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상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상정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노동 운동가 출신이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21세에 노동운동을 시작하여 구로공단 위장 취업, 구로동맹파업 주도 등의 활동을 했다. 2004년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로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이후 진보신당, 통합진보당을 거쳐 정의당을 창당하고 당 대표를 역임했다. 제19, 20, 21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2024년 총선에서 낙선 후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재벌 개혁, 4일 근무제, LGBT 권리 지지 등의 정치적 입장을 보였으며, 2017년, 2022년 대선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대조초등학교 동문 - 박중훈
    박중훈은 1986년 데뷔 후 다양한 영화에서 흥행 배우로 활동하며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했고, 마약 사건 이후 미국 유학 후 영화 감독으로도 데뷔하여 라디오 및 드라마 출연 등 폭넓은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새진보통합연대 당원 - 노회찬
    노회찬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통합진보당, 정의당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고 노동운동과 사회 개혁에 헌신했으나, 드루킹 사건 연루 의혹으로 특검 수사 중 투신 사망했다.
  • 새진보통합연대 당원 - 조승수
    조승수는 울산대학교 졸업 후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울산시의원, 울산 북구청장, 국회의원을 역임했고, 진보신당 대표를 거쳐 정의당에서 활동했으며, 음주운전 전과가 있다.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관련자 - 이백윤
    이백윤은 중앙대 총학생회장 출신 노동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동희오토 비정규직 노동자 해고 후 부당 해고에 맞선 투쟁, 사회혁명노동자당 충남도당 위원장, 노동당 대통령 후보 출마 등의 활동을 했다.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관련자 - 이용길
    이용길은 1970년대 후반부터 사회운동과 정치 활동을 활발히 펼친 한국의 정치인으로, 노동 운동과 시민 운동에 참여하고 진보 정당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했으며 2017년 노동당을 탈당했다.
심상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5년 심상정
이름심상정
한자 표기沈相奵
로마자 표기Sim Sangjeong
출생일1959년 2월 20일
출생지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서명
국회 정보
국회의원국회의원
지역구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갑
임기 시작2012년 5월 30일
임기 종료2024년 5월 29일
이전 국회의원손범규
지역구 (비례대표)비례대표
비례대표 임기 시작2004년 5월 30일
비례대표 임기 종료2008년 5월 29일
정당 정보
소속 정당정의당
다른 소속 정당민주노동당 (2000–2008)
진보신당 (2008–2011)
통합진보당 (2011–12)
정의당 대표정의당 대표
정의당 대표 임기 시작2015년 7월 18일
정의당 대표 임기 종료2017년 7월 11일
이전 정의당 대표천호선
다음 정의당 대표이정미
정의당 대표 임기 시작22019년 7월 13일
정의당 대표 임기 종료22020년 10월 12일
이전 정의당 대표2이정미
다음 정의당 대표2김종철
학력 정보
출신 학교서울대학교
기타 정보
배우자이승배
유튜브심상정공식유튜브
정계 은퇴2024년 4월 11일

2. 학력

3. 노동운동

1980년 서울대학교 최초로 총여학생회를 창설하고 초대 총여학생회장을 지냈다.[47] 같은 해 구로공단에 위장취업하여 노동조합을 조직하며 본격적인 노동운동에 뛰어들었다.[48] 그 이전, 21세 때 카세트테이프 공장에서 임금 인상과 더 나은 식사를 요구하는 노동자들을 조직했다는 이유로 해고된 경험이 있으며, 이후에도 임금을 벌기 위해 여러 직장을 옮겨 다니면서도 노동 운동을 계속했다.[4] 구로공단에서는 대우어패럴 미싱사로 일하며 노동조합 결성을 주도했다.[49]

1970년대부터 이어진 대한민국의 고속 성장의 이면에는 열악한 노동환경에서 장시간 노동과 저임금에 시달리던 노동자들의 희생이 있었다.[50] 1980년대전두환 군사독재정권 하에서도 이러한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고, 노동조합을 결성하는 것만으로도 사상이 불온한 자로 낙인찍히거나 해고 후 블랙리스트에 올라 재취업에 차별을 받았다.[51]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심상정은 1984년 노조 결성 및 쟁의 활동으로 수배되었고, 1985년에는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 최초의 동맹파업이자 전두환 정권 시기 최초의 정치적 연대파업인 구로동맹파업을 주도했다.[49] 이 파업은 자본가들과 결탁한 구사대의 폭력과 경찰의 탄압 속에 일주일 만에 끝났지만, 한국 노동운동사에 중요한 의미를 남겼다.[52]

구로동맹파업의 주동자로 지목되어 현상금 5백만원과 1계급 특진이 걸린 채 지명수배되었고,[53] 이후 1993년 체포될 때까지 약 10년간 수배 생활을 이어갔다.[48] 이 기간 중 동료 운동가였던 남편과 결혼했으며,[4] 1993년 '대중적 해악 선동' 및 '방화 선동' 등의 혐의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4][48]

수배 중에도 심상정은 노동운동 조직화에 힘썼다. 1985년 서울노동운동연합(서노련) 창립에 참여했으나 정권의 탄압으로 조직이 와해되기도 했다.[55][57] 이후 1990년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노협) 창립에 참여하여 쟁의국장, 조직국장 등을 맡았고,[58]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창립에도 기여했다. 민주노총 창립 이후에는 금속산업연맹과 전국금속노동조합에서 활동하며 2003년 대한민국 최초의 산별중앙교섭을 통해 임금 삭감 없는 주 5일 근무제 도입을 성공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철의 여인"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60]

한편, 심상정이 주도했던 구로동맹파업은 2001년 2월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민주화운동으로 공식 인정되어 관련자들의 명예가 회복되었다.[54]

3. 1. 구로동맹파업

1980년 서울대학교 재학 중 위장취업으로 구로공단에 들어가 노동조합을 조직하는 등 노동운동을 시작했다.[48] 대우어패럴 미싱사로 일하면서 노동조합을 결성하였으나,[49] 1984년 노조 결성 및 노동쟁의를 주도했다는 이유로 지명수배되었다.

