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는 2024년 4월 10일에 치러졌으며, 2024년 5월 30일부터 2028년 5월 29일까지 4년간 임기를 수행할 국회의원을 선출했다. 이번 선거는 윤석열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와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평가의 성격을 지녔으며, 국민의힘은 국정 안정을,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심판을 내세웠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민주연합이 압승을 거두었고, 조국혁신당이 돌풍을 일으켰다. 투표율은 66.97%로 199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대한민국의 선거 - 202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2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4월 10일 국회의원 선거와 함께 치러진 기초단체장, 광역·기초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압승을 거두었고, 10월 16일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는 서울특별시교육감 선거에서 진보 진영 후보가 당선,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각각 2곳에서 승리했다.
  • 2024년 4월 - 2024년 4월 8일 일식
    2024년 4월 8일 일식은 태평양에서 시작하여 북미 대륙을 관통하고 대서양에서 끝나는 개기일식으로, 멕시코, 미국, 캐나다에서 개기일식이, 북미와 중남미 일부 지역에서 부분일식이 관측되었으며, 달의 위치, 지속 시간, 2017년 일식과의 경로 중첩, 태양 활동, 다양한 영향 등이 특징이다.
  • 2024년 4월 - 2024년 AFC U-23 아시안컵
    2024년 AFC U-23 아시안컵은 카타르에서 개최된 23세 이하 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로, 일본이 우승, 우즈베키스탄이 준우승, 이라크가 3위를 차지했으며, 세 팀은 2024년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여론 조사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여론 조사는 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에 대한 지지율을 조사 의뢰 기관, 조사 기간, 정당별 후보 지지율 등을 포함하여 전국 및 각 지역구별로 정리한 결과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세종특별자치시는 갑과 을 두 선거구에서 치러졌으며, 21대 총선에서는 갑은 새로운미래당 김종민 후보, 을은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지도
선거 결과
기본 정보
국가대한민국
선거 유형국회의원 총선거
이전 선거2020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이전 선거 연도2020년
다음 선거2028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다음 선거 연도2028년
선거일2024년 4월 10일
선출 의석국회 전체 300석
과반 의석151석
투표율66.97% (지역구 투표), 66.99% (비례대표 투표)
선거 결과
1위 정당더불어민주당
1위 정당 대표이재명
1위 정당 연합더불어민주연합
1위 정당 이전 선거 의석180석
1위 정당 획득 의석173석
1위 정당 의석 변화7석
1위 정당 지역구 득표수15,075,279표
1위 정당 지역구 득표율51.57%
1위 정당 지역구 득표율 변화1.66%p
1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수7,567,459표
1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율26.70%
1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율 변화6.66%p
2위 정당국민의힘
2위 정당 대표한동훈
2위 정당 연합
2위 정당 이전 선거 의석103석
2위 정당 획득 의석108석
2위 정당 의석 변화5석
2위 정당 지역구 득표수13,179,769표
2위 정당 지역구 득표율45.08%
2위 정당 지역구 득표율 변화3.62%p
2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수10,395,264표
2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율36.67%
2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율 변화2.83%p
3위 정당조국혁신당
3위 정당 대표조국
3위 정당 연합
3위 정당 이전 선거 의석신생 정당
3위 정당 획득 의석12석
3위 정당 의석 변화신생
3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수6,874,278표
3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율24.25%
3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율 변화신생
기타 정당
4위 정당개혁신당
4위 정당 대표이준석
4위 정당 이전 선거 의석신생 정당
4위 정당 획득 의석3석
4위 정당 의석 변화1
4위 정당 지역구 득표수195,147표
4위 정당 지역구 득표율0.67%
4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수1,025,775표
4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율3.62%
5위 정당진보당
5위 정당 대표윤희숙
5위 정당 이전 선거 의석0석
5위 정당 획득 의석1석
5위 정당 지역구 득표수302,925표
5위 정당 지역구 득표율1.07%
5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율0.00%
6위 정당새로운미래
6위 정당 대표이낙연, 김종민
6위 정당 이전 선거 의석신생 정당
6위 정당 획득 의석1석
6위 정당 의석 변화4
6위 정당 지역구 득표수200,502표
6위 정당 지역구 득표율0.69%
6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수483,827표
6위 정당 비례대표 득표율1.71%
선거 전후 국회의장
선거 전 국회의장김진표
선거 전 국회의장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선거 후 국회의장우원식
선거 후 국회의장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2. 선거 개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는 2024년 5월 30일부터 2028년 5월 29일까지 4년간 임기를 수행할 제22대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이번 선거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및 이종섭 전 장관 관련 의혹 처리에 대한 비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국민의힘 조국 대표 등 당 지도부의 뇌물 및 위조 혐의 재판[10], 상승하는 물가와 의사 파업[11] 등 여러 정치·사회경제적 문제들을 배경으로 치러졌다.

특히 3월 18일 윤 대통령이 서울의 한 식료품점에서 가격을 875KRW(0.65USD)라고 언급한 사건은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실제로는 할인된 가격이었으며, 정상 가격은 3~4배 더 높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야당 후보들은 유세 현장에 파를 들고 나왔고, #파875원이라는 해시태그가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되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 개입" 우려를 들어 유권자들이 투표소에 파를 가져오는 것을 금지했지만, 이는 오히려 조롱을 받았고 파 관련 상품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12]

2024년 1월 2일, 이재명 대표는 부산 가덕도 공항 건설 현장 방문 중 암살 시도를 당했다.[15]

선거 운동 기간 동안 국민의힘은 윤석열 정부가 야당이 장악한 국회의 비협조로 개혁을 추진하지 못했다고 주장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를 "무능하다"고 비난하며 사회경제적 침체를 야기했다고 비판했다.

이번 선거는 윤석열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이자, 국회에서 과반 의석을 차지하지만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에서 연이어 패배한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평가이기도 하다. 국민의힘은 "국정 안정"을,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심판"을 내걸었다.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할 경우, 윤석열 정부는 조기에 레임덕에 빠질 가능성이 높았다.[62]

제21대 총선과 동일한 비례대표제 배분 방식에 따라, 국민의힘은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65]를,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범야권은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을 창당했다.[66]

2. 1. 선거권과 피선거권

2006년 4월 11일 이전 출생한 대한민국 국민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갖는다.[1]

2. 2. 선거구 획정

2024년 2월 29일, 여야 원내대표가 선거구 획정에 합의했다.[99] 같은 날 국회 본회의에서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며 선거구가 획정되었다.[112][11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와 비교해 지역구가 1석 늘어나 254석이 되었고, 비례대표가 1석 줄어 46석이 되었다.[110]


2. 3. 일정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일정
구분날짜 및 시간
예비후보자 등록 신청2023년 12월 12일부터
후보자 등록 신청2024년 3월 21일 ~ 3월 22일 (매일 09:00~18:00)
사전 투표2024년 4월 5일 ~ 4월 6일 (매일 06:00~18:00)
선거일 투표(본투표)2024년 4월 10일 (06:00~18:00)


3. 선거 제도

대한민국 국회의원 300석은 병립형 투표제로 선출된다.[8][9] 지역구 254석은 소선거구제로, 비례대표 46석은 최대 잉여 방식을 사용하는 비례대표제로 선출된다. 투표 연령은 만 18세 이상이다.

선거 제도는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이며, 중복후보는 금지된다. 지역구는 소선거구에서 최다 득표를 얻은 후보가 당선되고, 비례대표는 정당에 투입된 득표수에 비례하여 의석을 배분한다. 득표율 3% 미만 또는 지역구 5석 미만 정당은 비례대표 배분 방식에서 제외된다.

