고르디아누스 3세의 어머니가 되었다.

Marcus Antonius Gordianus Sempronianus Romanus Africanusla

고르디아누스 가계도
관계이름
아버지고르디아누스 1세
어머니파비아 오레스틸라(추정)
여동생안토니아 고르디아나


3. 막시미누스 트락스에 대한 반란

235년 초, 황제 알렉산데르 세베루스와 그의 어머니 율리아 아비타 마마이아는 게르마니아 인페리어의 모군티아쿰(현재 마인츠)에서 반란을 일으킨 군대에 의해 암살당했다.[10] 반란의 지도자인 막시미누스 트라쿠스는 낮은 출신에도 불구하고 로마 원로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황제가 되었다.[11] 막시미누스의 프로쿠라토르를 살해한 지역 엘리트와 대면한 고르디아누스 1세는 238년 3월 말경에 막시미누스에 대항하는 전면적인 반란에 참여했다.[12] 고르디아누스 1세의 고령으로 인해, 46세의 고르디아누스 2세는[13] 아우구스투스로 추대되었다. 그는 아버지처럼 ''코그노멘'' "아프리카누스"를 받았다.[14]

누미디아 속주 총독 카펠리아누스이 이끄는 III '아우구스타'와 베테랑 부대에 맞서, 훈련받지 않은 병사들로 구성된 민병대를 지휘한 고르디아누스 2세는 카르타고 전투에서 패배하고 사망했다.[15] ''아우구스타사''에 따르면 그의 시신은 회수되지 못했다.[16] 이 소식을 들은 그의 아버지는 자살했다.[17] 고르디아누스 부자는 단 22일 동안 통치했다. 비록 막시미누스 트라쿠스에 대한 첫 번째 반란은 실패했지만, 238년 말 고르디아누스 2세의 조카 고르디아누스 3세가 로마 세계의 황제로 인정받게 된다.

3. 1. 원로원과 속주의 지지

고르디아누스 부자는 막시미누스 트라쿠스의 인기가 없었기 때문에 원로원[11]과 다른 대부분의 속주로부터 왕위 주장을 승인받았다.[10]

그러나 반대는 인접한 누미디아 속주에서 일어났다.[12] 카펠리아누스는 막시미누스 트라쿠스의 충실한 지지자였으며, 고르디아누스에 대한 원한을 품고 있었고[13] 당시 황제에 대한 충성을 갱신하고[14] 이 지역에 주둔한 유일한 군단인 III ''아우구스타''와 다른 베테랑 부대를 이끌고 아프리카 (속주)를 침공했다.[15]

4. 카펠리아누스와의 전투, 그리고 죽음

막시미누스 트라쿠스를 지지하던 누미디아 총독 카펠리아누스는 III '아우구스타' 군단과 베테랑 부대를 이끌고 아프리카 속주를 침공했다.[12] 훈련받지 않은 병사로 구성된 민병대를 이끌던 고르디아누스 2세는 카르타고 전투에서 패배하여 전사했다.[13] 아우구스타사에 따르면 그의 시신은 수습되지 못했다.[14] 이 소식을 들은 아버지 고르디아누스 1세는 자결했다.[15]

4. 1. 짧았던 통치

235년 초, 황제 알렉산데르 세베루스와 그의 어머니 율리아 아비타 마마이아는 게르마니아 인페리어의 모군티아쿰(현재 마인츠)에서 반란을 일으킨 군대에 의해 암살당했다.[10] 반란의 지도자인 막시미누스 트라쿠스는 낮은 출신에도 불구하고 로마 원로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황제가 되었다.[11] 막시미누스의 프로쿠라토르를 살해한 지역 엘리트와 대면한 고르디아누스의 아버지는 238년 3월 말경에 막시미누스에 대항하는 전면적인 반란에 참여해야 했다.[12] 고르디아누스 1세의 고령으로 인해, 46세로 알려진 젊은 고르디아누스는[13] 황제 자리에 앉게 되었고, 또한 ''아우구스투스''로 추대되었다. 그의 아버지처럼, 그 역시 ''코그노멘'' "아프리카누스"를 받았다.[14]

아버지와 아들은 막시미누스의 인기가 없었기 때문에 원로원[15]과 다른 대부분의 속주로부터 왕위 주장을 승인받았다.[16]

반대는 인접한 누미디아 속주에서 일어났다.[17] 카펠리아누스는 막시미누스 트라쿠스의 충실한 지지자였으며, 고르디아누스에 대한 원한을 품고 있었고 당시 황제에 대한 충성을 갱신하고 이 지역에 주둔한 유일한 군단인 III ''아우구스타''와 다른 베테랑 부대를 이끌고 아프리카 (속주)를 침공했다. 훈련받지 않은 병사들로 구성된 민병대 군대의 지휘관이었던 고르디아누스 2세는 카르타고 전투에서 패배하고 사망했다. ''아우구스타사''에 따르면 그의 시신은 결코 회수되지 못했다. 이 소식을 들은 그의 아버지는 자살했다. 고르디아누스 부자는 단 22일 동안 통치했다. 막시미누스 트라쿠스에 대한 이 첫 번째 반란은 실패했지만, 238년 말까지 고르디아누스 2세의 조카 고르디아누스 3세가 전 로마 세계에 의해 황제로 인정받게 된다.

참조

[1] 논문 O. Leid. 144 and the Chronology of A.D. 238 http://www.jstor.org[...]
[2]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문서 The Three Gordians Historia Augusta
[5] 서적 Aurelian and Probus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6] 간행물 Orateurs et sophistes grecs dans les inscriptions d'époque impériale
[7] 문서 The Three Gordians Historia Augusta
[8] 문서 The Three Gordians Historia Augusta
[9] 학술지 Philostratus and Gordian 1968-09
[10] 문서 The Three Gordians Historia Augusta
[11] 문서 Herodian 7:7:2
[12] 문서 Herodian 7:9:3
[13] 문서 The Three Gordians Historia Augusta
[14] 문서 The two Gordians ruled for 20 days. They died in Africa. https://www.tertulli[...] Filocalus
[15] 문서 Gordian ruled 22 days. https://archive.org/[...] Laterculus Imperatorum Malalianus 7th century
[16] 문서 According to some they reigned about twenty-two days, but according to others not quite three months https://books.google[...]
[17] 잡지 From the Editor. Ambition, Style and Sacrifices 201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