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트하르트 폰 힐데스하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트하르트 폰 힐데스하임은 960년 파사우 교구에서 태어나, 니더알타이히 수도원에서 수도사로 서품받고, 996년 수도원장이 되었다. 그는 클뤼니 개혁을 도입하고 베네딕토회 준수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 1022년 힐데스하임의 주교로 임명되어 성직자 교육에 힘쓰고 여러 교회를 건설했으며, 1038년 사망했다. 1131년 시성되었으며, 스칸디나비아, 스위스, 동유럽 등지에서 발열, 수종, 소아병 등 다양한 질병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았다. 알프스 지역의 상인 수호성인이기도 하며, 고트하르트 고개 등 여러 지명과 사건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38년 사망 - 이슈트반 1세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헝가리 기독교화와 통일을 이룩하고 1000년 또는 1001년에 왕국을 건국했으며, 1083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038년 사망 - 유방 (고려)
 유방은 고려 시대 문신이자 무신으로, 거란 침입 격퇴에 공을 세워 병부상서, 참지정사 서경유수 겸 서북면행영도병마사 등 주요 관직을 역임하고 문하시중에 이르렀으며 천승현개국남에 봉해졌다.
- 960년 출생 - 콘스탄티노스 8세
 콘스탄티노스 8세는 로마노스 2세의 아들이자 바실리오스 2세의 동생으로, 형과 공동 황제를 지내다 형의 사망 후 단독 황제가 되었으나, 정치 경험 부족으로 제국을 쇠퇴시키고 딸 조에를 로마노스 아르기루스와 결혼시켜 후계자로 삼았다.
- 960년 출생 - 성종 (고려)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문물 제도를 정비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했으며, 요나라의 침입을 외교 담판으로 막아내고 강동 6주를 설치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나 왕실 권위가 실추되기도 했던 고려의 제6대 왕이다.
- 11세기 기독교 성인 - 이슈트반 1세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헝가리 기독교화와 통일을 이룩하고 1000년 또는 1001년에 왕국을 건국했으며, 1083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1세기 기독교 성인 - 교황 그레고리오 7세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1073년 교황이 되어 교황권 강화, 교회 개혁, 하인리히 4세와의 서임권 투쟁, 성직 매매 금지, 성직자 독신 강제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업적은 교황 수위권 발전에 기여했으나 로마 침공으로 망명 중 사망 후 시성되었다.
| 고트하르트 폰 힐데스하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인물 정보 | |
| 존칭 접두사 | 성 | 
| 이름 | 고트하르트 | 
| 출생일 | 960년 | 
| 사망일 | 1038년 5월 5일 | 
| 축일 | 5월 5일 | 
| 공경하는 교회 |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 
| 출생지 | 바이에른 라이허스도르프 | 
| 시성일 | 1131년 | 
| 시성 장소 | 랭스 | 
| 시성자 | 교황 인노첸시오 2세 | 
| 상징 | 용; 교회 모형 | 
| 수호 | 여행하는 상인; 열, 수종, 소아병, 우박, 출산의 고통 및 통풍에 대한 기원; 바다의 위험에 처한 사람들의 기원 | 
| 라틴어 이름 | Gotthardus, Godehardus | 
2. 생애
고트하르트는 960년 파사우 교구의 니더알타이히 근처에서 태어났다.[8] 그의 아버지 라트문트는 니더알타이히 수도원의 가신이었다.[8] 고트하르트는 니더알타이히 수도원에서 인문학과 신학을 공부했다.[8] 그는 잘츠부르크 대주교 궁정에서 교회 행정관으로 일했다.[8] 이탈리아 등 여러 나라를 여행한 후, 파사우 대성당 학교에서 류트프리트의 지도 아래 고급 연구를 마쳤다.[8] 990년, 니더알타이흐 수도원에 합류했고, 996년에 총괄(프로보스트)이 되었다.[8]