1970년대부터 이어진 대한민국의 고속 성장의 이면에는 열악한 노동환경에서 장시간 노동과 저임금에 시달리는 노동자들의 희생이 있었다.[50] 1980년대 초에도 이러한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으며, 노동조합을 결성하는 것만으로도 불온한 인물로 낙인찍히고 해고 후 블랙리스트에 올라 재취업에 어려움을 겪었다.[51] 1983년부터 구로공단 노동자들은 여러 사업장에서 민주노동조합 결성을 시도하며 상황 개선을 모색했다.

도피 중이던 1985년 6월, 심상정은 전두환 군사독재정권 시기 최초의 정치적 연대파업이자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 최초의 동맹파업인 구로동맹파업을 주도했다.[49] 이 파업은 열악한 노동조건 개선과 민주노조 사수를 위한 투쟁이었으나, 기업 측 구사대의 폭력과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일주일 만에 막을 내렸다. 이 과정에서 노동자 44명이 구속되고 1천여 명이 해고되었다.[52]

이미 수배 중이던 심상정은 구로동맹파업의 주동자로 지목되어 수배 상태가 강화되었다. 당시 상황에 대해 심상정은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파업 닷새쯤 되던 날 텔레비전 9시 뉴스를 보던 중 화면에서 "1계급 특진, 현상금 5백만원"이 걸린 내 얼굴을 보았다. 그것은 내가 언론과 처음으로 맺은 인연이었다.……당시 나는 국가보안법 위반혐의까지 걸려 있었다. 붙잡히면 물고문, 전기고문 등 극악한 인권 탄압이 횡행하던 시절이었다.

심상정[53]


심상정은 구로동맹파업으로 인해 1993년까지 총 10년간 수배 생활을 했으며,[48] 이 기간 중 동료 운동가였던 남편과 결혼했다.[4] 1993년 체포되어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48] 이후 2001년 2월, 대한민국 정부는 구로동맹파업을 민주화운동으로 공식 인정하고 관련자들의 명예를 회복시켰다.[54]

3. 2. 서울노동운동연합

구로동맹파업 이후 심상정은 조직적인 민주노조 운동의 필요성을 느끼고, 개별 기업 단위 노동조합만으로는 노동기본권을 지키기 어렵다는 판단 아래 1985년 8월 기업 단위를 넘어서는 대중 정치 조직으로서 '서울노동운동연합(이하 서노련)' 창립에 참여했다. 서노련은 노동조합 교육과 군사독재에 저항하는 민주화운동을 전개했으며[55], 1986년 5월 1일 구로공단에서 노동절 기념집회를 주도했다.[56]

그러나 1986년 5월 4일, 전두환 정권은 서노련을 국가보안법상 반국가단체로 규정하고 관련자들을 연행했다. 정권은 수사권이 없는 보안사령부까지 동원해 관련자들을 구속하고, 고문과 같은 가혹행위로 사건을 조작했다.[57] 이 탄압으로 서노련은 사실상 해체되었고, 심상정은 체포를 피해 수배 생활을 시작했다. 그녀는 이 사건 등으로 인해 9년 동안 수배자 명단에 올라 있었다.[4]

3. 3.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서울노동운동연합 와해 이후에도 노동운동은 끊임없이 민주화노동권 확보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였다. 심상정은 1988년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 결성에 참여하였고, 1990년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노협)가 창립되자 쟁의국장과 조직국장을 역임했다.[58]

1990년 1월 22일 전노협은 수원의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에서 창립대의원대회를 열고 단병호를 초대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원래 서울대학교에서 열려고 하였으나 노태우 정권이 경찰을 동원하여 원천 봉쇄하였기 때문에 수원에서 열리게 되었다. 창립 행사가 끝나자마자 130여 명의 노동자가 연행되는 등 정권의 탄압이 있었다.[59]

심상정은 전노협 창립일 하루 전 경찰에게 연행되어 창립식에 참석하지 못하였다. 경찰서에서는 10년의 수배 생활을 해온 노동운동 거물이 잡혔다며 "얼굴 좀 보자"고 경찰들이 몰려들었고, 창립식은 텔레비전으로 지켜봐야 했다. 이 일로 심상정은 불구속으로 기소되어 1993년 법정에 섰다. 선고 공판 당시 만삭이었던 심상정에게 판사는 "무죄를 선고하고 싶으나 관련 법규가 최소한 집행유예를 선고하게 되어있다"는 설명과 함께 집행유예를 선고하였다.[60]

심상정은 전노협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창립을 위해 발전적으로 해체될 때까지 조직국장 등의 역할을 맡아 활동했으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준비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3. 4.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1995년 11월 11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창립되었다.[61] 심상정은 민주노총 결성 이후인 1996년부터 2001년까지 민주금속연맹과 금속산업연맹의 사무차장을 역임했다. 이후 이 조직들은 산업별노동조합인 전국금속노동조합으로 발전하였고, 심상정은 전국금속노동조합에서도 사무처장을 맡아 활동을 이어갔다.

