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미디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미디아는 고대 북아프리카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현재의 알제리 북부 지역에 위치했다. 이 명칭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유목민을 지칭하는 '노마데스'에서 유래되었으며, 로마인들은 이 지역 주민을 '누미다이', 그들의 나라를 '누미디아'라고 불렀다.

기원전 3세기 경에는 마실리족과 무티기티족으로 분열되어 있었으나,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마시니사가 로마와 동맹을 맺고 통일 누미디아 왕국을 건설하면서 번영을 누렸다. 누미디아는 농업 생산력이 뛰어나 곡물 수출로 경제적 부를 쌓았으며, 특히 뛰어난 기병을 보유하여 로마군에 기여했다.

마시니사 사후 왕위 계승 분쟁과 유구르타 전쟁을 거치면서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로마 내전에서 유바 1세가 패배하면서 멸망했다. 이후 로마 속주로 편입되었다가 반달족의 침입으로 쇠퇴했으며, 로마 제국 멸망 이후에는 사막화가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누미디아 - 베르베르인
    베르베르인은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지역의 토착 민족 집단으로, 아마지그라고도 불리며, 기원전부터 존재하며 여러 세력의 지배와 아랍화 과정을 거쳐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마그레브 국가에서 사회·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유럽 등지에 디아스포라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 누미디아 - 반달족
    반달족은 게르만 민족의 일파로, 오데르 강과 비스툴라 강 사이에서 기원하여 로마 제국과 갈등을 겪으며 갈리아와 히스파니아를 거쳐 북아프리카에 반달 왕국을 건설했으나 비잔티움 제국에 의해 멸망했고, 그들의 이름은 파괴 행위를 뜻하는 "반달리즘"의 어원이 되었다.
  • 기원전 202년 - 해하 전투
    해하 전투는 기원전 202년 초한전쟁의 마지막 전투로, 한신의 한나라 연합군이 항우의 초나라 군대를 포위 섬멸하여 유방이 중국을 통일하고 한나라를 건국하게 된 전투이며, 항우는 오강에서 자결했고 사면초가의 고사성어가 유래되었다.
  • 기원전 202년 - 자마 전투
    자마 전투는 기원전 202년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이끄는 로마군이 한니발의 카르타고군을 격파한 제2차 포에니 전쟁의 마지막 전투로, 로마가 지중해 패권을 확립하고 카르타고를 로마에 종속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로마의 속주 - 달마티아
    달마티아는 아드리아해 동부 해안을 따라 뻗은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지역으로, 고대 로마 속주였으며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인식되지만 명확한 법적 경계는 없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와 문화적 교류를 거쳐 크로아티아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로마의 속주 - 트라키아
    트라키아는 동남유럽의 다뉴브 강, 흑해, 북부 마케도니아, 일리리아를 경계로 하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는 불가리아, 그리스, 터키 3개국에 걸쳐있는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지역이다.
누미디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푸니 전쟁 이후의 누미디아 지도
푸니 전쟁 이후의 누미디아 지도
마시니사 시대의 누미디아 주화
마시니사 시대의 누미디아 주화
기본 정보
통칭누미디아
공식 명칭누미디아 왕국
위치알제리, 리비아, 튀니지
수도키르타 (현재의 알제리 콩스탕틴)
공용어푸니어
누미디아어
라틴어
그리스어
종교누미테이즘, 푸니 종교
통화누미디아 주화, 카르타고 주화
정치 체제군주제
역사
건국기원전 202년
멸망기원전 25년
주요 사건로마 제국에 합병
이전고대 카르타고
이후누미디아 (로마 속주), 마우레타니아
역대 군주
마시니사기원전 202년–기원전 148년
굴루사기원전 148년 – 기원전 118년
마스타나발기원전 148년–기원전 140년
히엠프살 1세기원전 118년–기원전 117년
아데르발기원전 118년–기원전 112년
유구르타기원전 118년–기원전 105년
가우다기원전 105년–기원전 88년
마스테아바르기원전 88년–기원전 81년
히아르바스 2세기원전 84년–기원전 82년
히엠프살 2세기원전 88년–기원전 60년
유바 1세기원전 60년–기원전 46년
마시니사 2세기원전 81년–기원전 46년
아라비온기원전 44년–기원전 40년

