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공철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공철학은 철학자가 사회 지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공 문제에 기여하고, 대중과의 소통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공철학은 대중과 협력하여 공공 문제를 해결하고, 존 듀이의 민주주의 철학을 재건하는 것과 연관된다. 마이클 센델은 공공철학을 정치적, 법적 논쟁에서 철학적 요소를 발견하고 도덕적, 정치적 철학을 적용하는 것이라고 보았으며, 제임스 툴리는 공공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권, 시민의 자유, 비폭력의 실천을 강조했다. 미국철학회와 공공철학네트워크 등에서 공공철학을 장려하며, 코넬 웨스트, 위르겐 하버마스, 마사 누스바움, 리처드 로티, 제임스 툴리, 제인 애덤스, 아인 랜드 등이 공공철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사사키 타케시와 김태창 등이 공공철학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학 관련 분야 - 해석학적 신학
    해석학적 신학은 해석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신학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학문으로, 신학적 해석학과 유사하지만 해석학적 방법에 더 집중하는 특징을 지닌다.
  • 철학 - 개념
    개념은 사물이나 사상의 추상적인 일반화 또는 표상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명사로 표현되며, 추상적 객체 또는 정신적 표상으로 여겨지는 존재론적 지위와 함께 철학, 심리학, 언어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된다.
  • 철학 - 플라토닉 러브
    플라토닉 러브는 성적 요소 없이 깊은 애정과 우정을 나누는 관계를 뜻하며,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에서 시작되었으나 르네상스 시대 이후 비성적 이성애적 사랑으로 재해석되어 현대에는 깊은 유대감, 특히 퀴어플라토닉 관계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사랑과 우정의 경계가 모호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개념이다.
공공철학
개요
학문 분야철학
연구 대상공적인 문제
목표공공 담론 개선 및 시민 참여 장려
특징
특징철학적 방법론을 공공 영역에 적용
주요 관심사윤리적 딜레마, 사회 정의, 정치적 이상
역할공공 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및 대안 제시
역사
기원고대 그리스 철학
발전현대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철학적 탐구
주요 인물마이클 샌델, 위르겐 하버마스, 존 롤스
방법론
접근 방식비판적 분석, 개념 명료화, 가치 평가
도구논리적 추론, 윤리적 이론, 사회 이론
목표공공 담론의 질 향상 및 합리적 의사 결정 촉진
응용 분야
분야정치 철학, 윤리, 법철학, 사회 철학
적용 사례공공 정책 결정, 사회 운동, 시민 교육
역할
철학자 역할공공 문제에 대한 철학적 관점 제시
시민 역할공공 담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
사회 역할공공 철학은 민주적 가치 증진 및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

2. 관점

샤론 미거는 공공철학이 단순히 공적인 면에서 철학을 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진정한 공공철학은 철학자가 사회지식의 학도가 되고 자신의 공공적인 일을 깊이 숙고하는 것이며, 철학이 공적인 것에 이득을 주는 만큼, 공공에의 접촉연계로부터 보탬이 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2]

공적으로 일하는 철학자는 자신이 문제점을 미리 안다고 가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자신의 지역사회에서의 경험에서 문제를 이끌어내고 정리체계화한다. 더욱이, 공개적으로 참여한 철학은 철학자 자신이 그 대중의 구성원이라는 것을 이해하면서 철학자 자신의 대중에 대한 책임을 요구한다.[2]

공공철학은 단순히 공공장소에서 수행되는 철학이라는 대안적인 견해를 가진 철학자들은 두 가지 프로젝트와 연계성을 갖고 참여하고 있다. 이 중 하나는 대중과 협력하여 공공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대중과 다른 이들을 교육하는 것이다. 두 번째 접근법은 존 듀이의 민주주의와 철학을 재건하는 필요성에 대한 작품에서 종종 영감을 얻는다.[3] 두 개의 접근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철학자 마이클 센델은 공공철학이 두 가지 측면을 갖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첫 번째는 우리 시대의 정치적인 법적인 논쟁에서 철학적인 것을 찾아내는 것이다. 두 번째는 "현대 대중 담론에 설명을 할 수 있도록 도덕적, 정치적 철학을 가져와 적용하는 것이다."

제임스 툴리는 공공철학의 역할은 공공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말하지만, 이것은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5] 툴리의 접근 방식은 시민권, 시민의 자유 및 비폭력이라는 경쟁 개념을 통해 실천을 강조한다. 어떤 의미에서는 공공철학은 스타일의 문제라기보다는 내용의 문제이다. 공공철학은 이런 면에서 공공장소에서 수행될 필요가 없고, 철학적인 문제의 특정부분을 다루어야 한다.

3. 공공철학자

미국철학회는 2007년에 공공철학위원회를 설립하였다.[7]

공공철학네트워크는 2년에 한 번씩 공공철학의 진보에 관한 학회를 개최한다.[8]

공공철학자로 인정되는 인물로는 코넬 웨스트, 위르겐 하버마스, 마사 누스바움, 리처드 로티, 제임스 툴리 등의 학자, 제인 애덤스 같은 사회활동가, 아인 랜드 같은 소설가가 있다.

3. 1. 한국의 공공철학자

사사키 다케시

김태창

참조

[1] 간행물 Public Philosophy: Introduction
[2] 서적 Public Philosophy: Essays on Morality in Politic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3] 서적 Public Philosophy in a New Key: Volume 1, Democracy and Civic Free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4] 웹사이트 Public Philosophy: Revitalizing Philosophy as a Civic Discipline http://api.ning.com/[...] 2020-02-14
[5] 서적 Public Intellectuals: A Study of Decline Harvard University Press
[6] 백과사전 Jane Addams http://plato.stanfor[...] 2010-06-15
[7] 서적 Ayn Rand: The Russian Radical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What Does Public Philosophy Do? (Hint: It Does Not Make Better Citizens) http://www.pdcnet.or[...]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