전국금속노동조합은 2003년, 대한민국 최초로 산별중앙교섭을 통해 노동조건 개선 및 임금 삭감 없는 주 5일 근무제를 성공적으로 합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보여준 심상정의 역할로 인해 "철의 여인"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60]

심상정은 2003년 9월, 금속노조 사무처장직을 그만두고 진보정치 운동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4. 정치 활동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로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했다.[5] 이후 진보신당, 통합진보당을 거쳐 정의당 창당에 참여했으며, 2015년2019년 두 차례 정의당 대표를 역임했다.[6][7][80]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갑 지역구에서 통합진보당 소속으로 당선되어 첫 지역구 의원이 되었다.[6] 이후 2016년 제20대,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지역구(선거구 개편 후 고양시 갑)에서 연달아 당선되어 대한민국 진보정당 역사상 최초의 4선 국회의원 기록을 세웠다.[6][8]

2012년, 2017년, 2022년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 정의당 후보로 출마하였다.[34][40][2]

2024년 2월 정의당녹색당의 합당으로 창당된 녹색정의당 소속으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녹색정의당이 원내 의석 확보에 실패하자 2024년 4월 11일 정계 은퇴를 선언하며 25년간의 정치 활동을 마무리했다.[2][82][43]

4. 1. 정계 입문

노동운동가로 활동하던 심상정은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노동당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25년간의 노동운동을 마무리하고 정계에 입문했다.[5][62] 심상정을 비롯한 노동운동 출신 인사들의 국회 진출은 원내 진보 정치의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62]

국회의원 당선 후, 심상정은 2004년 국회 재정·경제위원회와 운영위원회 소속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2007년에는 재정·경제위원회 외에도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한미 FTA 특별위원회에서도 활동했다. 이 기간 동안 심상정은 다른 민주노동당 의원들과 함께 거대 정당 국회의원들을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7년 10월 14일, 대통령 선거 민주노동당 예비선거에서. 왼쪽 끝이 심상정.


2007년 반전 운동에서. 가운데 붉은 옷이 심상정.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심상정은 권영길, 노회찬과 함께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참여했다. 예비선거에서 2위를 기록하여 노회찬과 결선 투표를 치렀으나, 최종 후보로 선출되지는 못했다.[14]

대선 이후 민주노동당이 2002년 대선이나 2004년 총선보다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자 당 지도부가 총사퇴했고, 심상정은 2008년 1월 12일부터 민주노동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당 수습에 나섰다.[15]

4. 2. 민주노동당 시절

2004년 4월 제17대 총선에서 민주노동당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어 25년간의 노동운동 끝에 국회에 입성했다.[5]

2004년 국회 재정경제위원회와 운영위원회에 소속되었고, 2007년에는 재정경제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한미FTA 특별위원회 등에서 활동했다. 활동 기간 동안 다른 민주노동당 의원들과 함께 기존 거대 정당 국회의원들을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제17대 국회 활동 중 재벌 중심의 경제 구조를 비판했으며, 특히 삼성 등 대기업의 순환출자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민주노동당 기관지 《이론과 실천》에 기고한 논문 〈삼성 공화국의 소유 지배구조와 정경유착〉에서 삼성의 순환출자 구조가 시장 왜곡과 불공정 경쟁을 야기한다고 비판하며, 순환출자 금지가 대한민국 헌법 제119조 2항의 경제 민주화 조항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다.[63]

2005년에는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금산법) 개정을 둘러싸고 삼성 등 재벌을 옹호하는 보수 정치권과 정면으로 대립했다. 기존 금산법은 1997년 제정되었으나 벌칙 조항 미비 등 결함이 있었고, 2004년 금융감독위원회 조사에서 11개 금융기관의 계열사 지분 초과 소유가 드러나자, 심상정을 포함한 26명의 의원은 삼성생명, 삼성카드 등의 초과 소유분을 5년 내 강제 매각하도록 하는 개정안을 발의했다.[64] 이 개정안은 당시 여당이던 열린우리당을 포함한 보수 정치권의 반대에 부딪혔으며, 이들은 삼성만을 분리해 다루거나 법 개정 자체의 위헌 가능성을 제기하며 사실상 삼성을 비호했다. 심상정은 2005년 7월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시 삼성이 전방위 로비를 펼치고 있어 금산법 개정이 연기되고 있다고 제기하며 "삼성의 막강한 인맥관리는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국회 안에서도 삼성의 막강한 로비팀이 운영되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라고 말했다.[65]

당시 다른 기업의 경우 자발적으로 금산법 위반상황을 해소하였고 삼성계열의 금융회사만이 법 위반상태를 유지하였기 때문에 이는 결국 보수정치권 전체가 삼성을 비호한 셈이 되었다. 그 결과 개정된 금산법으로 삼성전자가 받은 의결권 제한 지분수는 1.09%에 불과하였다. 2006년 12월에 금산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의결되었다.[66]

2007년 심상정은 '삼성금융계열사의 금융지주회사 전환 로드맵'을 공개하였다. 이 내부문건은 2005년 5월 삼성금융연구소에서 작성하고, 삼성생명·삼성카드 등 그룹의 금융부문 최고위 기구인 삼성 금융사장단 회의에서 채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문건은 삼성이 금산법 개정을 막기 위해 조직적으로 여론 조작을 시도했음을 시사하고 있다.[67]

2005년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요구한 기업도시 특별법 제정안에 대해, 토지 규제 완화, 정부/지자체의 기반 시설 부담, 조세 감면, 노동 유연성 보장 등을 담고 있다며 "전무후무한 재벌 종합선물세트"라고 비판하였다.[68]

2007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권영길, 노회찬과 함께 당내 경선을 치렀다. 노회찬을 누르고 2위로 결선투표에 진출했으나, 결선에서도 2위에 그쳐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가 되지는 못했다.[14]