2. 누미디아의 명칭

누미디아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폴리비오스로부터 유래했다. 폴리비오스는 포에니 전쟁 당시 기병으로 참여했던 이 지역의 반유목민 집단을 그리스어로 '유목민'이라는 뜻의 νομάδες|'''노마데스'''grc라고 불렀다. 이후 로마의 카이사르나 리비우스 같은 인물들은 이 지역 주민들을 라틴어로 Numidae|'''누미다이'''la라고 표기했으며, 그들이 사는 땅은 Numidia|'''누미디아'''la라고 불렀다. 하지만 '누미다이'와 '누미디아'는 로마인들이 사용한 명칭으로, 실제 누미디아인들이 스스로를 부르던 이름과는 다를 수 있다.

3. 누미디아의 역사

2000년에 촬영된 엘-크루브의 누미디아 마우솔레움


누미디아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고대 그리스 역사가들은 이 지역의 민족을 '유목민'을 뜻하는 그리스어 Νομάδες|노마데스grc라고 불렀고, 이것이 라틴어로 옮겨지면서 Numidae|누미다이la가 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13] 하지만 역사가 가브리엘 캄프스는 이 용어가 아프리카 현지 언어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 설에 반박하기도 했다.[14]

이 이름은 기원전 2세기 폴리비오스의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데, 당시 카르타고 서쪽에 위치한 민족과 영토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지역은 오늘날의 알제리 북부 전체와 물루야 강(Moulouya)까지 포함하는 넓은 영역이었으며, 물루야 강은 현재의 오랑에서 서쪽으로 약 약 160.93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15]

기원전 3세기경 누미디아 지역은 크게 두 개의 부족 연합체로 나뉘어 있었다. 동부에는 마실리족(Massyli)이, 서부에는 마사에실리족(Massaesyli)이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 두 세력은 이후 제2차 포에니 전쟁 과정에서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누미디아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3. 1. 제2차 포에니 전쟁과 누미디아

제2차 포에니 전쟁(기원전 218년 ~ 기원전 201년)이 발발했을 때, 누미디아는 동부의 마실리 부족과 서부의 마사에실리 부족으로 나뉘어 있었다. 동부 마실리의 왕 가이아는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고, 한니발이 이끄는 카르타고군에 정예 기병을 제공하여 로마 공화국과 싸웠다. 이 누미디아 기병대는 티키누스 전투, 트레비아 전투, 트라시메노 호수 전투, 칸나이 전투 등 초기 주요 전투에서 로마군을 상대로 혁혁한 공을 세우며 그 명성을 떨쳤다. 반면, 서부 마사에실리를 다스리던 시팍스 왕은 처음에는 로마와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기원전 206년, 동부의 왕 가이아가 사망하자 상황이 급변했다. 시팍스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동부 누미디아를 공격해 병합했다. 한편, 가이아의 아들인 마시니사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로마의 장군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에게 패배하여 근거지를 잃은 상태였다. 그는 결국 스키피오에게 항복하고 로마 편에 서게 되었다. 마시니사가 로마와 손을 잡자, 이번에는 시팍스가 로마와의 동맹을 파기하고 카르타고 측으로 돌아섰다.

기원전 204년, 스키피오가 이끄는 로마군이 카르타고 본토를 공격하기 위해 북아프리카에 상륙했다. 로마군은 카르타고와 시팍스가 이끄는 누미디아 연합군을 격파하고 누미디아 지역을 장악했다. 이 전투의 결과로 시팍스는 로마군의 포로가 되었고, 마시니사는 로마의 지원 하에 통일된 누미디아 왕국의 왕위에 올랐다.

