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혜는 제 문공의 아들 공자 고의 손자로, 제나라의 상경을 지냈다. 기원전 686년 공손무지가 양공을 살해하고 스스로 제나라 임금이 되자, 고혜는 거나라에 망명한 공자 소백(제 환공)을 비밀리에 제나라로 불러들여 임금으로 옹립했다. 이후 관중, 포숙, 습붕과 함께 환공을 보좌하여 국정을 다스리고 제후들을 모아 패자가 되는 데 기여했다. 고혜는 장청구 지역을 영지로 삼아 노씨로도 불렸으며, 고씨와 노씨의 시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나라의 정치인 - 안영
    안영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재상으로, 세 명의 군주를 섬기며 뛰어난 재치와 능력을 발휘하여 제나라 부흥에 기여했고, 그의 청렴함과 지혜는 여러 고사성어와 일화로 남아 춘추 시대 명재상으로 평가받지만, 정치적 행보에 대한 평가는 시대에 따라 다르다.
  • 춘추 시대의 정치인 - 범려
    범려는 춘추 시대 월나라의 정치가이자 상인으로, 오나라 멸망에 기여하고 상업 활동으로 부를 축적하여 도주공으로 불리며 숭배받았다.
  • 춘추 시대의 정치인 - 공자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태어난 유교의 창시자이며, 덕치주의와 사회 질서를 중시하고 인과 예를 통해 사회적 조화를 추구했으며,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7세기 중국 사람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기원전 7세기 중국 사람 - 제 환공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고혜
기본 정보
이름고해
시호
작위공자
봉호
생애
시대춘추 시대
국적제나라
아버지제 경공
형제안유자
도자
전폐공
자녀고씨
기타
관련 인물염직
진힐
간지

2. 생애

고혜는 제 문공의 아들 공자 고(公子高)의 손자로, 제나라의 상경(上卿)을 지냈다.[2] 옹림(雍林) 사람이 공손무지를 죽이자, 거(莒)나라에 망명한 공자 소백(제 환공)과 친했으므로, 국(國)씨와 함께 비밀리에 소백을 제나라로 불러들여 임금으로 삼고자 했다. 소백이 노나라의 지원을 받는 공자 규를 따돌리고 먼저 입국하자, 고혜는 소백을 새 임금으로 세웠다.[3] 이후 관중, 포숙, 습붕과 함께 제환공을 도와 국정을 치리했으며,[3] 관중과 함께 환공이 제후를 모아 패자가 되는 데 공을 세웠다.[2]

2. 1. 초기 생애와 정치 활동

제 문공의 아들 공자 고(公子高)의 손자로, 제나라의 상경(上卿)을 지냈다.[2] 옹림(雍林) 사람이 공손무지를 죽이자, 고혜는 '''거'''(莒)나라에 망명한 공자 소백(제 환공)과 친했으므로, 국(國)씨와 함께 비밀리에 소백을 제나라로 불러들여 임금으로 삼고자 했다. 소백이 노나라의 지원을 받는 공자 규를 따돌리고 먼저 입국하자, 고혜는 소백을 새 임금으로 세웠다.[3] 이후 고혜는 관중, 포숙, 습붕과 함께 제환공을 도와 국정을 치리했으며,[3] 관중과 함께 환공이 제후를 모아 패자가 되는 데 공을 세웠다.[2]

기원전 686년, 공손무지 등이 모의하여 양공을 살해하고 스스로 제공에 즉위했다.[1] 고혜 등은 모반을 진압하고 환공을 군주로 옹립하여 환공을 잘 보좌했다.

고혜는 를 영지로 삼았기에 노씨라고도 불렸다.[1]

2. 2. 제 환공 옹립과 업적

제 문공의 아들 공자 고(公子高)의 손자로, 제나라의 상경(上卿)을 지냈다.[2] 옹림(雍林) 사람이 공손무지를 죽이자, 고혜는 '''거'''(莒)나라에 망명한 공자 소백(제 환공)과 친했으므로, 국(國)씨와 함께 비밀리에 소백을 제나라로 불러들여 임금으로 삼고자 했다. 소백이 노나라의 지원을 받는 공자 규를 따돌리고 먼저 입국하자, 고혜는 소백을 새 임금으로 세웠다.[3] 이후 고혜는 관중, 포숙, 습붕과 함께 제 환공을 도와 국정을 치리했으며,[3] 관중과 함께 환공이 제후를 모아 패자가 되는 데 공을 세웠다.[2]

기원전 686년, 공손무지 등이 모의하여 양공을 살해하고 스스로 제공에 즉위했다.[1] 고혜 등은 모반을 진압하고 환공을 군주로 옹립하여 환공을 잘 보좌했다.

3. 가계와 후손

고혜는 중국 고씨(高氏)의 시조가 되었으며, 그의 자손들은 중국의 여러 고씨 분파(발해고씨, 광릉고씨, 경조고씨, 암문고씨 등)를 이루었다. 이 중 고양북제를 건국하기도 했다. 고혜의 자손 중 일부는 제나라 노현(盧縣)땅을 식읍으로 받아 노씨를 창설하기도 했다.

3. 1. 고씨(高氏)의 시조

고혜(高傒)는 중국 한족 고씨(高氏)의 시조이며, 그의 자손들은 중국의 '''발해고씨''', '''광릉고씨''', '''경조고씨''', '''암문고씨''' 등이 되었다. 이 중 '''발해고씨'''에는 남북조시대 북제(北齊)를 건국한 고양'''(高洋)이 고혜의 후손이라고 한다. 이후 발해고씨이자 송나라 태위 고경의 후손 중 하나가 외가의 성인 진씨(陳氏)를 취해 '''발해진씨'''(陳氏)(해령진씨)의 시조가 되었다. 2019년 현재 고혜의 자손들인 중국 고씨의 인구수는 중국에서만 명으로, 중국 성씨 인구 순위 19위를 차지한다.

3. 2. 노씨(盧氏)의 시조

제 환공 강소백(姜小白)은 고혜에게 제나라 노현(盧縣)땅을 식읍으로 주었고, 고혜의 자손은 고혜의 식읍에서 따서 노씨를 창설했다. 범양 노씨(范陽盧氏)가 고혜의 후예라 한다.[2] 고혜의 자손들인 중국 노씨의 인구수는 2019년 현재 중국 대륙(인구 명)에서만 명으로 중국 성씨 인구 순위 50위를 차지하는 성씨이다.

고혜는 를 영지로 삼았기에 노씨라고도 불렸다.[1]

참조

[1] 서적 中国客家対聯大典 중화서국 2019-04-17
[2] 서적 신당서
[3] 서적 사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