비례대표 배분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연동형 비례대표제(30석): 의석 할당 정당의 지역구 수에 득표율을 곱한 값에서 지역구 당선 인원을 뺀 수의 정수 부분을 각 정당에 배분하고, 남는 의석은 소수점 이하가 큰 순서대로 배분한다.
  • 비연동형 비례대표제(17석): 의석 할당 정당의 득표율을 산출하여 정수 부분을 각 정당에 배분하고, 남는 의석은 소수점 이하가 큰 순서대로 배분한다.[67]

4. 참여 정당과 후보자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자 등록은 2024년 3월 21일부터 3월 22일까지 진행되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3월 22일에 선거 참여 정당과 정당 기호를 최종 확정하였다.[100] 이번 총선의 비례대표 선거에는 총 38개 정당이 참여하여 역대 최다 정당 수를 기록했으며, 투표용지 길이는 51.7cm로 역대 최장 길이를 기록했다.[100]

정당 기호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결정되었다. 지역구 의석 5개 또는 직전 선거 득표율 3%를 만족하는 정당에게는 전국 통일 기호를 부여하고, 그렇지 못한 정당에게는 국회의원 의석수와 지난 선거 득표율 순으로 기호를 배정하였다.[100] 전국 통일 기호 기준을 충족하면서 지역구 후보를 낸 더불어민주당(기호 1번)과 국민의힘(기호 2번)은 비례대표 후보를 내지 않았다. 따라서 비례대표 후보자 투표 용지는 더불어민주연합(기호 3번)부터 시작한다. 반대로 비례대표 후보를 낸 더불어민주연합(기호 3번)과 국민의미래(기호 4번)는 지역구 후보자를 내지 않았다. 국민의힘(기호 2번) 다음은 녹색정의당(기호 5번)이 차지하게 되었다.[100]

이번 선거에서는 야당 연대가 두드러졌다. 더불어민주당은 대다수 지역구에서 진보당과 연대하여 단일 후보를 내세웠다.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의 비례대표 명부에도 진보당, 새진보연합 등 당원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69] 반면, 조국혁신당은 비례대표에 출마하여 민주당 측 표를 분산시킬 가능성도 있다.[70] 또한, 지난 선거에서 제3당이었던 정의당녹색당과 연합하여 녹색정의당을 구성하여 선거에 임했다.[71]

지역구에는 699명(그중 254개 선거구에 모든 후보가 있는 것은 여당인 국민의힘뿐), 비례대표에는 254명의 후보가 출마한다. 신당의 난립으로 인해, 명부 순서를 앞당기기 위해 ‘ㄱ’으로 시작하는 당명이 눈에 띈다.[73] 지역구 후보 699명 중 여성은 99명, 장애 등으로 병역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남성 후보도 99명이다.[74] 전과자는 약 1/3인 242명, 전과 2범 이상은 114명이며, 최다 전과는 11범이다.[75] 세금을 체납한 후보는 9명이며, 83명은 5년 이내에 체납 경력이 있다.[76]

4. 1. 지역구 후보자를 낸 정당




4. 2. 비례대표 후보자를 낸 정당

기호정당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 3. 원내 정당 후보자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하는 원내 정당들의 후보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

기호정당비고
1더불어민주당지역구 후보
2국민의힘지역구 후보
3더불어민주연합비례대표 후보
4국민의미래비례대표 후보
5녹색정의당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
6새로운미래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
7개혁신당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
8자유통일당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
9조국혁신당비례대표 후보
(7-8)자유통일당지역구 후보



각 정당별 후보자 목록은 다음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선거 과정

이번 선거는 여러 정치·사회경제적 문제 속에서 치러졌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및 이종섭 전 장관 관련 의혹 처리에 대한 비판,[10]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조국 등 당 지도부의 뇌물 및 위조 혐의 재판,[10] 상승하는 물가와 지속되는 의사 파업[11] 등이 주요 배경이었다.

특히 3월 18일 윤 대통령이 서울의 한 식료품점에서 가격을 875USD라고 언급한 사건은 큰 논란을 일으켰다. 실제로는 할인된 가격이었으며 정상 가격은 3~4배 더 비쌌기 때문이다.[12] 이로 인해 야당 후보들은 유세 현장에 파를 들고 나왔고, #파875원 해시태그가 소셜 미디어에서 유행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 개입" 우려를 이유로 투표소에 파를 반입하는 것을 금지하여 논란을 빚었다.[12]

2023년 10월 27일, 정의당녹색당은 선거 연대를 구성하고 다른 좌파 정당의 참여를 요청했다.[13] 그러나 정의당 장혜영, 류호정 의원과 김창인 전 정의당 청년위원장은 이념보다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에 반대하는 모든 "제3지대" 정당과의 선거 연대를 주장하며 비판했다.[14]

2024년 1월 2일, 이재명은 부산 가덕도 공항 건설 현장 방문 중 암살 시도를 당했다.[15] 이후 그는 친일 성향 비판 과정에서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을 성적으로 비하하는 표현을 사용하여 비판받았다.[16]

2024년 1월 15일, 녹색당과 정의당은 "녹색-정의당"이라는 좌파 연합을 발표했다.[17] 같은 날, 기본소득당 용혜인 대표는 국민의힘에 맞서기 위해 더불어민주당 지지 선거 연합을 발표했다.[18]

선거 운동 기간 동안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 정부가 야당이 장악한 국회의 비협조로 개혁 의제를 추진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를 "무능하다"고 규정하며 사회경제적 침체를 야기하고 여러 논란이 되는 문제들을 잘못 처리했다고 비난했다. 조국은 윤 대통령을 "먼저 식물 정부로 만들고, 그다음에는 죽은 오리로 만들겠다"고 공약했다.[19]

5. 1. 여론 조사

7일 이동평균 막대 그래프를 포함한 지역구 투표 여론조사의 7일 이동평균 곡선


7일 이동평균 막대 그래프를 포함한 비례대표 투표 여론조사의 7일 이동평균 곡선

5. 2. 투표

2024년 3월 29일에 확정된 총 유권자 수는 44,280,011명이었다. 투표는 2024년 4월 10일에 실시되었으며, 사전투표는 4월 5일부터 4월 6일까지 진행되었다.[35]

이번 총선은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와 이종섭 전 장관 관련 의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국민의힘 조국 대표 등의 뇌물 및 위조 혐의 재판[10], 물가 상승, 의사 파업 등 여러 사회적, 정치적 이슈 속에서 치러졌다.[11] 특히, 윤 대통령이 서울의 한 식료품점에서 한 단 가격을 875원이라고 언급한 사건은 큰 논란을 일으켰는데, 실제로는 할인된 가격이었으며 정상 가격은 3~4배 더 비쌌기 때문이다.[12] 이 사건으로 야당 후보들은 유세 현장에 파를 들고 나왔고, #파875원 해시태그가 소셜 미디어에서 유행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 개입" 우려를 이유로 투표소에 파를 반입하는 것을 금지하여 논란을 빚었다.[12]

최종 투표율은 67.0%로 1992년 총선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38] 사전 투표율은 31.28%였다.[85] 지역별 투표율은 다음과 같다.

