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나라는 주나라가 동중국 지역에 세운 제후국으로, 춘추 시대 초기에는 강국이었으나 중기에 삼환씨 가문의 권력 장악으로 쇠퇴했다. 기원전 1042년 주공단의 아들 백금이 봉해져 건국되었으며, 춘추 시대 초기에는 제나라와 경쟁할 정도로 강력했다. 그러나 삼환씨의 세력 강화로 공작의 권위가 약화되었고, 전국 시대에 초나라에 병합되어 멸망했다. 노나라는 주나라의 예법을 잘 보존하고 공자를 배출하여 유교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나라 - 삼환
    삼환은 노 환공의 아들인 경보, 숙아, 계우의 후손인 맹손씨, 숙손씨, 계손씨 세 가문으로, 노 장공 이후 노나라 공실의 권력이 약화된 틈을 타 실권을 장악하며 노나라 정치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 안후이성의 역사 - 남당
    남당은 오대십국 시대 강남을 중심으로 서지고(이병)가 건국하여 당을 계승했다는 명분으로 성립되었으나, 이경과 이유 시대에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후주와 송의 압력으로 쇠퇴하여 송에 멸망,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 안후이성의 역사 - 강남도 (당)
    강남도는 당나라 시대 중국 남부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733년 강남동도와 강남서도로 분할되었으며, 당나라 말기에는 절도사와 관찰사들이 등장하여 후대 봉건 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 장쑤성의 역사 - 동진
    동진은 317년 사마예가 건국하여 약 100년간 이어진 남조 왕조로, 내란과 외침, 강남 호족과의 갈등 속에서 흥망성쇠를 거듭하며 강남 지역의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유유에 의해 멸망했다.
  • 장쑤성의 역사 - 남당
    남당은 오대십국 시대 강남을 중심으로 서지고(이병)가 건국하여 당을 계승했다는 명분으로 성립되었으나, 이경과 이유 시대에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후주와 송의 압력으로 쇠퇴하여 송에 멸망,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노나라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춘추시대의 국가들. 노나라는 북동쪽, 제나라 남쪽에 위치함.
노나라는 북동쪽, 제나라 남쪽에 위치함
국명노국 (zh)
통칭노나라
국성zh(희)
수도취푸
종교중국 민간 신앙
조상 숭배
도교
지도자희성의 세습 공작
작위공작
건국기원전 1042년경
멸망기원전 249년
멸망 원인초나라에 합병
언어
공용어상고 한어
역사
건국기원전 11세기
멸망기원전 249년
멸망 원인초에 의해 멸망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2. 역사

춘추 초기, 노나라는 동방의 강국으로, 은공, 환공 시대(기원전 722년 ~ 기원전 694년)에 , 등과 여러 차례 싸워 이겼고, 기, 거와 같은 소국을 침공했다.[1] 그러나 제나라가 점차 강성해지면서, 노나라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684년 장소 전투에서 제나라의 침략을 격퇴했지만, 이웃 국가에 대한 우위를 되찾지 못했다.[3]

춘추시대 중기, 사회 변혁으로 정권은 귀족 대신의 수중에 들어갔다. 노장공의 세 아우 계우, 숙아, 경보의 자손인 계손씨, 숙손씨, 맹손씨 삼가(三家)가 실권을 장악했다. 이들은 모두 노환공의 후예이므로 삼환이라고도 불렸다.[1] 노나라 공작의 권력은 이들 삼환 씨족에 의해 약화되었다.[3]

노나라는 서주의 예법과 제도를 잘 보존했지만, 당시 형세에 따라 변혁을 시도했다. 선공 15년(기원전 594년) '처음으로 무(畝)에 징세했다', 노성공 원년(기원전 590년) '구갑(丘甲)을 두었다', 애공 12년(기원전 483년) '전부(田賦)를 썼다'는 것은 노나라 조세 부역 제도의 중요 개혁이다. 양공 11년(기원전 562년) '삼군(三軍)을 두었다', 노소공 5년(기원전 537년) '중군(中軍)을 버렸다'는 것은 노나라 군사조직과 군신역량 변화 과정이다.[1]

춘추 말기, 노소공이 삼가에게 쫓겨나 객사했다. 이후 삼가의 가신 양호 등이 국정을 전횡하면서 '배신(陪臣)이 국명(國命)을 쥐는' 상황이 벌어졌다. 노정공 시대(기원전 509년 ~ 기원전 495년)에 양호 등은 실패하여 쫓겨나고, 삼환이 다시 정권을 장악했다.[1] 애공(기원전 494년 ~ 기원전 468년)은 군권 회복을 도모하다 삼가 대신들과 충돌이 심해져 월나라로 망명해 죽었다.