기원전 202년에 벌어진 결정적인 자마 전투에서 마시니사는 로마군 우익의 지원 기병대를 지휘했다. 흥미롭게도 한니발이 이끄는 카르타고군 좌익 역시 누미디아 기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마시니사는 이들을 격퇴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카르타고 보병 부대의 배후를 공격하여 로마가 전쟁에서 최종적으로 승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제2차 포에니 전쟁 이후, 누미디아 기병은 로마군의 중요한 아욱실리아(지원군)로서 활약하게 되었다. 이들은 이후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을 비롯한 여러 전쟁에 참여하며 로마 군사력의 한 축을 담당했다. 카이사르의 저서 『갈리아 전기』에도 누미디아 병사들의 활약상이 기록되어 있다. 로마 내전 시기에도 누미디아 기병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 2. 마시니사 왕과 누미디아의 번영

제2차 포에니 전쟁 중이던 기원전 206년, 동부 누미디아(마실리)의 왕자였던 마시니사는 기존의 카르타고와의 동맹을 버리고 로마와 손을 잡았다. 반면 서부 누미디아(마사에실리)의 왕 시팍스는 로마에서 카르타고 측으로 돌아섰다. 전쟁이 로마의 승리로 끝나면서, 마시니사는 로마의 지원을 받아 누미디아 전역을 통일하고 왕위에 올랐다(기원전 202년).[15] 시팍스는 사로잡혔고 그의 왕국은 마시니사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18][19][20][21]



마시니사의 오랜 통치 기간(기원전 202년 ~ 기원전 148년) 동안 누미디아는 크게 번영했다. 그의 영토는 서쪽으로는 물루야 강 너머 마우레타니아 국경에서 동쪽으로는 키레나이카시르테 만까지 확장되었다. 이로써 누미디아는 해안가를 제외하고는 카르타고를 남쪽에서 완전히 포위하는 형세가 되었다(아피아누스, ''포에니카'', 106).[17] 또한 남쪽으로는 아틀라스 산맥 너머 가에툴리와 페잔 지역까지 영향력을 미쳤다.[22][23]

누미디아는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풍부한 농업 생산량을 자랑했다. 상추, 등 다양한 곡물이 재배되었으며, 특히 은 품질이 매우 우수하여 이집트 나일강 유역에서 생산되는 밀과 견줄 만했다고 로마의 학자 대 플리니우스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로마의 밀 수입품 중에는 갈리아에서 수입된 가벼운 밀이 있는데, 이는 부셸(부이소)당 20리브르의 무게를 초과하지 않습니다. 사르데냐의 밀 무게는 갈리아의 밀보다 반 리브르, 비오시아의 밀은 갈리아의 밀보다 전체 리브르가 더 나가며, 아프리카의 밀은 갈리아의 밀보다 전체 리브르와 3/4 리브르가 더 나갑니다.[25]


누미디아는 로마의 중요한 곡물 공급처 역할을 했다. 마시니사는 로마에 대규모로 곡물을 수출했으며, 이는 당시 왕국의 막대한 생산량의 일부에 불과했다. 기원전 171년 로마가 제공된 밀에 대한 지불을 결정했을 때 마시니사가 불만을 표했다는 사실은 그가 더 많은 양을 공급할 여력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연도 (기원전)로마 수출량 (밀, 헥토리터)로마 수출량 (보리, 헥토리터)비고 (수혜 지역)
20017,508-마케도니아 주둔 로마군[28]
19817,508-그리스 주둔 로마군[28]
19126,262 (로마)
43,770 (그리스)
21,885 (로마)
26,262 (그리스)
로마 및 그리스 주둔군[28]
17187,540-마케도니아 주둔 로마군[28]



시간이 지나면서 올리브 오일 생산과 수출 또한 증가하여, 서기 143년경에는 곡물 수출과 경쟁할 정도가 되었다.

기원전 180년경의 로데스 그리스 암포라, 치르타 박물관 소장


마시니사는 카르타고와 달리 그리스, 이집트, 시리아, 이탈리아 등 지중해 세계 여러 지역과의 무역을 적극적으로 장려했다. 기원전 179년, 그는 델로스 섬 주민들에게 곡물을 제공한 대가로 금관을 받았다. 델로스 섬에는 마시니사를 기리는 조각상이 세워졌으며, 그의 아들들과 비티니아의 왕 니코메데스도 마시니사를 위한 조각상을 봉헌했다.[26] 또한 로도스에는 토자 나무와 상아를 제공했으며,[37] 누미디아의 수도였던 키르타(현 콘스탄틴)에서는 기원전 2세기경 제작된 로도스산 암포라가 다수 발견되기도 했다.[38]