행정 구역명유권자 수투표자 수투표율
서울특별시8,310,0215,758,15869.29%
부산광역시2,884,2611,947,01667.50%
대구광역시2,051,6561,312,72163.98%
인천광역시2,582,7651,685,26765.25%
광주광역시1,199,920818,07368.18%
대전광역시1,236,801819,63766.27%
울산광역시934,661624,85266.85%
세종특별자치시301,297211,32970.14%
경기도11,595,3857,729,67866.66%
강원특별자치도1,331,959887,27066.61%
충청북도1,372,679894,69565.18%
충청남도1,825,4721,185,66664.95%
전북특별자치도1,517,7381,022,29867.36%
전라남도1,565,2321,080,06069.00%
경상북도2,224,0111,447,71565.09%
경상남도2,779,5421,877,55167.55%
제주특별자치도566,611352,46462.21%
전국44,280,01129,654,45066.97%


5. 2. 1. 시간별 투표율

구분날짜7시8시9시10시11시12시13시14시15시16시17시18시
사전투표4월 5일0.62%1.25%2.19%3.57%5.09%6.56%8.00%9.57%11.12%12.60%14.08%15.61%
4월 6일16.17%16.86%17.78%19.04%20.51%22.01%23.41%24.93%26.53%28.10%29.67%31.28%
본 투표4월 10일1.8%4.2%6.9%10.4%14.5%18.5%53.4%56.4%59.3%61.8%64.1%67.0%
최종67.0%



본 투표일 13시부터 사전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재외국민선거의 투표 결과가 투표율 계산에 포함된다.

지역별 투표율(누적) [45]
지역선거인 수사전투표최종 투표율
4월 5일4월 6일4월 10일
투표자 수%투표자 수%투표자 수%
서울8,310,0211,315,89015.832,711,31632.635,758,31369.3
부산2,884,261427,83914.83852,87129.571,947,66967.5
대구2,051,656251,50312.26525,22225.601,312,87264.0
인천2,582,765374,53714.50776,40830.061,686,97465.3
광주1,199,920239,48319.96455,96238.00818,37268.2
대전1,236,801181,30014.66374,20630.26819,63666.3
울산934,661138,30514.80281,65930.13625,08866.9
세종301,29751,18416.99110,88836.80211,40570.2
경기11,595,3851,627,19414.033,425,64829.547,732,23666.7
강원1,331,959235,57417.69434,70432.64887,43466.6
충북1,372,679215,41915.69420,62430.64895,76865.2
충남1,825,472286,63715.70552,09830.241,185,93965.0
전북1,517,738324,15021.36583,72438.461,022,60267.4
전남1,565,232370,44223.67644,77441.191,080,20269.0
경북2,224,011361,14116.24683,83630.751,447,73965.1
경남2,779,542424,36715.27853,61030.711,877,78467.6
제주566,61185,54515.10161,49328.50352,54162.2
전체 합계44,280,0116,910,51015.6113,849,04331.2829,662,31367.0



사전투표 지역별 투표율
----------------------------------



지역별 투표율[88]
----------------------------------


6. 출구 조사

더불어민주연합국민의힘
국민의미래녹색정의당새로운미래개혁신당조국혁신당무소속(혹은 기타)KBS178~19687~10500~21~412~140~2MBC184~19785~9901~12~212~140~3SBS183~19785~10001~11~412~140~6



이번 총선은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및 이종섭 전 장관 관련 의혹 처리에 대한 비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국민의힘 조국 대표 등 당 지도부의 뇌물 및 위조 혐의 재판[10], 그리고 상승하는 물가와 지속되는 의사 파업[11] 등을 배경으로 치러졌다. 특히, 3월 18일 윤 대통령이 서울의 한 식료품점을 방문하여 소비자 물가를 확인하고 875KRW의 가격이 적절하다고 언급한 사건은 큰 논쟁을 불렀다. 이 파는 할인된 가격이었고 실제 가격은 3~4배 더 높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야당 후보들은 유세 현장에 파를 들고 나왔고, '#파875원'이라는 해시태그가 선거 기간 내내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되었다. 이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 개입" 우려를 들어 유권자들이 투표소에 파를 가져오는 것을 금지했고, 이는 널리 조롱을 받았으며 파 관련 상품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12]

7. 선거 결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더불어민주연합이 합쳐서 175석, 국민의힘국민의미래가 합쳐서 108석을 얻었다. 조국혁신당은 12석, 개혁신당은 3석, 새로운미래와 진보당은 각각 1석을 얻었다.

이번 선거는 윤석열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이자, 국회에서 다수 의석을 차지했지만 2022년 대통령 선거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연이어 패배한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평가이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국정 안정"을,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심판"을 주장했다.

이번 선거는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및 이종섭 전 장관 관련 의혹, 이재명조국 등 여야 지도부의 재판,[10] 의사 파업 등 여러 사회 문제 속에서 치러졌다.[11] 특히 윤 대통령이 875원이 적절하다고 언급한 가격 논란은 큰 화제가 되었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투표소에 파 반입을 금지하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12]

비례대표 배분 방식은 제21대 총선과 같았고, 국민의힘은 국민의미래, 더불어민주당 등은 더불어민주연합이라는 위성정당을 창당했다.[65][66]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명지역구비례대표합계의석 비율/득표율
득표수득표율의석득표수득표율의석의석 합계비율지역 대비비례 대비
더불어민주당/14,275,87850.361617,567,45926.701417558.331.162.18
국민의힘/12,804,80945.179010,395,26436.671810836.000.800.98
조국혁신당---6,874,27824.2512124.00-0.16
개혁신당195,1470.6911,025,7753.62231.001.450.28
진보당302,9251.071---10.330.31-
새로운미래200,5020.711483,8271.71-10.330.460.20
녹색정의당78,7360.28-609,3132.15--
자유통일당18,7000.07-642,4332.27--
소나무당18,9390.07-124,3690.44--
새진보연합14,2710.05-----
우리공화당12,8140.05-----
노동당7,4650.03-----
국가혁명당---67,4200.24--
한나라당---72,9250.26--
새누리당---57,2100.20--
기타 정당8,7240.03-424,2461.50--
무소속406,0731.43-----
합 계28,344,98325428,344,51946300100.0



11751213108
진보당더불어민주당 + 더불어민주연합조국혁신당새로운미래개혁신당국민의힘 + 국민의미래


7. 1. 지역구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구 결과 (254석)
지역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새로운미래개혁신당진보당합계
서울특별시371100048
부산광역시11700018
대구광역시01200012
인천광역시12200014
광주광역시800008
대전광역시700007
울산광역시140016
세종특별자치시101002
경기도53601060
강원특별자치도260008
충청북도530008
충청남도8300011
전북특별자치도10000010
전라남도10000010
경상북도01300013
경상남도31300016
제주특별자치도300003
합계1619011125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지역구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161석, 국민의힘이 90석을 차지하였다. 진보당, 새로운미래, 개혁신당은 각각 1석씩을 얻었다.

7. 2. 비례대표 득표 결과

정당명비례대표의석 비율
득표수득표율의석비례
국민의미래10,395,26436.67%18석0.98
더불어민주연합7,567,45926.70%14석2.18
조국혁신당6,874,27824.25%12석0.16
개혁신당1,025,7753.62%2석0.28
자유통일당642,4332.27%0석-
녹색정의당609,3132.15%0석-
새로운미래483,8271.71%0석-
기타 정당424,2461.50%0석-
소나무당124,3690.44%0석-
한나라당72,9250.26%0석-
국가혁명당67,4200.24%0석-
새누리당57,2100.20%0석-
합 계28,344,51946석
무효표1,309,9314.42%
투표수29,654,45066.97%
선거인수44,280,011



46석이 배정된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투표 결과, 국민의미래가 18석, 더불어민주연합이 14석, 조국혁신당이 12석, 개혁신당이 2석을 획득하였다.[117][118]

이번 선거에서는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비례대표 의석에서 가장 많은 무효표가 발생했으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집계 결과 1,309,931표(투표수의 4.4%)가 무효표로 처리되었다.[41]