전국시대 초기, 원공 시대(기원전 436년 ~ 기원전 416년)에 삼환은 점차 세력을 잃고 쫓겨났다. 목공(기원전 415년 ~ 기원전 383년) 이후, 정권은 다시 국군의 손으로 돌아갔다. 전국시대에 노나라는 힘이 약해져 자주 제나라의 작전에 함께했다. 전국 말년, 초나라진나라에 핍박받아 동천하면서 노나라를 공격했다. 기원전 256년, 초나라가 노나라를 병탄하고 경공을 폐출하면서 노나라는 멸망했다. 기원전 249년에는 초나라 초나라 고열왕이 노나라를 침략하여 병합했고, 경공은 평민이 되었다.[1]

주공단의 전통을 이어받아, 노나라에는 오래된 예제가 남아 있었다. 공자와 그 문하가 이를 정리하여 유교로 후대에 전했다. 공자가 유교를 창출한 배경에는 노나라의 전통 문화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4]

2. 1. 건국 초기 (기원전 1042년 ~ 기원전 722년)

주공단(주나라 왕조의 건국자인 무왕의 동생으로, 무왕의 아들인 성왕을 보좌했다)의 아들 백금이 성왕에 의해 봉해져 성립되었다.

춘추 초기, 노나라는 동방의 강국으로, 은공, 환공 시대(기원전 722년 ~ 기원전 694년) 여러 번 , 등의 나라와 싸워 이겼고, 또 기, 거와 같은 소국에 부단히 침공했다.[1] 은공과 노나라 환공 아래에서 노나라는 여러 차례 제나라와 송나라를 격파했다. 동시에 다른 소국들을 상대로 원정을 벌였다.[3]

그러나 노나라의 주요 경쟁국인 제나라가 점점 더 지배력을 키우면서 시대 중반에 이르러 상황이 바뀌었다.[3] 기원전 684년 장소 전투에서 제나라의 침략을 격퇴했지만, 노나라는 이웃 국가에 대한 우위를 되찾지 못했다.[3]

한편, 춘추시대 중기, 사회가 변혁하여, 정권은 귀족 대신의 수중에 들어갔다. 장기간 실권을 장악한 주요는 노장공의 세 아우 계우, 숙아, 경보의 자손으로, 계손씨, 숙손씨, 맹손씨 삼가라 했다(혹은 저희가 모두 노환공의 후예이므로, 삼환이라 했다). 곧 소위 '정재대부'다.[1] 노나라 공작의 권력은 결국 지손 季孫, 맹손 孟孫, 숙손 叔孫의 강력한 봉건 씨족(삼환이라고 불림, 그들이 노나라 환공의 후손이었기 때문에)에 의해 훼손되었다.[3] 삼환의 지배는 너무 강력하여 노나라 조공이 권력을 되찾으려 시도하다가 그들에 의해 추방되어 다시는 돌아오지 못했다.[3]

노나라는 서주의 예법과 제도를 비교적 잘 보존한 나라 중 하나로, 다만 당시 형세의 영향으로, 일련의 변혁활동을 전개했다. 선공 15년(기원전 594년) '처음으로 무에 징세했다', 노성공 원년(기원전 590년) '구갑을 두었다', 애공 12년(기원전 483년) '전부를 썼다', 노나라 조세 부역 제도의 중요 개혁이다. 양공 11년(기원전 562년) '삼군을 두었다', 노소공 5년(기원전 537년) '중군을 버렸다', 노국 군사조직과 군신역량 비교의 변동 과정이다.[1]

춘추 말기, 노소공이 삼가에게 쫓겨나, 객사하였다. 이후 오래지 않아, 삼가의 가신 양호 등이 국정을 전제하여, 한때 '배신이 국명을 쥐는' 국면이 형성되었다. 노정공 시대(기원전 509년 ~ 기원전 495년), 양호 등은 실패하여 출분하고, 삼환이 다시 새로이 정권을 장악하였다.[1]

하지만, 이 혼란스러운 소국이 사상사·문화사에 미친 역할은 컸다. 주 왕조의 예제를 정립했다고 여겨지는 주공단의 전통을 이어받아, 노나라에는 오래된 예제가 남아 있었다. 이 오래된 예제를 정리하여, 유교로 후대에 전해 간 것이, 노나라 출신인 공자와 그 문하이다. 공자가 유교를 창출한 배경에는, 노나라에 남아 있는 전통 문화가 있었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덧붙여서 공자가 노나라에 섬겼던 것은 젊은 시절과 만년뿐이며, 각국을 제자들과 함께 방랑했던 시기가 길었다. 또한, "춘추"는, 은공 원년(기원전 722년)부터 애공 14년(기원전 481년)까지의 노나라의 연대 기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4]