누미디아는 자체적인 해군력을 보유하여 무역을 보호하고 지중해에서 활동했다. 로마의 정치가이자 작가인 키케로는 마시니사의 해군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한 일화에 따르면, 마시니사의 함대가 몰타로 항해하여 유노 신전에서 거대한 상아 기둥을 가져왔으나, 왕이 그 출처를 알고는 함선 5척을 보내 원래 자리에 돌려놓게 했다고 한다. 이는 마시니사가 상당한 규모의 함대를 운용했으며, 그 활동 범위가 북아프리카 연안을 넘어 지중해 중부까지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기원전 148년, 마시니사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미킵사가 왕위를 계승했다.

3. 3. 유구르타 전쟁과 로마의 지배

마시니사의 후계자인 미킵사 왕이 기원전 118년에 사망하자, 그의 아들인 아데르발과 히엠프살 1세, 그리고 조카인 유구르타 사이에 왕위 계승 분쟁이 벌어졌다. 유구르타는 경쟁자들을 제거하고 기원전 112년까지 누미디아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

기원전 112년경, 유구르타는 아데르발과의 전쟁을 재개하며 그를 지지하던 로마 상인들을 살해했다. 이 사건은 로마의 분노를 사 유구르타 전쟁(기원전 112년 ~ 기원전 106년)의 발단이 되었다. 로마와의 짧은 충돌 후 유구르타는 항복했으나, 뇌물 수수 의혹이 제기될 만큼 그에게 유리한 조건의 평화 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을 승인한 현지 로마 사령관은 정적인 가이우스 멤미우스에 의해 부패 혐의로 로마로 소환되었다.[29][30] 유구르타 역시 증언을 위해 로마로 갔지만, 폭력적인 과거와 경쟁자 살해 의혹으로 인해 신뢰를 완전히 잃었다.

결국 누미디아와 로마 공화국 사이에 전면전이 발발했고,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누미디쿠스가 이끄는 로마 군단이 북아프리카로 파견되었다. 그러나 전쟁은 로마의 의도와 달리 길고 지지부진하게 이어졌다. 전황에 불만을 품은 메텔루스의 부관 가이우스 마리우스는 집정관 선거 출마를 위해 로마로 돌아갔고, 당선된 후 다시 누미디아로 와서 전쟁 지휘권을 넘겨받았다. 마리우스는 술라를 퀘스토르(재무관)로 삼아 이웃 마우레타니아 왕국으로 보내 유구르타에 대한 지원을 끊도록 했다. 마우레타니아의 왕 보쿠스 1세는 결국 로마와 협력하여 술라가 유구르타를 생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유구르타는 사슬에 묶인 채 로마로 압송되어 툴리아눔 감옥에 갇혔다.[31] 기원전 104년, 유구르타는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개선식에서 로마 시내를 행진한 뒤 처형되었다.[32]

알제리 셰르셸에서 출토된 유바 1세의 로마 대리석 흉상. 루브르 박물관


유구르타 전쟁 이후, 누미디아 서쪽 지역은 마우레타니아의 보쿠스 1세에게 할양되었다.[15] 나머지 동부 누미디아는 명맥만 유지한 왕국으로 남아 토착 군주가 다스렸지만, 사실상 로마의 속국 신세가 되었다.[15] 기원전 88년 가우다 왕이 사망한 후, 왕국은 동부의 큰 지역과 서부의 작은 지역(대략 쁘띠 카빌리)으로 나뉜 것으로 추정된다. 동부 왕들은 동전을 발행했지만 서부 왕들의 동전은 발견되지 않아, 서부 왕국이 동부 왕국의 종속국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3][34] 기원전 81년에는 술라의 명령을 받은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가 누미디아를 침공하여 히엠프살 2세를 왕위에 앉히는 등 로마의 영향력은 더욱 강화되었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사이의 내전은 기원전 46년 독립적인 누미디아 왕국의 종말을 고하는 계기가 되었다.[15] 전쟁 결과, 사바(우에드 숨맘) 강과 암프사가(우에드 엘 케비르) 강 사이의 서부 왕국은 마우레타니아의 보쿠스 2세에게 넘어갔고, 동부 왕국은 로마의 속주인 아프리카 노바(Africa Nova)로 편입되었다. 키르타 시를 포함한 일부 지역은 푸블리우스 시티우스라는 인물의 자치 공국이 되었다. 기원전 44년에서 40년 사이, 옛 서부 왕국 지역은 누미디아 왕 아라비오의 지배 하에 잠시 통합되었으나, 그 역시 로마 내전에 휘말려 사망했다.[34]