7. 3. 정당별 의석수

정당명지역구비례대표합계의석 비율/득표율
득표수득표율의석득표수득표율의석의석 합계비율지역 대비비례 대비
더불어민주당/14,275,87850.361617,567,45926.701417558.331.162.18
국민의힘/12,804,80945.179010,395,26436.671810836.000.800.98
조국혁신당---6,874,27824.2512124.00-0.16
개혁신당195,1470.6911,025,7753.62231.001.450.28
진보당302,9251.071---10.330.31-
새로운미래200,5020.711483,8271.71-10.330.460.20
녹색정의당78,7360.28-609,3132.15--
자유통일당18,7000.07-642,4332.27--
소나무당18,9390.07-124,3690.44--
새진보연합14,2710.05-----
우리공화당12,8140.05-----
노동당7,4650.03-----
국가혁명당---67,4200.24--
한나라당---72,9250.26--
새누리당---57,2100.20--
기타 정당8,7240.03-424,2461.50--
무소속406,0731.43-----
합 계28,344,98325428,344,51946300100.0



11416112131890
진보당더불어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새로운미래개혁신당국민의미래국민의힘


8. 당선자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출구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과 제휴 정당인 대한민국 민주연합이 국회 의석 168석에서 197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국민의힘과 제휴 정당인 미래한국당은 85석에서 111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었다.[39] 비례대표 의석만을 놓고 경쟁한 국민재건당은 15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비례대표 의석 당선자 중에는 2009년 탈북하여 대한민국으로 망명하기 전 북한 핵무기 프로그램에서 일했던 탈북민 박충권(미래한국당)이 포함되었다.[40]

이번 선거에서는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비례대표 의석에서 가장 많은 무효표가 발생했으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집계 결과 1,309,931표(투표수의 4.4%)가 무효표로 처리되었다.[41]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재명은 인천 계양을 지역구에서 국민의힘 후보이자 전 국토교통부 장관인 원희룡을 누르고 각각 56.1%, 42.8%의 득표율로 당선될 것으로 예상되었다.[39] 2012년 창당 이후 처음으로 정의당은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

8. 1. 지역구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지역구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161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고, 국민의힘이 90석, 진보당이 1석, 새로운미래가 1석, 개혁신당이 1석을 얻었다.[113] 무소속 당선자는 없었으며, 이는 제6대 총선(1961), 제7대 총선(1967년), 제8대 총선(1971년) 이후 처음이다.[115][116]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구 결과 (254석)
정당명의석 수그래프
더불어민주당161석
 
국민의힘90석
 
진보당1석
 
새로운미래1석
 
개혁신당1석
 



지역style="background:;"|더불어민주당style="background:;"|국민의힘style="background:;"|새로운미래style="background:;"|개혁신당style="background:;"|진보당합계
서울특별시371100048
부산광역시11700018
대구광역시01200012
인천광역시12200014
광주광역시800008
대전광역시700007
울산광역시140016
세종특별자치시101002
경기도53601060
강원특별자치도260008
충청북도530008
충청남도8300011
전북특별자치도10000010
전라남도10000010
경상북도01300013
경상남도31300016
제주특별자치도300003
합계16190111254



각 시도별 당선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 margin-right:0px; white-space:nowrap; line-height:1.4em;"

! width="90" | 시·도

! colspan="4" | 선거구 / 당선자

|-

! rowspan="36" | 서울특별시

! style="text-align:left;" width="180" | 종로구

! style="text-align:left;" width="180" | 중구·성동구 갑

! style="text-align:left;" width="180" | 중구·성동구 을

! style="text-align:left;" width="180" | 용산구

|-

| bgcolor= | 곽상언

| bgcolor= | 전현희

| bgcolor= | 박성준

| bgcolor= | 권영세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광진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광진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동대문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동대문구 을

|-

| bgcolor= | 이정헌

| bgcolor= | 고민정

| bgcolor= | 안규백

| bgcolor= | 장경태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중랑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중랑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성북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성북구 을

|-

| bgcolor= | 서영교

| bgcolor= | 박홍근

| bgcolor= | 김영배

| bgcolor= | 김남근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강북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강북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도봉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도봉구 을

|-

| bgcolor= | 천준호

| bgcolor= | 한민수

| bgcolor= | 김재섭

| bgcolor= | 오기형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노원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노원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은평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은평구 을

|-

| bgcolor= | 우원식

| bgcolor= | 김성환

| bgcolor= | 박주민

| bgcolor= | 김우영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서대문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서대문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마포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마포구 을

|-

| bgcolor= | 김동아

| bgcolor= | 김영호

| bgcolor= | 조정훈

| bgcolor= | 정청래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양천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양천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강서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강서구 을

|-

| bgcolor= | 황희

| bgcolor= | 이용선

| bgcolor= | 강선우

| bgcolor= | 진성준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강서구 병

! style="text-align:left;" | 구로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구로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금천구

|-

| bgcolor= | 한정애

| bgcolor= | 이인영

| bgcolor= | 윤건영

| bgcolor= | 최기상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영등포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영등포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동작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동작구 을

|-

| bgcolor= | 채현일

| bgcolor= | 김민석

| bgcolor= | 김병기

| bgcolor= | 나경원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관악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관악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서초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서초구 을

|-

| bgcolor= | 박민규

| bgcolor= | 정태호

| bgcolor= | 조은희

| bgcolor= | 신동욱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강남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강남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강남구 병

! style="text-align:left;" | 송파구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고동진

| bgcolor= | 박정훈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송파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송파구 병

! style="text-align:left;" | 강동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강동구 을

|-

| bgcolor= | 배현진

| bgcolor= | 남인순

| bgcolor= | 진선미

| bgcolor= | 이해식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15" | 부산광역시

! style="text-align:left;" | 중구·영도구

! style="text-align:left;" | 서구·동구

! style="text-align:left;" | 부산진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부산진구 을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정성국

| bgcolor= | 이헌승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동래구

! style="text-align:left;" | 남구

! style="text-align:left;" | 북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북구 을

|-

| bgcolor= | 서지영

| bgcolor= | 박수영

| bgcolor= | 전재수

| bgcolor= | 박성훈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해운대구 갑

! style="text-align:left;" | 해운대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사하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사하구 을

|-

| bgcolor= | 주진우

| bgcolor= | 김미애

| bgcolor= | 이성권

| bgcolor= | 조경태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금정구

! style="text-align:left;" | 강서구

! style="text-align:left;" | 연제구

! style="text-align:left;" | 수영구

|-

| bgcolor= | 백종헌

| bgcolor= | 김도읍

| bgcolor= | 김희정

| bgcolor= | 정연욱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사상구

! style="text-align:left;" | 기장군

| rowspan="2" colspan="2" |

|-

| bgcolor= | 김대식

| bgcolor= | 정동만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9" | 대구광역시

! style="text-align:left;" | 중구·남구

! style="text-align:left;" | 동구·군위군 갑

! style="text-align:left;" | 동구·군위군 을

! style="text-align:left;" | 서구

|-

| bgcolor= | 김기웅

| bgcolor= | 최은석

| bgcolor= | 강대식

| bgcolor= | 김상훈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북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북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수성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수성구 을

|-

| bgcolor= |

| bgcolor= | 김승수

| bgcolor= | 주호영

| bgcolor= | 이인선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달서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달서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달서구 병

! style="text-align:left;" | 달성군

|-

| bgcolor= |

| bgcolor= | 윤재옥

| bgcolor= | 권영진

| bgcolor= | 추경호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12" | 인천광역시

! style="text-align:left;" | 중구·강화군·옹진군

! style="text-align:left;" | 동구·미추홀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동구·미추홀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연수구 갑

|-

| bgcolor= | 배준영

| bgcolor= | 허종식

| bgcolor= | 윤상현

| bgcolor= | 박찬대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연수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남동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남동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부평구 갑

|-

| bgcolor= | 정일영

| bgcolor= | 맹성규

| bgcolor= | 이훈기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부평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계양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계양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서구 갑

|-

| bgcolor= | 박선원

| bgcolor= | 유동수

| bgcolor= | 이재명

| bgcolor= | 김교흥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서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서구 병

| rowspan="2" colspan="2" |

|-

| bgcolor= | 이용우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6" | 광주광역시

! style="text-align:left;" | 동구·남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동구·남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서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서구 을

|-

| bgcolor= | 정진욱

| bgcolor= | 안도걸

| bgcolor= | 조인철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북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북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광산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광산구 을

|-

| bgcolor= | 정준호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민형배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6" | 대전광역시

