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시 갑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고양시 덕양구와 일산동구 일부를 관할한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설되었으며, 진보적, 자유주의적 성향을 보이는 지역구로 평가받는다. 2016년부터 2024년까지 정의당 심상정 의원이 지역구를 대표했으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성회 의원이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시의 정치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고양시의 정치 - 고양시 을
고양시 을은 20대 총선에서 신설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일부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20대부터 22대 총선까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당선되었으며 22대 총선에서는 한준호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며 진보적 성향을 나타낸다. - 2016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성동구 을
중구·성동구 을은 2016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중구와 성동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2016년 지상욱, 2020년과 2024년에는 박성준 후보가 당선되었다. - 2016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성동구 갑
중구·성동구 갑은 20대 총선을 앞두고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더불어민주당과 보수정당 간 격전지였으나 최근 더불어민주당 우세 지역으로, 성동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홍익표 의원에 이어 전현희 의원이 대표하고 있다. - 경기도의 선거구 - 성남시 분당구 을
성남시 분당구 을은 2000년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분당동, 수내동, 정자동, 금곡동, 구미동을 관할하며 임태희, 손학규, 김병욱, 김은혜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경기도의 선거구 - 성남시 중원구 (선거구)
성남시 중원구는 1996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성남시 중원구 전역을 관할하며, 조성준, 이상락, 신상진, 김미희, 윤영찬, 이수진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보수와 진보 정당이 번갈아 당선되는 경합 지역이다.
고양시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선거구 유형 | 단일 선거구 |
의회 | 국회 |
지역 | 경기도 |
선거구 | 고양시 (일부) |
유권자 수 | 228,942 (2024년) |
선출 의원 수 | 1 |
의석 수 | 1 |
개설 연도 | 2016 |
이전 선거구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일산동구 |
로마자 표기 | Goyang A |
정치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김성회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2008년 빼곤 보수 전패했던 고양갑, 심상정 5선 가능할까 |
2. 역사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양시 지역의 선거구가 개편되면서 고양시 덕양구 갑 선거구에 일산동구 식사동이 편입되어 신설되었다.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일산동구 식사동이 고양시 병으로 편입되었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양시 병 선거구로 넘어갔던 일산동구 식사동을 다시 편입했다.
고양시 갑 지역구는 2008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를 제외하고는 중도좌파 정당의 의원을 꾸준히 배출해 온, 진보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성향의 지역구로 널리 여겨진다.[2]
2016년부터 2024년까지는 정의당 대표 심상정 의원이 이 지역구를 대표했다. 또한 2024년까지는 국회에서 정의당이 차지한 유일한 지역구 단수 선거구이기도 했다.[3] 심상정 의원은 2024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성회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큰 표차로 패배하면서, 김성회 의원에게 지역구를 넘겨주었다.[4]
2. 1. 역대 선거구 획정 변화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양시 지역의 선거구가 개편되면서 고양시 덕양구 갑 선거구에 일산동구 식사동이 편입되어 신설되었다.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일산동구 식사동이 고양시 병으로 편입되었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양시 병 선거구로 넘어갔던 일산동구 식사동을 다시 편입했다.
3. 관할 구역
3. 1. 고양시 덕양구
wikitable법정동 | 행정동 |
---|---|
주교동 | 원신동 |
원당동 | |
신원동 | 흥도동 |
원흥동 | |
도내동 | |
성사동 | 성사1동, 성사2동 |
북한동 | 고양동 |
효자동 | |
지축동 | |
오금동 | 관산동 |
삼송동 | |
동산동 | |
용두동 | |
벽제동 | 화정1동, 화정2동 |
선유동 | |
화전동 | 화전동 |
현천동 | 행신1동, 행신2동, 행신3동, 행신4동 |
덕은동 | |
향동동 | |
원신동 | 대덕동 |
도내동 |
3. 2. 고양시 일산동구
4. 역대 국회의원
wikitable
선거 | 정당 | 의원 | 임기 |
---|---|---|---|
2016년 | 정의당 | 심상정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2020년 | 정의당 | 심상정 |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
2024년 | 더불어민주당 | 김성회 | 2024년 5월 30일 ~ 현재 |
5. 역대 선거 결과
5. 1.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20대 총선 경기도 고양시 갑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24,395명이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71,043표(52.97%)를 얻어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손범규 후보는 49,356표(36.80%), 더불어민주당 박준 후보는 11,726표(8.74%), 노동당 신지혜 후보는 1,992표(1.48%)를 얻었다. 무효표는 1,448표였으며, 투표율은 60.41%였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정의당 | 심상정 | 71,043 | 52.97% | |
새누리당 | 손범규 | 49,356 | 36.80% | |
더불어민주당 | 박준 | 11,726 | 8.74% | |
노동당 | 신지혜 | 1,992 | 1.48% | |
합계 | 134,117 |
5. 2.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2020년 총선에서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39.3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미래통합당 이경환 후보는 32.75%, 더불어민주당 문명순 후보는 27.36%를 득표했다. 국민혁명당 고평기 후보는 0.49%를 득표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정의당 | 심상정 | 56,516 | 39.38% | -13.59% |
미래통합당 | 이경환 | 47,003 | 32.75% | -4.05% |
더불어민주당 | 문명순 | 39,268 | 27.36% | +18.62% |
국민혁명당 | 고평기 | 704 | 0.49% | 신규 |
무효표 | 1,339 | - | - | |
투표율 | 144,830 | 66.64% | +6.23% | |
등록 유권자수 | 217,323 |
5. 3.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2024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도 고양시 갑 선거구는 유권자 228,942명 중 153,653명이 투표하여 67.11%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성회 후보가 69,617표(45.30%)를 얻어 당선되었다. 국민의힘 한창섭 후보는 54,308표(35.34%), 녹색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28,293표(18.41%), 무소속 김성남 후보는 1,435표(0.93%)를 얻었다. 무효표는 1,344표였다.참조
[1]
웹사이트
2008년 빼곤 보수 전패했던 고양갑, 심상정 5선 가능할까
https://www.ohmynews[...]
2024-02-24
[2]
웹사이트
[우리동네 누가 뛰나-고양갑] '진보 텃밭' 심상정-원희룡 빅매치 성사되나
http://www.joongboo.[...]
2024-02-24
[3]
웹사이트
[총선 1년 앞으로] 정의당 6석 사수 가능할까, 나머지 소수 정당 운명은
https://www.business[...]
2024-02-24
[4]
웹사이트
[4·10 총선] 고양갑 민주 김성회, 심상정 압승…녹색정의당 다시 원외로
https://biz.sbs.co.k[...]
2024-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