로마 통치하의 북아프리카


기원전 40년 아라비오 왕이 사망하자 서부 누미디아마저 아프리카 노바 속주에 완전히 합병되었다. 이후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기원전 25년, 서부 누미디아를 제외한 아프리카 노바 속주를 기존의 아프리카 베투스(Africa Vetus) 속주와 통합하여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Africa Proconsularis)라는 새로운 속주를 만들었다. 다만 기원전 30년부터 25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유바 1세의 아들인 유바 2세가 옛 아프리카 노바 속주 영역에서 누미디아의 종속 왕으로 통치하기도 했다.

서기 40년경,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 속주의 서부 지역(군단 주둔지 포함)은 황제가 임명하는 레가투스의 통치를 받게 되어 사실상 별도의 누미디아 속주처럼 운영되었다. 하지만 누미디아의 레가투스는 서기 203년까지 명목상 아프리카 프로콘술의 지휘를 받았다.[35] 서기 193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는 누미디아를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에서 완전히 분리시키고 황실 프로쿠라토르가 다스리도록 했다.[15]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제국 개편 과정에서 누미디아는 다시 두 개의 속주로 나뉘었다. 북부는 키르타를 수도로 하는 누미디아 키르텐시스(Numidia Cirtensis)가 되었고, 아우레스 산맥을 포함하며 방어적 성격이 강했던 남부는 군단 기지가 있는 람바에시스를 수도로 하는 누미디아 밀리티아나(Numidia Militiana, 군사 누미디아)가 되었다.

이올에서 발견된 왕 미킵사를 언급하는 푸니 비문이 새겨진 대리석


이후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는 두 속주를 다시 하나로 통합하고, 수도 키르타의 이름을 자신의 이름을 따 콘스탄티나(Constantina, 현재의 콘스탄틴)로 바꾸었다. 이 통합된 속주의 총독은 서기 320년에 콘술라리스(Consularis) 지위로 격상되었으며, 428년 반달족의 침략 이전까지 아프리카 관구를 구성하는 6개 속주 중 하나로 유지되었다. 이 시기 누미디아는 사막화와 함께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15] 반달 전쟁 이후 로마(동로마 제국)의 통치가 회복되어 새로운 아프리카 관구의 일부가 되었다.

3. 4. 로마 내전과 누미디아 왕국의 종말



기원전 49년,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를 중심으로 한 원로원파 사이에 로마 내전이 발발했다. 누미디아의 왕 유바 1세는 폼페이우스와 원로원파를 지지하여 내전에 참여했다. 그는 바그라다스 강 전투에서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가 이끄는 카이사르 군대를 격파하는 등 초반에 군사적 성과를 거두었다.[15]

그러나 기원전 48년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카이사르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고 폼페이우스가 이집트에서 살해되면서 전세는 카이사르에게 유리하게 돌아갔다. 유바 1세는 북아프리카로 도망쳐 온 원로원파의 주요 인물들인 메텔루스 스키피오, 카토 등과 합류하여 카이사르에 대한 저항을 계속했다.