! style="text-align:left;" | 동구

! style="text-align:left;" | 중구

! style="text-align:left;" | 서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서구 을

|-

| bgcolor= | 장철민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박범계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유성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유성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대덕구

| rowspan="2" colspan="1" |

|-

| bgcolor= | 조승래

| bgcolor= | 황정아

| bgcolor= | 박정현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6" | 울산광역시

! style="text-align:left;" | 중구

! style="text-align:left;" | 남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남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동구

|-

| bgcolor= | 박성민

| bgcolor= | 김상욱

| bgcolor= | 김기현

| bgcolor= | 김태선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북구

! style="text-align:left;" | 울주군

| rowspan="2" colspan="2" |

|-

| bgcolor= | 윤종오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3" | 세종특별자치시

! style="text-align:left;" | 세종특별자치시 갑

! style="text-align:left;" | 세종특별자치시 을

| rowspan="2" colspan="2" |

|-

| bgcolor= | 김종민

| bgcolor= | 강준현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45" | 경기도

! style="text-align:left;" | 수원시 갑

! style="text-align:left;" | 수원시 을

! style="text-align:left;" | 수원시 병

! style="text-align:left;" | 수원시 정

|-

| bgcolor= | 김승원

| bgcolor= | 백혜련

| bgcolor= | 김영진

| bgcolor= | 김준혁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수원시 무

! style="text-align:left;" | 성남시 수정구

! style="text-align:left;" | 성남시 중원구

! style="text-align:left;" | 성남시 분당구 갑

|-

| bgcolor= |

| bgcolor= | 김태년

| bgcolor= | 이수진

| bgcolor= | 안철수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성남시 분당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의정부시 갑

! style="text-align:left;" | 의정부시 을

! style="text-align:left;" | 안양시 만안구

|-

| bgcolor= | 김은혜

| bgcolor= | 박지혜

| bgcolor= |

| bgcolor= | 강득구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안양시 동안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안양시 동안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부천시 갑

! style="text-align:left;" | 부천시 을

|-

| bgcolor= | 민병덕

| bgcolor= | 이재정

| bgcolor= | 서영석

| bgcolor= | 김기표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부천시 병

! style="text-align:left;" | 광명시 갑

! style="text-align:left;" | 광명시 을

! style="text-align:left;" | 평택시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김남희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평택시 을

! style="text-align:left;" | 평택시 병

! style="text-align:left;" |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갑

! style="text-align:left;" |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을

|-

| bgcolor= | 이병진

| bgcolor= | 김현정

| bgcolor= | 정성호

| bgcolor= | 김성원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안산시 갑

! style="text-align:left;" | 안산시 을

! style="text-align:left;" | 안산시 병

! style="text-align:left;" | 고양시 갑

|-

| bgcolor= | 양문석

| bgcolor= | 김현

| bgcolor= |

| bgcolor= | 김성회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고양시 을

! style="text-align:left;" | 고양시 병

! style="text-align:left;" | 고양시 정

! style="text-align:left;" | 의왕시·과천시

|-

| bgcolor= | 한준호

| bgcolor= | 이기헌

| bgcolor= | 김영환

| bgcolor= | 이소영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구리시

! style="text-align:left;" | 남양주시 갑

! style="text-align:left;" | 남양주시 을

! style="text-align:left;" | 남양주시 병

|-

| bgcolor= | 윤호중

| bgcolor= | 최민희

| bgcolor= | 김병주

| bgcolor= | 김용민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오산시

! style="text-align:left;" | 시흥시 갑

! style="text-align:left;" | 시흥시 을

! style="text-align:left;" | 군포시

|-

| bgcolor= | 차지호

| bgcolor= |

| bgcolor= | 조정식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하남시 갑

! style="text-align:left;" | 하남시 을

! style="text-align:left;"

8. 2. 비례대표

비례대표 득표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결정되었다.[40]

전체 비례대표 국회의원: 46석
순번국민의미래더불어민주연합조국혁신당개혁신당
1최보윤서미화박은정이주영
2박충권위성락조국천하람
3최수진백승아이해민
4진종오임광현신장식
5강선영정혜경김선민
6김건용혜인김준형
7김소희오세희김재원
8인요한박홍배황운하
9김민전강유정정춘생
10김위상한창민차규근
11한지아전종덕강경숙
12유용원김윤서왕진
13조배숙임미애
14김장겸정을호
15김예지
16안상훈
17이달희
18박준태


9. 정당별 반응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에 대한 각 정당의 반응은 다음과 같다.

9. 1. 더불어민주당·더불어민주연합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이 단일 야당 사상 최대 의석을 얻은 것은 국민들이 윤석열 정부를 심판해야 한다는 뜻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 역시 더불어민주당이 잘해서라기보다는 윤석열 정부의 무능력과 무책임을 심판하려는 국민적 열망이 강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101]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 254곳 중 수도권에서 압승하며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지난 제20대 대통령 선거제8회 지방 선거에서 패배했던 서울, 인천, 충청 지역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호남에서는 28곳, 제주에서는 3곳 모두를 차지했으며, 강원에서는 2곳, 부산·울산·경남에서는 5곳에서 승리했다. 특히, 이번 국회의원 선거의 핵심 승부처였던 서울 한강 벨트와 경기 반도체 벨트에서 압승을 거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이번 선거는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및 이종섭 전 장관 관련 의혹 처리에 대한 비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국민의힘 조국 대표 등 당 지도부의 뇌물 및 위조 혐의 재판 등 여러 정치·사회경제적 문제를 배경으로 치러졌다.[10]

특히, 3월 18일 윤 대통령이 서울의 한 식료품점에서 가격을 875KRW이라고 언급한 사건은 큰 논란을 일으켰다. 실제로는 할인된 가격이었으며, 정상 가격은 3~4배 더 높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야당 후보들은 유세 현장에 파를 들고 나왔고, #파875원 해시태그가 소셜 미디어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 개입" 우려를 이유로 유권자들이 투표소에 파를 가져오는 것을 금지했지만, 이는 오히려 더 큰 조롱과 파 관련 상품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12]

이번 선거는 윤석열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이자, 국회에서 과반 의석을 차지했지만 2022년 대통령 선거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연이어 패배한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평가이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심판"을 내걸고 윤석열 정부 후반기 국정 운영에 제동을 걸고자 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승리로 윤석열 정부는 조기에 레임덕에 빠질 가능성이 제기되었다.[62]

비례대표 배분 방식은 제21대 총선과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며, 범야권은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을 창당했다.[66]

9. 2. 국민의힘·국민의미래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민심은 언제나 옳다"면서 총선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102]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깜도 안 되는 것을 데리고 와서 총선을 지휘하게 했다"며 지도부를 강하게 비판했고,[103] 성남시 분당구 갑에서 당선된 안철수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았다고 말했다.[104]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힘은 90석, 국민의미래는 18석을 얻어 총 108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이는 2016년 제20대 총선(122석), 2020년 제21대 총선(103석)에 이어 세 번째 참패이다.