바이에른의 하인리히 2세가 니더알타이흐 수도원을 베네딕토회 수도원으로 개조하기로 결정했을 때, 고트하르트는 수습사제로 머물렀다.[8] 990년, 수도원장 에른칸베르튼 아래에서 수도사가 되었다.[8] 993년, 사제로 서품되었다.[8] 수도원 학교의 총장이 되었다. 996년에 수도원장으로 선출되었을 때 고트하르트는 니더알타이흐에서 클뤼니 개혁을 도입했다.[8]
고트하르트는 996년 니더알타이흐 수도원장으로 선출되었다.[8] 그는 성 베네딕토 회칙을 부활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고, 그 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2세의 후원 하에 테게른제, 헤르스펠트, 크렘스뮌스터의 수도원에 수도원장을 제공하여 베네딕토회 준수를 회복했다.[8] 그는 헌신적인 개혁가였으며 니더알타이히에 클뤼니 개혁을 도입했다.[2]
고트하르트는 1022년 12월 2일 마인츠의 대주교 아리보에 의해 힐데스하임의 주교로 축성되었다.[8] 주교 재임 15년 동안, 성직자들의 존경을 받으며 약 30개의 교회 건설을 명령했다.[8] 그는 특히 젊은 성직자들의 교육에 관심이 많았고, 여러 학교를 설립했다. 힐데스하임 대성당 학교는 그의 지도 아래 학습의 중심지가 되었다. 고트하르트는 1025년경 치렌베르크의 예배당 옆에 수도원을 세웠고, 1028년에 성 마우리티우스에게 봉헌된 교회를 지었다.[5] 고령에도 불구하고 교구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옹호했다.[8][2] 1038년 5월 5일, 잠시 병을 앓다가 힐데스하임 근처의 여행자를 위한 호스텔인 "마우리티우스슈티프트"에서 사망했다.[4]
2. 1. 초기 생애와 수도 생활
고트하르트는 960년 파사우 교구의 니더알타이히 근처에서 태어났다.[8] 그의 아버지 라트문트는 니더알타이히 수도원의 가신이었다.[8] 고트하르트는 니더알타이흐 수도원에서 인문학과 신학을 공부했다.[8] 그는 잘츠부르크 대주교 궁정에서 교회 행정관으로 일했다.[8] 이탈리아 등 여러 나라를 여행한 후, 파사우 대성당 학교에서 류트프리트의 지도 아래 고급 연구를 마쳤다.[8] 990년, 니더알타이흐 수도원에 합류했고, 996년에 총괄(프로보스트)이 되었다.[8]바이에른의 하인리히 2세가 니더알타이흐 수도원을 베네딕토회 수도원으로 개조하기로 결정했을 때, 고트하르트는 수습사제로 머물렀다.[8] 990년, 수도원장 에른칸베르튼 아래에서 수도사가 되었다.[8] 993년, 사제로 서품되었다.[8] 수도원 학교의 총장이 되었다. 996년에 수도원장으로 선출되었을 때 고트하르트는 니더알타이흐에서 클뤼니 개혁을 도입했다.[8]
2. 2. 클뤼니 개혁과 수도원장
고트하르트는 996년 니더알타이흐 수도원장으로 선출되었다.[8] 바이에른의 헨리 2세가 니더알타이흐의 챕터 하우스를 베네딕트회 수도원으로 개조하기로 결정했을 때, 고트하르트는 그곳에 수습사제로 머물렀고 이후 990년에 수도원장 에른칸베르튼(Ercanbertn) 아래에서 수도사가 되었다. 996년에 수도원장으로 선출되었을 때 고트하르트는 니더알타이흐에서 클뤼니 개혁을 도입했다.[8]그는 성 베네딕토 회칙을 부활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고, 그 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2세의 후원 하에 테게른제, 헤르스펠트, 크렘스뮌스터의 수도원에 수도원장을 제공하여 베네딕토회 준수를 회복했다.[8] 그는 헌신적인 개혁가였으며 니더알타이히에 클뤼니 개혁을 도입했다.[2]
2. 3. 힐데스하임 주교
고트하르트는 1022년 12월 2일 마인츠의 대주교 아리보에 의해 힐데스하임의 주교로 축성되었다.[8] 주교 재임 15년 동안, 성직자들의 존경을 받으며 약 30개의 교회 건설을 명령했다.[8] 그는 특히 젊은 성직자들의 교육에 관심이 많았고, 여러 학교를 설립했다. 힐데스하임 대성당 학교는 그의 지도 아래 학습의 중심지가 되었다. 고트하르는 1025년경 치렌베르크의 예배당 옆에 수도원을 세웠고, 1028년에 성 마우리티우스에게 봉헌된 교회를 지었다.[5] 고령에도 불구하고 교구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옹호했다.[8][2] 1038년 5월 5일, 잠시 병을 앓다가 힐데스하임 근처의 여행자를 위한 호스텔인 "마우리티우스슈티프트"에서 사망했다.[4]3. 시성
힐데스하임의 주교 베르톨트(1119~30)와 베른하르트 1세 (1130~53)는 고트하르트의 시성을 추진했다.[8] 1131년, 랭스에서 열린 시노드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2세는 크산텐의 노르베르트와 베른하르트 앞에서 공식적으로 고트하르트를 성인으로 선포했다.[8]
1132년 5월 4일, 베른하르트는 고트하르트의 유해를 수도원 교회에서 힐데스하임 대성당으로 옮겼다.[8] 5월 5일, 고트하르트를 기리는 최초의 전례 축제가 거행되었다.[8] 유해를 통해 여러 기적이 일어났다고 전해진다.[8]