기원전 46년, 탑수스 전투에서 카이사르 군대는 원로원파와 누미디아 연합군에게 참패를 안겼다. 이 전투에서 메텔루스 스키피오는 전사했고, 카토는 우티카에서 자결했다. 패배 후 도주하던 유바 1세 역시 카이사르 군의 추격을 받자 스스로 목숨을 끊음으로써 누미디아 왕국은 종말을 맞이했다.[15]

카이사르는 유바 1세 사후 누미디아 동부 왕국 영토를 로마의 직할령으로 편입하여 새로운 속주인 '''아프리카 노바'''(Africa Nova)를 설치했다.[15] 누미디아 서부 왕국은 잠시 마우레타니아의 보쿠스 2세에게 넘어갔다가, 이후 아라비오가 잠시 통치했지만 그가 사망한 기원전 40년 이후 역시 아프리카 노바 속주에 통합되었다.[34]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승리하여 로마의 최종 승자가 된 아우구스투스(옥타비아누스)는 한때 유바 1세의 아들인 유바 2세를 누미디아의 종속 왕으로 임명하여 통치를 맡겼다. 하지만 이는 잠시였고, 기원전 25년 아우구스투스는 유바 2세를 마우레타니아의 왕으로 전출시키고, 누미디아 영토를 기존의 아프리카 베투스(Africa Vetus) 속주와 통합하여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Africa Proconsularis) 속주로 재편성하였다. 이로써 누미디아는 완전히 로마의 속주 체제 안으로 편입되었다.

3. 5. 로마 속주 시대



기원전 46년, 동부 누미디아가 로마에 합병되어 새로운 속주인 아프리카 노바가 되었다. 이후 기원전 40년, 마지막 왕 아라비오가 사망하면서 서부 누미디아 역시 아프리카 노바 속주에 편입되었다. 기원전 25년,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이 지역(서부 누미디아 제외)을 아프리카 베투스 속주와 통합하여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라는 새로운 속주를 만들었다. 다만 기원전 30년부터 25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유바 1세의 아들인 유바 2세가 옛 아프리카 노바 속주 영토에서 로마의 종속 왕으로서 누미디아를 다스리기도 했다.

서기 40년,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 속주의 서부 지역은 군단 주둔지를 포함하여 황제의 직속 대리인인 레가투스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이는 사실상 누미디아를 별도의 속주로 분리한 조치였지만, 누미디아의 레가투스는 서기 203년까지 명목상 아프리카 속주의 총독(프로콘술)에게 종속된 상태였다.[35]

서기 193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는 누미디아를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에서 완전히 분리하여 황제의 재정을 관리하는 프로쿠라토르가 다스리는 독립된 속주로 만들었다.[15]

이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로마 제국의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누미디아는 두 개의 속주로 나뉘었다. 북부 지역은 키르타(Cirta)를 수도로 하는 누미디아 키르텐시스(Numidia Cirtensis)가 되었고, 아우레스 산맥을 포함하며 외부 침략의 위협이 컸던 남부 지역은 군단 기지가 있던 람바에시스(Lambaesis)를 수도로 하는 누미디아 밀리티아나(Numidia Militiana), 즉 '군사 누미디아'가 되었다.

얼마 후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는 이 두 속주를 다시 하나로 통합하였고, 수도인 키르타의 이름을 자신의 이름을 따서 콘스탄티나(Constantina, 현재의 콘스탄틴)로 바꾸었다. 서기 320년에는 누미디아 속주의 총독 지위가 콘술라리스(consularis)로 격상되었다. 누미디아는 428년 반달족의 침략을 받기 전까지 아프리카 관구를 구성하는 6개 속주 중 하나로 유지되었으나, 반달족의 침입 이후 황폐화되고 사막화가 진행되면서 쇠퇴의 길을 걸었다.[15] 반달 전쟁 이후 동로마 제국이 잠시 이 지역을 수복하여 새로운 아프리카 관구의 일부로 편입시키기도 했다.

4. 누미디아의 주요 도시

로마 제국 통치하의 누미디아는 상당히 로마화되었으며, 많은 도시가 세워졌다.[15]

주요 도시들은 다음과 같다.