9. 3. 조국혁신당

조국혁신당은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 의석 없이 비례대표로만 12석을 획득했다.[105] 조국 대표는 당선 직후 기자 회견에서 검찰이 살아있는 권력을 수사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며, 검찰에 김건희 여사에 대한 즉각적인 소환 조사를 요구했다.[105]

조국 대표는 국민의힘 선거 결과를 "국민의 승리"라고 평가하며, 국민들이 윤석열 정부의 "퇴행"을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에게 "수많은 비리와 부패에 대해 사과할 것"을 촉구하고, 국회 새 회기가 구성되면 한동훈에 대한 특별조사법안을 도입할 것을 약속했다.[47]

9. 4. 개혁신당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에 대해 여당이 민심의 심판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이 전국 단위 선거에서 대승을 이끌었던 대표가 당을 옮겨 출마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곱씹어봐야 한다고 말했다.[106] 이는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 방식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된다.

9. 5. 새로운미래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로운미래는 세종특별자치시 갑에서 당선된 김종민 후보 1석을 획득했다. 김종민 후보는 더불어민주당의 공천 취소에 따른 반사이익을 얻었으며, 비례대표 투표에서는 1.70%로 부진했다. 이낙연 새로운미래 대표는 국민의 신임을 얻는 데 실패했다고 말하며, 민주주의 재건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107]

9. 6. 진보당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진보당은 지역구 1석을 획득했고, 더불어민주연합에서 2명의 의원이 당선되었다. 울산 북구에서 당선된 윤종오 후보는 소수 정당에 길을 열어준 울산시민들의 정치 정서가 보편적인 정치 정서가 되어야 국회가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108]

9. 7. 녹색정의당

심상정 녹색정의당 대표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녹색정의당이 의석을 얻지 못하고 원외 정당으로 밀려나자, 25년간 숙명으로 받들었던 진보 정치의 소임을 내려놓는다며 제21대 국회의원 임기를 마지막으로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109] 심상정은 2017년과 2021년 두 차례 대선에 출마했고, 여러 소규모 좌파 정당에서 4선 의원을 지냈으며, 정당이 6석 모두를 잃고 비례대표에 필요한 3%를 밑돌았다는 책임을 지고 정계 은퇴를 발표했다.[52]

10. 분석

이번 선거는 여러 정치·사회경제적 문제를 배경으로 치러졌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및 이종섭 전 장관 관련 의혹 처리에 대한 비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국민의힘 조국 대표 등 당 지도부의 뇌물 및 위조 혐의 재판[10], 상승하는 물가와 지속되는 의사 파업[11] 등이 주요 배경이었다.

특히 3월 18일 윤 대통령이 서울의 한 식료품점에서 가격이 875원(0.65USD)이 적절하다고 언급한 사건은 큰 논쟁을 일으켰다. 실제로는 할인된 가격이었으며, 정상 가격은 3~4배 더 높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야당 후보들은 유세 현장에 파를 들고 나왔고, #파875원 해시태그가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되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 개입" 우려를 이유로 투표소에 파를 가져오는 것을 금지했는데, 이는 오히려 조롱을 받았고 파 관련 상품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12]

2023년 10월 27일, 정의당녹색당은 선거 연대를 구성하고 다른 좌파 정당의 참여를 요청했다.[13] 그러나 정의당 장혜영, 류호정 의원과 김창인 전 정의당 청년위원장은 정의당이 이념이 아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에 반대하는 모든 "제3지대" 정당과 선거 연대를 해야 한다고 비판했다.[14]

2024년 1월 2일, 이재명 대표는 부산 가덕도 공항 건설 현장 방문 중 암살 시도를 당했다.[15] 이후 이 대표는 친일 성향에 대한 비판 과정에서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을 성적으로 비하하는 표현을 사용하여 비판을 받았다.[16]

2024년 1월 15일, 녹색당과 정의당은 "녹색-정의당"이라는 좌파 연합을 발표했다.[17] 같은 날, 기본소득당 용혜인 대표는 국민의힘에 맞서기 위해 더불어민주당 지지 선거 연합을 발표했다.[18]

선거 운동 기간 동안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 정부가 2022년 취임 이후 야당이 장악한 국회의 비협조로 개혁 의제를 추진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를 "무능하다"고 규정하며 사회경제적 침체를 야기하고 여러 논란이 되는 문제들을 잘못 처리했다고 비난했다. 조국 대표는 윤 대통령을 "먼저 식물 정부로 만들고, 그다음에는 죽은 오리로 만들겠다"고 공약하며 조기 퇴진을 주장했다.[19][37]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신율 교수는 선거 결과가 "극단적인 대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여야 협치를 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54]

전반적으로 야권(전 민주당 소속으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상당히 반대하는 미래한국당과 미래통합당을 포함)[55]은 3분의 2 이상(200석)의 탄핵 요구에 필요한 의석수를 확보하지 못했다. 야권은 총 189석을 얻은 반면, 정부 여당과 비교적 온건 보수 성향의 새로운보수당은 총 111석을 얻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거 결과와 정부 여당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는 향후 정부 계획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에 충분했다. ''디플로매트''는 윤석열 대통령의 남은 3년 임기를 "레임덕"이라고 묘사했다.[56] 경희대학교 인문대학 채진원 교수는 "윤 대통령이 야당과 협력할 방안을 찾지 못하면 탄핵 가능성이 있으며, 여당 내 일부 세력은 자신의 정치적 미래를 위해 이에 동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57]