2007년 대선에서 민주노동당이 2002년 대선이나 2004년 총선보다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하자 당 지도부가 사퇴했고, 2008년 1월 12일부터 민주노동당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위원장을 맡았다.[15] 비대위원장으로서 당의 낡은 요소 혁신, 강력한 진보 야당 건설, 당 기반 확대를 3대 목표로 제시했다. 특히 "운동권 정당", "민주노총 정당", "친북 정당"이라는 비판을 수용하고, 대중과 소통하는 정당, 비정규직의 입장도 대변하는 정당, 일심회 사건 등 논란에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는 정당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명박 정부의 재벌 비호 경제, 토건 개발주의, 경쟁 위주 교육에 맞서 서민 중심 경제, 생태 국가, 평등 교육의 가치를 내세우는 대안 야당이 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심상정의 혁신 노력은 당내 자주파(NL)와 평등파(PD) 간의 패권 다툼 속에서 좌초되었다. NL계는 일심회 사건 관련자 제명 등 비대위의 노선에 반발했고, PD계 일부는 탈당을 추진했다. 2008년 2월 3일 당 대회에서 비대위의 혁신안이 최종 부결되면서 심상정은 위원장으로서의 권한을 사실상 부정당했고, 당은 분열 위기에 처했다. 결국 당 쇄신이 어렵다고 판단한 심상정은 2008년 9월 13일 노회찬 등 동료 의원들과 함께 민주노동당 탈당을 선언했다.[32]

4. 3. 진보신당 시절

제17대 대선 패배 이후 민주노동당은 내분에 휩싸였다. 2008년 1월, 심상정은 당 중앙위원회의 결정을 통해 비상대책위원회의 권한을 부여받았다. 그러나 이후 민주노동당과 결별하고, 노회찬과 함께 진보신당 창당을 주도했다. 2008년 3월 열린 진보신당 창당대회에서 공동대표로 선출되었다.[16]

진보신당 창당대회


창당 직후 치러진 2008년 제18대 총선에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갑 지역구에 출마했다. 심상정은 핀란드식 교육 혁신과 능력 있는 진보 정치를 핵심 공약으로 내세우며 선거 운동을 펼쳤다.[5] 하지만 개표 결과, 3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한나라당 손범규 후보에게 6%p 차이로 밀려 낙선했다.[5]

총선 패배 후 심상정은 진보신당의 개편을 모색하며 '능력 있고 신뢰받는 진보'를 기치로 내걸었다. 2009년 3월 열린 제2차 당대회에서는 상임대표직을 내려놓고 경기 지역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17]

이듬해인 2010년 1월 19일, 심상정은 경기도지사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18] 같은 달 31일에는 진보신당 경기도당 후보 선출대회에서 경기도지사 후보로 확정되었고,[19] 2월 2일 선거관리위원회에 예비후보로 등록하며 본격적인 선거 운동에 돌입했다.[20] 그러나 공식 선거운동 기간 중이던 5월 30일, 야권 단일화를 위해 후보직을 사퇴하고 국민참여당유시민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21]

경기도지사 선거 이후 노회찬 대표가 사퇴하자, 10월에 열린 당 대표 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대신 지역구에서 운영하는 마을학교 활동에 집중하며 지역 밀착 활동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22]

4. 4. 통합진보당 시절

통합진보당 소속으로 활동하며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총선에서 야권 단일후보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당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와 보편적 복지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다. 선거 결과, 새누리당의 손범규 후보를 상대로 접전 끝에 170여 표 차이로 신승하며 당선되었다. 특히 개표가 97% 진행될 때까지 손범규 후보에게 200여 표 뒤졌으나[70], 마지막 해외 부재자 투표함 개표에서 극적으로 결과를 뒤집어 승리하였다. 이는 제19대 총선에서 가장 적은 표차이기도 했다.[71] 이 당선으로 심상정은 수도권 최초의 진보정당 소속 지역구 국회의원이 되었다.[72][73] 심상정은 통합진보당 소속으로 49.3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다.[6]

그러나 통합진보당 부정 경선 사태 이후 당내 갈등이 격화되었다. 당 쇄신을 요구하는 그룹은 결국 통합진보당을 탈당하여 새로운 진보 정당 창당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심상정은 2012년 9월 13일 노회찬 등 동료 의원들과 함께 통합진보당 탈당을 선언하였다.[32]

탈당 이후, 10월 14일 진보정의당 창당준비위원회에 참여하며 제18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33] 당원 투표에서 약 90%의 찬성을 얻어 10월 21일 창당대회에서 진보정의당의 대통령 후보로 공식 선출되었다.[34] 하지만 대통령 선거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월 26일,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당선을 막아야 한다는 명분 아래 후보직을 사퇴하고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지지를 선언하였다.[35]

4. 5. 진보정의당 및 정의당 시절

통합진보당 내 갈등이 심화되자, 심상정은 노회찬 등 동료 의원 2명과 함께 2012년 9월 13일 통합진보당 탈당을 선언했다.[32] 이후 통합진보당 탈당파가 주축이 되어 창당을 추진한 진보정의당에 합류했다. 10월 14일, 진보정의당 후보로서 제18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고,[33] 10월 21일 창당대회에서 당원 투표 90%에 가까운 찬성으로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34] 그러나 박근혜 후보의 당선을 저지하기 위한 야권 단일화 차원에서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월 26일, 후보직을 사퇴하고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35]

2013년 6월 13일, 강동원 전 원내대표의 후임으로 정의당 원내대표가 되었다.[36] 2015년 7월 18일 열린 정의당 당 대표 선거에서는 노회찬 전 의원을 누르고 신임 대표로 선출되었다.[7][37]

