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면 디스플레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면 디스플레이는 화면이 굽어진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프로젝터 맵핑 기술을 통해 구현되다가, 2000년대 이후 LCD와 OLED 기술 발달로 대중화되었다. 곡률은 디스플레이의 굽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R값으로 표시되며 시청 거리에 따라 최적의 곡률이 달라진다. 곡면 디스플레이는 넓은 시야각, 빛 반사 감소, 시청 불편함 감소, 안구 왜곡 감소, 사용 효율성 증대 등의 특성을 가진다. 커브드 TV, 모니터, 휴대 장비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프로젝터 맵핑 기술을 통해 구부러진 스크린에 화면을 구현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보편화된 크기의 곡면 디스플레이는 찾아보기가 힘들었으며, 주로 대형 IMAX 영화관, 시뮬레이터 등 특수 용도의 환경에서만 곡면 디스플레이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 디스플레이 기술의 진보로 LCD, OLED를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해지며, 대중화 및 제품 다양화의 가능성이 보이기 시작했다.
곡면 디스플레이는 LED를 백라이트로 사용하는 LCD와 자체 발광하는 OLED 두 기술로 구현된다. OLED는 백라이트가 없어 곡면 디스플레이 구현에 유리하지만, 최근에는 LCD 기술로도 높은 수준의 곡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는 평면 디스플레이에 비해 넓은 시야각, 빛 반사 감소, 시청 시 불편감 및 안구 왜곡 감소, 사용 효율성 증대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2. 역사
3. 기술
3. 1. 곡률
곡률은 디스플레이가 굽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mm 단위의 R 값으로 표시된다. 곡률이 작을수록 더 많이 굽어진 형태를 가진다.[1]
3. 1. 1. 제품별 최적 곡률
화면 정면에서 시청할 때, 제품 곡률(R)과 시청 거리(d)가 동일하면 시청자는 화면 중앙부터 외곽 부분까지 모두 같은 시청 거리를 가지게 된다.[1] 화면 외곽에서 중앙까지 전체적으로 시청 거리가 같아야 색상, 명암비 등 화질이 균일하고 전체 화면 속 정보 습득 효율이 높아진다.[1] 곡면이 적용된 제품마다 시청 및 사용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최적 곡률도 달라진다.[1] TV의 경우 국가별 거주 환경을 고려했을 때 보통 3m ~ 4m 정도의 시청 거리가 생긴다.[1] 따라서 최적 곡률은 3000R ~ 4000R 수준이 된다.[1]
4. 특성
4. 1. 넓은 시청 각도
곡면 디스플레이는 동일 시청 거리에서 시청할 때 일반 디스플레이보다 시야각이 넓다. 시야각이 넓을수록 더 많은 양의 정보가 시세포를 자극하여 시신경을 통해 뇌에 더 많은 시각 정보를 전달한다. இதனால் 같은 영상을 보더라도 평면 디스플레이보다 현실감(Presence), 임장감(Immersive experience)을 더욱 느끼게 된다.[1]
4. 2. 화면의 빛 반사 감소
페르마의 원리에 의해 빛의 입사각과 반사각은 반사면 접선에 수직한 법선 기준으로 동일하다. 곡면 디스플레이는 곡면 특성으로 인해 같은 방향으로 입사한 빛이 큰 각으로 입사하고 따라서 반사각도 크게 된다. 다시 말해 작은 범위의 입사각만이 시청점에 도달하여 화면 시청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큰 각도로 입사한 각은 시청점에 도달하지 않는다.
4. 3. 시청 시 불편감 감소
호롭터 이론에 의하면 안구는 호롭터(Horopter) 곡선상에 놓여진 물체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고 인지한다.[1] 반면 수평선상(Flat)에 놓여진 물체끼리는 원근감을 느끼게 되고, 시청 위치에 따라 원근감이 심해지면 이중상으로 인식이 된다. 곡면 디스플레이는 호롭터 곡선과 유사한 형태로 화면 중심부와 외곽부가 같은 선상으로 인식되어 영상 시청 시 어지러움이 적고 편안한 경험을 제공한다.
4. 4. 안구 왜곡 감소
인간의 안구는 구형이기 때문에 평면 이미지를 볼 때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는 이러한 안구 왜곡을 상쇄시켜 평면으로 인식되도록 한다.[1] 파르테논 신전은 인간의 시각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건축되었는데, 안구의 상이 맺히는 망막은 구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평행하게 놓여진 두 직선은 초점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굽어진 형태로 보이게 된다.[1] 디스플레이 시청 시에도 마찬가지로 초점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볼록한 구면의 가장자리를 보는 것과 같은 왜곡 현상이 일어난다.[1] 따라서 화면에 적당한 곡률을 적용하여 안구 왜곡을 상쇄시키면 인간은 이것을 평면으로 인식한다.[1]
4. 5. 사용 효율성 증대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연구팀의 '디스플레이 사이즈와 곡률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같은 크기의 평면 디스플레이에 비해 곡면 디스플레이에서 연구 참여자의 작업 수행 시간이 24%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2]
5. 적용 제품
곡면 디스플레이 기술은 TV, 모니터, 휴대 장비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 '''TV]''':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기업들이 휘어진 화면을 가진 TV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 '''모니터]''': --[5] --[6]
- '''휴대 장비''': 삼성 갤럭시 라운드, 갤럭시 핏, LG G Flex
5. 1. 커브드 TV
커브드 TV는 휘어진 화면을 가진 TV를 말한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기업들이 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곡률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5. 1. 1. LCD TV
삼성전자 UN65HU9000F[1] 등5. 1. 2. OLED TV
5. 2. 커브드 모니터
5. 3. 휴대 장비
- 삼성 갤럭시 라운드, 갤럭시 핏
- LG G Flex
참조
[1]
논문
시청 조건에 따른 3차원 영상의 깊이지각 왜곡 보정 함수 개발 및 타당화
2012
[2]
논문
Shaping the Display of the Future: The Effects of Display Size and Curvature on User Performance and Insights
[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05-13
[4]
웹사이트
http://www.lg.com/us[...]
[5]
뉴스
"눈과 화면 사이 거리, 어느 방향에서나 일정해 덜 피로”
http://joongang.join[...]
중앙일보
[6]
뉴스
NEC's 43 in., 31:10 curved monitor commands $8,000 price tag
http://www.zdnet.com[...]
ZD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