참조

[1] 웹사이트 Political parties in full-fledged election mode as April 10 voting nears https://www.koreatim[...] 2024-02-29
[2] 웹사이트 선거일정 https://www.nec.go.k[...] 2023-11-25
[3] 웹사이트 [4·10 총선] 또 무너진 與…野 협조 없이 입법·예산 불가능 https://www.yna.co.k[...] 2024-04-11
[4] 뉴스 Opposition win in South Korea election to deepen policy stalemate for Yoon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4-11
[5] 뉴스 1st meeting of 22nd parliament's DP lawmakers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24-05-30
[6] 웹사이트 [속보] 여야, 선거구획정 극적 합의..."오늘 본회의서 처리" https://www.ytn.co.k[...] 2024-02-29
[7] 웹사이트 4·10총선 선거구 획정안 국회 통과…전북 대신 비례 1석 축소 https://www.yna.co.k[...] 2024-02-29
[8] 웹사이트 A Guide to South Korea's 2024 National Assembly Election https://keia.org/the[...] 2024-04-09
[9] 웹사이트 April elections campaign to kick off as parties race for crucial votes https://en.yna.co.kr[...] 2024-03-27
[10] 웹사이트 South Korea holds parliamentary elections: All you need to know https://www.aljazeer[...] 2024-04-10
[11] 웹사이트 South Korea election issues: Green onions, striking doctors, an alleged sexist jab at a candidate https://apnews.com/a[...] 2024-04-05
[12] 웹사이트 Green onion outcry: humble vegetable roils S. Korean vote https://www.france24[...] 2024-04-07
[13] 웹사이트 정의당, 녹색당과 '총선용 연합정당' 추진…당내선 "편법" 반발 https://www.hani.co.[...] 2023-10-26
[14] 뉴스 [인터뷰] 류호정·김창인 "유시민·민주노총과 함께 해야만 진보정당인가" https://www.womennew[...] 2023-10-23
[15] 뉴스 South Korean Opposition Leader Is Stabbed https://www.nytimes.[...] 2024-01-01
[16] 웹사이트 Here's what South Koreans are concerned about as they vote for parliament this week https://apnews.com/a[...] 2024-04-08
[17] 웹사이트 정의당, 녹색당과 선거연합정당 결정…류호정 거취 기자회견 https://news.kbs.co.[...] 2024-01-15
[18] 웹사이트 용혜인 "민주당-진보진영, '비례연합정당' 공식 제안" http://www.nwtn.co.k[...] 2024-01-15
[19] 웹사이트 South Koreans vote in election seen as test of President Yoon Suk-yeol https://www.aljazeer[...] 2024-04-10
[20] 뉴스 KIM OVERSEES MISSILE TEST https://news.kbs.co.[...] 2024-01-29
[21] 웹사이트 우상호 서울시장 출사표 "차기 총선 불출마"…박영선·박주민은? https://www.joongang[...] 2020-12-13
[22] 웹사이트 민주당 오영환, 총선 불출마 선언 "소방관으로 돌아가겠다" https://www.hani.co.[...] 2023-04-10
[23] 웹사이트 하영제 국회의원, 국민의힘 탈당 https://www.idomin.c[...] 2023-05-24
[24] 웹사이트 김남국, 징계 발표 앞두고 "내년 총선 불출마" 선언 https://news.sbs.co.[...] 2023-08-22
[25] 웹사이트 '6선' 박병석 전 국회의장 총선 불출마 선언‥"내려놓을 때" https://imnews.imbc.[...] 2023-11-06
[26] 웹사이트 강민정 민주당 의원, 내년 총선 불출마...당내 4번째 선언 https://www.ikbc.co.[...] 2023-11-15
[27] 웹사이트 "나를 밟고 총선 승리해달라" 장제원 불출마 공식 선언 https://www.chosun.c[...] 2023-12-12
[28] 웹사이트 이탄희, 총선 불출마 선언…"선거법만 지켜달라" https://www.hani.co.[...] 2023-12-13
[29] 웹사이트 민주 홍성국 불출마 선언 "당내 1인 싱크탱크 역할 하겠다" https://www.hani.co.[...] 2023-12-13
[30] 웹사이트 김진표 의장, '정계 은퇴' 시사하며 '개헌 과제' 제안…"인구감소 대책 명시해야" https://biz.heraldco[...] 2024-01-04
[31] 웹사이트 김웅, 총선 불출마 선언… 장제원 이어 與 현역의원 두번째 https://www.chosun.c[...] 2024-01-08
[32] 웹사이트 민주 김민기·임종성 불출마… '물갈이' 신호탄? https://www.segye.co[...] 2024-01-19
[33] 웹사이트 DJ 셋째 민주 김홍걸, 총선 불출마…"이중잣대 검증" https://www.joongang[...] 2024-01-22
[34] 웹사이트 민주당 초선 최종윤, 불출마 선언 "정치가 갈등 조장" https://www.joongang[...] 2024-01-22
[35] 웹사이트 South Koreans cast ballots in early voting for general election https://www3.nhk.or.[...] 2024-04-05
[36] 웹사이트 South Korea's president faces a major test in a crucial parliamentary election https://apnews.com/a[...] 2024-04-09
[37] 웹사이트 (LEAD) Voters hit the polls in parliamentary elections https://en.yna.co.kr[...] 2024-04-10
[38] 웹사이트 (6th LD) Tentative final voter turnout at 67 pct: election watchdog https://en.yna.co.kr[...] 2024-04-10
[39] 웹사이트 (4th LD) Opposition forecast to win landslide victory: exit polls https://en.yna.co.kr[...] 2024-04-10
[40] 웹사이트 How a North Korean missile researcher became a South Korean MP https://www.bbc.com/[...] 2024-04-12
[41] 웹사이트 Number of invalid proportional votes hits all-time high in last week's elections: NEC https://en.yna.co.kr[...] 2024-04-15
[42] 웹사이트 [4·10 총선 후보자 등록] ①비례대표 https://www.yna.co.k[...] 2024-03-23
[43] 웹사이트 민주연합, 서미화·위성락·백승아·용혜인 비례 당선 안정권 배정 https://www.newsis.c[...] 2024-03-17
[44] 웹사이트 [4·10 총선 후보자 등록] ②비례대표(끝) https://www.yna.co.k[...] 2024-03-23
[45] 웹사이트 사전투표진행상황 http://info.nec.go.k[...] 2024-04-10
[46] 웹사이트 PPP leader expresses disappointment after exit polls predict a landslide victory for opposition https://en.yna.co.kr[...] 2024-04-10
[47] 웹사이트 New minor party leader declares 'victory of people' as predicted to win 15 seats https://en.yna.co.kr[...] 2024-04-10
[48] 웹사이트 Exit polls suggest a big win by South Korea's liberal opposition parties in parliamentary election https://apnews.com/a[...] 2024-04-10
[49] 웹사이트 Opposition leader vows commitment to solving economic problems https://en.yna.co.kr[...] 2024-04-11
[50] 웹사이트 Presidential office says it will take time to name new PM, chief of staff after election defeat https://en.yna.co.kr[...] 2024-04-14
[51] 웹사이트 South Korea's prime minister and top presidential officials offer to resign after election defeat https://apnews.com/a[...] 2024-04-11
[52] 웹사이트 심상정 정계 은퇴 선언 "통절한 마음으로 사죄드린다" https://www.hani.co.[...] 2024-04-11
[53] 웹사이트 (LEAD) Yoon vows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people after election defeat https://en.yna.co.kr[...] 2024-04-16
[54] 뉴스 'Lame duck' South Korean President Yoon reels from election debacle https://www.straitst[...] SPH Media 2024-04-11