2. 2. 춘추 시대 (기원전 722년 ~ 기원전 476년)

춘추 초기, 노나라는 동방의 강국으로, 은공, 환공 시대(기원전 722년 ~ 기원전 694년) 여러 번 제, 등의 나라와 싸워 이겼고, 기, 거와 같은 소국에 부단히 침공했다. 춘추시대 중기, 사회가 변혁하여, 정권은 귀족 대신의 수중에 들어갔다. 장기간 실권을 장악한 주요 세력은 노장공의 세 아우 계우, 숙아, 경보의 자손으로, 계손씨, 숙손씨, 맹손씨 삼가였다(혹은 이들이 모두 노환공의 후예이므로, 삼환이라 했다). 곧 소위 '정재대부'다. 노나라는 주나라의 예법과 제도를 비교적 잘 보존한 나라 중 하나였지만, 당시 형세의 영향으로, 일련의 변혁활동을 전개했다. 선공 15년(기원전 594년) '처음으로 무에 징세했다', 노성공 원년(기원전 590년) '구갑을 두었다', 애공 12년(기원전 483년) '전부를 썼다'는 것은 노나라 조세 부역 제도의 중요 개혁이다. 양공 11년(기원전 562년) '삼군을 두었다', 노소공 5년(기원전 537년) '중군을 버렸다'는 것은 노국 군사조직과 군신역량 비교의 변동 과정이다.

춘추 말기, 노소공이 삼가에게 쫓겨나 객사하였다. 이후 오래지 않아, 삼가의 가신 양호 등이 국정을 전제하여, 한때 '배신이 국명을 쥐는' 국면이 형성되었다. 노정공 시대(기원전 509년 ~ 기원전 495년)에 양호 등은 실패하여 출분하고, 삼환이 다시 새로이 정권을 장악하여, 후의 애공(기원전 494년 ~ 기원전 468년 재위)은 군권 회복을 도모하여 삼가 대신들과 충돌이 극해져 마침내 월나라로 망명해 죽었다.

공자유교를 창출한 배경에는, 노나라에 남아 있는 전통 문화가 있었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2] 공자가 노나라에 섬겼던 것은 젊은 시절과 만년뿐이며, 각국을 제자들과 함께 방랑했던 시기가 길었다.[2] 또한, "춘추"는, 은공 원년(기원전 722년)부터 애공 14년(기원전 481년)까지의 노나라의 연대 기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2]

2. 3. 전국 시대 (기원전 475년 ~ 기원전 221년)

전국시대 초기, 약 원공 시대(기원전 436년 ~ 기원전 416년)에 삼환은 점차 세력을 잃고 쫓겨났다. 목공(기원전 415년 ~ 기원전 383년) 이후, 정권은 다시 국군의 손으로 돌아갔다. 전국시대에 노나라는 힘이 이미 쇠약해져 자주 제나라의 작전에 함께했다. 전국 말년, 초나라진나라의 핍박을 받아 동천하면서, 노나라를 공격했다. 기원전 256년, 초나라는 노나라를 병탄하고, 경공을 폐출하여 노나라는 멸망했다. 기원전 249년에는 초나라 초나라 고열왕이 노나라를 침략하여 병합했고, 노나라의 마지막 통치자인 경공은 평민이 되었다.[1]

2. 4. 멸망 이후

기원전 256년, 초나라진나라의 압박으로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노나라를 공격하여 병합하고, 경공을 평민으로 만들었다.[1] 이로써 노나라는 멸망했다.[1] 한나라 평제 시기, 경공의 8세손 공자관을 포노후로 봉하고, 주공의 제사를 받들게 했다.[1] 공자관이 죽자 시호를 '절'이라 하고, 아들 공자상여가 작위를 이었다.[1] 왕망신 왕조를 세우고, 주공의 후예 희취(姬就)를 포노자로 봉했다.[1]

기원전 249년 초나라의 초나라 고열왕은 노나라를 침략하여 병합했다.[3]

공자가 죽은 후, 노나라는 더욱 쇠퇴하여 사실상 삼환씨에게 분할되었다.[4] 노나라 공실은 간신히 명맥을 유지했지만, 기원전 249년에 초에 병합되어 멸망했다.[4]

3. 지리

노나라의 수도는 취푸였으며, 그 영토는 현재의 산둥성 중부와 남서부 지역을 주로 포함했다. 북쪽으로는 강력한 제나라와 접해 있었고, 남쪽으로는 강력한 초나라와 접해 있었다. 노나라는 주나라의 동쪽 변경에 위치하여 래나라와 서나라와 같은 비주(非周) 민족을 상대해야 했으며, 이는 노나라 건국에 중요한 고려 사항이었다.