  • 북부:
  • 키르타 (Cirta): 수도였으며, 오늘날의 콘스탄틴이다.
  • 루시카다 (Russicada): 항구 도시로, 오늘날의 스키크다이다.
  • 히포 레기우스 (Hippo Regius): 오늘날 안나바 근처에 위치했으며, 성 아우구스티누스주교좌가 있던 곳으로 유명하다.[15][39]
  • 남부 내륙:
  • 테베스테 (Theveste): 오늘날의 테베사이다.
  • 람바에시스 (Lambaesis): 오늘날의 람베사이며, 광대한 로마 유적이 남아있다. 이곳은 제3 아우구스타 군단의 주둔지이자 가장 중요한 전략적 중심지였다.[15]


이 도시들은 군사 도로로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특히 남부의 테베스테와 람바에시스는 키르타 및 히포 레기우스와 군사 도로로 이어졌다.[15][39] 람바에시스는 누미디아를 사막의 가에툴리 베르베르 부족으로부터 분리하는 오레스 산맥(몬스 아우라시우스)의 고개들을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로마 제국은 점차 이 산맥 지역을 완전히 장악해 나갔다.[15]

이들 도시 외에도 누미디아에는 로마 식민지의 칭호와 지위를 받은 도시가 총 20개에 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5세기에 작성된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는 479년 카르타고에서 열린 종교 회의에 참석한 주교좌가 123개 이상 기록되어 있어, 당시 누미디아의 로마화 정도를 짐작하게 한다.[15]

5. 누미디아 기병

누미디아인들은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한니발이 이끄는 카르타고 군대의 정예 기병으로 참전하여 명성을 떨쳤다. 이들은 티키누스 전투, 트레비아 전투, 트라시메노 호수 전투, 칸나이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로마 공화정의 로마군을 격파하는 데 핵심 역할을 했다.

마시니사가 로마 측으로 전향한 후 벌어진 자마 전투에서는 로마군 우익과 카르타고군 좌익 양측 모두 누미디아 기병으로 구성되는 독특한 상황이 벌어졌다. 이 전투를 기점으로 누미디아 기병은 로마군의 중요한 지원 부대(아욱실리아)로 편입되어 로마의 전력 강화에 기여했다.

이후로도 누미디아 기병은 로마군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 당시에도 지원 부대로서 큰 활약을 펼쳤으며, 이는 카이사르가 쓴 『갈리아 전기』에도 기록되어 있다. 또한, 카이사르와 원로원파 간의 로마 내전에서도 누미디아 기병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그 명성을 이어갔다.

6. 누미디아의 왕

마시니사


누미디아는 초기에 동부와 서부로 나뉘어 각각 다른 왕조가 통치하였다. 이후 마시니사가 이를 통합하여 통일 누미디아 왕국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6. 1. 마사에실리 (서부 누미디아)의 왕

재위 기간
슈팍스 (Syphax)기원전 215년 이전 - 기원전 202년
베르미나 (Vermina)기원전 202년 - ?
아르코발자네 (Archobarzane)? - ?


6. 2. 마실리 (동부 누미디아)의 왕



누미디아는 크게 동부의 마실리와 서부의 마사에실리라는 두 부족 집단으로 나뉘어 있었다.[16] 제2차 포에니 전쟁 초기에는 마실리의 왕 갈라가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었다.[16]

그러나 기원전 206년, 마실리의 새로운 왕이 된 마시니사로마와 손을 잡았다.[15] 전쟁이 로마의 승리로 끝난 후, 마시니사는 로마의 지원을 받아 누미디아 전체를 통일하고 왕국의 기반을 다졌다.[15] 그는 기원전 148년까지 오랫동안 누미디아를 통치했다.[17]

마시니사 사후에는 그의 아들 미킵사가 왕위를 이었다. 미킵사가 기원전 118년에 사망하자, 그의 두 아들 힘프살 1세와 아데르발, 그리고 마시니사의 서자 가문의 손자로 인기가 높았던 유구르타가 공동으로 왕위를 계승했다. 하지만 권력 다툼 끝에 유구르타가 힘프살 1세를 살해하면서 아데르발과의 내전으로 이어졌다.[24]

이름재위 기간
자랄센(Zelalsen)? - ?
갈라(Gala)? - 기원전 207년
오잘케스(Ozalces)기원전 207년 - 기원전 206년
카푸사(Capussa)기원전 206년
라쿠마제스(Lacumazes)기원전 206년
마시니사기원전 206년 - 기원전 148년[15][17]