[55] 웹사이트 A Guide to South Korea's 2024 National Assembly Election https://keia.org/the[...] Korea Economic Institute of America 2024-04-09
[56] 웹사이트 In South Korea, President Yoon's Lame Duck Era Officially Begins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57] 웹사이트 Election rout makes Yoon's 'lame duck' fears reality https://www.japantim[...] Jiji Press 2024-04-11
[58] 웹사이트 尹大統領側近の前法相 与党非常対策委員長に就任=総選挙には不出馬 https://jp.yna.co.kr[...] 2023-12-26
[59] 웹사이트 [속보]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 경기 화성을 출마 https://www.yna.co.k[...] 2024-03-02
[60] 웹사이트 이낙연 "광주 광산을 총선 출마"…'친명' 민형배와 승부 https://www.yna.co.k[...] 2024-03-10
[61] 웹사이트 새로운미래 김종민 "세종갑 출마…노무현 꿈 이루겠다" https://www.yna.co.k[...] 2024-03-09
[62] 웹사이트 来年4月の韓国総選挙 過半数獲得へ与野党が激突=与党敗北なら政権「死に体」も https://jp.yna.co.kr[...] 2024-03-04
[63] 웹사이트 38歳の与党元代表が離党・新党結成を表明 尹大統領批判も=韓国 https://jp.yna.co.kr[...] 2024-03-04
[64] 웹사이트 韓国元首相 「改革新党」との合併を撤回=与党元代表と決別へ https://jp.yna.co.kr[...] 2024-03-04
[65] 웹사이트 與위성정당 '국민의미래' 오늘 창당대회…한동훈 참석 https://www.yna.co.k[...] 2024-03-04
[66] 웹사이트 범야권 비례 위성정당 창당…당명은 더불어민주연합 https://www.yna.co.k[...] 2024-03-04
[67] 웹사이트 4·10총선 선거구 획정안 국회 통과…전북 대신 비례 1석 축소(종합) https://www.yna.co.k[...] 2024-03-04
[68] 웹사이트 민주-진보 '지역구 단일화' 결론은 대부분 민주당 https://www.yna.co.k[...] 2024-03-22
[69] 웹사이트 비례 라인업 윤곽…與는 영입인재·野는 시민사회 전진배치 https://www.yna.co.k[...] 2024-03-22
[70] 웹사이트 조국, 민주 '더불어 몰빵론'에 '뷔페론'…"취향 맞게 택하면 돼" https://www.yna.co.k[...] 2024-03-22
[71] 웹사이트 내일 총선이라면? 국힘 33%, 민주 26%…격차 오차범위 밖으로 https://www.yna.co.k[...] 2024-03-06
[72] 웹사이트 비례 투표용지 역대 최장 51.7㎝…22대 총선 '완전 수개표'(종합) https://www.yna.co.k[...] 2024-03-23
[73] 웹사이트 22대 총선서도 정당 난립…비례대표로 국회 입성 노리나 https://www.yna.co.k[...] 2024-03-14
[74] 웹사이트 이재명·원희룡 등 총선 남성후보 16.5% 군복무 안 해(종합) https://www.yna.co.k[...] 2024-03-23
[75] 웹사이트 총선후보 3명중 1명꼴 전과자…최다는 횡령 등 11범(종합) https://www.yna.co.k[...] 2024-03-22
[76] 웹사이트 세금 체납한 총선 후보 9명…83명은 5년내 체납 이력(종합) https://www.yna.co.k[...] 2024-03-23
[77] 웹사이트 総選挙の期日前投票所予定地などに「隠しカメラ」 全国26カ所=韓国 https://jp.yna.co.kr[...] 2024-03-29
[78] 웹사이트 総選挙の期日前投票所に隠しカメラ ユーチューバー「人数確認したかった」=韓国 https://jp.yna.co.kr[...] 2024-03-31
[79] 웹사이트 韓国総選挙の在外投票 投票率62.8%で過去最高 https://jp.yna.co.kr[...] 2024-04-02
[80] 웹사이트 韓国総選挙の期日前投票初日 投票率15.61%で過去最高 https://jp.yna.co.kr[...] 2024-04-05
[81] 웹사이트 韓国総選挙の期日前投票 初日に尹大統領・与野党トップが一票投じる https://jp.yna.co.kr[...] 2024-04-05
[82] 웹사이트 “대파 875원 합리적...딴 데는 어렵죠” 정쟁 된 尹발언의 전말 https://www.chosun.c[...] 2024-04-05
[83] 웹사이트 선관위, '대파 들고 투표'에 "영향 우려…대파는 투표소 밖에" https://www.newsis.c[...] 2024-04-05
[84] 웹사이트 대파 백, 대파맛 과자는 가능한가요?… 이재명·조국 "사과는 되나" https://www.hankooki[...] 2024-04-05
[85] 웹사이트 총선 사전투표율 역대 최고 31.28%…유권자 1천385만명 참여(종합) https://www.yna.co.k[...] 2024-04-06
[86] 웹사이트 「深夜に投票用紙投入」と不正指摘する動画が拡散…選管「回送用封筒を入れただけ」 韓国総選挙 https://www.chosunon[...] 2024-04-08
[87] 웹사이트 22대 총선 잠정 투표율 67.0%…32년 만에 최고치(종합) https://www.yna.co.k[...] 2024-04-10
[88] 웹사이트 [표] 22대 총선 시·도별 투표율(잠정) https://www.yna.co.k[...] 2024-04-10
[89] 웹사이트 "범야권, 200석 안팎 압승 전망…與 참패"[지상파3사 출구조사] https://www.yna.co.k[...] 2024-04-10
[90] 웹사이트 [4·10 총선] 선관위 비상근무…투표관리 13만9천명·개표관리 7만6천명 투입 https://www.yna.co.k[...] 2024-04-10
[91] 웹사이트 선거결과22대 22대 국회의원 선거 https://www.yna.co.k[...] 2024-04-11
[92] 웹사이트 비례대표 선거결과22대 22대 국회의원 선거 https://www.yna.co.k[...] 2024-04-11
[93] 웹사이트 [속보] 선관위 “조국혁신당 비례후보 백선희, 조국 의원직 승계” https://www.mk.co.kr[...] 2024-12-16
[94] 웹사이트 韓国・曺国元法相の実刑確定 議員失職・次期大統領選への出馬不可 https://jp.yna.co.kr[...] 2024-12-12
[95] 뉴스인용 [4·10 총선] 또 무너진 與…野 협조 없이 입법·예산 불가능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04-11
[96] 웹인용 국민의 선택 시작됐다…22대 총선, 전국서 일제히 투표 시작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04-11
[97] 뉴스인용 [4·10 총선] 거대양당 구도 속 '무소속 당선인' 0명…사실상 역대 최초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04-11
[98] 웹인용 [이로운넷체크]4·10총선 "야당 압승"···민주 단독과반174석·국힘 개헌저지선 지켜 109석 https://www.eroun.ne[...] 2024-10-21
[99] 웹사이트 여야, 선거구획정 극적 합의..."오늘 본회의서 처리" https://www.ytn.co.k[...]
[100] 뉴스인용 22대 총선 비례 기호…③더불어민주연합 ④국민의미래 ⑨조국혁신당 https://n.news.naver[...] 뉴스1 2024-03-29
[101] 뉴스 '민주당 압승' 이끈 이재명…'여소야대' 재현으로 尹정부 심판 고삐 https://www.dailian.[...]
[102] 뉴스 한동훈 사퇴 “민심은 언제나 옳다”…민주당 “겸손한 자세” https://news.kbs.co.[...]
[103] 뉴스 "깜도 안 되는 것을 데려와선..." 홍준표 '총선 참패' 작심 비판 https://www.ytn.co.k[...]
[104] 뉴스 안철수 “국민의힘, 대통령 향해 ‘그건 아니다’ 말해야” https://www.hani.co.[...]
[105] 뉴스 조국 “김건희 여사 소환 조사하라… 검찰에 마지막 경고” https://biz.chosun.c[...]
[106] 뉴스 이준석, 대선 3년 남았다는 말에…"확실합니까?" https://www.segye.co[...]
[107] 뉴스 이낙연 "새미래, 국민 신임 얻는 데 실패…당 미래 재설계할 것" https://www.newsis.c[...]
[108] 뉴스 진보당 윤종오 "소수 정당 기회 준 울산시민의 정치 정서 전국 확대돼야" https://www.hankooki[...]
[109] 뉴스 녹색정의당 ‘0석’… 심상정 정계 은퇴 https://www.chosun.c[...]
[110] 법률 공직선거법 https://www.law.go.k[...] 2024-03-08
[111] 뉴스 4·10총선 선거구 획정안 국회 통과…전북 대신 비례 1석 축소 https://www.yna.co.k[...] 2024-02-29
[112] 회의록 《국회 회의록》 제413회-제6차(2024년2월29일) 2024-02-29
[113] 뉴스 민주당 2연속 압승…거센 정권심판론에 이례적 여당 참패(종합3보) https://www.yna.co.k[...] 2024-04-11
[114] 뉴스 조국혁신당 '원내 3당'‥개혁신당 이준석 당선 https://imnews.imbc.[...] 2024-04-11
[115] 뉴스 '수도권.충청권' 승부처...무소속 당선인 '0명' https://www.natv.go.[...] 2024-04-11
[116] 뉴스 무소속 후보 역대 최초 '당선 無'…58명 전원 낙선 https://www.imaeil.c[...] 2024-04-11
[117] 뉴스 [4·10 총선] 금메달리스트·초등교사·가수…비례대표로 금배지 https://www.yna.co.k[...] 2024-04-11
[118] 뉴스 비례대표 확정…국미래 18석·민주연합 14석·조국당 12석·개혁신당 2석 https://www.newsis.c[...] 2024-04-11
[119] 뉴스 개혁신당 선택 '신보수' 누구…2030男 국힘서 대거 이탈 https://www.news1.kr[...] 2024-04-14
[120] 뉴스 엇갈린 제3 지대...조국 "檢 개혁", 녹색정의 '침통' https://www.ytn.co.k[...] 2024-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