2016년 4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선거구 개편으로 경기도 고양시 갑 선거구(덕양구 일부와 일산동구 일부)에 출마했다. 이전 선거와 달리 야권 후보가 분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새누리당 후보를 10%p 이상의 격차로 따돌리고 53%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6][38] 이는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에서 당선된 노회찬 의원과 함께 한국 진보정당 역사상 최초의 3선 기록이었다.[38]

2017년 1월 19일, 제19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39] 2월 16일 정의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80% 이상의 득표율로 승리하여 당 후보로 최종 선출되었다.[40] 선거 과정에서 심상정은 주요 대선 후보 5명 중 가장 뚜렷한 진보적 정책을 제시하며 "민주화 이후 김대중, 노무현 정부도 남북 관계와 민주주의 측면에서는 진전을 이뤘지만, 경제적으로는 기득권층을 편들었다"고 비판하고, "재벌 경제 체제를 끝내고 재벌 3세 경영 세습 금지, 정경 유착 근절,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 등을 주장했다.[41] 또한 유일하게 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배치에 명확히 반대하며 "THAAD로 북한 핵을 막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안보관에 대한 비판에는 "표를 위해 안보를 이용하는 보수 세력의 '안보 제일주의'야말로 가짜 안보이며 가장 위험하다"고 답하며 확고한 안보관을 피력했다.[41] 본 선거에서 전국적으로 2,017,458표(득표율 6.17%)를 얻어 5위를 기록했다. 이는 2002년 대선 당시 권영길 후보가 기록한 957,148표(득표율 3.9%)를 크게 넘어서는 진보정당 후보 역대 최고 득표 기록이었다. 대선 이후인 2017년 6월 3일, 차기 당 대표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며 당원으로서 역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42]

2018년 노회찬 의원의 갑작스러운 사망 이후, 심상정은 이정미 대표 등과 함께 사실상 당을 이끄는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다. 이 시기 심상정은 이전 노회찬 대표 시기의 더불어민주당과의 협력 노선과는 달리, 정의당의 독자 노선을 강조하며 민주당과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였다. 동시에 노동자뿐만 아니라 여성, 이주민, 성소수자 등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진보 정당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했다.

2019년 7월, 다시 정의당 대표로 선출되었다.[80] 이듬해인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총선에서는 경기도 고양시 갑에 출마하여 미래통합당 이경환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문명순 후보와의 3자 대결 구도 속에서 어려운 싸움을 벌였다. 개표 초반과 중반까지 미래통합당 이경환 후보에게 뒤처졌으나, 막판 역전에 성공하며 당선되어 진보정당 최초의 4선 국회의원이라는 기록을 세웠다.[80][81][8]

2021년 10월 12일,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나설 정의당 후보로 선출되었다. 이는 그의 네 번째 대선 도전이자 세 번째 대선 후보다.[2] 본 선거에서는 2.3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3위로 낙선했다. 결과적으로 심상정 후보의 득표수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낙선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일부 민주당 지지층으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2024년 총선에서 정의당이 창당 이후 처음으로 원내 의석 확보에 실패하자, 심상정은 총선 다음 날인 4월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25년간의 진보 정치 활동을 마무리하며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2]

4. 6. 녹색정의당 시절 및 정계 은퇴

2024년 2월, 정의당녹색당이 합당하여 녹색정의당이 창당되었고, 심상정은 같은 해 2월 20일 녹색정의당 원내대표로 선출되었다.

2024년 4월 10일에 열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도 고양시 갑 선거구에 녹색정의당 후보로 출마하였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김성회 후보와 국민의힘 한창섭 후보에게 밀려 3위를 기록하며 낙선하였고, 5선 도전은 실패로 돌아갔다. 또한 녹색정의당은 이번 총선에서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단 한 석도 얻지 못하며 조국혁신당 등 다른 정당에 밀려 원외 정당으로 밀려나는 결과를 맞았다.

결국 총선 다음 날인 2024년 4월 11일, 심상정은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82][43]

5. 정치적 입장 및 이념

2008년 대한민국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논란 당시, 이명박 정부의 수입 결정에 대해 "원치 않아도 고시에 의해 수입된 쇠고기를 먹을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인간광우병'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현저히 증가하기 때문에 헌법이 보장한 생명권, 신체불훼손권, 행복추구권, 보건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비판하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는 2008년 대한민국의 촛불 시위 참여의 배경이 되었다.[69]

심상정의 경제적 입장은 정의당의 진보적 강령을 따르며, 대표적으로 재벌 개혁을 주장한다. 특히 재벌의 세습 승계를 금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201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당시에는 5명의 주요 후보 중 가장 좌파적인 정책을 내세우며, "민주화 이후 김대중, 노무현 정부 등 민주 정부들도 남북 관계와 민주주의 측면에서는 진전을 가져왔지만, 경제적으로는 항상 기득권층을 편들었다"고 비판했다. 또한 "재벌 경제 체제를 끝내고 재벌 3세의 경영 세습을 없애며, 불관용의 원칙으로 정경유착을 근절하고 대기업에 사회적 책임을 강하게 물을 것"이라고 주장했다.[41] 202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주요 공약으로 4일 근무제 도입을 제안했는데, 이는 노동 시간이 길기로 알려진 한국 사회에서 혁명적인 아이디어로 평가받기도 했다.[9][10]