6. 3. 통일 누미디아의 왕

재위 기간비고
마시니사기원전 202년 – 기원전 148년마슈리 왕과 동일 인물
미킵사기원전 148년 – 기원전 118년
글루사기원전 148년 – 기원전 145년미킵사와 공동 통치
유구르타기원전 118년 – 기원전 105년
아데르발기원전 118년 – 기원전 117년유구르타, 히엠프살 1세와 공동 통치
히엠프살 1세기원전 118년 – 기원전 112년유구르타, 아데르발과 공동 통치
가우다기원전 105년 – 기원전 88년
히엠프살 2세기원전 88년 – 기원전 60년
유바 1세기원전 60년 – 기원전 46년
로마 공화정 직할 통치 (기원전 46년 – 기원전 30년)
유바 2세기원전 30년 – 기원전 25년기원전 25년부터 마우레타니아 왕 (– 기원전 23년)


참조

[1] 서적 The Punic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2-04
[2] 서적 Language Planning and Policy in Africa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2007-01-01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01-01
[4] 서적 Mastering the West: Rome and Carthage at Wa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1-01
[5] 서적 Le numide, langue populaire de la Berbérie https://books.google[...] Books on Demand 2022-01-06
[6] 학술지 Libyque : écriture et langue https://journals.ope[...] 2008-01-01
[7] 학술지 Écriture https://journals.ope[...] 1996-08-01
[8] 서적 Alexandria, Real and Imagine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5-15
[9] 서적 The World of Juba II and Kleopatra Selene: Royal Scholarship on Rome's African Fronti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2-24
[10] 웹사이트 Numidia https://www.livius.o[...] 2024-08-02
[11] 서적 Encyclopedia of the Developing World Routledge
[12] 백과사전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https://www.perseus.[...] 2020-02-16
[13] 웹사이트 Numida and Nomas https://www.perseus.[...]
[14] 학술지 Les Numides et la civilisation punique http://www.persee.fr[...]
[15] 백과사전
[16]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century B.C. to the seventh century A.D. https://books.google[...]
[1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rocco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8] 서적 Les villes de l'Algérie antique Tome I: Au travers des sources arabes du Moyen Âge (Province de la Maurétanie Césarienne) https://books.google[...] Presses Académiques Francophones 2015-01-01
[19] 서적 Villes et tribus du Maroc: documents et renseignements, Volume 7 https://books.google[...]
[20] 서적 Histoire du Maroc https://books.google[...] Payot
[21] 서적 Le Maroc https://books.google[...] Hachette
[22] 서적 Histoire des Romains depuis les temps les plus reculés jusqu'à la fin du règne des Antonins: Depuis les Gracques jusqu'à la fin du règne de Claude https://books.google[...] Hachette et cie
[23] 서적 Storia della Libia dai tempi piu' [i.e. più] remoti ad oggi: compendio https://books.google[...] Stabilimento poligrafico editoriale Maggi
[24] 서적 Jugurthine War -0040-01-01
[25] 서적 The Grain Market in the Roman Empire: A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Stud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11-03
[26] 서적 Itineraria Phoenicia Peeters Publishers
[2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rocco Rowman & Littlefield
[28] 서적 Oeuvres de Tite-Live: Histoire romaine avec la traduction en français. Livres XXVII à XLV https://books.google[...] Firmin-Didot 1882-01-01
[29] 서적 The History of Rome The Colonial Press
[30] 서적 Caesar- A Sketch A. L. Burt Company
[31] 서적 Sulla: A Dictator Reconsidered Pen and Sword
[32] 서적 The Hutchinson Dictionary of Ancient and Medieval Warfare Routledge
[33] 서적 The World of Juba II and Kleopatra Selene: Royal Scholarship on Rome's African Frontier Routledge
[34] 학술지 Arabion http://encyclopedieb[...] Edisud 2017-02-13
[3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논문 Monumental power: ‘Numidian Royal Architecture’ in contex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서적 Histoire d'Algérie: S[tephane] Gsell-G. Marçais-G. Yver. Ouvrage illustré de grav. hors texte https://books.google[...] Boivin 1929
[38] 서적 Antiquités africaines https://books.google[...] Editions du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2005
[39] 웹사이트 Detailed map of Roman Numidia http://www.cassici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