|thumb|힐데스하임 대성당 지하 묘소의 고데하르트 성지]]
3. 1. 숭배
힐데스하임의 주교 베르톨트(1119~30)와 베른하르트 1세 (1130~53)는 고트하르트의 시성을 추진했다. 1131년 랭스에서 열린 시노드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2세는 베른하르트와 크산텐의 노르베르트 앞에서 공식적으로 고트하르트를 성인으로 선포했다.1132년 5월 4일 베른하르트는 고트하르트의 유해를 수도원 교회에서 힐데스하임 대성당으로 이장했고, 5월 5일에는 고트하르트를 기리는 최초의 전례 축제가 거행되었다. 그의 유해에 여러 기적이 일어났다고 전해진다. 고트하르트 성지는 1140년경에 지어져 중세 시대의 가장 오래된 유물 성지 중 하나이다.
고트하르트 숭배는 스칸디나비아, 스위스, 동유럽으로 퍼져나갔다. 그는 발열, 수종, 소아병, 우박, 출산의 고통, 통풍 등에 대한 수호성인으로 여겨졌다. 니더알타이히 수도원은 수도원의 유명한 문법 학교인 성고트하르트 김나지움의 수호성인으로 그를 모셨다.
고트하르트는 여행하는 상인들의 수호성인이기도 했으며, 알프스에는 그에게 헌정된 많은 교회와 예배당이 세워졌다. 힐데스하임 근처의 여행자들을 위한 그의 호스피스(Mauritiusstift)가 유명해졌다. 고대 티치노인들의 전설에 따르면 스위스 알프스의 생고타르도 고개에 있는 작은 교회는 밀라노의 대주교인 갈디노(1166-76)에 의해 세워졌다고 한다. 그러나, 고프레도 다 부세로는 1213년에서 1230년 사이에 밀라노의 주교인 엔리코 다 세탈라가 교회를 설립한 것으로 보고 있다. 호스피스는 1685년 페데리코 비스콘티가 카푸친 수도회에 맡겼으며, 이후 티치노의 단체 통제를 받게 되었다.
|thumb|힐데스하임 대성당 지하 묘소의 고데하르트 성지]]
3. 2. 성 고트하르트 고개
고트하르트는 여행하는 상인들의 수호성인이었으며, 알프스에 많은 교회와 예배당이 그에게 헌정되었다.[2] 성 고트하르트 고개는 역사적으로 티치노 주와 스위스의 독일어 사용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통로이다.[2]고대 티치노의 전통에 따르면, 스위스 알프스의 생고타르도 고개 (San Gottardo)에 있는 작은 교회는 밀라노 대주교인 갈디노 (1166-76)에 의해 세워졌다.[2] 그러나 고프레도 다 부세로는 교회의 설립을 1213년부터 1230년까지 밀라노 주교였던 엔리코 다 세탈라에게 돌리고 있다.[2] 1685년 페데리코 비스콘티에 의해 호스피스는 카푸친 수도회에 위탁되었고, 나중에는 티치노의 교우회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2]
4. 이름 유래
고트하르트(Gothard)는 흔한 성씨이다. 성 고트하르트 폰 힐데스하임을 기리기 위해 여러 장소와 행사가 명명되었다. 성고트하르트 고개는 역사적으로 티치노 주와 스위스의 독일어 사용 지역을 연결한다. 헝가리의 센트고트하르드 수도원과 센트고트하르드라는 도시 이름도 성인에게서 유래했다.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의 일부인 생 고트하르드 전투 (1664년)과 라코치 페렌츠 2세의 반합스부르크 반란의 일부인 생 고트하르드 전투 (1705년)도 성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Godehard (Gotthard) von Hildesheim - Ökumenisches Heiligenlexikon
 
http://www.heiligenl[...] 
[2] 
웹사이트
 
San Gottardo di Hildesheim
 
http://www.santiebea[...] 
Santi e Beati
 
2002-06-22
 
[3] 
서적
 
Elia
 
Scott, Foresman and Company
 
1911
 
[4] 
웹사이트
 
Bishop Godehard
 
https://www.dom-hild[...] 
Mariendom Hildesheim
 
[5] 
서적
 
Baudenkmale in Niedersachsen
 
Hameln
 
2007
 
[6] 
웹사이트
 
The Gotthard Shrine
 
https://www.dom-hild[...] 
Mariendom Hildesheim
 
[7] 
웹인용
 
Godehard (Gotthard) von Hildesheim - Ökumenisches Heiligenlexikon
 
http://www.heiligenl[...] 
[8] 
웹사이트
 
San Gottardo di Hildesheim
 
http://www.santiebea[...] 
[9] 
서적
 
Elia
 
Scott, Foresman and Company
 
1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