4. 어원

윌리엄 H. 백스터(매티소프, 1995)는 魯(노)라는 지명과 鹵(lǔ) "짠, 암염" (< 상고한어 *''C-rāʔ'') 사이에 의미론적 연관성이 있다고 제안했는데, 이는 그 지역이 고대 시대에 염전이었기 때문이다.[2]

5. 문화

주공단( 왕조의 개조인 무왕의 동생으로, 무왕의 아들인 성왕을 보좌했다)의 아들 백금이 성왕에 의해 봉해져 성립되었다.

춘추 시대에 들어선 후에는, 진, 제, 초와 같은 주변의 대국에 휘둘리는 소국이 되었다. 게다가 국내에서는, 노나라의 공족인 삼환씨가 정치의 실권을 장악하여, 국정은 여러 차례 혼란에 빠졌다.

하지만, 이 혼란스러운 소국이 사상사·문화사에 미친 역할은 컸다. 주 왕조의 예제를 정립했다고 여겨지는 주공단의 전통을 이어받아, 노나라에는 오래된 예제가 남아 있었다. 이 오래된 예제를 정리하여, 유교로 후대에 전해 간 것이, 노나라 출신인 공자와 그 문하이다. 공자가 유교를 창출한 배경에는, 노나라에 남아 있는 전통 문화가 있었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덧붙여서 공자가 노나라에 섬겼던 것은 젊은 시절과 만년뿐이며, 각국을 제자들과 함께 방랑했던 시기가 길었다. 또한, "춘추"는 은공 원년(기원전 722년)부터 애공 14년(기원전 481년)까지의 노나라의 연대 기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6. 역대 군주

대수시호이름재위 기간관계
1태공백금? ~ 기원전 998년주공단의 아들
2고공기원전 997년 ~ 기원전 994년백금의 아들
3양공기원전 993년 ~ 기원전 988년고공의 형제
4유공기원전 987년 ~ 기원전 974년양공의 아들
5위공기원전 973년 ~ 기원전 924년유공의 형제
6여공기원전 923년 ~ 기원전 887년위공의 아들
7헌공기원전 886년 ~ 기원전 855년여공의 형제
8진공기원전 854년 ~ 기원전 825년헌공의 아들
9무공기원전 824년 ~ 기원전 816년진공의 형제
10의공기원전 815년 ~ 기원전 807년무공의 아들
11백어기원전 806년 ~ 기원전 796년의공의 조카
12효공기원전 795년 ~ 기원전 769년의공의 형제
13혜공불황기원전 768년 ~ 기원전 723년효공의 아들
14은공식고기원전 722년 ~ 기원전 712년혜공의 아들
15환공기원전 711년 ~ 기원전 694년은공의 형제
16장공기원전 693년 ~ 기원전 662년환공의 아들
17기원전 662년장공의 아들
18민공계방기원전 661년 ~ 기원전 660년장공의 아들
19희공기원전 659년 ~ 기원전 627년장공의 아들
20문공기원전 626년 ~ 기원전 609년희공의 아들
21기원전 609년문공의 아들
22선공기원전 608년 ~ 기원전 591년문공의 아들
23성공흑굉기원전 590년 ~ 기원전 573년선공의 아들
24양공기원전 572년 ~ 기원전 542년성공의 아들
25기원전 542년양공의 아들
26소공기원전 541년 ~ 기원전 510년양공의 아들
27정공기원전 509년 ~ 기원전 495년소공의 형제
28애공기원전 494년 ~ 기원전 467년정공의 아들
29도공기원전 466년 ~ 기원전 429년애공의 아들
30원공기원전 428년 ~ 기원전 408년도공의 아들
31목공기원전 407년 ~ 기원전 377년원공의 아들
32공공기원전 376년 ~ 기원전 353년목공의 아들
33강공기원전 352년 ~ 기원전 344년공공의 아들
34경공기원전 343년 ~ 기원전 315년강공의 아들
35평공기원전 314년 ~ 기원전 296년경공의 아들
36문공기원전 295년 ~ 기원전 273년평공의 아들
37경공기원전 272년 ~ 기원전 249년문공의 아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guoxue.co[...] 2012-04-15
[2] 논문 Sino-Tibetan Palatal Suffixes Revisited https://stedt.berkel[...] Senri Ethnological Studies 1995
[3]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4] 서적 池北偶談 https://books.google[...] 朔雪寒 2014-09-03
[5] 서적 三遷志
[6] 서적 孟子世家譜 1824
[7] 서적 孟子與孟氏家族 2005
[8] 서적 Annotated Shiji Zhonghua Book Company
[9] 문서 代は趙の亡命政権であり、秦に滅ぼされた
[10] 웹인용 http://www.guoxue.co[...] 2012-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