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사리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사리목은 뿌리줄기, 잎, 포자낭으로 구성되며, 자루와 구개에 의해 중단된 수직 환대를 가진 포자낭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고사리목은 네오크롬이라는 광수용체를 통해 저조도 조건에서 광합성을 더 잘 수행하며, 배우체는 녹색이며 심장 모양이다. 1833년 링크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분류학적 범위는 시간에 따라 변경되어 왔다. 2016년에는 삭콜로마과, 키스토디움과, 론키티스과, 비고사리과, 봉의꼬리과, 잔고사리과, 꼬리고사리아목, 고란초아목으로 분류된다. 고사리목은 백악기에 나타나 다양성을 보였으며, 속씨식물의 다양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사리목 - 고란초아목
    고란초아목은 고사리목에 속하는 양치식물 분류군으로, 다양한 과를 포함하며 잎 구조, 포자낭 특징, 분자 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구분되고 분류 체계가 변화하고 있다.
  • 고사리목 - 꼬리고사리아목
    꼬리고사리아목은 양치식물 분류 체계에 따라 11개의 과로 나뉘거나 꼬리고사리과 단일 과로 취급되며, 진정고사리군 II에 속하고 잔고사리과, 고란초아목과 자매군 관계이다.
고사리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고사리목 정보
분류
학명Polypodiales Link(1833)
하위 분류

2. 형태적 특징

고사리목은 다른 양치류와 달리 네오크롬이라는 광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숲 바닥의 그림자와 같이 빛이 적은 조건에서도 광합성을 더 잘 수행할 수 있다. 이 네오크롬은 고사리목과 마라티아목의 공통 조상이 각시류로부터 수평 유전자 전달을 통해 얻은 것으로 보인다.[3]

고사리목의 배우체는 녹색이며, 보통 심장 모양이고, 땅 위에서 자란다.[1] (뱀고사리목처럼 땅속이 아니다.[4])

2. 1. 포자낭

고사리목은 자루와 구개에 의해 중단된 수직 환대를 가진 포자낭을 갖는다는 점에서 독특하다.[1] 이러한 포자낭 특징은 요한 야코프 베른하르디가 "Cathetogyratae"라고 부르는 양치식물 그룹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다.[2] 포자낭은 1~3개의 세포 두께의 자루에 생기며 종종 긴 자루를 갖는다.[1] 포자낭은 동시에 성숙하지 않는다. 고사리목의 많은 그룹은 포막이 없지만, 존재할 경우 포막의 가장자리 또는 중앙에 부착된다.[1]

3. 분류

고사리목은 1833년 링크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고사리목의 범위는 고사리가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됨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되었다. Smith et al. (2006)은 분자 계통 발생학 시대에 발표된 최초의 상위 수준 양치류 분류를 수행했다.[5]

Smith et al. (2006)의 분류 체계 이후, 분자 계통 발생학적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고사리목의 분류는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고사리목은 Polypodiidae 아강에 속하며, 나자고 고사리로도 알려져 있다.

아강 Polypodiidae 내에서 고사리목의 계통 발생적 위치는 다음과 같다.

3. 1. 하위 과



고사리목에는 위에 언급된 과 외에도 진정고사리군 I과 진정고사리군 II에 속하는 여러 과들이 포함된다. 이들에 대해서는 별도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1. 기저 과

삭콜로마과 (Saccolomataceaela)

론키티스과 (Lonchitidaceaela)

키스토디움과 (Cystodiaceaela)

비고사리과 (Lindsaeaceaela)

봉의꼬리과 (Pteridaceaela)

잔고사리과 (Dennstaedtiaceaela)

3. 1. 2. 진정고사리군 II (Eupolypods II)

3. 1. 3. 진정고사리군 I (Eupolypods I)


  • 금털고사리과 (Hypodematiaceae)
  • 관중과 (Dryopteridaceae)
  • 면마아과 또는 관중아과 (Dryopteridoideae)
  • Elaphoglossoideae (= Elaphoglossaceae)
  • 덩굴고사리과 (Lomariopsidaceae)
  • 네프롤레피스과 (Nephrolepidaceae)
  • 텍타리과 (Tectariaceae)
  • 줄고사리과 (Oleandraceae) (= ''Olandraceae'')
  • 넉줄고사리과 (Davalliaceae)
  • 고란초과 (Polypodiaceae)
  • 주걱일엽아과 (Loxogrammoideae)
  • 드리나리아아과 (Drynarioideae)
  • 박쥐난아과 (Platycerioideae)
  • 밤일엽아재비아과 (Microsoroideae)
  • 고란초아과 (Polypodioideae)

3. 2. 계통 발생

2016년 고사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

고사리류 계통분류 그룹(Pteridophyte Phylogeny Group) 2016Nitta 등 2022[2] 및 Fern Tree of life[3]
style="vertical-align:top;" |



고사리목은 양치식물 중에서 가장 다양한 목이지만, 진화 역사는 비교적 늦은 초기 백악기 시대에 나타났다.[1]

3. 3. 폐기된 과

다음은 과거 고사리목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다른 과로 재분류된 과들이다.

4. 진화

고사리목은 양치식물 중에서 진화적으로 가장 진보된 그룹 중 하나로 여겨진다.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고사리목은 약 1억 년 전에 발생하여 다양화되었으며, 이는 속씨식물의 다양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1]

고사리목과 물고사리목은 네오크롬이라고 불리는 광수용체를 공유하며, 이는 다른 양치류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두 그룹의 공통 조상은 각시류로부터 수평 유전자 전달을 통해 네오크롬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네오크롬은 숲 바닥의 그림자와 같이 저조도 환경에서 광합성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참조

[1] 논문 Simultaneous diversification of Polypodiales and angiosperms in the Mesozoic https://onlinelibrar[...] 2021-10
[2] 논문 An Open and Continuously Updated Fern Tree of Life
[3] 웹사이트 Tree viewer: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FTOL https://fernphy.gith[...] 2023-03-08
[4] 저널 Ferns diversified in the shadow of angiosperms 2004
[5] 저널 A community-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