사회 분야에서는 자신을 페미니스트로 규정하며 "한국 사회에는 분명히 성차별이 존재한다"고 언급했다.[9][10] 202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여론조사 결과, 20대 여성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9][10] 오슬로 대학교블라디미르 티호노프 교수는 일부 젊은 여성들이 심상정이 "여성의 권리 의제를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 평가하며 영웅시한다고 분석했다.[9][10] 201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주요 대선 후보 중 유일하게 LGBT 권리를 공개적으로 지지했다.[11] 노회찬 의원 사망 이후 당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노동자뿐만 아니라 여성, 이주민, 성소수자 등 다양한 사회적 약자 계층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데 힘썼다.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THAAD 배치에 반대하며, 비핵화된 한반도를 지지한다.[12] 201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당시에도 THAAD 배치가 북한 핵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명확한 반대 입장을 견지했다.[41] 당시 다른 후보들로부터 안보관 부재 지적을 받자, "우리는 확고한 안보관을 가지고 있다. 가장 위험한 것은 지금까지 보수 세력이 주장해 온 안보 제일주의다. 이것은 가짜 안보"라며, "표를 위해 안보를 이용하는 것은 가장 위험한 안보라고 말하고 싶다"고 반박했다.[41] 다만, 북한의 반인륜적 행위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6. 경력

연도/기간직책/활동소속/기관/비고
1980년초대 총여학생회장서울대학교 (최초 총여학생회 창설)[47]
1980년~1981년노동조합 교육부장구로공단 남성전기
(졸업 연도 미상)역사교육과 졸업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활동 시기 미상)미싱사, 노조 결성 및 쟁의구로공단 대우어페럴 (수배 후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선고)
1985년~1986년중앙위원회 위원장서울노동운동연합
(활동 시기 미상)쟁의부장, 쟁의국장, 조직국장전국노동조합협의회
(활동 시기 미상)사무차장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민주금속연맹•금속산업연맹
2000년~2002년사무처장전국금속노동조합
2000년대의원, 중앙위원민주노동당
2000년~2002년전당대회 부의장민주노동당
2004년~2008년제17대 국회의원비례대표, 민주노동당
2004년~2006년원내수석부대표민주노동당
2006년~2007년한미FTA 특별위원회 위원제17대 국회
2006년~2007년한미FTA 저지 특별위원회 위원장, 삼성비자금 특별대책본부 본부장민주노동당
2007년제17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 2위민주노동당
2007년제17대 대통령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동 위원장민주노동당
2008년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당대표)민주노동당
2008년~2009년초대 공동 상임 대표진보신당
2008년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동 상임 위원장진보신당
(활동 시기 미상)이사장심상정 마을학교
(활동 시기 미상)원장정치바로 아카데미
2010년제5회 지방선거 경기도지사 후보진보신당 (후보직 사퇴, 유시민 야권단일후보 지지)
2010년~2011년상임 고문진보신당
2011년 10월서울특별시장 재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공동 위원장박원순 야권단일후보
2011년초대 공동 상임 대표새진보통합연대
2011년~2012년초대 공동 대표 겸 중앙위원회 의장통합진보당[83][84][85]
2012년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야권단일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동 상임 위원장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
2012년~2016년제19대 국회의원경기 고양시 덕양구 갑, 재선, 통합진보당→진보정의당→정의당,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2012년원내대표통합진보당[86]
2012년제18대 대통령 선거 후보진보정의당 (후보직 사퇴, 문재인 야권단일후보 지지)[87][88][89]
2013년 6월~7월원내대표진보정의당[90]
2013년 7월~2015년 6월원내대표정의당
2015년 7월~11월당대표정의당[91]
2015년 11월~2017년 7월상임 대표정의당
2016년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동 상임 위원장정의당
2016년 5월~2020년 5월제20대 국회의원경기 고양시 갑, 3선, 정의당
2017년 2월~5월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정의당 (역대 진보정당 대통령 후보 중 최다 득표)
2018년 10월~2019년 7월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제20대 국회 후반기
2019년 7월~2020년 10월당대표정의당
2020년 3월~4월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상임 위원장정의당[92][93]
2021년 10월~2022년 3월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정의당
(활동 시기 미상)공동대표한국여성의정
2024년 2월~4월원내대표녹색정의당
2024년 3월~4월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동 상임 위원장녹색정의당


7. 전과

8. 저서


  • 《난 네 편이야》, 인플루엔셜(2017)
  • 《실패로부터 배운다는 것》, 웅진지식하우스(2013)
  • 《당당한 아름다움》, 레디앙(2008)


'''공저'''

  • 《하나의 대한민국, 두 개의 현실: 미국의 식민지 대한민국, 10 vs 90의 소통할 수 없는 현실》, 시대의창(2007)
  • 《인생기출문제집》, 북하우스(2009)
  • 《심상정, 이상 혹은 현실》, 행복한책읽기(2010)

9. 방송


  • 2012년 《100분 토론》 539회(MBC)
  • 2012년 《백지연의 피플 INSIDE》 212회(tvN)
  • 2016년 《2016 희망TV SBS - 희망노래방 부기부기》(SBS)
  • 2017년 《SBS 스페셜》(SBS)
  • 2017년 《행복난민》(tvN)

10. 역대 선거 결과

2017년 대선 당시, 심상정 후보가 신촌 스타광장에서 유세하는 모습.


2017년 2월 16일 정의당 제19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5월 9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6.17%의 득표율로 5위에 머물렀지만, 이는 역대 진보정당 대통령 후보 중 가장 많은 득표수였다.


참조

[1] 뉴스 Korea's electoral map is being totally rewritten http://koreajoongang[...] 2015-07-28
[2] 웹사이트 심상정 정계 은퇴 선언 "통절한 마음으로 사죄드린다" https://www.hani.co.[...] 2024-04-11
[3] 웹사이트 Former Justice Party chief Sim Sang-jeung retires from politics https://koreajoongan[...] 2024-04-11
[4] 웹사이트 Pot Holder Episode 4 Engsub {{!}} Kshow123 http://kshow123.net/[...]
[5] 논문 Impact Player: Sim Sang-jung https://www.csis.org[...] 2017-04-15
[6] 웹사이트 https://search.naver[...]
[7]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8-2019 http://archive.org/d[...] Sage, CQ Press 2019
[8] 웹사이트 진보정당 첫 4선 심상정, 씁쓸한 '나홀로 당선' -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 2020-04-16
[9] 뉴스 'Sexism exists': S.Korea feminist presidential candidate's lonely crusade https://www.france24[...] AFP 2022-03-08
[10] 뉴스 'Sexism exists': South Korean feminist presidential candidate's lonely crusade https://www.japantim[...] AFP 2022-03-08
[11] 웹사이트 [JTBC 대선토론] 문재인 "동성애 합법화 반대"…심상정 "유감스럽다" http://news.naver.co[...] The Korea Economic Daily 2017-05-07
[12] 웹사이트 유승민 "보수 대표 후보 가려달라"…심상정 "사드 배치 철회" http://news.naver.co[...] TV Chosun 2017-05-07
[13]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세종 아내 일가후손, 서울·수원 5채빌딩 300억대 https://www.skyedail[...] 2017-02-10
[14] 뉴스 민労党大統領候補、権永吉議員を選出(民族時報1122号(07.10.01) http://www.korea-htr[...] 2011-12-09
[15] 뉴스 韓国シム・サンジョン非常対策委発足 http://www.labornetj[...] 2011-12-09
[16] 뉴스 進歩新党公式に創党.. 3番ピ・ウジン、5番ユ・ウィソン http://www.labornetj[...] 2011-12-09
[17] 뉴스 進歩新党ノ・フェチャン単独代表で新出発 ノ・フェチャン「宣言でなく庶民の本当の友に」 http://www.labornetj[...] 2009-03
[18] 웹사이트 복지와 교육이 강한 경기도, 엄마와 아이들이 행복한 경기도를 만들겠습니다(福祉と教育が強い京畿道、母親と子供が幸福な京畿道を作ります) http://www.newjinbo.[...] 2010-01-31
[19] 웹사이트 엄마가 행복한 경기도, 심상정이 만들어가겠습니다(お母さんが幸福な京畿道、シムサンジョンが作って行きます) http://ggd.newjinbo.[...] 2010-02-01
[20] 뉴스 경기지사 예비후보 등록 첫날 2명 등록(京畿知事予備候補登録初日は2名登録) http://app.yonhapnew[...] 2011-04-13
[21] 뉴스 「경기지사」심상정 사퇴 결단’막판 표심 흔들까 촉각 유시민 “20만표 결집”…김문수 “효과 미미”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05-30
[22] 뉴스 진보신당 간판 ‘노·심’ 대표 떼고 지역구로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09-14
[23] 뉴스 민노당-진보신당 통합 끝내 무산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9-04
[24] 뉴스 노회찬·심상정, 진보신당 탈당 “진보대통합 불씨 되살리겠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9-23
[25] 뉴스 進歩政党、敵だった国民参与党と一つの仲間に http://www.labornetj[...] 레이버넷 2011-12-05
[26] 뉴스 야권 단일후보 발표..이정희ㆍ인재근 승리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2-03-19
[27] 뉴스 ノ・フェチャン、シムサンジョン、4年ぶりに国会再入城 http://www.labornetj[...] 레이버넷(原文チャムセサン) 2012-04-12
[28] 뉴스 シム・サンジョン「京畿東部連合、従北議論...改革の課題」 http://www.labornetj[...] 레이버넷(原文チャムセサン) 2012-04-17
[29] 뉴스 統合進歩、革新非常対策委を議決...イ・ソッキの辞任は? http://www.labornetj[...] 레이버넷(原文チャムセサン) 2012-05-14
[30] 뉴스 統合進歩党シム議員を院内代表に選出 http://www.labornetj[...] 레이버넷(原文チャムセサン) 2012-07-10
[31] 뉴스 統合進歩党 除名否決...『革新』は終わった http://www.labornetj[...] 2012-07-26
[32] 뉴스 심상정 노회찬 강동원 진보당 탈당(シム・サンジョン 魯会燦 カン・ドンウォン 進歩党脱党) http://news.chosun.c[...] 2012-09-13
[33] 뉴스 シム・サンジョン立候補を宣言 http://www.labornetj[...] 2012-10-20
[34] 뉴스 ‘院内第3党’進歩正義党 創党…大統領選挙競争 本格合流 http://japan.hani.co[...] 2012-10-22
[35] 뉴스 심상정 대선후보 사퇴 “문재인 중심 정권교체”(沈サンジョン大選候補辞退“文在寅中心の政権交代”) http://www.hani.co.k[...] 2012-11-26
[36] 뉴스 진보정의당 새 원내대표 심상정(進歩正義党の新しい院内代表にシム・サンジョン) http://www.redian.or[...] 2013-06-28
[37] 뉴스 정의당 새 대표에 심상정…결선 투표서 ‘역전승’(正義党新しい代表にシム・サンジョン・・・決選投票で‘逆転勝') http://news.khan.co.[...] 2015-07-18
[38] 뉴스 <국회의원 당선인> 심상정 "총선, 야당 아닌 국민의 승리"(<国会議員当選人>シム・サンジョン”総選挙、野党じゃなく国民の勝利”) http://www.yonhapnew[...] 2016-09-05
[39] 뉴스 심상정 대선출마 선언…"재벌3세 경영세습 금지하겠다"(종합)(シム・サンジョン、大統領選出馬宣言…"財閥3世経営世襲禁止する"(総合)) http://www.yonhapnew[...] 2017-04-11
[40] 웹사이트 「선거」 제19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선거 결과 및 공고「수정」(「選挙」第19代大統領選挙候補者選出選挙の結果及び公告「修正」) http://www.justice21[...] 정의당 2013-10-21
[41] 웹사이트 韓国大統領選D-21]第一回テレビ討論会まとめ (3)政策検証討論 沈相奵(4月18日) http://kankoku2017.j[...] 韓国大統領選2017 2017-05-18
[42] 웹사이트 沈相ジョン正義党常任代表、次期党代表選不出馬を宣言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7-07-22
[43] 뉴스 韓国野党の重鎮・沈相ジョン議員 政界引退へ=5期目当選ならず https://jp.yna.co.kr[...] 2024-04-11
[44] 웹사이트 심상정 친인척과 현대자동차의 각별한 인연 눈길 https://ilyo.co.kr/?[...] 2023-09-19
[45] 웹사이트 심상만 코텍 회장 "한국 위상 높아진 만큼, 750만 韓人 더 똘똘 뭉쳐야" https://www.hankyung[...] 2023-09-19
[46] 웹사이트 '재벌 저격수' 심상정 대표 이종사촌, 현대차 덕에 큰 돈 벌어 https://www.chosun.c[...] 2013-07-26
[47] 뉴스 동지였던 두 여인, 앙숙이 되다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22-02-04
[48] 간행물 인물과 사상 (출판사 정보 없음) 2004-06
[49] 뉴스 [아주 특별한 인터뷰]새로운 진보 꿈꾸는 심상정 의원 http://weekly.khan.c[...] 주간경향 2022-02-04
[50] 서적 메이데이 100년의 역사 서해문집 2006
[51] 서적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사 서해문집 2006
[52] 간행물 역사비평 역사문제연구소 1995
[53] 서적 당당한 아름다움 레디앙 2008
[54] 서적 당당한 아름다움 레디앙 2008
[55] 서적 한국현대사 60년 역사비평사 2008
[56] 서적 메이데이 100년의 역사 서해문집 2006
[57] 서적 국가보안법연구 2 역사비평사 2008
[58] 웹사이트 1990년 전국노동조합협의회는 정책실, 편집실 등 http://wbook.liso.ne[...] 2016-03-04
[59] 웹사이트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이상경교수의 홈페이지 자료 http://koreanliterat[...]
[60] 서적 당당한 아름다움 레디앙 2008
[61] 서적 한국역사의 이해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8
[62] 서적 한국정치론 오름
[63] 서적 아주 사적인 정치 비망록 민음사 2007
[64] 간행물 신진보 리포트 2005년 겨울호 신진보연대
[65] 서적 이건희의 인재공장 새빛에듀넷 2008
[66] 웹인용 오류와 기만으로 뒤범벅된 금산법 개정법률 http://www.ser.or.kr[...] 2022-02-08
[67] 뉴스 [기획] ‘금산분리완화’ 왜 ‘삼성 특혜법’인가 (3) http://polinews.co.k[...] 폴리뉴스 2022-02-08
[68] 서적 참여정권 건설족 덫에 걸리다 뷰스 2006
[69] 서적 미네르바의 촛불 갈무리 2009
[70] 뉴스 한 표의 힘! 심상정 해외 부재자 투표가 뒤바꾼 선거결과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22-02-08
[71] 뉴스 리턴매치서 170표차 막판 역전… 고양 덕양갑 심상정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12-04-12
[72] 뉴스 [19대국회의원당선자에듣는다] 고양 덕양갑 통합진보 심상정 당선자 http://www.kyeonggi.[...] 경기일보 2012-05-01
[73] 뉴스 [인터뷰] 전국 최소표차 당선 심상정 https://www.nocutnew[...] 노컷뉴스 2012-04-12
[74] 웹사이트 통합진보당, 결별 수순 본격 돌입 http://www.redian.or[...] 2012-08-07
[75] 뉴스 '최후통첩' 강기갑, 구당권파에 백의종군 요구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2-08-20
[76] 웹인용 심상정 대선후보 사퇴, 진보진영 반응 '환영vs반대' http://www.tvreport.[...] 2012-11-26
[77] 웹인용 이정희 강지원 박찬종 심상정 지지율은? http://news.heraldco[...] 2012-10-23
[78] 웹인용 진보진영 심상정-이정희 `지지율 띄우기' 부심 https://news.naver.c[...] 2012-11-04
[79] 뉴스 <국회의원 당선인> 심상정 "총선, 야당 아닌 국민의 승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80] 뉴스 '사상 처음' 이변 속출 제21대 총선 https://news.naver.c[...] 더팩트
[81] 뉴스 정의당 심상정, 진보정당 최초 4선 성공 "시민들이 정의의 편에 서주셨다" https://news.naver.c[...] 스포츠서울
[82] 뉴스 심상정, 정계 은퇴 선언…"25년간 진보정치 소임 내려 놓겠다" https://n.news.naver[...] 뉴시스
[83] 뉴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84] 뉴스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85] 뉴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86] 뉴스 http://www.newspim.c[...] 뉴스핌 2015-07-25 #웨이백 머신의 날짜를 사용
[87] 뉴스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88] 뉴스 http://www.newspim.c[...] 뉴스핌 2015-07-25 #웨이백 머신의 날짜를 사용
[89] 뉴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90] 뉴스 http://biz.chosun.co[...] 조선비즈
[91] 뉴스 정의당은 ‘심상정의 디테일’을 선택했다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92] 뉴스 심상정 "계산기 돌려 총선 승리? '투명인간' 삶 지켜야" https://news.naver.c[...] 프레시안
[93] 뉴스 정의당 눈물의 총선 선대위 해단식 https://news.naver.c[...] YTN
[94] 보고서 4·13 총선국회의원 당선자 전과현황 http://www.cubs.or.k[...] 바른사회시민회의 2016-04-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